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보리와 유채 혼파 비율에 따른 수량성 및 사료가치

        조광민,신상현,김경훈,박철수,허무룡,우선희,박종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6

        To develop barley and rape mixed-sowing cultivation technology for extension of whole crop forage production, we investigated the appropriate mixing rate and the harvest stage. The highest growth and yield were obtained when the seeding rate of barley 80% and rape 20% was carried out. Total dry-mass yield increased 11% in this treatment and protein content increased about 0.3∼0.6% in mixed treatments comparing to barley single seeding. In qualitative analysis of silage, also barley 90% or 80% and rape 10% or 20% mixed seeding were better than barley single seeding condition. Three barley maturing stages, milky, dough and yellow ripe, were tested to find out proper harvest time to increase the yield and forage quality in case of barley and rape mixed cultivation condition, Barley and rape culm length was higher in dough stage than other milky and yellow ripe stages. The dry-mass yield was better in dough and yellow ripe stages and it was same both barley and rape. The yield was dramatically decreased in milky stage. In feed value examination,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milky and yellow ripe stages than dough stage, however, TDN was better in dough stage. These growth, yield and feed value results were same both treatments barley 80%/70% and rape 20%/30% conditions. 혼파 비율에 따른 청보리와 유채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청보리와 유채를 8:2 비율로 처리했을때 생육과 수량성이 우수하였다. 생체중은 청보리 단파에 비해 청보리와 유채 8:2 비율에서 11%로서 가장 높은 증수율을 나타내었다. 청보리와 유채 혼파에 따른 사일리지 제조 전 사료가치를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은 청보리 단파에서 6.0%를 보였으나 혼파 처리에서는 단파에 비해 0.5∼0.7%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10a 당 가소화 양분 총량(TDN)을 조사한 결과 청보리 단파의 678kg/10a에 비해 9:1과 8:2 처리에서 725∼728kg으로 단파와 다른 혼파처리에 비해서 사료가치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일리지 제조 후의 혼파 비율에 따른 사료가치 조사에서도 상대적 사료가치(RFV)가 단파에 비해 101∼102로 9:1과 8:2 처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보리와 유채 수확시기별 생육과 수량성을 8:2와 7:3 혼합비율로 청보리 유숙기, 호숙기와 황숙기에 각각 조사하였다. 수확기별 청보리는 건물수량성에서 호숙기에 10a당 약 1.3톤으로 가장 많았다. 유채는 청보리 유숙기와 호숙기에 각각 10a당 약 264kg과 244kg이었고, 건물중은 청보리와 유채 모두 청보리의 호숙기와 황숙기에 4.9kg와 4.4kg으로 비슷하였다. 수확시기에 따른 품질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은 유숙기와 황숙기에 7.4∼7.7%로 우수하였다. TDN은 호숙기에 71.4%로 유숙기와 황숙기의 약 68∼70%에 비해 우수하였다. 다른 혼파비율인 7:3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파시 호숙기경의 수확이 품질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보여 청보리는 호숙기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단위가축영양 : 유색보리 및 청보리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의 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송태화 ( Tae Hwa Song ),한옥규 ( Ouk Kyu Han ),박태일 ( Tae Il Park ),박기훈 ( Ki Hun Park ),김기종 ( Kee Jong Kim ),윤명자 ( Myong Ja Yoon ),정용대 ( Yong Dae Jeong ),류경선 ( Kyeong Seon Ryu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2

