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대학 자원의 활용 사례 : 숙명여대 캠퍼스타운 사업을 중심으로

        설원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최근 대학과 지역사회 간 협력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대학 자원을 활용하여 대학-지역-청년 간 상생을 추구하는 서울시 캠퍼스타운 사업은 이에 대한 새로운 모델로 등장하였다. 숙명여대는 2016년 12월 서울시 캠퍼스타운 프로그램형 1단계 사업 13개 대학 중 하나로 선정되어 2017년 5월부터 사업을 수행 중이며, 서울시 용산구에 위치한 용문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상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 중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대학 자원의 활용 사례로 숙명여대 캠퍼스타운 사업단의 경험을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된 주요 이슈에 대해 논의한다. 숙명여대 캠퍼스타운 사업단에서는 용문전통시장 재생을 위해 우선 현황진단을 통해 문제점을 정의했으며, 이후 대학의 가용 자 원을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상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용문전통시장 소식지 창간, SNS를 통한 마케팅 강화, 시장 브랜딩・보드디자인・시장 고유의 명함 및 장바구니 제작을 통한 시장의 통일감 조성, 상인을 위한 맞춤 중국어 및 용문상인대학 모델 개발, 청 년층의 시장유입 촉진을 위한 청년창업 공모전, 인근 유동인구 증대를 위한 독립로드 개발 등이 본 사업을 통해 제안된 주요 프로그램이다. 이 과정에서 발견된 이슈는 크게 대학, 용문전통시장, 서울시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학의 경우 대학구성원의 태도 변화 필요, 프로그 램 개발 시 지속성에 대한 고민, 체험과 소통을 통한 프로그램 개발 노력, 대학과 지역사회간 Win-Win할 수 있는 모델 개발 등이 주요 이슈로 파 악되었다. 용문전통시장 측면에서는 시장의 차별화, 시장상인의 변화에 대한 동참 유도,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변화 추진 등이 주요 논의사항이 며, 서울시에서는 다양한 기관의 중복지원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거버넌스 문제, 하드웨어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콘텐츠와 인력에 대한 지원 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 주요 이슈로 제안되었다.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demand for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y, and the Campus Town project of Seoul City emerged as a new model by seeking a win-win university-community-youth relationship.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as been engaged in the project since selected as one of the 13 universities in the 1 round of Seoul Campus Town project in December of 2016. It developed and implemented a range of programs to promote the commercial area in Yongmun Traditional Market, located in Yongsan-gu, Seoul. This study introduces the experience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s an example of using university resources to develop community and discusses the issues found in the process. Campus Town project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ssessed the current status of Yongmun traditional market and identified its problems and resources available at the university to revive the market, based on which various programs were developed. Major programs include publishing newsletter of Yongmun traditional market, SNS marketing, design for unity - market branding・board design・creating business card and basket, developing a model of customized Chinese for merchants and Yongmun Merchant University, 'Campus Town Startup Competition' to attract youth into the market, and developing 'Independent Road' to increase floating population. The issues have been raised mainly in three areas, such as university, Yongmun traditional market, and Seoul city. Requirements for the university include: changes in attitude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sustain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s, program development through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a win-win business model for university and community. On the other hand, as for Yongmun traditional market, key issues include differentiation of the market, engaging merchants in changes, and implementing changes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the market. Finally, Seoul city is found to have issues such as governance to solve policy overlapping problem, need for contents and human resources support instead of the current policy focused on hardware. Keywords: Campus Town Project, Developing Community, Utilizing University Resources

      • KCI등재

        캠퍼스타운 지역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김문석(Kim, Moon Seok)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4

