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자 대학 신입생의 군입대 문제에 대한 내러티브 치료 경험

        전명남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8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6 No.2

        본 사례연구에서는 내러티브 치료에 참여한 20대 초반의 남자 대학 신입생이 호소하는 군입대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그 경험의 의미에 대해 기술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인 민수는 내러티브 치료 과정에 참여하면서 현재 자신이 문제라고 생각하는 군입대에 대한 부담감을 점차 줄여갔으며 이와 관련지어서 자신의 정체감 형성의 경험을 보여주었다. 연구의 결과, 연구 참여자가 군대 입대 문제를 내러티브 치료를 통해 경험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란스럽고 무거운 군입대라는 마음의 걸림돌’, 둘째, ‘연결점이 없을 것 같은 청춘의 2년여 간의 시간과 남들이 잘 이해하지 못할것으로 보이는 스트레스의 무게감’, 셋째, ‘어린 시절의 탐색을 통해 전성기를 떠올림’, 넷째, ‘지금까지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고비의 시간을 기억해 냄’, 다섯째, ‘대학생활과 군복무 기간, 그리고 이후의 삶을 이어주기’였다. 사례 연구를 통한 군대 입대 문제의 내러티브 치료 경험의 이해가 개별 한 남학생의 삶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한국 청년에 대한 이해로 연결되고 이에 대한 지원체제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following paper presents a case study using narrative therapy for a male freshman with enrollment military service problem. ‘MinSoo’, a participant of this study, experienced at the narrative therapy and gradually reduced the burden of entering military services and then gradually he showed his experience of forming his ident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rticipant had the following experience. First, ‘confused and heavy mental obstacle about entering military services’, second, ‘two years of youth that seems to have no connection and the weight of stress that others do not understand well’, third, ‘recall the heyday of childhood exploration’, fourth, ‘remembering the most meaningful crisis in life’, fifth, ‘connecting university life, military service period, and later life’. I hope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entering military services through narrative therapy can be used to build a support system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youth beyond the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individual male students.

      • KCI등재후보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팀 공유정신모형의 매개 효과

        전명남 한국산업교육학회 2014 산업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을 할 때에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 및 팀 공유정신모형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팀 학습과 관련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해내는 데 있다. 수업에서 팀 활동이 시작된 지 4주 후에, 팀 학습행동 척도(Van den Bossche et al., 2010)와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Johnson et al., 2007; 전명남, 2013)를 실시하였 다. 팀 활동의 종료 시점에, 참가자들은 팀 효과성 척도에 응답하였다(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수집된 자료 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25개의 자료 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657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 결과 첫째, 대 학생들의 팀 학습행동, 팀 효과성과 팀 공유정신모형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특 히 팀 공유정신모형과 그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 하위변인과 유의 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팀 학습행동은 팀 공유정신모형 전체를 부분매개 (partial mediating)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학습행동은 팀 공유정신모형의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을 부분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행동이 팀 공유정 신모형을 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밝혀 학습 팀을 활 용한 대학 수업과 산업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mediated effects of team shared mental model(TSM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effectiveness b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t learning team in the classroom.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657 college students in Kyungsangpookdo and Daegu City in Korea and were used for the analysis. At the point of 4 weeks later from beginning of team work, team learning behaviors scale(Van den Bossche et al., 2010), TSMM scales(Johnson et al, 2007; Korean version validated by Jun, 2013) were administrated. At the end of semester(At the point of 6 weeks later from beginning of team work), students were answered at and team effectiveness scale(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The first, learn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TSMM and its sub-variables which were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and dependent variable which is team effectiveness. The second, team learn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the whole TSMM. The third, team learn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the subfactors of TSMM,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and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s it provides basic data for educational application that team learning behavior mad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mediate of TSMM.