        이 연구는 산란계 사료원료로 유색보리와 청보리를 급여시에 생산성, 계란품질, 혈액성상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유색보리와 청보리를 각각 0, 5, 10, 15% 수준으로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공시동물은 35주령 닉브라운 산란계 280수로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8수씩 개체별로 수용하여 4주간 진행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물과 함께 무제한으로 급여하였으며, 1일 16시간 점등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계에서 유색보리와 청보리는 각각 10%와 5% 급여수준에서 산란율이 극대화되었으며, 사료섭취량은 청보리 급여구에서 대조구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지만(P<0.05), 사료요구율은 보리 급여구와 대조구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난황색은 보리 급여구에서 높았으며, 난각강도는 차이가 없었고 호유닛은 청보리 급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난황에서 포화지방산 함량은 청보리 15% 급여구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P<0.05). 유색과 청보리 급여구에서 혈중 단백질, 알부민,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보리 급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지만 청보리 급여구에서 총콜레스테롤과 HDL은 급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실험 결과 유색보리와 청보리는 산란계 사료원료로서 15%까지 혼합 급여시에 대조구와 생산 및 계란의 품질에 차이가 없었으므로 사료원료로서 이용이 가능하였지만, 더욱 높은 급여수준에 대한 추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colored barley(CB) and whole crop barley(WCB)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of laying hens. A total of 280, 35 weeks old Brown Nick laying hens were allocated into the individual cage for the period of four weeks.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2,750kcal/kg ME and 16% CP, respectively. The treatments consisted of 5, 10, 15% CB and WCB as feed ingredients with control and there were five replications in each treatment. Higher egg production was noticed at 10% level of CB and 5% level of WCB in the diets, respectively. Feed intake was higher in WCB and CB treatment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P<0.05), but the feed conversion was not different. Yolk color tended to increase both in WCB and CB groups. Haugh unit seemed to increase WCB treatments. When the CB and WCB were fed at 15% level, blood total proteins, albumi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were de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birds, but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tended to be higher with the increasing level of WCB. A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with different levels of dietary WCB and CB. Thus, CB and WCB can be substituted as a feed ingredient up to 15% level in the laying hens`` diet.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by feeding more than 15% levels of CB and WCB in the diet of laying hens.

      • 라이시미터 연구 : 청보리 재배시 밭토양 특성에 따른 물수지 비교

        옥정훈(Jung-hun Ok),오부영(Bu-yeong Oh),황선아(Seon-ah Hwang),손정우(Jeong-woo So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밭토양 라이시미터에서 청보리 재배시 토양특성에 따른 물수지를 산정하고 비교하였으며, 생육단계별 물 필요량을 산정하고 평년(1991∼2020) 자료와 비교하였다. 국립농업과학원(전라북도 완주군)에 설치된 라이시미터(UGT, Germany)는 표면적 1 m2, 깊이 1.5 m의 원통코어형으로 설치시 토양구조를 파괴하지 않은 비교란 밭토양이며 물의 증감(강수량, 증발산량, 관개량 등)은 무게 변화(로드셀)로 측정하여 물수지를 산정하였다. 지하유출량은 티핑카운터(tipping counter)로 1시간단위 평균 데이터로 측정하였으며 유거수량은 발생한 물량의 무게를 직접 측정하였다. 기상데이터는 라이시미터 시설 인근에 기상대를 설치하여 시간별 기온과 강수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청보리는 라이시미터 베셀 상부에 표준재배법으로 재배하였으며, 토성은 식질(식양토)과 사양질(사양토)의 처리구로, 물관리는 무관개와 적습관개 처리구를 두어 비교하였다. 실증발산량 분석하여 생육단계별 작물계수를 산정하고 기준증발산량을 반영하여 적정 물 필요량을 산정하였다. 청보리 재배기간(2020.10.∼2021.4.) 동안 물수지 분석 결과, 두 토성간 비교에서 총유입량(강수량+관개량)은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하유출량은 식질(식양토) 처리구에서, 증발산량은 생육이 다소 좋았던 사양질(사양토)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청보리 생육단계별(유묘기-분얼기-생육재생기-신장기-등숙기)의 작물계수는 0.80-1.00-1.00-1.30-1.17로 산정되었으며 총 물 필요량은 평년 319.5 mm, 2020∼2021년 348.9 mm로 산정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청보리 작물계수 및 물 필요량 산정값은 1년간의 연구결과로 다년간의 반복적인 시험을 통하여 보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청보리 생산량의 기후요인 분석을 위한 베이지안 구조방정식 모형

        김문주,전민희,성경일,김영주,Kim, Moonju,Jeon, Minhee,Sung, Kyung-Il,Kim, Young-Ju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2

