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교육청 제3차 영재교육발전계획에서 영재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청의 역할 탐색

        홍경희(Hong Kyung Hee)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5 Global Creative Leader Vol.5 No.2

        서울시교육청에서는 2013년 제3차 영재교육발전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은 교육부에서 발표한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을 토대로 수립되었다. 제3차 계획에서는 영재교육의 기회 확대와 더불어 영재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 및 영재교육의 효과성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 예산확보, 영재교육기관의 개편과 더불어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중요한 추진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3차 계획에서 제시된 방안들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예산과 제도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둘째, 영재운영교사에 대한 실현 가능한 지원책을 수립하고 실천해야 한다. 셋째, 법과 예산의 제약이 없더라도 교육청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넷째, 영재교원의 전문성의 신장을 위해서는 영재교사의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nounced the 3rd gifted education development plan in 2013. This pla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3rd Gifted Development Master Plan(2013-2017)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plan emphasizes that expanding the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It has presented a plan for gifted educ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major task for this purpose. Specifically, look at it is as follows. First, the budget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essential. Second, it is need to develop and practice a possible aid package for the gifted teacher. Third, to be carried out to find the appropriate policy level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Fourth, it must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motivation of gifted teachers.

      • KCI등재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비교

        김윤나(Kim Yun na),이경화(Lee Kyung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4 Global Creative Leader Vol.4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초등교사들이 융합영재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각 150명을 편의 표집하여 선정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2014년 11월부터 2주간 실시하였으며, 최종 수집된 설문지는 총 244부(유아교사 120부, 초등교사 124부)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교육, 영재교육,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유아교사보다 초등교사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융합교육, 영재교육, 융합영재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경험이 적었으며, 유아교사는 초등교사에 비해 더욱 경험이 부족했다. 셋째,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초등교사가 유아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모두 융합영재교육에 대해서 정확한 인식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융합영재교육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 했고, 각 질문에 있어서 비슷한 응답양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cognition of pre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about fusion gifte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irst, what pre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think about fusion education, gifted education and fusion gifted education. Second, how much experience do pre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have about fusion education, gifted education, and fusion gifted education. Third, how much do teachers think about the needs of convergent gifted educa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elementary teachers were higher than preschool teachers in both awareness and experiences. And both pre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did not recognize well about the necessity of fusion gifted education, but elementary teachers thought more about the necessity of fusion gifted education than preschool teachers. Meanwhile, both group had many agreements in views of curriculum of fusion gifted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lass organization, and the prime task and vision.

      • KCI등재

        일반교육에서 영재 교육과정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병연,이림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3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main mode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and talented curriculum, and explored their applicability to general education and its limitations. Regarding its applicability to general education, the following suggests: in the case of the SEM, the operation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can apply,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student steps 1, 2, and 3 can apply. In the case of the ICM, it has uses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can create an integrated thematic unit increase high-level thinking skills. In the case of the PCM, it presents various elements that have uses in the development or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eachers can restructure and utilize it in a variety of ways, and the identity-parallel-curriculum has use in career guidance. The gifted and talented curriculum emphasize that students acquire higher mental skills in connection with key-concepts and principles, and produce output related to a particular topic in the real world based on their interests. This should also be spread to general education; however, limitations such as legal regulations, entrance examinations, lack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ct as inhibitions to the spread. We hope that the various experiences and wisdom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will be spread to general education, eliminating the limitations of the general education field. 본 연구에서는 영재 교육과정의 주요 모형 및 특징을 중심으로 일반교육에 적용 가능한지와 그한계점을 탐색해 보았다. 일반교육에 적용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학교 전체 심화학습 모형(SEM)의 경우, 역량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 학생 특성에 맞게 일반학생에게도 1, 2, 3 단계를 각각 적용해 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고, 통합 교육과정 모형(ICM)의 경우, 주제 중심의 통합 단원 개발에 참고할 수 있다는 점, 고차원적 사고기능 계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활용할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병행 교육과정(PCM)의 경우, 교육과정 개발이나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는 만큼 교사가 다양한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정체성 병행 교육과정은 진로지도에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재 교육과정에서는 결국 학생의 관심 및 흥미에 기초하여, 주요 개념 및 원리와 연결지어 고등정신기능을 습득하고, 특정 주제와 관련된 산출물을 실제 세계에서 생산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부분은 일반교육 현장에도 확산되어야 하나, 법적인 규제, 입시, 행‧재정적 지원의 부족, 인적‧물적 자원의 부족 등의 한계성이 확산의 저해요소로 작용한다. 일반교육 현장의 이러한 한계성을 인식하고 이를 제거해 나가면서 영재교육의 다양한 현장 경험과 지혜가 일반교육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교육청 영재상담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황미란(Hwang mi ra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5 Global Creative Leader Vol.5 No.2