      • 솔로몬 4집단 실험설계를 위한 적절한 통계적 분석 방법의 탐색

        전명남 한국교육학회 대구·경북지회 2000 교육학논총 Vol.21 No.2

        The Solomon 4 group experimental design has been famous for the true-experimental design which could maintain the internal validity and support the external validity more or less. Nevertheless, it has been insufficient on the discussion of appropriate statistical treatment. The flowchart listing the statistical tests and their sequence in analyzing the Solomon four-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frame of the Solomon four-group experimental design is as follows; Group Sample pretest treatment posttest Group Ⅰ R O_1 X O_2 Group Ⅱ R O_3 O_4 Group Ⅲ R X O_5 Group Ⅳ R O_6 The flowchart began with test A, a 2×2 analysis of variance(ANOVA) on the means of O_2, O_4, O_5, O_6, which examines the interaction of pretest×treatment. Pretest sensitization is indicated if this tes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flowchart not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should be followed up with a simple effects test on the means of the pretested groups(O_2, O_4) and a simple effects test on the means of the unpretested groups (O_5, O_6). If test abov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sis continues with the test of the main effects for the experimental versus control group. Conditioned on these preliminary tests not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ocess continues with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on O_2, O_4, with O_1, O_3 as a covariate.(Alternatives to the ANCOVA are test, a gain score analysis, and the test a repeated measures ANOVA). If the ANCOVA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t test is conducted on O_5, O_6 On the other hand, Braver & Braver suggested using Stouffer's Z(Stouffer, Suchman, DeVinney, Star, & Williams, 1949) to combine the results of the last two traditional tests used ANCOVA and t test, which will include all available data in the experiment. But Sawilowsky, Kelley, Blair, Markman(1994) present a Monte Carlo demonstration that the experiment-wise error rate inflates nearly triple norminal alpha. Despite the ability of Stouffer's Z to combine all available data into a single statistic, Braver & Braver's method is needed more research. Consequently, there are still not solved the problem which could combine the data of 4 groups in Solomon 4 group experimental design synchronously.

      • 독서와 글쓰기 영역의 인문사회 영재 교육과 방향탐색

        전명남 동아대학교 독일학연구소 2011 獨逸學硏究 Vol.- No.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ntecedent research in the area of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talented students, and then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that enhance an effective and efficient education in Humanities & Social Studies. Since only a few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for talented students exist, this research emphasizes real world applications in the area of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talented students.

      • KCI등재후보

        팀 학습행동, 개인 창의성, 팀 공유정신모형, 상호 수행모니터링이 대학 수업에서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명남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이 연구는 팀 학습행동, 개인 창의성, 팀 공유정신모형, 상호 수행 모니터링이 대학 수업에서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해냄으로써 이와 관련된 이론적․실천적 기초자료를 제공해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팀 창의성에 대한 연구 참가자들의 예측 변인과 결과 변인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2014년 1학기에 총 257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팀 학습은 6주간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팀 학습행동, 개인 창의성, 팀 공유정신모형, 상호 수행 모니터링은 팀 창의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해내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의성이 우수한 개인이 팀에 참가한다거나 일반적인 팀 활동에서 나타나는 팀 학습행동이나 팀 공유정신모형, 상호 수행 모니터링이 팀 창의성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팀 창의성을 제대로 발휘되기 위한 집단 내 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eam learning behavior, individual creativity, team shared mental model(TSMM),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on team creativity and then providing the fundamental data on the education. Also it intended to acknowledge relative predictive power on team creativity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total of 257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the team learning for 6 weeks in a semester.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testing of significance of verifica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eam learning behavior, TSMM,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ree subfactors of team creativity such as novelty, resolution, elaboration & synthesis. Therefore followed researches are needed about inter and intra processing of team creativity.

      • KCI등재

        정체성을 중심으로 본 대학 신입생의 이야기치료 상담

        전명남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6

        This case study investigated three students engaged at experiencing freshmen life focused the identity utilizing narrative therapy. The ‘narrative turn’ has become a main academic stream, narrative therapy has used as a approach to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the narrative therapy, every life story of each person is taken and rediscovered by their work. Participants received narrative therapy for total 12 hours during 6 weeks and they participate 2 hours a week. Descrip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course of narrative therapy process. This was concerened how freshmen employed narratives to develop and sustain meaning making, the sense of personal unity and purpose from diverse experiences across their life. Results showed that freshmen experienced the formation of identity. Also they showed about belief of self, responsibility of life, orientation, vision, dream, value, consciousness of goal, intention, plan, life style,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stories and expansion of their life. 이 연구는 대학에 입학하여 신입생 생활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 3인을 대상으로 이야기 치료를 전개하고 이 과정에서의 정체감을 중심으로 탐구해내고자 한다. ‘내러티브적 전환’이 주요한 학문적 흐름으로 시작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이야기 치료가 상담 및 심리 치료에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야기 치료는 개인이 자신의 삶 속에서 경험하는 사건 속에서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기술하고 해석하며 의미를 부여하여 삶과 그 경험에 대해 인식하는 접근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6주에 걸쳐 매주 2시간씩 이야기 치료에 참가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관찰과 이 과정에서 나온 자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학 신입생들이 이야기 치료를 통해 자신이 어디로부터 와서 현재 무엇을 하고 있고 향후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정체감 형성의 경험을 한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토대로 이야기 치료가 내담자의 정체성 재구성을 돕는다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또한 대학 신입생들이 이야기 치료의 경험을 통해 신념, 책임감, 지향상태, 비젼, 꿈, 희망, 가치, 목적 의식, 의도, 계획, 삶의 방식이나 대안적 이야기의 가능성과 삶의 확장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초학력미달 학생으로 살아가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명남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1

