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회학교 교사가 인지한 팀효과성이 교육부서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부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함영주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학교 교사가 인지한 팀 효과성이 만족도를 매개로 부서 헌신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교회의 교회학교 성장 하락세는 이미 오래전에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쇠퇴를 극복하고 다시 성장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교회의 내부적인 움직임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내부요인 중에 교회학교 교사의 역할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회학교 교사는 학생들의 영적인 성숙과 성장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특히 교사의 리더십 역량은 교육부서에 대한 만족도와 헌신도를 높여주고 이것이 학생지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동안 교회학교 교사의 리더십에 대한 논의는 개인리더십에 초점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부서 내에서 교사의 팀 사역에 대한 효과성은 자신이 섬기는 부서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고 더 나아가 헌신도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팀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이미 정부조직이나 일반 기업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대부분의 연구결과는 팀효과성이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게 하고 생산성을 높여준다고 보고하고 있다. 일반 학교 내에서도 팀효과성은 긍정적인 교육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반하여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팀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그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에 있다. 다만 부서 내에서의 팀워크가 부서의 운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회학교 부서 내에서 교사가 가진 팀 효과성이 부서 만족도를 매개로 부서 헌신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 방법으로 시행되었는데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19개 교회에서 344명의 교사들이 연구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교회학교 교사가 인식한 부서의 팀 효과성이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604) 만족도가 간접매개효과를 보였다(.308). 한편 리더십 강의를 수강한 교사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팀 효과성, 헌신도, 만족도에 있어서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을 기록했으며 경험이 많은 40-50대 교사가 20대 교사에 비해 헌신도와 팀효과성 등이 더 높았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 중요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부서가 교사들의 사역만족도와 헌신도를 향상시켜주기 위해서 팀 효과성을 높여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성경이 제시하는 다양한 팀 사역의 모델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회학교 부서 내에서 팀 효과성을 높여주기 위해서 경력이 많은 교사와 경력이 짧은 교사 간에 유기체적인 학습 및 신앙공동체를 형성해 주어야 한다. 셋째, 교회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리더십 교육을 통해 팀효과성을 향상시켜주고 결국 교회학교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각 교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교사 리더십’ 과목을 개설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team effectiveness perceived by church schoolteachers affects their commitment to education department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satisfaction. Although the downturn of church school growth in Korea began long ago, the internal movements of the church have been very active to overcome this decline and advance in the direction of regrowth. The role of church schoolteachers among the internal factors for the growth of church schools is paramount. Church schoolteachers play a key role in students’ spiritual maturity and growth. In particular, teachers’ leadership skills may boost satisfaction with and commitment to education departments,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student guidance. Until now, discussions on the leadership of church schoolteachers have focused on personal leadership. However, teachers’ perceptions of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ir departments may boost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s and thu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mmitment. Team effectiveness has already been the subject of active research by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general companies. Most of the research results have reported that team effectiveness contributes to effective management and increased productivity of organizations. Results also indicate that team effectiveness within regular schools may bring positive educational results. On the contrary, research on team effectiveness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area of Christian education. However, teamwork within departments is believed to affect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departm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s of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 departments at church schools on their commitment to the department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nd 344 teachers from 19 church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surve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308)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schoolteachers’ perceptions of departments’ team effectiveness and commitment (.604). On the other hand, the group of teachers who took a leadership course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 on team effectivenes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 experienced teachers aged 40–50 had higher commitment and team effectiveness scores than those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is result, three important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First, education departments should increase team effectiveness to improve teachers’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do so, they should utilize the various models of team effectiveness presented in the Bible. Second, an organic learning system and a community of believers should be formed between experienced teachers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to increase the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 departments at church schools. Third, team effectiveness should be improved through ongoing leadership training for church schoolteachers,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healthier church schools. To do so,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teacher leadership” course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re currently in progress in each church.

