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증진을 위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교사코칭프로그램 효과

        김순천 한국영유아보육교육학회 2018 영유아보육교육연구 Vol.2 No.1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교사코칭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육교사가 자기인식을 높여 직무수행 능력을 증진시키고, 보육교사로서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충남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40명이며 비전에니어 교사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20명을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보육교사 20명을 통제 집단으로 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모두에게 직무수행태도, 직무 수행능력, 직무수행개발능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를 마친 후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교사코칭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교사코칭프로그램은 보육교사의 직무수행태도(p<.05), 직무수행능력(p<.01), 직무수행개발능력 (p<.01)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job skill by raising self-consciousnes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developing childcare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helps self-improvement for childcare teacher by studying the effect of vision enneagram teacher coaching program (VETCP). The 20 teachers who joined the VETCP as childcare teachers in Chungnam are chosen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20 teachers who did not participate the program a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he pretest was given to all 40 teachers to measure the attitude, the ability and the developing skill of their duty. After the pretest, the experimental group joined the VETCP.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VETCP helps the teachers to improve their jod performance attitude(p<.05), jod performance competency(p<.01) and jod performance developing skill(p<.01) of their duty.

      • KCI등재

        직무수행과 관련한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문화성향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

        김지은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조직에서 업무 수행의 결과는 개인의 성향과 그가 일하는 조직의 특성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이를 기초로 학교조직에서 교사의 성향과 학교조직문화의 일치성이 교사의 직무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교사들이 인식하는 자신이 속한 학교문화와 자신의 문화성향 및 직무수행에 대한 분석 결과, 교사들은 현재 학교조직문화가 보존적 문화의 속성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교사 자신들은 개인주의 성향보다는 집단주의 성향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직무수행수준에 대해서는 상당히 긍정적이고 높게 평가하고 있다. 교사개인의 성향에 따라 학교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수행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이원변량분석 해 본 결과, 개인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합리적 문화와 보존적 문화가 강한 곳에서 직무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경우에는 집단주의 성향이 낮은 경우에 비해 학교조직문화수준의 정도에 따른 직무수행에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친화적 문화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보존적 문화에서도 인간관계와 상호작용을 나타냈다. 단편적으로 학교조직문화에 따른 직무수행의 정도에 대한 상관과 회귀분석에서는 보존적 문화는 어떠한 직무수행과도 유의한 상관과 유의값을 보여주지 못했지만, 개인의 문화성향과의 상호작용에 따라서는 보존적 문화 내에서도 직무수행에 효과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지성호(Ji Sung Ho),Lan Lan Kong,강영순(Kang Young So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종사자인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사회지능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의 인과관계, 사회지능의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는 무작위 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부산·울산지역에 소재하는 물리치료사 209명으로부터 획득하였으며, Smart PLS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사회지능은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지능은 직무에 대한 긍정적 평가인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에 대한 긍정적 평가 및 자신의 의해 주도되는 변화 행동에 있어 사회지능의 중요성이 규명되었다.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효과는 사회지능과 역할 내 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이 양자관계를 모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사회지능과 역할 외 수행의 관계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지능이 역할 내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본 연구는 사회지능을 조직행동분야로 확대하여 사회지능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며, 구성원의 직무수행을 촉진하는데 있어 사회지능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oward physical therapists. In detail, we investigate both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and of social intelligence and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Furthermor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a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The total data applied in th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209 physical therapists worked in Ulsan and Pusan, and Smart PLS 3.0 was utiliz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social intelligence is a main cause which affects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Furthermore, importance of social intelligence was demonstrated, because we were able to found that social intelligence facilitates positive attitude for job and proactive behavior.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in-role task performance, whereas not mediated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This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performance in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in-role task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 research area in social intelligence and to adapt soci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lligence when promoting employee’s job performance.