        South Korea conducts developmental evalua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Through this test, students with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are screened out.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refers to lowest score section in the NAEA. As compulsory education is expanded to middle school education, students who are in need of help regarding studies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go to middle schoo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eply understand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In order to practice this study,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about middle school life took place on 19 middle school students with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from all over the country. According to phenomenological analyzing method, 8 category and 25 sub-category were noticed about experience of these students. In essence of participants’ experience, following components were shown ‘amotivation & repetition of learned helplessness’, ‘uncomfortable relations with peers, family, and society’,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at school’, ‘difficult & long road of school study’, ‘unhelpful learning strategies’, ‘vague career beliefs & plans’, ‘disciplinary punishment by juvenile delinquency’, and ‘rediscovering resources & strengths in life’ etc. They certainly seemed to be in hard going and to be in deep waters. There were encounter with a dark reality and a faint hope among their life. 선진국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학력에 대한 발달적 평가(developmental evaluation) 체제인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를 실시하고 있다. 기초학력미달은 NAEA 결과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학습부진을 가리킨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에 의무교육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까지 전면적으로 확대되면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초등학교 시절부터 누적된 학습곤란을 가진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이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기초학력미달 중학생들의 경험을 깊이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명의 전국 각지의 기초학력미달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중학교 생활경험이 어떠한지를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 탐색했다. 연구결과 기초학력미달 중학생의 경험의 구조는 최종적으로 8개의 범주와 25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되었다: ‘무동기와 학습된 무기력의 되풀이’, ‘불편한 또래․가족․사회와의 관계’, ‘학교에서의 부정적 정서 경험’, ‘어려운 학교공부, 멀고도 험한 길’, ‘도움이 되지 않는 학습전략의 사용’, ‘막연한 진로신념과 계획’, ‘청소년 일탈과 비행으로 징계’, ‘생활에서의 자원과 강점의 재발견’이었다. 따라서 기초학력미달 중학생이 학교와 생활에서 겪는 경험은 ‘영유월령 천섭월섭월심(嶺硫越嶺 川涉越涉越深: 고개는 넘어도 고개요, 내는 건너도 깊다)’의 암담한 현실과 실날 같은 희망의 조우였다.

      • KCI등재

        통합적 유아 과학 교육과정의 접근 방식

        전명남,정정희 한국콘텐츠학회 200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 No.2

        이 연구는 유아교육 실제와 발달적으로 적합한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의 방안으로서 통합적 유아 과학 교육과정의 접근 방식을 다루는데 초점을 두었다. 먼저, 유아 과학 교육의 쟁점을 살펴보고, 유아 교육에서 통합적 접근의 정당성을 논의하였다. 이어서, Harlan(2000)이 제시하는 유아 과학교육에 근거하여 통합적 유아 과학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접근 방식을 논의하였다. 우선, 과학개념을 중심으로 수학, 음악, 문학, 손유희나 역할놀이 등의 놀이, 미술활동, 창의성 활동, 요리활동, 현장답사 등을 구성한다. 또한 과학적 놀이나 학습상황에서 기존 개념과 새로운 개념들을 유지ㆍ관련지음으로써 과학적 지식을 통합할 수 있도록 의도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유아 과학교육에 관심 있는 예비교사와 현장의 유아교사들이 유아 과학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구체적인 지침이 될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d the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science with reference to linking activities like as math activities, music art activities, fay, lied rips, creative thinking, food experiences, literature links, creative movement, science activities and promoting concept connections by Halan et al(2000). The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s based on whole mind of children and science literacy, science concept, science teaming through multiple pathways.

