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말 가르치는 길잡이, 누가 만들어야 하나?

        최인영(Choi In-yeo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국어과 교육과정은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그 동안 그런 구실을 제대로 했느냐 하면 그렇지 못하다. 왜냐하면 교육과정을 만들고 고치는 과정에서 현장을 따돌렸기 때문이다. 이번에 새로 교육과정을 고치는 과정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실제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연구진에는 현장 교사가 한 명도 없었으며, 그것을 검토하는 자리에도 겨우 이름만 걸쳐놓기 일쑤였다. 그래서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할 수가 없었다.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닫아버린 교육과정은 아이들의 삶을 제대로 담아낼 수가 없었으며, 따라서 아이들의 언어능력을 키우는 길잡이로서의 구실을 잃어버렸다. 교육과정은 문서로 존재할 뿐, 수업을 이끌어 나가지는 못한다. 교사가 수업을 계획할 때 교육과정을 보는 일은 거의 없다. 현장을 따돌린 교육과정이 도리어 현장으로부터 따돌림을 받는 것이다.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는 누가 만들어야 하는가? 먼저 우리말에 대한 전문가인 학자들이 자리를 잡아야 한다. 그리고 가르치는 일에 전문가인 현장의 교사들이 함께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의 슬기를 모아야 한다.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must be the guideline for teaching our language. However it has not played the guiding role well for how it is applied in the filed was ignor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modifying the curriculum. The process of making the new curriculum this year was not very different. In fact, the research team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did not include a single teacher from the field and only the names of teachers are borrowed even when the curriculum was reviewed. In other words, it was not possible to reflect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field. The curriculum which is not concerned with the voices from the field cannot reflect the lives of the children and therefore it lost the function as the guide for developing the linguistic abilities of the children. The curriculum only exists as a document; it cannot actually teach. Teachers hardly refer to the curriculum when they make their teaching plans. The curriculum which ignored the field is being ignored by the field. Who must make the guideline for teaching our language, then? First, the scholars with expertise in Korean language must take the lead. Then, the teachers from the field who are experts in teaching must join them. It is also necessary to gather the wisdom of everyone in the society.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과 결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09 개정에서 2015 개정을 중심으로

        박미연(Park mi y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 개정에 미친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과 교육의 내적 논리에 의해 개정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교육 외적인 논리, 즉 정치적 요구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즉 교육과정 개정 배경, 개정 시기, 내용 등 여러 면에서 국어교육 외적인 요구에 의해 상명하달식 개정이 이루어지고 개정 주체 역시 대학교수 중심의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다 보니 현장 적합성이 떨어져 교육 현장과 괴리되는 문제가 지속되었다. 또한 2009 개정에서 2015 개정에 이르기까지 국어과 선택 과목 체제가 바뀌는 동안 내재적 논리가 미약한 과목 재구조화 및 과목 설정, 언어활동과 관련된 행동 특성의 구분이 임의적으로 변한 내용 체계표 등 현장에서 납득하고 수용하기 어려운 변화가 지속되었다. 다만 그동안 지속적으로 추구해 온 학습량 감축,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는 그동안의 국어교육의 성과가 반영되어 어느 정도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었다. 앞으로도 교육과정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이전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문제를 개선하며 현장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준비하는 상설 기구를 설치하고 현장 교사의 참여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curriculum revision from the 2009 revis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o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to examine what factors are necessary for revising the curriculum. The revi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made by the external logic of education, that is, the political demands, although it should be done by the internal logic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revision was made by the external needs of the Korean language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background of the curriculum revision, the revision time, and contents, and the revision was made by university professors.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of falling off the fitness of the field and getting away from the education field. In addition, while changing from 2009 revision to 2015, there were continuing changes that were difficult to accept and accepted in the field, such as the setting of subjects with weak internal logic and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activity behavior. However, the amount of learning reduc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hat have been pursued continuously has been improved to some extent by reflect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ation of curriculum revision, to improve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previous curriculum, and to create a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field, a permanent organization for preparing the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field teachers should be further expanded.