        Whole Crop Barley (WCB) is a representative self-sufficient winter annual forage crop, along with Italian Ryegrass (IRG), in Korea.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ath relationship between WCB yield and climate factors such as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unshine duration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 Bayesian approach was conside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mall WCB sample size. As prior distribution of parameters in Bayesian method,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the posterior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WCB, and the posterior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IRG (which is the most popular winter crop) were used. Also, Heywood case correction in prior distribution was considered to obtain the posterior distribution of parameters; in addition, the best prior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winter crops was identified. In our analysis, we found that the best prior was set by using the result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IRG with Heywood case correction. This result can provide an alternative for research on forage crops that have hard to collect sample data. 청보리는 국내에서 자급자족되는 중요한 동계 풀사료이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온도, 강수 및 일조시간과 관련 있는 기후요인이 청보리의 생산량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청보리의 소표본 자료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베이지안 구조방정식 방법을 사용하였다. 베이지안 방법의 사전분포로 표준정규분포, 청보리 자료의 빈도론적 구조방정식 결과와 가장 대중적인 동계 풀사료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빈도론적 구조방정식 결과를 이용하였다. 또한, 사전분포의 헤이우드 케이스 수정을 하지 않은 경우와 수정한 경우에 대하여 구한 사후분포의 결과를 비교하여 동계작물의 생육특성과 잘 부합하는 사전분포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사전분포의 헤이우드 케이스를 수정하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빈도론적 구조방정식 결과를 사전분포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베이지안 접근법을 통해 표본 수집이 어려운 풀사료 연구에 좋은 제안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유채와 경관식물 혼합파종이 유채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김세훈,손수인,박기웅,이훈복,김윤하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genetically modified (GM) rape population in which already GM rape is introduced and spread out, using the cultivation of alternative crops. Number of germinated rapeseeds 14 days after planting (DA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apeseed planting alone and mixed planting of rapeseed and landscape plants such as rye, green barley, hairy vetch and buckwheat. However, number of rapeseed 28 DAP and 56 DA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ixed planting of rapeseed and landscape plants as compared to rapeseed planting alone. It has been shown to b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because each P-value investigated in 0.0135 and 0.0362 respectively. Number of germinated rapeseed 28 days after planting showed 93.8 in rapeseed planting alone while mixed planting showed 62.5 in rapeseed+rye, 72.5 in rapeseed+green barley, 81.3 in rapeseed+hairy vetch and 73.3 in rapeseed+buckwheat. Thus, number of rapeseed respectively reduced 33.3, 22.7, 13.3, and 21.9% as compared to rapeseed planting alone. Number of rapeseed 56 days after planting was 108.5 in rapeseed planting alone, 62.5 in rapeseed+rye, 83.5 in rapeseed+green barley, 95.5 in rapeseed+hairy vetch, and 91 in rapeseed+buckwheat. Therefore, number of rapeseed showed 42.4, 23.0, 12.0, and 16.1% reduction respectively. Based on our results, it was showed that number of rapeseed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mixed planning with Poaceae crops especially, with rye and green barley. 유채 단독 혹은 유채와 경관식물인 호밀, 청보리, 헤어리베치 및 메밀을 각각 혼합하여 파종한 14일 후 발아된 유채의 개체수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28일과 56일 후의 유채 개체수는 유채와 경관식물 혼합파종에서 크게 감소하였고, 통계분석결과도 P-value가 각각 0.0135와 0.0362로 통계적 유의성도 인정되었다. 파종 28일 후 발아된 유체 개체수는 유채 단독 파종 시 93.8개, 유채+호밀에서 62.5개, 유채+청보리에서 72.5개, 유채+헤어리베치에서 81.3개 및 유채+메밀에서 73.3개로 유채 단독 파종 대비 각각 33.3%, 22.7%, 13.3%, 21.9% 감소되었다. 파종 56일 후의 유체 개체수는 유채단독 파종에서 108.5개, 유채+호밀에서 62.5개, 유채+청보리에서 83.5개, 유채+헤어리베치에서 95.5개, 유채+메밀에서 91개로 조사되어 각각 42.4, 23.0, 12.0, 16.1%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채의 개체수는 화본과 작물인 호밀과 청보리와의 혼합파종에서 가장 뚜렷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04 포스터 발표 : 자연생태 환경 분야(PN) ; PN-02 : 볏짚을 수거한 논에서 퇴액비 이용 동계사료작물 재배시 조사료 생산량 증수효과