        본 연구는 서울 캠퍼스타운 사업의 세부 내용 중 문화특성화를 중심으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유튜브 영화제’를 기획하고 실행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서울시 캠퍼스타운 지원사업의 문화부분을 중심으로 행사기획, 교육프로그램, 공모, 결과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 성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캠퍼스타운의 개념 및 사례에 대한 리서치와 문화 중심의 캠퍼스타운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대학이 속해있는 지역을 위한 유튜브영화제의 기획 전반에 관한 내용제시이다. 유튜브페스타 행사기획과 교육프로그램 구성, 홈페이지 구성 등에 관한 사례에 관한 논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캠퍼스타운 지역의 낙후된 문화 기반을 조성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연구 과정 및 결과에서 도출되는 긍정적 작용 및 문제점 등을 반영해서 향후, 보다 발전된 형태의 행사기획이 이루어지기 바란다. This study summarizes the details of the Seoul Campus Town project, which planned and implemented a regional-based YouTube Film Festival focusing on cultural characterization.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focusing on cases of the entire process ranging from event planning, educational programs, public offerings, and results, focusing on the cultural part of the Seoul Campus Town Support Project. The research method is to present the overall planning of the YouTube Film Festival for the region to which the university belongs through research on the concepts and cases of campus town and cultural-oriented campus town research and analysis. It is a paper on YouTube Festa event planning, education program composition, and homepage composi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reate an underdeveloped cultural foundation in the campus town area.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a more advanced form of event will be planned in the future by reflecting the positive effects and problems derived from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 KCI등재

        캠퍼스타운 지역의 문화콘텐츠 발굴을 위한 수업 설계 연구

        김문석(Moon Seok Kim),오은석(Eun Seok 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4

        본 연구는 캠퍼스타운 지역의 문화산업의 형성을 위해 대학의 수업과 연계하여 과목을 개발하고 수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캠퍼스타운 사업 중 문화와 관계된 부분은 대학생이 문화를 창줄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하여새로운 문화산업 및 문화콘텐츠를 발굴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결하기 위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진행한 전 과정을 다루었다. 수업 설계의 과정에서 대학이 요구하는 수준의 교육 내용과 캠퍼스타운 사업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교육 내용을 조율하는 문제는 쉽지 않은문제였다. 그러나, 수업 계획에 따라 수업을 이수한 학생들의 성과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했다. 학생들의 성과는 지역사회와 관련 학문 분야와 함께 정부기관 등을 통해 확대되고 재생산되는 순기능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생들이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결합을 통해서 지역 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개발하여 캠퍼스타운 지역의 문화융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로 나오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oposes a process of developing subjects and conducting classes in connection with university classes to form the cultural industry in the campus town area. Culture-related parts of the campus town project can be a good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o create culture and discover new cultural industries and cultural contents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dealt with the entire process of designing classes to connect these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and conducting classes based on them. In the course of class design, it was not easy to coordinate the level of education required by universities and the level of education required by the campus town project.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ents who completed the class according to the class plan were suffici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tudents' achievements will be responsible for the net function of expanding and reproducing through government agencies, along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related academic field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college students will find and develop local cultural contents through a combination of interest in local culture and creative ideas to achieve positive results in promoting cultural prosperity in the campus town.

      • KCI등재

        지역사회 재생을 위한 캠퍼스타운 계획 및 설계 연구

        오주석(Oh, Jooseok),김동현(Kim, Donghyun),여혜진(Yeo, Hyejin),김세용(Kim, Seiy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캠퍼스타운 조성과 대학-지역사회 간 협력을 통한 환경 개선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 인접지역에 지역사회의 재생을 위한 전략적 거점구역의 선정 및 캠퍼스타운의 계획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대학 주도의 캠퍼스타운 조성의 당위성과 방법론을 모색한 후 대상지 선정을 위한 지표를 도출하였고, 둘째, 대상지인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를 중심으로 낙후한 주변 지역의 재생과 대학의 시설 충족 및 주변 시설 간 연계 방안을 목적으로 하는 거점구역을 선정하여 캠퍼스타운 계획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셋째, 구역 내 필지 및 건축물의 현황을 바탕으로 대상지의 지역성 보존, 대학시설과 지역산업 간 연계, 그리고 정주환경 개선을 통한 주거환경 증진을 위해 구역 내 건축물의 보수, 신축, 개축, 존치 등을 바탕으로 한 소단위 정비계획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대학과 대상지 간 연계성 확보를 위한 가로 및 건축물 입면 재료 및 색채 등의 디자인 개선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대학의 성장 목표가 내연적 성장이 아닌 지역사회의 재생과 관계기관의 지원 하에 장기적 관점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ways to design a campus town by selecting strategic areas with an aim to revive local communities adjacent to college. The process begins from a growing trend of creating a town that encompasses both a school campus and its neighboring areas, and from the notion that the partnership between a school and a local community would lead to the improvement in regional environments. This paper adopts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literature reviews and the study of relevant cases verify a need to build a campus town in local community and present proper approaches to the matter. Secondly, the paper pinpoints strategic areas to connect the Anam Campus of Korea University in Seoul and to those for neighboring regions to seek ways to vitalize the shabby regions. Third, the paper draws a small-scale regeneration plan by factoring in diverse aspects of the region and structures. The dissertation also seeks how to improve designs of streets and facade, which would enable a college to achieve desirable, long-term goal of restoring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21세기 지식근로자중심 대학개혁 핵심과제로서 고부가가치 인재창출에 관한 연구