      • KCI등재후보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팀 공유정신모형의 매개 효과

        전명남 한국산업교육학회 2014 산업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을 할 때에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 및 팀 공유정신모형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팀 학습과 관련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해내는 데 있다. 수업에서 팀 활동이 시작된 지 4주 후에, 팀 학습행동 척도(Van den Bossche et al., 2010)와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Johnson et al., 2007; 전명남, 2013)를 실시하였 다. 팀 활동의 종료 시점에, 참가자들은 팀 효과성 척도에 응답하였다(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수집된 자료 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25개의 자료 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657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 결과 첫째, 대 학생들의 팀 학습행동, 팀 효과성과 팀 공유정신모형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특 히 팀 공유정신모형과 그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 하위변인과 유의 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팀 학습행동은 팀 공유정신모형 전체를 부분매개 (partial mediating)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학습행동은 팀 공유정신모형의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을 부분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행동이 팀 공유정 신모형을 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밝혀 학습 팀을 활 용한 대학 수업과 산업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mediated effects of team shared mental model(TSM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effectiveness b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t learning team in the classroom.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657 college students in Kyungsangpookdo and Daegu City in Korea and were used for the analysis. At the point of 4 weeks later from beginning of team work, team learning behaviors scale(Van den Bossche et al., 2010), TSMM scales(Johnson et al, 2007; Korean version validated by Jun, 2013) were administrated. At the end of semester(At the point of 6 weeks later from beginning of team work), students were answered at and team effectiveness scale(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The first, learn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TSMM and its sub-variables which were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and dependent variable which is team effectiveness. The second, team learn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the whole TSMM. The third, team learn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the subfactors of TSMM,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and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s it provides basic data for educational application that team learning behavior mad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mediate of TSMM.

      • KCI등재후보

        팀 효과성에 대한 변혁적, 공유 리더십의 영향 : IMO 모형에 근거한 매개 및 조절 효과 검증

        김미성,한태영,최수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4 경영컨설팅연구 Vol.14 No.4

        최근 조직구조의 급격한 변화 중 하나로 개인직무 기반의 업무구조가 팀 기반으로 중심을 옮겨가며 팀이 조직의 기본 구성요소로 관심을 받고 있다. 팀 제도의 도입과 함께 팀과 팀 리더십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이에 더해 팀 효과성 및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팀 조직의 보편적인 활용에 따라 전통적인 리더십과 함께 공유리더십 개념이 제안되고, 리더의 영향력과 구성원이 갖는 리더십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 이론에 대해 수직적 리더십과 공유리더십 등 두 리더십 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IMO(투입-매개-결과) 모형을 적용하여 두 리더십이 팀 내 대인관계와 팀 역능감을 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을 팀 성과가 조절하는지도 검증하였다. 건설 산업에 속한 기업 조직 구성원 3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과 공유 리더십이 팀 효과성에 상반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팀 역능감과 대인관계는 리더십과 팀 효과성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성과(고성과, 저성과)에 따른 조절효과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ne of the changes in organizational structure is the transition from individual-based work to team-based system that allows team as the fundamental component of organizations. The team system raised the importance of team leadership researc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and team effectiveness has drawn attention as well. Due to the popularity of team, shared leadership was introduced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leadership, so that the influences of leader and members on team effectiveness need to examine simultaneously. Thus, the current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erms of vertical and shared leadership at the same time with regard to team effectiveness. Adopting IMO model(Input-Mediator-Outcome), the study examined the processes of the two leaderships toward team effectiveness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eam potency, and it also tested the moderation effect of team performance. Surveying 300 individuals working in organizations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study found a opposite pattern of transformational and shared leadership effectiveness. Team pot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 and team performance showed moderation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대학생 대상 프로젝트 기반학습에서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진희,정재삼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2