      •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제점 짚어보기 - 초등과정을 중심으로

        김강수(Kim Kang-soo)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이 글은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과정과 내용체계들을 초등현장 교사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인가, 어떤 문제점을 낳을 수 있을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논의해보려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BR>  교육과정은 교육현장의 교사들에게 가르치는 목표와 내용, 방법 등에 관한 지침의 구실을 하지만, 내용과 방법을 포괄적으로 기술할 뿐 아니라 전체적인 체계에서 통일성을 고려하다보니 대단히 추상적인 말로 정리되어 있다. 따라서 현장의 교사는 교육과정 문서만으로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쉽게 가늠하기가 어렵다. 현장의 교사들이 개정 교육과정을 쉽게 이해하고 함께 논의해볼 수 있도록 하려면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BR>  이 글은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을 통합해야 하는 필요성, 지역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와 구체적 실현 방법, 내용의 적정성과 위계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즉 그것들이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현실적인 적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생각을 담고 있다.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논의를 펼쳐나가기 때문에 객관성이나 체계성이 떨어질 수는 있지만, 초등 교육 현장을 실천적으로 반영한 글로 읽히기를 바라며, 현장의 교사들이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discuss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how the curriculum can be effectively realized in actual teaching environment after due consideration of how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put together from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int of view.<BR>  Educational curriculums act as teachers’ guide to help them with teaching contents or teaching methods, but since they include wide range of information and because they were put together considering unity of the information, the contents are very abstract. That is why, teachers cannot easily figure out how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practiced with the documents only. In order to discuss how teachers can understand the revised curriculum, I believe it is best to write from actual experience.<BR>  This essay discuss problems in necessity of uniting revised curriculum contents, reason for necessity of localized education system and details of how it is achieved, and propriety of contents. I believe that these are obstacles for practicing revised curriculum and they are holding back actual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This essay might lack objectivity and systemicity because it is written on the base of one’s experience, but I hope that this essay is read knowing that this essay is reflecting actual practice of education. I also hope that this essay will provide a chance for teachers to understand and discuss revised curriculum education process.

      • 우리말 가르치는 길잡이 … 누가 만들어야 하나?

        최인영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1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must be the guideline for teaching our language. However it has not played the guiding role well for how it is applied in the filed was ignor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modifying the curriculum. The process of making the new curriculum this year was not very different. In fact, the research team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did not include a single teacher from the field and only the names of teachers are borrowed even when the curriculum was reviewed. In other words, it was not possible to reflect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field. The curriculum which is not concerned with the voices from the field cannot reflect the lives of the children and therefore it lost the function as the guide for developing the linguistic abilities of the children. The curriculum only exists as a document; it cannot actually teach. Teachers hardly refer to the curriculum when they make their teaching plans. The curriculum which ignored the field is being ignored by the field. Who must make the guideline for teaching our language, then? First, the scholars with expertise in Korean language must take the lead. Then, the teachers from the field who are experts in teaching must join them. It is also necessary to gather the wisdom of everyone in the society. 국어과 교육과정은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그 동안 그런 구실을 제대로 했느냐 하면 그렇지 못하다. 왜냐하면 교육과정을 만들고 고치는 과정에서 현장을 따돌렸기 때문이다. 이번에 새로 교육과정을 고치는 과정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실제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연구진에는 현장 교사가 한 명도 없었으며, 그것을 검토하는 자리에도 겨우 이름만 걸쳐놓기 일쑤였다. 그래서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할 수가 없었다.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닫아버린 교육과정은 아이들의 삶을 제대로 담아낼 수가 없었으며, 따라서 아이들의 언어능력을 키우는 길잡이로서의 구실을 잃어버렸다. 교육과정은 문서로 존재할 뿐, 수업을 이끌어 나가지는 못한다. 교사가 수업을 계획할 때 교육과정을 보는 일은 거의 없다. 현장을 따돌린 교육과정이 도리어 현장으로부터 따돌림을 받는 것이다.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는 누가 만들어야 하는가? 먼저 우리말에 대한 전문가인 학자들이 자리를 잡아야 한다. 그리고 가르치는 일에 전문가인 현장의 교사들이 함께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의 슬기를 모아야 한다.