        유향산(Ryu, Hyang S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교육연구 Vol.40 No.-

        본 연구는 연계 개념을 근거로 대학이나 그 주변 타운에서 연계 동력간의 역학구조를 설계하여 이를 중심으로 가능한한 개인이나 대학 더나아가 타운 그리고 세계로 확대할 수 있는 연계스쿨캠퍼스커리어타운을 설계하려는 의도가 있다. 이러한 타운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대학인이나 타운의 주민들은 자연적으로 계속 연계구조를 새롭게 재구조화하는 과정에서 무형의 정보· 지식· 기술· 가치 등을 유형화시킬 수 있는 사례들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첫째, 16명의 저자들의 저서에서 나타난 관련 영역에 대한 무형의 정보`, `지식, 기술, 가치 등을 타운설계의 자재로 설정해 놓고 이를 다양한 특성의 타운을 설계하는 과정을 통해서 역시 대학인과 타운의 주민들은 스스로 고부가가치의 인재로 창출될 수 있기 때문에 무형적 특성의 대학을 유형적 특성의 대학으로 그리고 타운으로 설계하는 과정을 통하여 타운도 대학도 연계하여 설계하고 개인의 고부가가치를 지닌 인재로 창출하는 연계효과를 지적하고 있다. I. Introduction I am sure that, changing certainly toward the general trends to the cre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for the preventive approaches for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future, the connected school-campus town will be organized informally between all level schools and the colleges (or universities). Accordingly, the national policy of the school age will be expanded to all citizens. At the same time they are to be changed position from the non-productive age to the productive age for their maintenance of their own life themselves. And gradually from now they need to make their own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them. Such as their endeavor, they will be to be a professional for their life and to be a manpower bankers and creators for the nation and themselves. The Connected School-Campus Town will be going to be contributed to their public and private educatonal policy through their Business Intelligence themselves. Therefore we are going to be a globalization power in the 21C world. At this points, I have made of some scenarios for making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creation town for the professional citizens. II.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1st Century are to be functioned as an index of the global venture citizen. First, ‘web’ itself is gradually constructed by an information technology philosophy. According to this, all of the people is to be formed their individual thoughts(‘I’ Philosophy). Second, through the process of the‘web’philosophy is moved by the‘wire’('computer') to the‘wireless’(mobile media mode)philosophy,‘web’center is located into our home(space). There is a great deal of change from static to dynamic behavioural order in our home. In other word, we have had the place of our home as a place for our relaxation, but surprisingly our home (space) has function as an place for our business working. Francis Fukuyama had noted the following fact that our family system was disrupted through the social capital. But fortunately our home is increasingly recovered for its order as the place of‘family relaxation and family business’ by the ‘web’. Perhaps, these changeable family system will be ten years after 2010 by Frank Feather. His speaking is coming to us closely. Setting of Liaison Institu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Web’ is making of the universe, 'We Are The World.' It is simillar to our body organism. At the reason of that, the 21st Century could be called of that it is only a job to find some liaison system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Then, why are they not having of the links among them? Is it because of not having of the web between both of them? 1. Now we are looking for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web function as an liaison school function of the prevention of crash between both of their different cultures between‘academic freedom’for the university and ‘field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Their liaison school systems, that will be future through our best doing, will play as an trouble-solving broker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2. Liaison models, as the global venture citizen program strategic, are developed, by Prof. Hyang San, Ryu : 1) through the liberal arts educational curriculum, 2) through the performing arts curriculum /writings related contens to liberal and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products exhibits, 3) through the empirical experiment of the training course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life theme references. At this points, I will show the example, Magnet Schools of the Theme References on Magnet Program. Magnet schools have their own unique teaching method for their students and parents individually learning activities. There are different styles for their learning according to their students' levels. So the magnet schools have many different teaching methods in the action research. Particularly they are greatly considering about non-ins

      • KCI우수등재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의 물리적 평가요소 검토 - 서울시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