        본 연구는 공식 영재교육기관인 교육청에서 영재상담 프로그램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상담 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상담내용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4년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교육청 영재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은 207명이며, 면대면, 인터넷, 전화 상담의 방식으로 운영된 영재상담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 및 구체적 상담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S시교육청 관내 상담 참여 소속청은 강동·송파 43건(20.8%), 상담시기는 9월이 65건(31.4%), 학교 급은 초등이 193건(93.2%), 상담참여자는 학부모가 157명(75.8%), 상담내용은 영재성이 100건(48.3%), 상담만족도 결과는 ‘매우 만족’이 136명(65.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구체적 상담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도 병행하여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교육 차원에서 장기간에 걸쳐 운영한 영재상담 프로그램으로, S시교육청 관내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영재교육 수요자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상담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현실적인 상담적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영재의 특성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여러 문제들을 예방하여 영재들이 건강한 영재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영재상담이 지속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며, 영재상담 영역의 다양한 연구들이 미흡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영재의 다양한 특성과 상담적 요구에 적절한 상담기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counseling program for the gifted was being enacted in the official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which is Education office afte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GATE) was went off with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base and what would be the contents of real counseling cases. Therefore, research problems such as below were set up. First, how the counseling program for the gifted children is managed? Second, what i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cases(face-to-face counseling, internet counseling, telephone counsel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he gif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unseling program for gifted children including their parents and teachers. In addition, general students and parents who were interested in the gifted education were also included. This program was implemented from 1st of April to 31st of December, 2014. Current situation and consulting contents were analyzed by the counselling cases during nine months with three methods: face-to-face counseling, internet counseling, and telephone counseling. Counseling satisfaction survey was redone with selected cases for the qualitative study in order to identify positive effects which could be improved after the counseling. The data was processed statistically by SPSS Win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del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sympathy of necessity of emotional support and sharing information on the GATE at the level of public education enabled to identify the concern and the difficulties of various demanders, preferred counseling method, counseling satisfaction, things to improve, and etc. Second, realistic consult content and coping plan were known through the counseling case study. By the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positive effect of counseling and aspects to improve for the future were identified. This study was about a model counseling program for gifted children over long period at the level of public education. Counseling was progress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demanders distributed all over the bound of S Metropolitan of office Education. Therefore, realistic needs were able to be understood. More active support of the government is expected to activate specialized and systematic counseling for gifted student continuously and the researcher thinks that this active action could help gifted children’s intellectual and emotional growth and prevent problems that can be caused by the attribute of giftedness.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studies of counseling for gifted children are insufficient, I expect further study for developing appropriate counseling method and program should be conducted including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methods in the field forward.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재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실행모형 개발

        태진미(Tae, Jin-Mi)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3

        This study has developed an implementation model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of young gifted children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 order to meet the research goal, the objectives of the implementation model of inclusive education were clearly spelt out and the contents and operational methods of the model were drawn through theoretical inquiry, focus group interviews and case studies. The model’s draft was reviewed by a specialized advisory board for its goodness of fit and was finalized after amendments. The finalized institution-wide inclusive education model consisted of the following processes: preparation, understanding giftedness and confirming requests, intervention, and termination. The stage of ‘understanding giftedness and confirming requests’ proposed strategies for selecting gifted children and methods for analyzing these learners’ interests and capabilities for understanding their educational requests. Regarding specific inclusiv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he ‘intervention’ stage provided modified strategies for amended curriculum,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s, environmental outcomes and evaluations to administer child oriented instructions. In the materials stage and operational method of inclusive educational support, the composition of supporting data to strengthen competency whe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were proposed. Under circumstances, where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or experience relating to inclusive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is study was found to be meaningful and useful as it proposed a macroscopic system for mutual cooperation and connection among various parties concern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at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재 통합교육의 구체적 지원 방향 모색을 위해 기관 전체 통합교육 지원의 실행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통합교육지원 실행모형의 목적을 설정하였고 모형의 내용 및 운영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포커스그룹 인터뷰, 사례조사를 통해 도출하였다. 모형의 시안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적합성을 검토하였고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완성하였다. 완성된 기관 전체 통합교육 실행모형은 준비, 영재성의 이해 및 요구확인, 개입, 종결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한편 ‘영재성의 이해 및 요구확인’ 단계에서는 유아영재의 선별 전략과 교육적 요구확인을 위한 학습자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개입단계’에서는 구체적인 통합수업 설계원리로 교육과정 수정, 활동중심 삽입교수, 유아중심 직접교수 시행을 위한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환경, 산출물 및 평가의 수정전략을 제안하였다. 통합교육 지원의 단계별 내용 및 운영방법에서는 각 단계별 세부 활동과 더불어 통합교육 실행에 필요한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 자료의 구성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영재 통합교육 관련 정보나 경험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규 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통합교육 실행에 관한 다양한 관계자들의 상호협력과 연계를 위한 거시적 체제를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 · 아동 영재교육의 동향