        조직의 복잡한 과업문제를 대처하기 위해 1980년대 이후 팀에 대한 의존성이 급격히 증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팀의 효과적인 성과 산출을 위한 팀의 투입요소로서 팀 리더십, 과정요소로서 팀 프로세스, 산출요소로서 팀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팀 리더십이 팀 프로세스를 통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규명한 구조모형을 구안하고,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 간의 직ㆍ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Y대학 공과대학에서 2014학년도 2학기와 2015학년도 1학기에 개설된 팀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하는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과목의 수강생 107개 팀 (325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을 구성하여 측정변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구조모형을 설정한 후 모형의 부합도를 평가하고, 최종 구조모형의 직ㆍ간접효과를 분석하고 유의성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투입요소로서 팀 리더십, 과정요소로서 팀 프로세스에는 의사소통, 갈등, 신뢰, 산출요소로서 팀 효과성에는 팀 성과와 팀 몰입으로 구안된 구성모형의 부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 대상 프로젝트 기반학습에서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 간의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의사소통과 팀 몰입이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가 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 리더십이 의사소통, 갈등, 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 간의 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팀 리더십이 의사소통을 통해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팀 리더십이 신뢰를 통해서 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안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했고,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팀 리더십과 팀 프로세스 요소를 검증하여, 팀 프로젝트에서 팀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모색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학 수업에서 팀 공유정신모형은 어떻게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상호 신뢰의 매개를 중심으로

        전명남(Jun Myong na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2

        이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의 팀 학습에서 팀 공유정신모형, 상호 신뢰와 팀 효과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팀 공유정신모형과 팀 효과성 간의 관계를 상호 신뢰가 매개하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함으로써, 상호 신뢰가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활동이 시작된 지 4주와 5주 사이에 팀 공유정신모형(Johnson et al, 2007; Johnson, 2011), 상호신뢰(Frasen et al, 2011)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팀 활동의 종료 시점인 6주째에 참가자들은 팀 효과성 척도에 응답하였다(Van den Bossche et al, 2010; Fransen et al. 2011). 수집된 자료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32개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781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팀 공유정신모형, 상호 신뢰, 팀 효과성은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팀 공유정신모형 전체는 상호 신뢰를 부분매개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팀 공유정신모형의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은 상호 신뢰를 부분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대학 수업에서의 팀 학습에서 팀 공유정신모형은 상호 신뢰를 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이 변수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검증하였던 것을 보완하여 팀 공유정신모형이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상호 신뢰를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role of college students' mutual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shared mental model(TSMM) and team effectiveness in the classroom. Team learning behaviors(Van den Bossche et al., 2010), TSMM(Johnson et al, 2007; Korean version validated by Jun, 2013) and mutual trust scale(Fransen et al, 2011) were administrated to students after 4 weeks from beginning team learning. And also, students were answered to team effectiveness scale(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at the end of team work. Total TSMM and its five sub-factors,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mutual trust and dependent variable which is team effectiveness. And total TSMM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mutual trust. Also, five sub-factors of TSMM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mutual trust variabl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educational application that TSMM mad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mediate of mutual trus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여자농구팀 내의 커뮤니케이션과 스포츠자신감 및 팀 효과성의 관계

        백지은,하숙례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여자농구팀내의 커뮤니케이션과 스포츠자신감 및 팀 효과성의 관계를 규명하여 커뮤니케이션의 중요 성을 인식시키고 여자농구팀 내의 긍정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팀의 가치추구와 자신감, 그리고 팀에 대한 효율적인 마인드와 우수한 경기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자농구선수 172명을 유효한 표본으로 선택, 확정하 고 빈도, 요인, 상관관계분석,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실증분석을 시행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자농구팀 내의 커뮤니케이션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스포츠자신감 하위변인 중 능력검증을 제외 한 신체적・정신적 준비, 코치의 지도력, 사회적인 지지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농구팀 내의 커뮤니케이션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팀 효과성 하위변인 중 팀 몰입을 제외한 팀 성 과와 팀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농구팀 내의 스포츠자신감이 팀 효과성 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스포츠자신감의 하위변인(능력의 입증, 신체적・정신적 준비, 코치의 지도력, 사회적인 지지)에 따라 팀 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팀 성과성, 팀 만족성, 팀 몰입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s, sports self-confidence and team effectiveness in women’s basketball teams. The 172 women basketball players effective sampl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verification, membe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research questions to conduct a research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communication in the women's basketball team showed that in the sports confidence ability to exercise confidence in the physical and mental readiness, the coaches, the and the social support of the sport themselv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upport. Second, team effectiveness in the team's basketball team has been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am performance and team satisfaction, except team effectiveness. Third, sports confidence in the team's basketball team showed that the impact of team effectiveness lower variables in all team. effectiveness.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이 팀・개인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팀・개인 창의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박동호,윤필현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6

