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생명기술 중심의 초등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박형서(Bak, Hyoung Se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47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기술교육을 지도하기 위한 초등 기술교육과정의 구성, 교수?학습전략,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기술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생명기술 중심의 초등 기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먼저 초등기술교육과정의 구성에서는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주된구성방법인 내용에 터한 교육과정의 단점을 지적하고,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 능력, 창의성, 의사 결정 능력 등을 기르는 데 적절한 과정에 터한 교육과정의 도입을 제시하였다.둘째, 교수?학습전략에서는 바람직한 교수?학습 활동을 위해서 실습보다는 실험으로 변화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고, 설계개요 접근법에 터한학생경쟁법을 대안으로 소개하였다.셋째, 초등기술교육 가운데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는 창의성이 문제해결의 한 가지 영역이며, 비구조화된 문제일수록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밝히고, 초등기술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문제의 이해, 연구와 개발, 실현하기, 산출물 평가하기의 네 단계로 제시하였다.넷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 기술 교육과정 조직인자를 생산기술, 수송기술, 통신기술, 생명기술로 제시하였다. 생산기술 영역에서는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수송기술 영역에서는 호버크래프트 만들기, 통 신기술 영역에서는 스케치업을 이용하여 햄스터 장난감 설계하기, 생명기술 영역에서는 잔디 인형 모양 만들기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o solve the objectives of the work, the literature was reviewed on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and its related teaching strategy;and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hands on activities programs for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produc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io-related technology. Second, teaching strategy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suggest design brief based the student competition. Third, it suggest that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isplayed with semi-aching strategy of etatements. Third,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ere suggested that it should be displayed with moving toy based production technology, making hovercraft based transportation technology, sketchup program bas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grass doll based bio-related technology.

      • KCI등재

        학습자의 문학교육 경험 연구

        우신영(Woo, Shin-yo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65 No.-

        문학교육 연구가 더 나은 문학교육을 위해 양질의 연구를 누적해가는 동안에도 학습자는 계속해서 문학과 인지적, 정서적으로 유리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간극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공백으로 처리되어 왔던 학습자의 실체와 욕구, 요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나름의 문학교육 경험사(經驗史)를 보유한 학습자의 경험기술지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문학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문학교육을 경험한 예비 고등학교 3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문학교육 경험기술지 42편을 수합하고 이를 NVivo10으로 분석하여 향후 문학교육이 학습자와 맺어야 할 바람직한 관계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범주-문제의식, 원인 분석, 대안 제시와 10개의 트리노드가 추출되었다. 먼저 학습자들이 문학교육에 대해 느끼는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교육으로 인해 문학에 대해 갖고 있던 호감이나 재미가 소실되었다. 둘째, 문학교육이 표방하는 목표와 실제 문학 교실의 모습, 평가의 목적과 실태, 교사들 간의 해석 및 교수 능력 차이 등으로 인해 심각한 불공정성을 체감하고 있다. 셋째, 학교 문학과 '나'의 문학이라는 이분법적 문학관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는 크게 인적 변인과 구조적 변인이 지적되었다. 첫째, 문학교과만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기계적으로 수업하는 교사들의 태도, 둘째, 방대한 작품 수와 지식으로 인해 의미 없는 필기만 반복하는 수업 방식, 셋째, 시험이라는 하나의 귀결점을 향해 완벽하게 수단화된 문학 경험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들로 크게 네 가지가 제안되고 있다. 첫째, 교과에 대한 교사의 애정과 열정, 둘째, 작품 자체가 아닌, 작품을 즐기고 이해하는 방법이 중핵이 된 수업, 셋째, 작품이 생산된 시대와 인간에 대한 이야기가 구술되는 수업, 넷째, 지식보다 문학 체험과 자유로운 반응이 선행되는 수업 등이 그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spects of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and to design a practical framework for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Meanwhile many academic discussion about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have been accumulating. However that discussions cannot provide a proper opportunity for growth of real learner's compete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using actual 42 data. For concrete analysis, I adopt a method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use a NVivo10 as a software tool. In succession, aspects of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are analyzed three category <critical mind>, <cause analysis>, <presentation of alternative> and 10 tree nodes. The following are learner's critical mind about literary education. Firstly, they lose half their interest in literature because of literary education. Secondly, they feel current literary education is very unfair. Thirdly, they devide literature into school-literature and private-literature. The following are learner's cause analysis about these problems. Firstly, literature teacher work like a robot without identity as literature teacher. Secondly, learner always take down a lecture without literary pleasure because of overfull texts and fast progress in class. Thirdly, they feel that literary experience are degraded to the tool for examination. The following are learner's presentation of alternatives. Teacher's love for literature, methodical knowledge-centered literary class, many interesting stories about author and period related literary texts, and free literary responses before literary knowledge.

