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간탄력도 측정에 의한 간섬유화의 비침습적 평가

        김화숙 ( Hwa Sook Kim ),김자경 ( Ja Kyung Kim ),박영년 ( Young Nyun Park ),명성민 ( Sung Min Myung ),방미선 ( Mi Sun Pang ),윤기태 ( Ki Tae Youn ),이근호 ( Keun Ho Lee ),백용한 ( Yong Han Paik ),이관식 ( Kwan Sik Lee ),안상훈 ( Sa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5

        목적: 최근 개발된 간섬유스캔은 비침습적이며 신속하게 간의 탄력도를 측정하여 간섬유화의 정도를 평가하는 진단방법이다. 본 연구는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간탄력도의 측정이 간섬유화의 평가에 유용한지를 알아 보고자하였으며, 간탄력도와 혈청 간섬유화 표지자들(APRI 및 AST/ALT 비)의 유용성을 비교하였다. 방법: 2005년 3월부터 9월까지 간섬유스캔 검사를 받은 B형 간염환자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조직검사를 시행한 환자 34명의 조직학적인 섬유화의 정도는 Ludwig의 분류에 따라 0단계에서 4단계까지 분류하였다. 결과: 간탄력도는 임상질환별로 비활동성보유자(29명) 7.0±2.7 kPa, 만성간염(106명) 8.3±5.3 kPa, 대상성간경변증(63명) 15.9±8.3 kPa, 비대상성 간경변증(63명) 31.8±20.3 kPa, 간암(4명) 45.1±34.5 kPa이었으며 각 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탄력도는 간섬유화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726; p<0.001). 간탄력도, APRI 및 AST/ALT 비를 ROC 곡선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을 때, AUC (area under the curve) 값은 간섬유화 2기 이상에서 각각 0.72, 0.61, 0.58 이었으며, 간섬유화 3기 이상에서 각각 0.92, 0.73, 0.56이었으며, 간섬유화 4기에서 각각 0.97, 0.79, 0.55를 보였다. 간탄력도의 AUC 값이 APRI 및 AST/ALT 비와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진단적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간섬유스캔으로 측정한 간탄력도는 신속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진행된 간질환을 예측할 수 있으며 간섬유화의 정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였다. Background: Transient elastography (FibroScan(R)) is a rapid and non-invasive method to measure liver stiffness and this allow the assessment of liver fibr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iagnostic accuracy of measuring the liver stiffness in addition to measuring the other biochemical markers such as the aspartate transaminase to platelet ratio index [APRI] and the AST/ALT ratio. Methods: We enrolled 228 HBsAg positive patients whose liver stiffness was measured by FibroScan(R) between March 2005 and September 2005. Liver biopsy examinations were performed in 34 patients. The fibrosis (F) was staged on a 0-4 scale according to the Ludwig classific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clinical diagnosis, the median values of liver stiffness were 7.0±2.7 kPa for inactive carriers (n=29), 8.3±5.3 kPa for chronic hepatitis patients (n=106), 15.9±8.3 kPa for compensated cirrhosis patients (n=63), 31.8±20.3 kPa for decompensated cirrhosis patients (n=26), and 45.1±34.5 kPa for HCC patients (n=4). The degree of liver stiff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ifferent disease groups (p<0.001). Liver stiffness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fibrosis stages (r=0.726; p< 0.001). The AUROC of FibroScan(R), the APRI and the AST/ALT ratio values were of the same order; 0.72, 0.61 and 0.58, respectively, for F≥2; 0.92, 0.73, and 0.56, respectively, for F≥3; and 0.97, 0.79, and 0.55, respectively, for F=4. FibroScan(R) offered the best diagnostic performance both for significant fibrosis (F≥2) and severe fibrosis-cirrhosis (F3-F4). Conclusions: FibroScan(R) is a reliable, rapid non-invasive method to diagnose the severity of chronic liver disease and to predict fibr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in addition to using the APRI and AST/ALT ratio. (Korean J Med 72:459-469, 2007)