        추현수,백태열,강준모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함에 있다. 이에 사업 초기 단계인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에 대한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고,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에 부합하는 평가항목 및 요소를 도출한 후 AHP 및 선호도 조사를 통해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평가 결과 보행공간 개선 및 도시재생 거점공간 조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고밀혼합 토지이용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평가지표는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의 중간단계에서 모니터링 자료로 활용하고, 1단계 사업 완료 후 다음 2단계 사업 추진 시 개발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연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mportant evaluation criteria that need to be prioritized by developing one for the campustown development project in Seoul. To achieve this, we examined the list of initial ideas for the project and selected the criteria that corresponds to the goal of the project. Moreover, we conducted AHP and preference survey to further refine the evaluation criteria. As a result, improvement of walking space and providing urban regeneration base space were found to be most important; utilizing high density mixed land use was rated as least important. Based on the findings, the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can help the process of the project as guidelines. As initial evidence it can also guide us for a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in between the completion of the first project and the start of the second stage of the project.

      • KCI등재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김준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하여 대학에서 미충원 학생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학생 미충원에 대한 문제는 수도권 대학보다는 지방 대학들에서 매우 심각한 현상으로 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점차적인 학생수 감소로 인하여 기존 학과들이 사용하였던 교육공간들이 대규모 유휴공간으로 되는 심각한 대학 내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들의 유휴공간 활용한 우수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발생할 지방대학 캠퍼스 내 유휴공간들의 활용 방향 및 방법에 대하여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학의 유휴공간 및 대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 사례에 대한 조사는 기존 대학의 홈페이지, 관련 정부부처 인터넷사이트 및 정부의 보고서, 뉴스 등을 자료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가야대학교, 건국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한남대학교 등 국내 6개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의 활용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캠퍼스 유휴공간에 대한 학생활용도, 지역주민활용도, 캠퍼스전체 대비 부지 활용도, 부지활용에 따른 대학재정기여도, 지역사회기여도 등 총 5가지 항목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캠퍼스 유휴공간에 대한 활용도 종합평가를 하였다. 가장 활동도가 높았거나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학은 경인교육대학이고 그 다음으로 전남대학교이다. 전남대학교의 대학타운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가 제일 높게 났으며, 충북대는 재학생들과 지역 청년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남대는 학생, 시민, 중소기업 등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바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가야대학교와 건국대학교의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도가 다소 낮게 나타난 원인은 정부 부처, 지자체와 공동으로 유휴공간 활용사업을 진행한 것 아니라 대학 자체의 재정만으로 활용하였기에 다소 활용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의 활용사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추후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의 유휴공간이 많이 발생될 것이 예상되는 바, 향후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한 활성화방안 마련 및 지자체 및 중앙부처와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게더타운 기반 메타버스 캠퍼스 구축 및 활용 분석

        홍순채,강서현,안지민,임승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2

        Due to the recent social environment such as the corona virus, most schools are conducting not only lectures, but also most of the activities such as seminars and clubs non-face-to-face. However, the environment of many non-face-to-face tools limits the user's immersion and learning effect, which limits usability and satisfaction. Metaverse is a technology that realizes activities in the real world into a highly immersive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virtualization potential of campus activities such as lectures, seminars, clubs, conferences, and admission briefings by building a Gathertown-based metaverse campus. In order to reflect the real world of the metaverse campus, a virtual campus was built by modeling the University campus , and college activities were applied to model of school activities. We analyze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usability of the accumulated campuses through user surveys. By analyzing the user usability of the constructed campus, the reporting issues,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s were considered. 최근 코로나 등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서 대부분의 학교에서 강의 뿐만 아니라 특강이나 동아리 같은 활동의 많은 부분을 비대면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비대면 도구들의 사용 환경이 사용자의 몰입도와 학습효과를 제한시켜 사용성과 만족도에 한계가 있다.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의 활동을 몰입도가 높은 3차원 가상세계로 구현하는 기술로써, 기존의 비대면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실세계의 가상화 가능성을 높인다. 본 연구는 게더타운 기반의 메타버스 캠퍼스를 구축하여 강의, 세미나, 동아리, 학회, 입학설명회와 같은 캠퍼스 활동에 대한 가상화 가능성을 분석하여 보았다. 메타버스 캠퍼스의 현실세계 반영을 위해서 캠퍼스를 모델로 하여 가상 캠퍼스를 구축하였으며, 학교 활동의 모델을 적용하기 위해서 단과대학의 활동을 적용하였다. 구축된 메타버스 캠퍼스에 대하여 사용자 설문조사를 통해서 정성적 및 정량적 사용성을 분석하여 보았으며, 이를 통해서 메타버스 캠퍼스 기반 사용자의 수업 및 여러 가지 학교 활동에 대한 장단점 및 해결해야할 이슈들을 파악해 보았다.