      • KCI등재

        2009 개정 문학 교과서 수록 다문화 시 제재 및 학습활동 분석

        김명석(Myung seok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60 No.-

        This article analyzes multicultural poetry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new literature textbook. And this article purposes to diagnose the sta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poetries in the 2007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are 13 works which are written by 6 poet. But multicultural poetries in the 2009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are only 3 works. The poet Ha jong-o noted the migrants into Korea before anyone else. He wrote a poem shaping them. This article looks thre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poetries of Ha jong-o. First, This article analyzes original language that deals with the problems of the eyes looking up the migrants and the reflection of the poet. Second,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to deal with the marginalized band and dancing were analyzed. Third, in the case of the lives of migrant workers into the city Identity and khaki moheon's The pray for salvation was analyzed. Textbook shapes the curriculum and mediates students. Literature works shapes abstract theme and mediate leaders. Literary texts perform two roles at the same time. Section of Ha jong-o' poems in Literature Textbook shows the current stages and limitations. 이 글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새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 시 제재와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다문화 교육의 현단계와 문제점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새 교육과정에 따라 대부분의 문학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 내용을 수록하고 있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서 총 여섯 명의 작가의 13 편의 작품에 이르던 다문화 시는 새 교과서에서 소단원 제재로 선택된 작품이 하종오의 세 편의 시에 불과하다. 하종오 시인은 누구보다 먼저 한국 사회에 유입된 다문화 주체들에 주목하고 시로 형상화하는 작업을 수행해 왔다. 이 글은 교과서에 실린 다문화시를 세 가지 각도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이주민을 바라보는 시선의 문제와 이에 대한 시인의 반성을 다루는 시로 <원어>를 분석하였다. 이 시는 기차에서 만난 동남아계 두 여인을 통해 이주 여성들의 삶과 이에 대한 시인의 의식을 다룬 작품이다. 이주민의 현실과 고통보다는 반성적 시선에 초점을 맞춘 제재와 학습활동이다. 둘째, 소외된 자들의 소통과 연대를 다루는 <밴드와 막춤>을 분석하였다. 노인들이 동남아 청년 밴드에 맞춰 서로 얼싸안고 춤추는 장면은 소외된 자들의 연대 가능성을 상징한다. 이는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에 집중된 기존의 접근 방법에서 벗어나 다문화 사회의 긍정적 요소들을 학생들에게 환기시켜줄 수 있다. 셋째, 이주노동자들의 삶 속으로 들어간 사례로 <신분>과 이주노동자 모헌 카키의 시 <구원을 바라는 기도>를 분석하였다. 결혼이민자의 현실이나 이 주노동자의 일터를 보여주지 못한다면 그들이 실제로 겪는 고통과 갈등, 화해와 희망 등 삶의 다양한 국면을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없다는 점, 다수자의 시선이 아닌 이주민을 주체로한 시선의 경험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작품들이다. 교육과정을 구체화하여 학습자와 매개시키는 것이 교과서이며, 추상적인 주제를 구체화하여 작가와 독자를 매개하는 것이 문학 작품이다. 문학교과서는 이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교과서의 하종오 시 단원은 우리 다문화 교육의 현단계와 한계를 보여준다. 문학 교과서가 보여주는 다문화 교육 역시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 극복에 초점을 맞추는데 성공했다. 반면 새 교과서는 학생들에게 다문화 문제를 이주민 문제로만 한정하여 인식하게 만들 수 있다. '문화적 다양성의 수용과 인정'이나 '세계 공동체에 대한 책임' 부분에서 취약점이 있다.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다문화는 '문제'이지 '목표'가 아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교육과정이표방하는 문화적 다양성의 긍정적 사례를 교과서에서 찾아보기 힘든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교과서는 현실과 이상을 매개해야 한다. 다문화 사회의 경험이 부족한 우리 사회에서 이를 반영한 작품을 찾기가 쉽지 않고, 더구나 교육여건상 교과서에 수록될 수 있는 제재의 양 역시 제한적이지만 다문화 문학의 성취가 다문화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교과서가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타인과 소통하고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하자는교육과정의 목표처럼 문학 교과서도 다문화 사회의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가는 교육적 실천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 내용을 감축하고 고등학교 기하과목을 진로선택으로 분류