      •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방향

        김주환(Kim Ju-hwa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is to improve the student’s’ language ability.<BR>  Therefore, to study about what the student"s language ability is and how to develop it is the main task of the action research.<BR>  However, the current action research is limited to the improvement in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BR>  That is because the action research is done only by the teachers.<BR>  To extend the range of the action research to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s,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and the process of students" languag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for the researchers to participate in the action research.<BR>  Although the teachers are appropriate for the action research in that they meet the conditions for the research, they need the researchers’ cooperation to objectify their experience<BR>  It is the joint action researches and the theory over a branch study that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arts.   국어교육은 언어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언어 능력이 무엇이며 이것을 어떻게 향상시켜나갈 것인지를 연구하는 것이 현장연구의 과제이다. 그러나 현재의 현장연구는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만 국한되어 있다. 이는 현장연구가 교사들에게만 맡겨져 있기 때문이다. 현장연구의 범위를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교재 분석, 학생들의 언어 발달 과정 등으로 넓혀가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현장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장 연구를 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춘 사람은 바로 교사들이지만, 이들이 자신의 경험을 객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과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분과학문을 넘어선 이론과 현장의 공동 연구야말로 국어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것<BR>이다.

      •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제점 짚어보기 - 초등과정을 중심으로

        김강수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1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discuss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how the curriculum can be effectively realized in actual teaching environment after due consideration of how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put together from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int of view. Educational curriculums act as teachers’ guide to help them with teaching contents or teaching methods, but since they include wide range of information and because they were put together considering unity of the information, the contents are very abstract. That is why, teachers cannot easily figure out how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practiced with the documents only. In order to discuss how teachers can understand the revised curriculum, I believe it is best to write from actual experience. This essay discuss problems in necessity of uniting revised curriculum contents, reason for necessity of localized education system and details of how it is achieved, and propriety of contents. I believe that these are obstacles for practicing revised curriculum and they are holding back actual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This essay might lack objectivity and systemicity because it is written on the base of one’s experience, but I hope that this essay is read knowing that this essay is reflecting actual practice of education. I also hope that this essay will provide a chance for teachers to understand and discuss revised curriculum education process. 이 글은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과정과 내용체계들을 초등 현장 교사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인가, 어떤 문제점을 낳을 수 있을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논의해보려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 교육과정은 교육현장의 교사들에게 가르치는 목표와 내용, 방법 등에 관한 지침의 구실을 하지만, 내용과 방법을 포괄적으로 기술할 뿐 아니라 전체적인 체계에서 통일성을 고려하다보니 대단히 추상적인 말로 정리되어 있다. 따라서 현장의 교사는 교육과정 문서만으로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쉽게 가늠하기가 어렵다. 현장의 교사들이 개정 교육과정을 쉽게 이해하고 함께 논의해볼 수 있도록 하려면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을 통합해야 하는 필요성, 지역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와 구체적 실현 방법, 내용의 적정성과 위계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즉 그것들이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현실적인 적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생각을 담고 있다.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논의를 펼쳐나가기 때문에 객관성이나 체계성이 떨어질 수는 있지만, 초등 교육 현장을 실천적으로 반영한 글로 읽히기를 바라며, 현장의 교사들이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검정 교과서 현장 검토 제도 도입 방안 연구

        남택승(Nam Taek se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 수업을 통해 검정 교과서의 오류를 점검한 것 을 바탕으로, 현장 수업을 통해 교사들이 검정 교과서를 검토하는 제도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그러기 위해 먼저, 검정 교과서를 현장에서 가르치면서 찾은 오류를 분석하였다. 오류를 크게 학습 내용의 오류와 학습 활동의 오류로 나누어 검증해 보았다. 학습 내용의 오류에서는 교육과정과의 연계 문제, 내용의 정확성 문제 등을 다루었고, 학습 활동의 오류에서는 학습 목표와의 연계문제, 활동 내용의 공정성 문제, 학습 활동 답의 문제 등을 검토했다. 다음으로 검증이 끝난 검정 교과서에 이런 문제가 있는 원인을 분석하고 검정 교과서 오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장 검토 제도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rrors in authorized textbooks through the on-site classes and argue the need for a system where teachers verify the authorized textbooks through the classes in the field. To do so, the errors which were found were analyzed, while teaching the authorized textbooks in the field. The errors were inspected in two ways, focusing on errors in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For errors in learning contents were problems associated with curricula and problems of the accuracy in the contents handled. For errors in learning activities were problems associated with learning objectives, issues of fairness in learning activities, and issues of answers in learning activities inspected. Then, the causes of such problems in the authorized textbooks were analyzed. Then, this paper argues the necessity and methods of the field-verification system which can solve the errors in the authorized textbooks.