        In recent times, the research aiming at exploring the process of a team & individual’s effectiveness enhancement in the organizational behavior field is in active progress, in which creativity is handled as a major variable having an influence on effectiveness. However reality is that the research which explores the process of a team & individual’s effectiveness improvement through creativity is still in an insufficient state.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into the mediated effect of creativity, which forms at a level of a team and an individual as a result of team members’ cognition of a team leader’s leadership in terms of social cognitive theory, on effectiveness.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uld confirm the significant partial mediated effect of individual creativity in the relation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gnized at a level of a team and individual effectiveness. Individual creativity h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partial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dividu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individuals at the team level. The findings verify the following. First,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inspirational motivation, consideration for individuals, intellectual stimulation) mainl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individuals. The fact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influences the sub-variables, enhances individual effectiveness by affecting the creativity of individuals has been verified. Second, team creativity has no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at a team level and the team effectiveness. It implies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a prerequisite to enhancing team creativity and team effectiveness. Also, team creativity can serve as a prerequisite that affects team effectiveness. However, there is a limited mechanism among all the variables. Thus,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m creativity should be distinguished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at the team level. Also the following analysis and debate should be needed for the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the preceding variab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s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a team-level variable affecting the individual-level variables. The findings are signific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individual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a multi-level analysis. It can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on the relevance of variables measured at different level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Second, this study proves the top-down process whe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at a team level affects individual effectiveness through individual creativity.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the following analysis regarding variables that can make the mediation or connection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creativity and team effectiveness at a team level. Also, the effects of creativity can be more clearly analyzed provided that more studies about individual & team creativity and effectiveness are proceeded. It is because the aim of enhancing creativity is the effectiveness including fruits. In particular, it would be more specific analysis of the effect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근래에 조직 행동 분야에서 팀과 개인의 효과성 증진 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창의성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다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창의성을 통해 팀과 개인의 효과성을 증진하는 과정 탐색의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 관점에서 팀 구성원들이 팀장의 리더십을 인지하고, 그 결과로 팀과 개인수준에서 형성되는 창의성이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팀 수준에서 인지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의 부분 매개 효과가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팀이 인지한 변혁적 리더십과 팀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팀 창의성은 매개적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의미는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이 갖는 매개적 효과를 사회인지이론의 근거로 다수준 분석방법을 통해서 실증하였고, 팀 수준에서 인지된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 창의성을 통해 개인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하향식(top-down) 프로세스를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향후 후속연구로서 팀 수준에서는 변혁적 리더십, 팀 창의성과 팀 효과성을 연결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변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팀·개인 창의정체성이 개인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팀·개인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동호,윤필현 대한경영학회 2015 大韓經營學會誌 Vol.28 No.9