      • KCI등재

        남,여 청소년 상상의 발달적 차이 분석

        전명남 ( Myong Nam Jun ),윤정륜 ( Jeong Lyoon Yo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3 중등교육연구 Vol.51 No.1

        상상에 있어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발달 차이를 조사하였다. 성별의 주 효과는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에 의한 주 효과와 연령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사춘기에 상상이 강해진다는 Vygotsky(1930/1986) 의 제안에 근거한다면 중학교 1학년 시기에는 사춘기에 접어든 청소년과 그렇지 않은 청소년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청소년기의 연령 증가에 따라 상상의 발달을 기대해 볼 수 있었으나, 청소년기 초기인 중학교 1학년 시기나 청소년기 중반 및 청소년기 후기인 대학생 시기의 상상의 수준은 거의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청소년기 상상의 차이만이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 연구의 결과는 Taylor, Fulcomer와 Taylor(1978)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상상에 대해 조사했을 때, 여자 고등학생들이 남자 고등학생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상상 수준을 보였다는 보고와 일치된다. 또한 Rorschach 검사 보고에서 여자들이 M 수준에서 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한다는 결과와도 일치된다(Taylor, Fulcomer & Taylor, 1978). 상상의 하위요인인 생동감?긍정의 백일몽, 죄책감?부정적 정서의 백일몽, 정신산만의 백일몽 각 영역 가운데, 생동감?긍정의 백일몽 점수는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의 점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즉, 이러한 결과는 Taylor, Fulcomer와 Taylor(1978)의 연구결과와 비교되는 부분이다. Taylor, Fulcomer와 Taylor(1978)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여자가 남자에 비해 죄책감?부정적 정서의 백일몽은 낮게 나왔고, 정신산만의 백일몽은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여자 고등학생이 남자 고등학생보다 정신산만의 백일몽이 높게 나온 결과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집중(concentration) 하는데 어려움을 가진다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중?고?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생동감 긍정의 백일몽만이 여자가 높고 죄책감?부정적 정서의 백일몽, 정신산만의 백일몽은 남?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선행 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면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시각적 및 청각적 심상이 있는 보다 생생한 백일몽을 꾸거나 백일몽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과 수용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의 조사방법은 횡단적 연구이기 때문에 실제 발달적 차이는 연령간의 차이보다 집단 간의 차이를 반영했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인간의 상상 능력을 단지 Singer와 Antrobus(1970, 1963)의 상상과정 검사(Imaginal processes inventory)로 측정된 상상 점수를 사용했기 때문에 연구의 일반화 가능성이 제약된다. 또한 Singer와 Antrobus(1970, 1963)는 상상의 주된 과정이 백일몽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정상적 특징(normal trait)이 백일몽이지 신경증적인 특성으로 보아서는 안된다고 했다. 이에 반해, Welsh(1956)는 높은 백일몽 빈도는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의 신경증 요소로 간주 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Singer(1961, 1962)는 백일몽 빈도와 Cattell의 불안척도(anxiety scale)와 같은 불안 측정치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Singer와 그의 동료들은 빈번한 백일몽은 건강한 정신(healthy nature)의 특징이며, 자아강도(ego strength)의 핵심적 요소라고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상상의 본질과 성격에 대한 보다 집중된 논의가 미래 연구에 요구된다. 한편, 이 연구는 중?고?대학생의 청소년기의 피험자에 한정되었다. 따라서, 유아기, 초등학령기, 성인기의 피험자에 확대 표집하여 상상의 발달차를 연구해 볼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보다 대표집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연구나 횡단적 연구뿐만 아니라 종단적 접근의 상상 발달 연구가 미래 연구로서 요구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상상의 양적인 차이만을 다루었을 뿐이므로 질적인 변화를 규명해 볼 필요성이 있다. 이외에도 질문지법에 의한 상상의 측정에 머물지 않고 놀이, 실험, 신경심리 및 뇌 측정적 접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상을 다루는 접근법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몇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기의 상상에 대해 기술하고 남?녀 청소년의 상상에서의 차이를 보여주는 실증적 자료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현대에 와서 상상은 보편적인 사고현상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 되고 있고, 특히 컴퓨터나 영화 및 TV 의 일상화는 인간의 상상에 의한 장면들을 자유롭게 외적 표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만들고 있지만, 상상에 대한 연구는 외국은 물론 국내에서 극히 소수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전자정보의 발달이 가상현실을 현실화시키고 있는 점을 감안해 볼 때 남?녀 청소년의 상상 발달과 그 상상에서의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mpirically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imagination of male and female adolescence. The self- report instrument was completed by sample of 205 7th, 9th, 11th through university students. Distinct sex differences were found showing more positive-vivid daydreaming for females. By the way,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ge in imagination of adolescenc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action effect of age with sex were not found.(Yonsei Univ./Kyungpook National Uni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