      • KCI등재후보

        독서교육의 방향 찾기

        박혜숙(Park, Hye-suk)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4 No.1

        우리 사회는 무한경쟁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 논리에 휘말려 들어가고있다. 구제금융 위기 이후 어려워진 경제 상황은 이런 현실을 합리화하는데 악용되고 있다. 학교 현장의 상황도 이런 현실의 축소판이다. 자기 옆에 있는 타인을 돌아보지 않고 자신의 생존을 위해 타인을 적으로 간주하게 되는 현실이 아이들 속에서 그대로 재현된다. 대학을 가기 위해 거 쳐 가는 곳으로 전락해버린 고등학교 현장은 ‘내가 살아남기 위해 친구를밀쳐내야 하는’ 생존 법칙을 내면화하는 곳이 되어 버렸다.교육 현장에서 교육의 본질에 대한 고민은 어딘가로 사라졌다. 이런 현실이 지속된다면 앞으로 우리 아이들은 사방이 벽으로 꽉 막힌 전쟁터에서 살아남기 위해 누군가에게 총을 겨눈 채 불안과 고독 속에서 살아가게 될 것이다. 이런 현실을 바로 잡기 위한 노력이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 현장에서 이런 노력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교육활동이‘독서토론모임 활동 중심의 독서교육활동’이다.독서토론모임 활동은 아이들이 자신을 둘러싼 현실을 직시하고 그 현실 속에 서 있는 자신을 돌아보게 만든다. 그리고 친구들과 책을 읽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경험은 서로의 생각을 확장시키고 나아가 자신들을 둘러싼 무력의 포위망을 넘어설 수 있게 해주는‘연대의 힘’을 갖게 만들 수 있다. Korean society is getting involved in the neo-liberalismemphasizing free-for-all. Poor economic conditions after the IMFbailout are misused to justify this fact. The scene of school is alsoa miniature of the society. This fact is realized and repeatedamong the students - a reality that people don't look aroundanother person and consider each other as an enemy to survive.The site of high school that became a way station to go to university is now a place that teaches the survival rule, 'Push yourfriends to survive' to students. At the place of education, thinking about the essence of education is disappeared. If this situation is continued, children will live in the uncertainty and lonesome, with aiming their guns at someone in the closed war site. The effort to correct this should be done in school. 'Reading education based on reading-debating activity' is the most suitable educational activity to make this effort in school. Reading-debating activity makes children face the reality and look back themselves. The experiences of sharing ideas in debating expand each children's ideas and have them get a 'Power of solidarity' which helps to overcome the encircling net of force around them.

      • KCI등재

        일본 한글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한민족 정체성에 대한 인식 연구

        김경령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9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3 No.1

        본고는 일본의 한글학교에 다니는 계승언어 학습자의 한국어 문화 정체성 형성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사회언어학적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된 연구이다. 일본의 한글학교에서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해외에서의 온라인 설문 경험이 풍부한 전문 리서치 용역 업체를 통해 데이터를 수합하여 교차 분석을 통해 여러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분석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과 학부모는 공통적으로 한국어를 통해 계승언어 구사자로서 정체성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는 정체성 형성을 위해 한국어가 절대적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학부모는 언어적 요소만이 절대적이라 생각하지 않았고 한국 문화나 역사 등에 대해 알게 하는 것도 언어 교육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이 생각하는 정체성 교육의 의미에 따라 수업의 내용이나 방향, 한국 문화에 대한 소개, 교수법 등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성별이나 학력 변인 등에 따라서도 교육해야 하는 문화 내용 선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들은 본인의 한국어 실력에 관계없이 한국어 문화에 자녀들을 노출시키기 위해 한글학교에 보내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그러한 환경을 가정에서 조성하기에 다른 가족들의 반대도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학교에 보내는 이유로 한국어뿐 아니라 정체성 형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에 대한 기대도 컸으며, 한국어 능숙도가 절대적으로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만은 아닌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 시기부터 한국어와 문화를 통해 정체성 형성을 돕고자 하는 학부모와 교사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그간 언어 교육에만 매몰되었던 시각을 좀 더 넓게 확장하여 문화 교육, 정체성 교육이 언어 수업 내용에 적절히 어우러진 교육과정이나 자료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both Korean Saturda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language and cultural attitudes, identity issues, and expectation variabl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 survey in Korean Saturday schools in Japan. Both Korean Saturda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Korean Saturda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on-lin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findings. First, Korean teachers and parents show similar attitudes towa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elping children develop a Korean identity from an early age. However, parents demand a curricula that is more related to culture than merely language. Second, depending on the different attitudes of teachers toward Korean identity, their teaching methods with regards to handling Korean culture changed. Some variables, such as a teacher’s gender or educational level, influence cultural class content. Third, parents expect more abundant Korean cultural input from Korean teachers besides learning Korean language in Korean Saturday schools. This study offers guidelines for developing Korean Saturday school curriculum for preschool learners at Korean Saturday schools in Japa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KCI등재후보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