        This study is aimed at inquir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identity and creativ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dividual effect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dentity theory.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survey data for 393 persons in all from the total of 68 teams in 8 domestic large companies, which are operating a team organization through its introduction. As a result, first,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eam creative identity on individual creative identity at a cross level wasn’t confirmed. Second, this study could confirm the process, in which individual creative ident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dividu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individual creativity; particularly, this study could confirm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Third, this study could also confirm the process, in which team creative ident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dividu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team creativity, and confirm complete mediating effects of team creative identity as well. Meanwhile, this study couldn’t confirm the process, in which team creative ident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dividu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individual creativity. On the basis of such research results, this study is intending to suggest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eam & individual creativity enhancement & individual effectiveness enhancement. 본 연구는 정체성 이론 관점에서, 창의정체성과 창의성의 관계 및 창의성과 개인 효과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창의정체성과 개인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개인 창의정체성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개인 창의정체성과 개인 효과성과의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셋째, 팀 창의정체성과 개인 효과성과의 관계에서 팀 창의성의 매개적 효과를 확인하고, 넷째, 팀 창의정체성과 개인 효과성과의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팀제 조직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국내 8개 대기업, 총 68개 팀, 총 393명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차수준에서 팀 창의정체성이 개인 창의정체성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개인 창의정체성이 개인 창의성을 매개하여 개인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개인 창의성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팀 창의정체성이 팀 창의성을 매개하여 개인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과정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팀 창의정체성의 완전매개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팀 창의정체성이 개인 창의성을 매개하여 개인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팀․개인 창의성 증진 및 개인 효과성 증진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팀 다양성과 팀 효과성과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과 팀 동적역량의 매개효과

        나명익,홍아정,김용주,Marie Volpe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6

        본 연구는 팀 구성원들의 다양성, 공유리더십, 팀 동적역량, 팀 효과성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공유리더십과 팀 동적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 기업 사무직에 종사하는 292명 64개팀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고, 회귀분석과 연속다중매개분석을 SPSS 23.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첫째, 팀 다양성, 공유리더십, 팀 동적역량, 팀 효과성에 대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중 팀 다양성은 나머지 변인 모두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다양성은 공유리더십과 팀 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팀 동적역량에는 유효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유리더십과 팀 동적역량은 모두 팀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리더십은 팀 다양성과 팀 효과성을 부분매개하고, 팀 다양성과 팀 동적역량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유리더십과 팀 동적역량은 팀 다양성과 팀 효과성과의 관계를 이중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의 성과단위인 팀이 목표와 책임의 공유, 수평적인 의사소통, 권한이양을 통한 구성원간 리더십 영향력의 활성화를 이루고, 자원을 탐색, 조정, 통합, 재배치하는 역량을 강화하게 된다면 더 높은 팀 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팀 다양성의 부정적 효과를 줄이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diversity management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eam diversity on team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and team dynamic capability. Sixty four teams were selected from Korean companies and 292 team member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eam diversity, shared leadership, team dynamic capability and team effectiveness, and that team divers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st of the variables. Second, team diversity had a negative influence both on shared leadership and team effectiveness, and did not have a valid influence on team dynamic capability. Shared leadership and team dynamic capability both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effectiveness. Third, shared leadership partially mediated between team diversity and team effectiveness, and fully mediated team diversity and team dynamic capability. Lastly, shared leadership and team dynamic capability had double mediated effect between team diversity and team effectiven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es that in order to minimize the negative influence of team diversity, sharing visions, objectives, task method or norms with team members is crucial and providing diversity management systems and educational programs could be a starting point for developing organizational culture for managing team diversity. Facilitating shared leadership among team members will enhance team dynamic capability that could bring out the positive influence of team diversity and ultimately lead to company’s success.

      • KCI등재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응집력 및 팀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윤서진,최은영,황승현,장태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코칭능력개발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응집력 및 팀 효과성의 관계를 검증한 후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리더십행동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팀 응집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필드하키 선수들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총 236부의 자료를 IBM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성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과 주요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마지막으로 모형의 적합도 및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효과성 관계에서 팀 응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은 팀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은 팀 응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필드하키 선수들의 팀 응집력은 팀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팀 응집력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필드하키 팀 조직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응집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힘쓰는 필드하키 선수들과 지도자에게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응집력, 팀 효과성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제공하며, 심리적 요인의 중요성을 밝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