      • KCI등재

        수석교사 직무 수행 실태 분석

        김희규 ( Hee Kyu Kim ),주영효 ( Young Hyeo Joo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수석교사 직무 수행 실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석교사 및 직무 수행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수석교사 직무 수행 실태 분석을 위한 분석준거를 구안하고, 분석준거를 토대로 필수직무와 보조직무 등 16개의 직무 요소로 구성되는 조사 도구를 개발 하였다. 설문 조사는 전국 유·초·중등학교 교원 4,5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석교사 637명, 교장 179명, 교감 172명, 동료교사 485명 등 총 1,473명이 응답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조사 문항별 중요도 및 수행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학교급 및 직위를 중심으로 집단 간 평균 차이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직무 요소별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수석교사의 직무로 제시한 16개 요소 모두 중요도 평균에 비해 수행도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별 중요도와 수행도 평균 차이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평균 차가 유의미한 직무 요소는 교내외 수업 컨설팅, 교내 상담·생활지도 관련 컨설팅, 교외 수업·교과 관련 지원과 관련한 6개 요소이며, 이들 요소에서는 초등학교의 평균이 중·고등학교에 비해 모두 높았다. 셋째, 직위별 중요도와 수행도 평균은 교장과 교사 집단이 교감과 수석교사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A 기법에 따른 수석교사 직무 요소별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전체 16개 직무 요소 가운데 유지나 개선이 필요한 “유지” 및 “집중” 영역과 개선 노력을 지양하거나 우선순위가 낮은 “낮은 우선순위” 및 “과잉노력지양” 영역은 각각 8개(50%) 요소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ob performance of master teachers selected in 2012. After scrutinizing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Master Teacher System, the research constructed analysis criteria of job performance of master teachers. Next, this study developed a survey instrument, which is 16 job elements, by using the analysis criteria. The data was gathered from teachers, vice-principals, principals, and master teachers who worked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More specifically,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s well as 1,131 master teachers from December 15, 2012 to January 4, 2013. The total number of the respondents was 1,473. The research followed two step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irst, we compared group mean differences after testing the master teachers` perception gap o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job; and seco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used to identify attributes that were determina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 16 job elements was lower than the degree of importance; secon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six job elements such as instruction consulting within and out of school, consulting related to advice and guidance within school, and support related to instruction and subject out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s` mean of these elements were higher than the mean of the secondary schools; third, the group mean of principals and teachers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group mean of vice-principals and master teachers; and fourth, the result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shows that the number of the area of “Keep up the Good Work” and “Concentrate Here” was 8 (50%), and the number of the area of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was also 8 (50%).

      • KCI등재

        중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유형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의 관계

        황우원(Woowon Hwang),김주후(Juhu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밝히는 것이다. 또한, 직무수행의 유형은 어떠한지, 직무수행유형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내 중학교에 근무하는 진로진학상담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14명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직무로는 ‘지역사회 및 기관과의 네트워크 관리’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유형은 크게 4개로 군집화 되었다. 군집1은 ‘직무수행정도가 전체적으로 우수한 집단’으로 ‘고수준유형’, 군집2는 ‘지역사회연계에 주력하는 집단’으로 ‘지역사회연계유형’, 군집3은 ‘지역사회연계는 소극적이면서 수업과 상담 등 교내 진로활동에 주력하는 집단’으로 ‘교내활동유형’, 군집4는 ‘직무수행정도가 전체적으로 낮은 집단’으로 ‘저수준유형’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직무수행유형에 따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수행정도가 가장 높은 ‘고수준유형’이 목표 달성정도가 가장 높았고, 직무수행정도가 가장 낮은 ‘저수준유형’이 목표 달성정도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을 유형화시켜 직무수행의 질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유형에 따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f the entire career guidance teachers working at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314 career guidance teachers were used as the final study materi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Second,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were clustered into four types. Type 1 was named ‘high-level type’ group with the excellent job performance overall. Type 2 was named ‘local community networking type’ group focusing on the local community linkage. Type 3 was named ‘school activity type’ group passive in the local community networking and focusing on school career activities such as classes and counseling. Type 4 was named ‘low-level type’ group with the low level of job performance overall. Thir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ypes of job performance. The highest level of achievement was made by the ‘high-level type’ with the highest job performance and the lowest level of achievement was made by the ‘low-level type’ with the lowest job perform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qualitative structure of job performance by stereotyping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found the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job performance.

      • KCI등재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사의 직무 수행 시간 현황과 적정 직무 수행 시간에 대한 연구