        심성아(Seong-A Sh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64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9월 23일에 고시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정리하고, 세부적인 내용에서 이전의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분석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쟁점이 되었던 문제들과 그에 대한 각계의 의견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는 이전 교육과정의 문·이과 공통수학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 외에는 문·이과 통 합형 교육과정이라고 할 새로운 변화는 없으며, 내용 감축과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로 학습 부담 완화를 모색하며, 선택과목을 재구조화한 것이그 특징으로 정리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습부담 경감의 문제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선택 과목의 문제, 신설 교과의 정체성과 정착 방법의 문제, 수능연계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문제 등의 많은 쟁점이 있었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들 중 기하 과목의 진로선택 분류는 수학 내용의 교육적 측면에서 빠른 시일 내에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다. 교육과정 개정은 더 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장기적인 계획으로, 면밀한 교육현장 조사와 사회 각계의 의견 수렴은 물론 전문가자문을 심도 있게 구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창의융합형 인재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특징적 수학 과목을 개발하는 방안도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to analyze it in detail comparatively with the previous 2009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examine controversial issues that arose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opinion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Also the author suggests a few methods of improvements for future revision of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conclusion there are no changes that could be called an integrated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rac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ts primary characteristics are seeking the load alleviation for students by reducing the learning content and providing evaluation guidelines,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elective course system in that the High School Geometry is classified as an elective career course. Many controversial issues have arisen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cluding the issues of the study load alleviation, the elective career course system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identities of the newly created courses and methods to settle them, and the absence of the linkage plan to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he task of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long-term plans and comprehensive field research in school classrooms along the process of requesting experts advice in-depth.

      • KCI등재후보

        중등 대안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기영(Sung, Ki Young),노석준(Seak-Zoon Roh)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교육연구 Vol.45 No.-

        본 연구는 중등 대안학교들을 대상으로 대안학교 컴퓨터교육 여건에 대한 인식도,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일반학교 컴퓨터교육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중등 대안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등 대안학교 학생 552명(총 11개교)과 교사 30명(총 30개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재구성한 학생용과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대안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 여건은 재정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그 특성을 살리지 못한 채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외부적 지원이 전혀 없는 비인가학교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 교과의 편성?운영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중등 대안학교들이 컴퓨터교육을 주당 1시간 정도밖에 실시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학생과 교사 모두 현행 컴퓨터교육에 있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시대에 알맞은 교육내용과 미흡한 컴퓨터 교과교재 개선’을 꼽았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준별 교육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현행 컴퓨터교육 교과내용은 이러한 요구를 충분히 수용하고 있지 못하며, 교육내용 간의 연계성도 부족한 것으로 인식했다. 컴퓨터교육의 교수방법 및 평가 측면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며, 정보통신 윤리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현행 컴퓨터교육은 이를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간략히 제시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secondary alternative schools, and to propose some solutions to improve computer education in i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o achieve these goals,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34 items for students and 33 items for teachers) was conducted in the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11 schools for students' survey and 30 schools for teachers' survey, including some of unauthorized schools), which considered having relatively good conditions and located in Seoul, Kyeonggi, and Incheon area(including some of Gangwon,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The survey was also conducted from September 16, 2008 to October 10, 2008.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552 from students, 30 from teachers), frequency, cross-tab and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12.0K vers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most alternative schools had very poor educational conditions for computer training due to their financial problems, and those problems were more serious in the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than the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Second, the problems related to contents selection and processes of the class were still existed without improvement although many researchers were continuously pointed out. in addition, it was appeared that the texts using for education were unable to respond to the technical environment rapidly changing.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regarding education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between secondary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and unauthorized ones. That is, the education level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n the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was not so good, compared to the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Based upon the research results, several recommended solutions were suggested: providing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customized for alternative schools, and manag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dedicated computer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의 개정과 교과서 구성 방안 탐색