        안인 ( In Ahn ),이인애 ( In Ae Lee ),윤성근 ( Seong Kun Yun ),김기용 ( Ki Yong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우리나라는 논, 밭, 간척지, 산지 등 여러 유형의 조사료 생산기반이 있으나, 그 중에서 논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국 답리작 재배가능 논 면적은 약 612천 ha에 달한다. 또한 중부지역의 벼 재배면적 51만 7,800 ha의 70 %인 36만 2,500 ha는 논에서 재배가 가능하며, 논 재배 가능한 논의 50 %만 조사료를 재배할 경우 18만 1천ha의 면적에 조사료를 재배할 수 있다. 전국 평균 ha당 사일리지 25톤을 생산한다고 볼 때 약 450만 톤의 조사료 생산이 가능하다(‘14 축산과학원). 한편 논에서 벼+조사료 생산 작부체계에서 볏짚의 수거로 논토양의 유기물 함량 감소 및쌀 품질저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볏짚 수탈농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답리작 조사료 생산을 위해 논토양 유기물의 관리 및 쌀 품질 저하 방지기술 개발과 가축분뇨 해양투기 금지에 따른 가축분뇨의 토양환원을 확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계 조사료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품종: 코윈어리), 청보리(품종: 영양보리), 호밀(수입종)을 구당 280 ㎡로 하여 처리구는 액비처리구, 퇴비처리구 및 화학비료처리구를 두어 무시비구와 비교하기 위하여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명당리 소재 볏짚을 수거한 논포장에서 재배시험을 실시하였다. 파종은 전년도 9월 30일에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입모중으로 파종하고 호밀과 청보리는 벼 수확후 10월 15일 산파하였다. 시비량은 국립농업과학원의 처리구별 작물별 시비처방에 따라 해당량을 시비하였다. 수량조사는 2015년 5월 10일 모내기 직전 지상부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구당 0.12㎡(0.2 m×0.2 m×3) 내의 지상부 생체중을 조사하여 수분함량을 제외한 10 a당 건물중으로 환산하였다. 조사 결과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수량(건물중 kg/ha, 수분 66.9%)은 돈분액비 처리구 11,236> 화학비료처리구 10,763> 돈분퇴비처리구 9,924> 무시비구 7,197 순으로 화학비료(100)대비 지수는 돈분액비 104> 돈분퇴비 92> 무시비구 67로 차이가 컷다. 청보리 수량(건물중 kg/ha, 수분 70.0%)은 화학비료 7,197(지수 100)> 돈분액비 7,672(97)> 돈분퇴비 7,412(94)>무시비구 4,814(61) 순 이었다. 호밀 수량(건물중 kg/ha, 수분 66.1%)은 화학비료 9,551(지수 100)> 돈분액비 8,946(94)> 돈분퇴비 8,611(90)> 무시비구 5,707(60)을 나타 내었다. 돈분액비가 가장 증수효과가 컷는데 이는 봄철 가뭄으로 액비의 수분공급 효과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위 조사결과로 볼 때 처리구간 차이는 있었지만 중부지역 논에서 돈분 퇴액비를 이용한 동계 조사료 재배시 볏짚수탈에 따른 양분공급을 퇴액비로 보충한다면 충분히 경제적인 조사료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년차 시험결과이므로 향후 계속시험을 통하여 안정적 조사료 안정생산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가축분뇨를 이용한 논토양의 유기물 증진을 통하여 고품질 쌀을 생산하고 답리작으로 동계 사료작물을 생산 축산농가의 조사료 공급을 확대하므로서 축산농가의 분뇨처리 애로를 해소하는 한편 경종농가 소득도 향상할 수 있는 친환경 경축순환농업을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중부지방 볏짚수거 논에서 동계사료작물 재배시 조사료 종류별 돈분액비 이용효과