      • KCI등재
      • KCI등재

        흉벽에 발생한 탄력섬유종 −1예 보고−

        김성완,김동훈,이건,임창영,김덕실,변경환,이헌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6

        A 63 year-old woman visited our hospital with a palpable chest wall mass in the infrascapular region. We performed excision of the mass. The mass was histolocally diagnosed as elastofibroma. Elastofibroma is characterized by the proliferation of fibrous tissue with elastin. It is a relatively slow growing benign soft tissue tumor and it is most often found in the infrascapular region. We have experienced a cases of this rare disease and we report on it together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63세 여자 환자가 좌측 견갑골 하부에 만져지는 흉벽 종괴를 주소로 본원을 내원하여 종양적출술을 시행하였으며, 조직검사상 탄력섬유종으로 진단되었다. 탄력섬유종은 탄력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조직의 증식을 특징으로 한다. 비교적 천천히 자라는 양성의 연조직 종양으로 견갑골 하부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드문 질환으로 알려진 흉벽의 탄력섬유종을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X-선 조사에 의한 폐 탄력조직의 초미형태학적 변화

        주양구,신현호,곽정식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1

        목적 : X-선 조사후 초기에 폐에서 일어나는 탄력섬유의 변화를 전자현미경적으로 검색하여 그 변화의 형태학적 본태와 기전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체중 약 2㎏ 정도의 토끼에 6MV linear accelerator에서 100㎝ 거리 20×20㎝ 넓이의 조건으로 2,000 rad를 15분 동안 가슴을 중심으로 1회 전신조사한 후 1일, 2일 및 4일째에 생존한 토끼를 각각 3마리씩 폐조직을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으며 탄력섬유를 검색하기 위해 Kajikawa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 X-선 조사후 2일에서 elastin의 분절이 부분적으로 일어났으며 4일후부터 미세섬유를 가진 작은 elastin이 출현하였다. X-선 조사후 폐포내 및 폐포벽에는 대식세포와 호중구가 약간 침윤되었다. 결론 : X-선 조사 후 탄력섬유의 초기의 변화는 분절현상이며 그 이후 곧 신생될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X-선 조사에 의한 탄력섬유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유리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arly ultratructrual changes of elastic fibers of the lungs after X-ray irradiation and its pathogenesis. The rabbits averaging 2.0㎏ in weight were irradiated 2,000 rad in dose of X-ray for 15 minutes on chest. Irradiation was carried out 100㎝ in distance from 6 MV linear acceleraor with 20×20 ㎠ in covering areas. The lungs were examined 1, 2, and 4 days after irradiation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Kajikawa stain was performed for demonstration of elastic fib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n light microscopy, congestion and mild infiltration of alveolar macrophages and neutrophils appeared after irradiation. On electron microscopy, partial fragmentation of elastin was developed after 2 days of irradiation. Small amount of elastin having microfilaments appeared at 4 days after irradiation. And also was infiltration of alveolar macrophages and neutrophils. Thes findings suggest that the earliest change of elastic fibers after irradiation is fragmentation of fibers. Synthesis of elastin is possible in this early period, and damage of elastin is caused by free radical produced by X-ray irradi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 섬유화 평가에 대한 간 탄력도 측정의 유용성

        김은선 ( Eun Sun Kim ),서연석 ( Yeon Seok Seo ),이광균 ( Kwang Gyun Lee ),박상훈 ( Sanghoon Park ),권용대 ( Yong Dae Kwon ),금보라 ( Bora Keum ),김용식 ( Yong Sik Kim ),진윤태 ( Yoon Tae Jeen ),전훈재 ( Hoon Jai Chun ),김창덕 ( Ch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3