        신재한(Shin, Jae-H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교육연구 Vol.44 No.-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제 7차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특징을 먼저 살펴보고, 그에 따른 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운영실태, 국어 교과서의 구성 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국어 교육과정 개정 방향과 국어 교과서 구성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국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에 개선 방안을 제시함은 물론,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아무리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라 할지라도,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적용되어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첫째, 교사는 국어 교과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안목과 식견이 있어야 한다. 둘째, 텍스트 위주의 교과서가 아닌 동영상, 소리, 그림, 사진 등이 포함된 멀티미디어식 전자교과서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유⋅초⋅중⋅고등학교의 실질적인 국어 교육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은 현 실정에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이 중복되지 않고, 위계성에 벗어나지 않도록 국어 교육과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과정 및 교과서 운영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을 수정⋅보완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교육과정 개정이 아닌, 상시적인 교육과정 개정⋅운영이 필요하다. The study presented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Seven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ubjects for the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problems & operational state and composition system respective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aimed to suggest efficient and desirable revision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omposition methods of the textbooks and to provide some concrete improvement measure for the areas and concerned implications. However efficient and desirable curriculums and textbooks may be, their educational goals will not be attained unless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et first; first, the teacher should have the eyes and insight to reorganiz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Second, they should introduce multimedia-based electronic textbooks containing moving images, sound, pictures, and photos beyond text-based ones. Third, it's a sad fact that there are no connections found among the practic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rom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o middle and high school. The curriculum must be revised so that the contents won't be overlapped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escape the intended hierarchy. Fourth, the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all the time rather than once in a while to identify, correct, and supplement the problems with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간 연계교육과정의 운영방향과제

        임국택(Gook-taek L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4 교육연구 Vol.39 No.-

        본 논문은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서 각급학교간의 연계교육과정의 운영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각급학교, 대학간 연계교육과정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면 좀 더 다양하고 세분화된 기초 분야에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문적 호기심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we are going into the entirely different age from before in educational system very swiftly, through the present educational system has contributed to bringing up human power needed and suited for industrial society. From now on, the future of a country will rest on the capacity that educational system can lead and prepare next generation for the coming days. Before planning educational system, we should grasp the traits of school and school system to properly prepare students for a knowledge-based society. Up to now, we have confined students to enter school, complete the given curriculum, attend school during the given period, be promoted to the next school year automatically without a particular point, be graduated.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we should consider students in the entirely different context from before.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means that of responding to the demand of learners being educated, not that of responding to the order of learners reluctantly. In the above sentence, the 'demand' is anything to be demanded and satisfied by learners objectively, not subjectively. As you know the present condition of organization of the 7th elective-centered curriculum, high schools don't establish all the courses that students and their parents hope to complete. Therefore, we suggest that various courses or subjects should be set up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linked curriculum between high schools and colleges(universitie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linked curriculum, we will be able to solve part of problems which derive from the restricted present condition in each school. In the future, education policy is to enlarge the autonomy of organizing curriculum in each school and freely selecting courses or subjects by learners properly and gradually according to the intent of the 7th curriculum. In order to do this, we should search for various methods including the adjustment of demand and supply of the restricted teachers, improvement of facilities in each school, methods of electing teachers and students, the limited license for teaching in the high school, the linked curriculum between school and colleges(universities), etc.

      • KCI등재

        다매체 시대의 다문화 교육 연구* - 2011 개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명석(Kim, Myung-seok)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9 No.-

        이 연구는 다매체 시대의 다문화 교육이 국어 교과에서 어떻게 이루어 지고,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현행 2011 개정 교육과정 국어 교과 교과서 매체 관련 소단원에 수록된 다문화 관련 제재와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다매체에 익숙한 학습자 특성을 감안해 영화 <달리는 차은>와 <이빨 두 개>, 뮤지컬 <빨래> 대본을 중심으로 제재 및 학습활동 분석을 시도하였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달리는 차은>은 육상 선수가 꿈인 여중생 차은이 필리핀 출신 새엄마와의 갈등을 극복해가는 이야기로서 다문화 가족의 소통과 성장을 다룬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이빨 두 개>는 사춘기 청소년 사이에 벌어지는 사건을 통해 새터민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인식과 새터민의 사회 적응 문제를 다룬 다. 두 작품 모두 사회적 소수자의 문제를 인식하고, 우리가 지향해야 할올바른 공동체 문화를 생각해 보는 제재이다. 창작 뮤지컬 <빨래> 역시 다문화 시대의 일과 사랑을 다루면서 바람직한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서민들의 연대를 대안으로 제시하는 작품으로 교육적 가치가 있다.다문화 교육은 ‘대상’의 문제가 아니라 ‘시각’의 문제이다. 따라서 다문화 교육의 핵심은 우리 안의 타자를 통해 우리 사회의 감춰진 모습을 보여주고, 다문화 가족이나 이주노동자뿐만 아니라 사회적 소수자들이 타자가 아닌 우리의 일부이자 주체임을 확인 하는 데서 방향성을 찾아야 한다. 다문화 관련 성취 기준을 배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국어 교과 에서 다문화 교육의 위상은 후퇴할 위기에 있다. 열린 교과서관에 의한 다양한 다매체 교수학습자료 수용과 학생 자신들의 다매체 제작 실습은 다문화 교육의 불투명한 미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multicultural education in multimedia age can be achiev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multI-cultural sanc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contained in the media units of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A running girl Chaeun deals with the communication and growth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girl dreaming runner overcomes conflicts with the Filipino stepmam. Two teeth deals with the perception and the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events occurring between the aged and the aged. The musical Bballae( laundry) also deal with the work and love of the multicultural era. It is educational value that presents the solidarity of ordinary people as an alternative to achieving desirable communities.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a matter of target but viewpoint . The key to multi-cultural education shows the hidden self in our society through the others in us. Furthermore, we should seek direction in identifying not only a multicultural family or migrant worker but also a social minority, ourselves as a part of us and not as others. The textbook should contain a selection of works that reflect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issues, and suggest alternatives to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 KCI등재