        박안수(Park, An-s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6 No.2

        이 글은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문화교육이란 독자를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로서의 소비자[생비자(生費者), (prosumer)]’로 그 위상을 재정립하여 바라보자는 입장이며, 텍스트의 관점에서도 순수 서정시나 모더니즘 계열의 시보다는 민중이나 대중에게 쉽게 향유되는 시들도 교육과 연구의 대상으로 삼자는 입장이다. 또한 이러한 ‘시의 생산, 분배, 소비’의 측면을 중요한 ‘실천으로서의 문화, 문학’ 현상으로 인정하자는 입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문화교육의 관점은 ‘민족지학의 관점’의 연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 관점은 20세기 산업사회가 발달하면서 생긴 산물들인 드라마와 영화, 사진 등의 장르에 관심을 갖는 연구이다. 또한 계급적, 사회적 관점으로는 노동자나 여성, 이민자와 같은 영국 민중들이 향유하는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문화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소비하는 시청자나 독자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연구 방식이다. 이들 모두를 ‘확장된 문화’라는 개념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연구는 1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시낭송 교육의 현실에 관해 문제 제기를 하였고, 2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본 작가‧텍스트‧독자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반응활동의 객관화를 위한 의사소통 모형’을 중심으로 시낭송 교육 방안 설계와 시낭송 교육의 실제를 보였고, 4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시낭송 교육의 의의와 한계, 제언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 낭송자와 청중들은 시 텍스트를 활용한 낭송의 개념과 범주를 폭넓게 허용함을 알게 된다. 둘째, 다양한 시낭송 방식의 체험은 반응비평 중심의 시 감상 교육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학습 과정임을 알게 된다. 셋째, 학생들은 시를 주체적으로 감상하고 즐기며, 적절하게 반응하고 소통할 있는 능력을 경험한다. 위와 같은 시낭송 교육은 부정적 영향과 한계에도 유의해야 한다. 감상의 과정에서 주객전도의 딜레마가 작용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즐길 수 있는 재미를 빼앗아 버릴 수 있고, 부정확한 선입견을 가지고 많은 보조 자료를 동원하여 배경 음향과 화면으로 채우는 것에 골몰할 수 있다. This research deals with poem recita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conducted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In cultural education, the status of reader is upgraded to be viewed as 'producer and consumer (prosumer)' instead of just a 'passive consumer'. Such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has a lot to do with 'ethnographic perspective' research. This perspective stemmed from paying attention to genre such as dramas, movies, and photos ― products of the developed industrial society in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 analyzes such cultural texts and pays attention to the consumers, the viewers or readers, who are all accepted in the concept of 'extended culture'. This research raised issues associated with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in the chapter 1. In Chapter 2, writers and texts are examined from the 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In Chapter 3, planning of poem recitation education and its reality was reveal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model for objectification of reaction activities, reflecting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education. In Chapter 4,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n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poem reciters and audience will be introduced to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poetry recitation. Secondly, they will learn that reactive criticism is the foundation for poetry appreciation and so fuels a variety of poetry recitation experiences. Thusly, through the mentioned learning points, students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communication abilities as well as an appreciation for poetry. Such poem recitation education had to be mindful of negative effects and limitations as well. 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it might produce side effects of taking away the freedom and enjoyment of students, contrary to its goal. Second, the education might negatively focus on the background music and images with lots of supplementary materials and inaccurate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