        박경선(Kyoung-Sun Park),이경화(Kyunghwa Lee)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1 Global Creative Leader Vol.1 No.2

        This study has compared Korean early gifted education for the children with that of six countries which have implemented the gifted education for the children, such as America, Australia, Germany, Israel, Singapore and China.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examined the issues with the gifted education for children in Korea and find the systemized and effective model and directions for the gifted education. Korea lacks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e objective criteria, teachers’ training, for the gifted children. Also, Korea does not show diversity in the operating areas i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Thus, based on the issues, the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licy o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young children in Korea can b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gifted children within the region for the young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opened and run. Second,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the gifted young children and the improvement in the system would be needed. Third, by strengthening the specialization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education of the gifted children, the teachers who have the specialty i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infants and children should be fostered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in place so that the benefits which fit the specialization and the efforts of the teachers can follow. Fourth, more diverse and high-quality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which tak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young children would be required. 본 연구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유·아동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미국, 호주, 독일, 이스라엘, 싱가폴, 중국 6개국과 우리나라 조기 영재교육 시스템을 비교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유·아동 영재교육의 모델과 방향을 모색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영재교육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 자료를 수집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유·아동 영재를 위한 영재교육기관과 유·아동 영재들을 판별하는 객관적도구, 유아-초등학교 저학년 영재를 위한 조기 영재판별 시스템과 영재교육 전문 담당 교사의 수급이 취약한 실정이며 영재교육 운영분야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보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성인의 국내 · 외 고등교육 프로그램 비교

        김경열(Kim, Keoung-Yeol),이경화(Lee Kyung-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1 Global Creative Leader Vol.1 No.1

        본 연구는 교육과 재활의 기회의 사각지대에 있는 발달장애성인들의 삶의 질향상을 위한 고등교육의 국내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국내외 발달장애성인의 고등교육은 두 가지 유사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국내외 발달장애성인의 고등교육의 대상 연령이 대체로 18-30세 수준이다. 둘째, 국내외 발달장애성인의 고등교육의 성격은 대체로 직업재활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국내외 발달장애성인의 고등교육 방향의 세 가지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국외 발달장애성인의 고등교육은 대학주도형으로 이뤄지고 있고, 국내 발달장애성인의 고등교육은 평생교육원 또는 사회복지평생교육시설주도형으로 이뤄지고 있다. 둘째, 국외 발달장애성인의 고등교육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지고 있지만, 국내는 정부의 지원이 역부족하다. 셋째, 국외 발달장애성인의 고등교육은 대학중심의 학문보완교육과 자아실현과정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는 주로 사회복지관중심의 생활중심교육과정과 직업준비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finding a relationship that how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and adult student's self-leadership skills are correlated to a student's continuing education satisfaction. The research has shown that the teacher, who has continually educated and learned, has above average communication skills than their adult students. Furthermore, the teacher's language, physical, and adaptation skills are shown extremely high. The adult student's self-leadership skills are fairly good however, the study has indicated that the adult student's strategic skill is relatively low. In detail, their intelligence strategy is better than their behavioral strategy. Furthermore, the survey tells that student's self-leadership skills are indirectly connected to their education satisfaction. However, student's self-leadership skills are also the critical factor to their continuing education success and satisfaction.