        목적: 만성간질환 환자에서 섬유화 진행 정도의 평가는 환자의 치료 및 예후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섬유화 평가를 위해 간 조직 생검이 가장 좋은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고 침습적인 검사라는 점 등 몇 가지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비 침습적 방법을 통한 간 섬유화 측정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 침습적 검사법의 하나인 Fibroscan을 통한 liver stiffness measurement(LSM)가 만성간질환 환자에서의 간 섬유화 정도 평가에 유용한가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만성간질환으로 간 조직생검을 시행한 9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간 조직생검 시행 당일 또는 다음날 Fibroscan을 통해 LSM을 측정하였다. 생검 조직의 섬유화 정도는 METAVIR 기준의 간 섬유화 병기에 따라 분류하였다. LSM 결과의 유용성 및 섬유화 정도 평가에 대한 optimal cutoff value를 결정하기 위해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s(ROC) curve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만성간질환으로 간 조직생검을 시행 받은 85명 환자의 연령은 40±13세(중앙값, 40세)였으며 남자가 62명(66.6%)이었다. 만성간질환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만성 B형 간염, 56명(65.9%) 만성 C형 간염, 19명(22.4%) 지방간질환, 4명(4.7); 자가면역성간염, 3명(3.5%) 기타, 2명(2.4%). 간 조직 생검 결과 F0-1, F2, F3 및 F4에 해당하는 환자는 각각 21명(24.7%), 27명(31.8%), 26명(30.6%) 및 11명(12.9%)이었다. 간조직 생검을 통한 간 섬유화 진행단계는 LSM 결과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Kendall`s correlation coefficient: 0.583;p<0.001). 간 조직 생검에서 F2 이상, F3 이상 및 F4 이상에 대한 LSM의 area under ROC curve는 각각 0.871 (95% CI, 0.787-0.956), 0.874 (95% CI, 0.800-0.948) 및 0.894 (95% CI, 0.817-0.970)였다. F2 이상, F3 이상 및 F4 이상에 대한 optimal cutoff value는 각각 6.9, 11.9 및 14.15 kPa였다. 결론: Fibroscan을 통한 LSM 측정은 만성간질환 환자에서 간의 섬유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Accurate assessment of liver fibrosis is very important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Liver biopsy is still considered the gold-standard for assessing liver fibrosis. However, it is an invasive procedure with several limitations such as its questionable outcomes.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liver stiffness measurement (LSM) using Fibroscan is noninvasive and useful for assessing liver fibrosi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SM for evaluating liver fibr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Methods: We prospectively enrolled 93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as confirmed by liver biopsy. The patients underwent liver biopsy and LSM. The METAVIR liver fibrosis stages of the biopsy specimens were assessed by an experienced pathologist. LSM was performed by Fibroscan. The efficacy of LSM and the optimal cutoff values for assessment of the fibrosis stage were determined by a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curve analysis. Results: LSM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fibrosis stage (Kendall correlation coefficient: 0.58; p<0.001). The areas under the ROC curves were 0.871 (95% CI, 0.715-0.924) for the patients with significant fibrosis (F≥2), 0.874 (0.761-0.929) for the patients with severe fibrosis (F≥3) and 0.894 (0.792-0.956) for the patients with cirrhosis (F=4). The optimal LSM cutoff values for F ≥2, F ≥3 and F=4 were 6.9, 11.75 and 14.5 kPa, respectively. Conclusions: LSM was a simple, effective method for assessing liver fibr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Its use for the follow up and management of these patients could be of great interest and so further investigation is required. (Korean J Med 74:264-270, 2008)

      • KCI등재후보

        연령증가에 따른 생쥐 지라의 형태학적 연구

        고정식(Jeong-Sik Ko),안의태(E-Tay Ahn),박경호(Kyung-Ho Park),김진국(Jin-Gook Kim),김의한(Eui-Han Kim),정영신(Young-Shin Chung)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3