      • KCI등재

        자원의존이론 관점에서 본 성균관대 캠퍼스타운사업 초기 창업자의 경험과 자원 전략

        이현정,나동진,민윤경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Seoul Campus Town project, which utilizes the university's education and research-based resources to create a win-win situation between the university, the local community, and the youth. The study discusses the experiences of the support system needed by early-stage entrepreneurs from the resource dependence theory perspective. The Campus Town project participants, who were early-stage entrepreneurs, underwent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stud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first, regarding the perception of Sungkyunkwan University's Campus Town business, early entrepreneurs perceived that it is easy to enter with a low threshold and that it is highly accessible because it is based at a university. In addition, regarding the experience of utilizing support, early entrepreneurs strongly perceived that they needed to secure a startup space to challenge startups, and they needed to obtain business funds to realize their startup items. Therefore, they agreed to secure various resources for the company's sustainability. Second, as a strategy for securing resources, the study sought to strengthen their resource dependence by participating in other startup support projects, strengthen their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o withstand similar companies, scale up for sustainability, and attract investment for the exit. We examined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early-stage entrepreneurs regarding startup support programs, suggested resources that should be prioritized, and concluded these resul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arly-stage entrepreneurs are seeking various strategies to secure resources through dependence and independence for sustainable management. Finally, this study analyzed resourc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ities for entrepreneurship through case studies, discussed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nd made practical and qualitative recommendations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entrepreneurship programs.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 및 연구 기반의 자원을 활용하여 대학-지역-청년 간 상생을 추구하는 서울시 캠퍼스타운 사업을중심으로 초기 창업자에게 필요한 지원체계 경험을 자원의존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캠퍼스타운사업에참여한 초기 창업자를 대상으로 대면ㆍ비대면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균관대학교 캠퍼스타운사업 인식에 있어 초기창업자들은 낮은 문턱으로 진입이 용이하며, 대학을 거점으로 하기에 접근성이 뛰어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지원 활용 경험에 대해서 초기 창업자는 창업 공간이 확보되어야 창업을 도전한다는 인식이강하였으며, 창업 아이템 실현을 위한 사업 자금 확보가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전문가 멘토링이 유효하다고 판단하였고, 초기 창업자 간의 연대 의식을 강화할 필요성을 느꼈으며,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하여 다양한 경로의 대체자원들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자원 확보 전략으로, 타 창업지원 사업들에참여함으로써 제도 의존을 강화하고, 유사 업체를 견제하기 위한 조직역량 강화,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규모화, EXIT를 위한 투자유치 등을 모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초기 창업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았으며, 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자원들을제시할 수 있었다. 초기 창업자들의 자원 인식과 경험은 의존과 자립을 통해 지속가능경영을 도모하고 자원 확보 전략을다양하게 탐색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불어 창업을 위한 대학-지역 간의 자원 협력 사례를 소개하고, 참여자의인식과 경험을 논의하는 것으로 민관협력 창업프로그램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 서울 저층주거지의 커뮤니티 회복을 위한 캠퍼스 모아타운 계획방향연구

        방윤환(Bang, Yoon-Hwan),유해연(Yoo, Hae-Yeon) 한국주거학회 2023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irection of campus moatown planning to respond to the urban community deterioration caused by low-rise residential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in Seoul over the past decades. To this end, we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campus towns and moatowns and related policies, and studied related cases. The methodology is as follows. First,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we identified the respective emergence backgrounds and related systems of campus town and moatown. Second, by analyzing the cases of campus towns, we derived the complementarities of the existing cases and the need to connect with moatown projects. And third, we proposed the planning direction of campus moatowns for this purpose. Finally, stakeholders and experts related to the study were interviewed as needed.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linkage of campus and MoaTown projects to urban community recovery is positive and requires sharing of programs between universities and moatown, pedestrian paths that loop around the campus moatown to loosen physical boundaries, and forming hyperloca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