      • KCI등재

        초·중·고 학교 관리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장은미,전주성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1 Global Creative Leader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dministrators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on career education.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of the ‘Survey for School Administrators’ among ‘2019 Survey on the Present Statu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4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respectively, a total of 1,200 principals or vice principal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dministrators were generally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students challenging (entrepreneur) spirit and entrepreneurial experience education, and the help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Second, there were generally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dministrators in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students challenging (entrepreneur) spirit and entrepreneurial experience education, and the help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Finally, in order to vitalize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is necessary to firstly support ‘budget and environmental support related to career education’, ‘securing professional manpower and enhancing competency’, and ‘improving curriculum and classes for expanding career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학교급별 학교 관리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시행하는 ‘2019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가운데 ‘학교 관리자용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초·중·고 학교급별 400교, 총 1,200개 학교의 교장 또는 교감이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통계분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 학교급별 학교 관리자는 대체로 학교교육에서 진로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 학생의 도전(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교육의 필요성, 그리고 진로교육 정책의 도움에 대해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중·고 학교급별 학교 관리자는 진로교육 일반,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 진로교육 정책의 도움 정도, 학생의 도전(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교육의 필요성, 학교 내·외 인적자원, 유관기관, 지역네트워크의 협조와 지원 영역에 대하여 대체로 서로 다른 인식을 보였다. 셋째, 초·중·고 학교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진로교육 관련 예산 및 환경 지원’, ‘전문성 있는 인력 확보 및 역량 제고’, ‘진로교육 확대를 위한 교육과정 및 수업 개선’ 등이 우선 필요하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역량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이효정,김갑순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e studying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e. The 2018 survey was conducted for a week beginning September 11. The respondents who were 200 pre-service teachers and 200 in-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from Seoul and Incheon. The researcher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 direct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showed higher cognition than in-service teacher in both global citizenship competence and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competence. Second, among pre-service teachers, ones who had experienc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wed higher cognition level in both categories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 in-service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of cognition in both global citizenship competence and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competence. This study was expected to reveal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nd when training teachers, the data provided more specific detail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 curriculums ab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역량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서울과 인천에서 4년제 유아교육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00명과 24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0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9월 11일부터 일주일이며,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 모두 유아세계시민교육역량에 비해 세계시민역량을 다소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비유아교사는 세계시민교육역량의 하위요인인 세계시민역량과 유아세계시민교육역량 모두에서 유아교사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계시민교육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는 세계시민역량과 유아세계시민교육역량 모두에서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계시민교육을 경험한 유아교사는 세계시민역량과 유아세계시민교육역량 모두에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을 밝혀냄으로서 실제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교사교육과정과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재교육 과정을 어떻게 구안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기술사 계속전문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체계 개발의 방향과 과제

        최돈민,김현수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roposal for a CPD plan for Professional Engineers (PE) through the systematic operation of professional training.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CPD of PE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education and training, including curriculum development, operation, organization systems and regulations. CPD of PE has been operating since 2007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e of PEs. The CPD system requires the completion of 90 credits, including 8 credits of ethics and safety during the five years after a job registration. The CDP system for PE needs to develop the capacity to incorporate the latest knowledge in professional field and proactively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industry in alignment with professional expertise and responsibility. To this end, the study suggests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the use of contents from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relevant organization, the acquisition of education specialists, rational improvement of the PE CDP system, and the revision of laws and regulations. 이 연구는 「기술사법」에 의한 기술사 자격 갱신대상자가 2019년 11월 기준 28,623명이지만 40학점 이상 이수자가 15,468명으로 대상자의 54.0%에 불과한 상황으로 기술사 교육훈련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계속전문개발(CPD)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사 CPD 관련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고 교육과정 개발, 운영, 홍보, 운영조직, 제도 및 규정 등 교육훈련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술사 CPD 이수 D/B분석, 관련 법령 제도, 기본 계획과 기존 교육과정, 운영체계를 검토하였고, 기준개발 전문가를 중심으로 산업현장, 자격검정, 교육훈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WG 구성·운영, 기술사 직무능력표준에 따른 관련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한 교육과정 개발, 각 연구단계별 현장 전문가 인터뷰, 설문조사 및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관련 단체 및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기술사 CPD제도 개선을 위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기술사 CDP 제도는 기술사 개인의 전문성과 책임감을 토대로 전문분야에서 최신 지식을 소유하고 산업현장의 요구와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개발, 다른 교육기관의 콘텐츠 활용, 운영조직의 확대 개편과 교육전문가 확보, 기술사 CDP 제도의 합리적 개선과 법, 규정 개정 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