        이 실험은 지라의 구조가 출생 후 신생기 부터 노령기까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관찰하여, 노화 에 따른 면역기능의 저하와 더불어 여러 가지 질병과 치료과정에 따른 지라의 변화를 연구하는데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생후 1주일, 5주일, 8주일,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된 ICR계통의 생쥐를 각 군당 5마리씩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ether마취하에 개복하여 지라조직을 절취하였으며 광학현미경관찰을 위하여 10% 중성 formalin으로 고정한 후 일반적인 조직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는 hematoxylin-eosin 염색을, 조직내 아교섬유와 세망섬유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는 Masson-trichrome 염색과 Bielschowsky 도은을, 탄력섬유와 비만세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는 aldehyde-fuchsin 염색을 시행하였다. 한편 전자현미경관찰을 위하여는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혼합액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에 고정한 후, 1% osmium tetroxide 액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에 다시 고정하였으며, 고정이 끝난 조직은 탈수과정을 거쳐 araldite 혼합액에 포매하였다. 포매된 조직은 1 μm 두께의 절편을 만든 후 toluidine blue로 염색하여 지라조직의 백색속질과 그 주변의 적색속질 부위를 택하여 60~70 nm 두께의 얇은 절편을 만들었다. 각 절편은 uranyl acetate 액과 lead citrate 액으로 대조염색한 후, JEM 100CX-II 전자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지라피막의 두께는 1주일군은 2 μm였는데 비하여 5주일군은 4 μm로서 현저히 두꺼워 졌으며 그 이후 18개월군까지 는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연령증가에 따라 조금씩 더 두꺼워졌다. 2. 1주일, 5주일, 8주일군의 경우 형성과정중인 혈구세포들이 6개월 이후군에 비하여 훨씬 많이 관찰되었다. 3. 아교섬유와 탄력섬유의 경우 연령증가에 따라 12개월군까지는 그 양이 증가하나 그 이후군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4. 세망섬유의 경우 연령증가에 따라 8주일군까지는 그 양이 증가하나 그 이후군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5. 비만세포의 경우 1주일군에서는 많이 관찰되었으나, 5주일군, 8주일군 및 6개월군에서는 드물게 관찰되었으며, 12개월군 이후군에서는 다시 많이 관찰되었다. 6. 5주일군의 형질세포에서 과립세포질세망의 수조가 구형으로 팽대된 것이 처음 관찰되었다. 7. 12개월군 이후의 실험군에서 이물질을 포식하고 있는 비만세포가 자주 관찰되었다. 8. 18개월군 이후의 실험군에서 과립세포질세망의 수조가 불규칙하게 확장된 형질세포가 자주 관찰되었다. 9. 30개월군의 경우 세포질 속에 수초구조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형질세포가 자주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생쥐의 지라는 출생후 5주일 정도면 형태적으로는 거의 성숙한 모습을 보이며 조혈기능 은 성숙한 동물에 비하여 어린동물에서 더욱 활발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연령이 증가하면 지라는 림프구를 비롯한 세포성분에 비하여 아교섬유를 비롯한 결합조직성분이 증가하여 지라조직의 유연성이 감소되나 림프기관으로서의 지라의 기본골격인 세망섬유골격은 생후 8주일이면 거의 완성되며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생후 18개월 이후에는 지라를 구성하는 세포들의 기능이 저하되기 시작하여 24개월 이후에는 노화현상이 현저히 심해진다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mouse spleen were compared during their aging processes. Splenic tissues of 1 week-, 5 weeks-, 8 weeks-, 6 months-, 12 months-, 18 months-, 24 months-, and 30 months-old ICR mice were dissected out under anesthesia. Pieces of the tissues were taken from the spleen, f ixed in 10% neutral formalin for light microscopy, and some splenic tissues, were prefixed with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followed by post-fixation with 1% osmium tetroxide for electron microscopy. Paraffin sections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Masson’s trichrome, Bielschowsky’s silver impregnation or aldehyde-fuchsin, were observed with light microscope. Ultrathin sections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were observed with a JEM 100CX-II electron microscope. Th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thickness of the splenic capsule was prominently increased between 1 week-old and 5 weeks-old ones, whereas after 5 weeks-old, the thickness was very slightly increased during aging. 2. In the 1 week-old, 5 weeks-old and 8 weeks-old mice, blood forming cells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found in older ones. 3. The collagenous fibers and elastic fibers were increased in the spleens of 12 months-old mice, whereas after 18 months-old, fibers were not increased during aging. 4. The reticular fibers were increased by 8 weeks, whereas fibers were not increased afterwards. 5. In the 1-week old, mast cells were observed frequently, whereas from 5 weeks to 6 months they were observed rarely, and after 12 months, mast cells were observed frequently. 6. In the 5-weeks old, distended cisternae of granular endoplasmic reticula were first observed within the plasma cells. 7. After 12 months, the mast cell containing phagocytosed debris were observed frequently. 8. After 18 months, the plasma cell containing irregular distended cisternae of granular endoplasmic reticula were observed frequently. 9. In 30 months, the plasma cells containing myelin figures were observed frequent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spleen of the mouse matures structurally in five weeks, but the function of the spleen is suppressed around 18 months, and thereafter the functional suppression is continued on aging.