        이찬주,이병욱,Lee, Chan-Joo,Lee, Byung-Wook 대한공업교육학회 201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사의 직무 수행 시간 현황과 적정 직무 수행 시간을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와 보통교과 교사의 직무 수행 시간 현황 및 적정 직무 수행 시간을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사의 직무 수행 시간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등단계 직업계고 교사 대상으로 구명된 직무를 바탕으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수행 전체 시간은 2,787.8분이고, 적정 직무 수행 전체 시간은 2,934.7분이며, 직무 수행 시간과 적정 직무 수행 시간 간의 차이는 146.9분으로 나타났다. 직무 영역별 직무 수행 시간은 수업 운영, 교과외 학생지도, 교무 행정 업무, 수업 준비 및 계획 영역 등의 순으로 많게 나타났고, 적정 직무 수행 시간은 수업 운영, 수업 준비 및 계획, 교과외 학생지도, 교무 행정 업무 영역 등의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직무 수행 시간에 비해서 적정 직무 수행 시간이 적은 직무 영역은 수업 운영, 교과외 학생지도, 교무 행정 업무영역이고, 이외 직무 영역에서는 직무 수행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사의 교과(전문교과/보통교과)별 직무 수행시간은 전문교과 교사 2,888.3분, 보통교과 교사 2,536.1분으로 나타났고, 적정 직무수행 시간은 전문교과 교사 3,021.8분, 보통교과 교사 2,716.8분으로 나타났다. 중등단계 직업계고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수행 시간과 적정 직무 수행 시간 간의 차이는 전문교과 교사 133.5분, 보통교과 교사 180.7분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 performance hours and reasonable job performance hour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job performance hours and reasonable hours that have been investigated according to special subject teachers and general subject teachers. Based on Job Specification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the development of research tool was finalized,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research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job performance hours and total reasonable job performance hours perceived by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were found to be 2,787.8 minutes and 2,934.7 minutes respectively with a difference of 146.9 minutes. In regards to the job category-specific job performance hours, they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lesson administration, extracurricular student guidance, school affairs and administrative duties, and lesson preparation and planning, while the reasonable job performance hours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lesson administration, lesson preparation and planning, extracurricular student guidance, and school affairs and administrative duties. As for the job categories with shorter reasonable job performance hours compared to job performance hours, they were found to be lesson administration, extracurricular student guidance, and school affairs and administrative duties. In other job categories, it was found that longer job performance hours are needed. Second, the job performance hours perceived by each subject teacher from other schools, they were found to be 2,888.3 minutes for special subject teachers and 2,536.1 minutes for general subject teachers, while showing 3,021.8 minutes for special subject teachers and 2,716.8 minutes for general subject teachers regarding reasonable job performance hour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job performance hours and reasonable job performance hours perceived by teachers from other schools were found to be 133.5 minutes for special subject teachers and 180.7 minutes for general subject teachers.

      • KCI등재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적응수행 유형에 따른 직무재창조, 직무전문성 및 직무열의 수준 차이 분석

        양인준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2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5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eriving types according to the level of adaptive performance and comparing differences among job crafting, job expertise and job engagement by types perceived by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o this end, response data of 493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were collected. In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type according to the level of adaptive performance, and cross-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job crafting, job expertise and job engagement and factors consisting adaptive performance by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total of four types of adaptive performance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Second, the higher level of recognition for each sub-variable of adaptive performance, the higher recognition level of job crafting, job expertise and job engagement. The academic and practical suggestion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perate systemic support to strengthen adaptive performance for office workers as a par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Second, it is needed to have a lot of empirical research related to adaptive performance with a relatively having a short history to give forward-looking academic implications. 이 연구는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하는 적응수행 수준에 따라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에 따른 직무재창조, 직무전문성 및 직무열의 인식수준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 493명의 응답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적응수행 수준에 따른 세부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했으며, 유형별 적응수행의 하위구인과 직무재창조, 직무전문성 및 직무열의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적응수행 유형은 총 4개(적극적 적응수행형, 소극적 적응수행형, 일반적 적응수행형, 관계중심 적응수행형)로 구분된다. 둘째, 적응수행 하위구인의 인식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은 유형일수록 직무재창조, 직무전문성 및 직무열의 수준이 높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문적 및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의 적응수행 역량 강화를 위해 조직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인적자원개발 및 인적자원관리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상대적으로 짧은 연구 연한을 지닌 적응수행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증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적응수행 후속연구를 위한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반생산적 업무행동 기반의 직무수행 모형 검증