        안인 ( In Ahn ),이인애 ( In-ae Lee ),윤성근 ( Seong-kun Yun ),김기용 ( Ki-yong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우리나라 2015년말 조사료 수급현황을 보면 국내생산이 4,476천톤이고, 수입이 1,050천톤으로 자급율은 81%에 머물고 있다. 국내 조사료 생산량중 목초가 246천톤(35천ha), 볏짚이 2,231천톤, 사료작물 1,999천톤(206천ha)이다. 이중 동계사료작물이 1443천톤(166천ha)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있다. 초지가 38천ha 이고 논 . 밭이 259천ha로서 논토양중 답리작으로 사료작물 재배가 가능한 논면적만도 612천ha에 달한다(‘16.3 농식품부). 특히 중부지역의 벼 재배면적 51만 7,800ha의 70%인 36만 2,500ha는 논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이중 50%만 조사료를 재배할 경우 18만 1천ha 면적에 조사료를 재배할 수 있으며, ha당 약 450만 톤의 조사료 생산이 가능하다(‘15 국립축산과학원) 정부는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을 위해 2016년부터 경종농가에 종자 국비보조율 상향(30→60%), 퇴액비(60만원/ha) 무상지원, 사일리지제조비 지급기준 개선 및 동계 논에 사료작물 재배시 밭직불금(50만원/ha) 지원 등 친환경 축산종합대책을 마련하여 2017년까지 조사료 자급률을 80%에서 90%로, 재배면적을 297천ha에서 370천ha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경종농가가 동계 사료작물 재배를 희망할 경우 시군 농축협, 액비유통센터, 조사료 경영체 등과 연계하여 종자, 액비 살포 및 파종 수확 유통까지 논스톱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그러나 중부지방에서는 겨울철 사료작물로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또는 호밀 재배 후 수확기가 벼이앙기와 근접하여 경종농가가 동계 조사료 재배를 기피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개발한 IRG 품종을 벼 수확전에 입모중 파종하여 조기수확으로 벼 이앙시기 문제를 해결 경종농가 참여를 활성화 하므로서 동계 조사료 재배를 확산할 필요가 있다. 한편 우리나라 논토양에 지속적인 유기물 함량의 감소가 문제시 되고 있어 논토양내 유기물 증진을 위해 다양한 유기물 자원 활용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논토양의 평균 유기물함량은 관리목표 이내이나 전체 논의 51%가 관리목표 이하의 논으로 유기물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조사료 이용을 위한 볏짚 수거에 있다(농업환경변동조사 ’11). 벼 + 조사료 생산 작부체계에서 볏짚의 수거로 논토양의 유기물 함량 감소 및 쌀 품질저하 문제 등 볏짚 수탈농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안정적인 답리작 조사료 생산을 위해 퇴액비를 이용한 논토양 유기물보전기술 개발과 가축분뇨의 농토 환원을 확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료와 방법으로 동계 조사료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품종: 코윈어리), 청보리(품종: 영양보리), 호밀(수입종)을 구당 280 ㎡로 하여 처리구는 액비처리구, 퇴비처리구 및 화학비료처리구를 두어무시비구와 비교하기 위하여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명당리 소재 볏짚을 수거한 논포장에서 재배시험을 실시 하였다. 파종은 전년도 9월 22일에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입모중으로 파종하고, 호밀과 청보리는 벼 수확후 10월10일 산파하였다. 시비량은 국립농업과학원의 처리구별 작물별 시비처방에 따라 해당량을 시비하였다. 수량조사는 2015년 5월 10일 모내기 직전 지상부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구당 0.12 ㎡(0.2 m×0.2 m×3) 내의 지상부 생체중을 조사하여 수분함량을 제외한 10 a당 건물중으로 환산하였다. 주요 조사결과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수량(건물중 kg/ha, 수분 68.9%)은 돈분액비 처리구 12,332> 화학비료처리구 11,966> 돈분퇴비처리구 11,524> 무시비구 8,198 순으로 화학비료대비 지수는 돈분액비 103> 돈분퇴비 96> 무시비구 69로 처리구와 무시비구간 차이가 컷다. 청보리 수량(건물중 kg/ha, 수분 70.0%)은 화학비료 8,300(지수 100)> 돈분액비 8250(97)> 돈분퇴비 8,412(94)> 무시비구 5,814(61) 순 이었다. 호밀 수량(건물중 kg/ha, 수분 66.1%)은 화학비료 9,551(지수 100)> 돈 분액비 8,946(94)>돈분퇴비 8,611(90)> 무시비구 5,707(60)을 나타 내었다. 돈분액비가 가장 증수효과가 컷는데 이는 봄철 가뭄으로 액비의 수분공급 효과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위 조사결과로 볼 때 처리구간 차이는 있었지만 중부지역 논에서 돈분 퇴액비를 이용한 동계 조사료 재배시 볏짚 수탈에 따른 양분공급을 퇴액비로 보충한다면 충분히 경제적인 조사료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년차 시험결과이므로 향후 계속시험을 통하여 안정적 조사료 안정생산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가축분뇨를 이용한 논토양의 유기물 증진을 통하여 고품질 쌀을 생산하고 답리작으로 동계 사료작물을 생산 축산농가의 조사료 공급을 확대하므로서 축산농가의 분뇨처리 애로를 해소하는 한편 경종농가 소득도 향상할 수 있는 친환경 경축순환농업을 실천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간척농지 청보리 재배에 따른 토양 내 질소 및 인 농도변화 분석