      • KCI등재

        C3H 생쥐에서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 앰플이 피부 탄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민정,안은주,조해원,김정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2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0 No.4

        Purpose: Acetyl hexapeptide-8 (AH-8) had been reportedly effective in improving keratinocytes. Ampoules containing AH-8 as an active ingredient were prepared, and their efficacy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was evaluated. Methods: Ampoules containing 3% and 5% AH-8 were prepared, and their efficacy was evaluated. C3H mice were pretreated with different AH-8 ampoule concentrations and then irradiated with UVB for 6 weeks. Changes in the number of collagen and elastic fibers from paraffin-embedded skin tissues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using an image analysis program. Results: Our data showed that the skin of C3H mice with UVB-irradiated markedly decreased the collagen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Moreover, pretreatment of 3% and 5% AH-8 ampoules on UVB irradiation increased collagen production. Furthermore, the elastin production was decreased in the UVB-irradia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elastin level in the skin of C3H mice was similar in both pretreated with 5% AH-8 on the UVB irradiation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This study has proven that HA-8 ampoules had a high capability of improving elasticity when compared to vehicle ampoule-containing ginkgo leaf and green tea extracts. Moreover, this study revealed the efficacy of AH-8 for increasing skin elasticity in terms of a cosmetic active ingredient. 목적: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 (acetye hexapeptide-8, AH-8)는 세포의 탄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두피 및 피부탄력 효과가 예상되는 AH-8을 사용하여 앰플을 제조하고, C3H 생쥐에서 피부 탄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법: Vehicle, 3%와 5% AH-8을 함유하는 앰플을 제조하였다. CH3 생쥐는 각각 4마리씩 무처치군(Control), UVB 조사군, Vehicle 처치군, 3% AH-8 앰플 처치 후 UVB 조사군, 5% AH-8 앰플 처치 후 UVB 조사군으로 총 5그룹으로 분류하였다. 4주 동안 무처치군을제외한 CH3 생쥐 등피부에 각각의 시료를 매일 처치하고 총 8회 UVB를 노출하였다. 6주 후, 각 그룹별 CH3 생쥐 등 피부 조직을채취한 후 특수염색을 통해 교원질과 탄력섬유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UVB 조사군 피부에서 교원질의 양은 무처치군에 비해감소하엿으나 3%와 5%의 HA-8 앰플 처치군 피부에서는 교원질의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탄력섬유의 양은 UVB조사군에서는 무처치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5% AH-8앰플 처치군에서는 무처치군과 유사한 정도로 나타나 UVB조사에 의한 탄력섬유의 감소를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대조군에 해당하는 vehicle 앰플은 천연 추출물 원료인 은행나무잎 추출물과 녹차추출물을 함유하였다.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HA-8앰플이 in vivo에서 피부탄력 개선 효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HA-8은 피부탄력 개선 효능이 우수한 화장품 활성 원료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흉통을 유발한 대동맥판막의 유두상 섬유탄력종 -1예 보고-

        여인권,정요천,조광리,김기봉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11

        유두상 섬유탄력종은 원발성 종양 중 두 번째로 많이 호발하는 양성종양으로 주로 심장판막에 발생한다. 본원에서는 흉통과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61세 여자 환자에서 발견된 대동맥 판막에 위치한 유두상 섬유탄력종을 경험하였다. 대동맥 판막의 손상 없이, 개심술 하에서 대동맥 판막에 부착된 종양을 제거한 치험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수술실 내 경식도 심장초음파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유두상 섬유탄력종 -1예 보고-

        김정원,신제균,박순은,김영민,박창률,정종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9

        유두상 섬유탄력종은 드문 양성 심장 종양으로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전신 색전증의 위험성이 높다. 저자들은 관상동맥우회술을 준비하면서 정기적인 수술실 내 경식도 심장초음파검사를 시행하던 중 우연히 대동맥 판막의 종양을 발견하였다. 좌측 및 우측 대동맥판막 첨판에 부착되어 있던 종양은 수술로 완전절제되었으며, 병리학적 검사에서 유두상 섬유탄력종으로 확진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중 경식도 심장초음파의 중요성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