        중등학교 한문과 교육의 현황과 과제

        류준경(Junkyung Ryu)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7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and issues of Chinese classics in secondary school education after enforcement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offering Chinese classics courses decreased by 5% in 2011 and decreased by 16% in 2012.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classes decreased by 7.5% and by 12.5% and the number of students decreased by 42.7% and 42.6%. In spite of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classes, and students in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e amount of Chinese classics-teachers in middle school almost never changed. So I’m sure that a lot of Chinese classics-teachers are teaching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e status of Chinese classics course in high schools has declined much more than in middle schools. The number of Chinese classics-teachers in high school decreased by 12% in 2012. This is the second highest decreasing proportion in all the high school courses. These changes are caused by the focused course-taking policy. In the end Chinese classics subject had taken the brunt of the focused course-taking policy. To normalize Chinese class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the policy support is necessary. For example, restriction of semester hours of major subjects in entrance exam policy will be good for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본 논문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실시에 따라 한문과 교육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검토하고, 그 결과 한문과 교육의 과제는 무엇인가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연구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실시 이후 중학교 한문 선택 학교수가 2011년에 5.0% 감소하더니, 2012년에 16% 감소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같은 기간 학급수 및 학생수 역시 7.5%, 12.5% 감소와 42.7%, 42.6%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기간 한문교원의 숫자의 변하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많은 한문 교원이 창의적 체험 활동을 담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등학교의 경우, 한문과의 위상이 크게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문교원수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2012년에 한문교원의 수가 12%나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필수지정이 해제된 기술ㆍ과정 교원수 다음으로 높은 감소 비율이었고, 단위 숫자로도 기술ㆍ과정 다음이어서, 현재 고등학교 학교 교육에서 한문과의 위상이 크게 추락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게 된 것은 ‘집중이수제’가 원인이었으며, 왜곡된 교육현실을 야기한 집중이수제로 인하여 다른 어떤 과목보다 한문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현실에서 학교 교육 및 한문과 교육 정상화를 위해 주요 과목에 대한 최대 이수단위수 제한, 대학 입시에서 ‘비주요과목’의 성적이 반영되도록 하는 전형개발, 한문과 정체성에 맞는 교과영역의 재지정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메타버스 기반 스포츠 모바일게임 체험교육이 중학생의 소비 컨텐츠에 미치는 영향: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선정,금동훈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8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ith an interaction of a relationship of purchase intention and metaverse-based sports mobile games as a paramet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etaverse-based sports mobile game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convenience sampling and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metaverse-based sports mobile game experience. The two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metaversebased sports mobile games partially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 Entertaining, educational, and escapist experienc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while aesthetic experience has no influence.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metaverse-based sports mobile games and purchase intention plays a role of a partial mediation. Thus, this study address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suggest a strategy of revitalizing effective metaverse-based sports mobile games and develop high quality contents. 본 연구목적은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스포츠 모바일게임 체험교육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메타버스 기반 스포츠 모바일게임 체험교육과 소비컨텐츠와의 관계에서 상호작용을 매개변수로 한 각 변인간 실증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메타버스 기반 스포츠 모바일게임의 체험교육별 인과관계와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연구결과는 첫째, 메타버스 기반 스포츠 모바일게임 체험교육은 구매의도에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학습적 오락적 체험교육, 교육적 체험교육, 회피적 체험교육은 소비컨텐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버스기반 스포츠 모바일게임 체험교육과 소비컨텐츠 간 상호작용은 매개 역할을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메타버스 기반 스포츠 모바일게임체험교육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고 양질의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