        송인홍 ( Inhong Song ),이경도 ( Kyong-do Lee ),강문성 ( Moon-seong Kang ),최진용 ( Jin-yong Choi ),장정렬 ( Jeong-ryeol Ja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새만금 간척사업을 통해 광활한 내부용지가 조성 중이고 상당부분을 농경지가 차지하고 있다. 간척농지의 경우 염분 농도가 높아 대부분 도수작으로 이용되어 왔다. 최근 간척농지의 이용을 다양화 하고 농가소득을 증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부가가치 밭작물 도입하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이로 인한 농경지 토양에서의 비료성분 농도변화 및 배출기작의 구명을 통하여 비점부하 저감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0년 11월에서 2011년 5월 동절기를 통해 새만금 간석지에 조성된 밭 포장에서 청보리를 재배하고 토양에서의 영양물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화학비료, 축분, 무처리의 3개 비종처리에 따른 토양 영양물질 농도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표토와 심토를 월 1회 샘플링하고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토양수를 통한 영양물질 손실을 살펴보기 위해 3개 깊이의 토층에서 유공컵을 이용하여 월 1회 토양수 시료를 추출하고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다. 비료의 작물에 의한 이용효율을 살펴보기 위해 수확한 작물체의 건조중량 및 영양물질 함량도 분석하였다. 토양의 질소와 인 농도는 화학비료 및 축분 처리구의 표층에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한 반면, 심토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화학비료 처리구에서는 질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축분처리구는 인의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에서는 축분처리구가 화학비료 처리구에 비해 질소 농도가 높고 인의 농도가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간척토양은 양분흡착능이 낮아 인의 토양 흡착이 낮다. 본 연구에서는 축분 처리시 토양 유기물 농도를 증가시키고 이는 토양의 양분 흡착능을 증가시켜 토양수에서의 인의 농도가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고창 청보리테마파크 조성 기본계획

        안득수,강상희,정나라,최가희,최영호,윤시미,임근홍,이패기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5 No.2

        본 계획은 고창의 경관농업을 특화시키고 사계절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학원농장에 청보리테마파크를 계획하는 것이다. 대상지는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692,000㎡이다. 본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입지환경, 자연환경, 인문환경 분석을 토대로 기본구상안을 도출하고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본 계획은 대상지의 전국적인 지명도를 활용한 장소마케팅을 강화하고 연중방문객을 고려한 시설을 도입하였다. 축제방문객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유사테마파크와 차별화되면서 매력도가 높은 활동 및 시설을도입하여 계획하였다. 또한 다양한 경관농업을 소재로 사계절 축제를 개최하고 프로그램도 축제기간프로그램과 연중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lan is to improve Green Barley Theme Park in the Hagwon Farmland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specializing the landscape agriculture in Gochang and by holding four-season festivals. The park is located in Gongeum-myeon, Gochang-gun and it covers an area of 692,000㎡. Before making the main plan, a basic plan was mad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local,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In the primary plan, the ideas to strengthen local marketing by utilizing national recognition and the plan for facilities for tourists visiting throughout the year hae been included. It also contains a plan to establish an infra-structure which will increase visitors' satisfaction and plans to introduce more attractive and distinct activities and facilities than other similar theme parks. In addition, we have planned many year-round festivals based on the diverse landscape agriculture, dividing programs into festival programs and year-round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