        유영삼,김명소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 기존 연구에서 직무수행의 주요 차원으로 밝혀진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반생산적 업무행동으로 구성된 4개 수행 차원을 통합한 직무수행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2) 통합모형을 기반으로 수행의 G 요인 가능성을 탐색하며, (3) 수행 차원별 차별성을 확인하기 위해 성격 선행변인과 직무효과성 결과변인에서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직군의 국내 직장인 64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모형의 적합도 검증에 앞서 개별 수행 차원의 요인구조를 살펴본 결과, 과업수행은 1요인, 반생산적 업무행동은 개인과 조직 관련 2요인이 도출되었고, 맥락수행과 적응수행은 위계적 구조를 보였다. 즉, 맥락수행은 타인지향(도움 및 협력, 배려 및 예의), 조직지향(조직지지, 규정준수), 성실주도(지속주도, 자기계발)의 3-6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적응수행의 경우, 반응적 적응수행(대처행동, 대인관계 적응, 스트레스 관리)와 주도적 적응수행(창의성, 학습)의 2-5요인 구조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개별 하위요인들로 구성된 4개 차원의 위계적 직무수행 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여, 국내외적으로 적응수행을 포함한 통합모형의 타당성이 최초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균분산추출을 통해 산출한 G요인 설명량이 62.0%로 나타나 직무수행의 G 요인 가능성이 지지되었다. 셋째, 직무수행의 선행변인(HEXACO, 어두운 성격)과 결과변인들(급여, 승진, 직무만족, 직무열의, 직무소진, 이직의도)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결과, 4개 수행 차원들의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 학교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박영주,전주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敎員敎育 Vol.34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readiness, learning agility, job autonomy, an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variables that affe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surveyed 650 primary school teachers from 102 of the 601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626 of those cases were analyzed. Analysis methods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equation, an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Job performance readiness, learning agility, and job autonom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Job performance readiness,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dicated statistically static positive direc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readiness and job autonom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positive indirec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study, teachers' job performance readiness, learning agility and job autonomy were important variabl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Job performance, job autonomy an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were important direct or indirect variables for school organization commitment. Thus, in a changing school environment, in order to foster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for teachers to be involved in school organization, in-service training, consulting aids,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improving teacher leadership should be steadily supported. Furthermore, the teachers were not passive in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actively involved in creating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to empower teachers to express their willingness within school, both the permissive minds of school leaders and social acceptance are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601교 중 102교, 6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62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은 학교조직문화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다. 둘째,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는 학교조직몰입에 정적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은 학교조직문화를 경유하여 학교조직몰입에 정적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이 학교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었고, 또한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는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변화하는 학교조직 환경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는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수과정 제공, 컨설팅 지원, 교사 공동체 학습 문화 형성, 교사 리더십 향상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교사는 학교조직문화에 영향만 받는 수동적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학교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 능동적 위치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특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 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하상근 ( Sang Geun Ha ),김용욱 ( Yong Wook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본 연구는 일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기준 및 특수학교 행정에서 요구하고 있는 직무내용을 분석하여 ‘특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 기준’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요 외국의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미국의 ‘학교 지도자 자격 협의회(ISLLC)``와 영국의 ‘교장의 국가 직무표준(NSH)``은 교장 직무표준을 학교비전(미래 창조), 학교문화와 수업프로그램(교수.학습 선도), 학교관리(학교관리), 학부모와 지역사회와의 협력(자기계발과 협력), 행정가 윤리(책무성), 광범한 상황적 맥락(협동을 통한 공동체 강화) 등 6개의 대영역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최소한의 교육의 질 보장을 강조하고 있었다. 일본은 관리직의 법령 근거에 의해서 교장 직무표준을 법령규정, 교육위원회 위임 사항, 기타 등 3개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구체적인 법령의 준수를 강조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요 외국의 사례에 근거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이 ‘일반학교장 직무수행 기준’을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학생 생활지도 및 지원, 교직원 관리 및 지원, 학교 경영 관리 편성.운영, 학부모.대외 협력 관계 지원, 전문성 신장 및 지원 등 6개의 대영역으로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미국특수아동협의회(CEC)에서는 특수교육의 기초, 학습자의 발달 및 특성, 개별학습의 차이, 수업계획, 평가, 협력, 전문적이고 윤리적인 실천 등 7개의 영역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우리나라 “특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 기준”을 개발하였는데 대영역 10개, 중영역 26개, 직무수행 능력목록 99개로 제시하였다. 이는 앞서 제시한 외국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하고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 부합하는 직무수행능력 기준을 개발하고자 일련의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특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 기준”은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학교장의 양성교육, 임용, 직무연수, 직무수행능력 평가 기준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develop standards for special school principal``s competency by analyzing standards for ordinary school principal``s competency and the contents of job required in the administration of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previous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Interstate School Leader Licensure Consortium(ISLLC) in the U.S, and National Standards for Headteachers (NSH) in the U.K. suggest six large areas - school vision(future creation), school culture and class programs (leading teaching and learning), school management, cooperation with parents and local community (self-development and cooperation), administrator ethics (accountability), and extensive situational context (strengthening the ties of community through cooperation) - in their standard job descriptions for principals and emphasize the guarantee of minimal quality of education. In Japan, standard job descriptions for principals are divided into three areas-laws and regulations, items entrusted to the Education Committee, and miscellaneous-based on law and regulations on management personnel, and emphasize the observance of specific rules. Based on major foreign case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ion has developed ``standards for ordinary school principal``s competency`` in six large areas-curriculum operation and assessment, guidance and support of students`` life, faculty management and support,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to cooperation with parents and community, and specialty enhancement and support. In addition, CEC suggests seven areas-the base of special education, learners``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difference in individual learning, class planning assessment, cooperation, and professional and ethical practice. Based on these researches, we developed "standards for Korean special school principals`` competency" suggesting 10 large areas, 26 sub-areas, and 99 competency items. These standards were developed through consultation with specialists in a way of employing the strong points and correcting the weak points of the foreign standards presented above, and meeting requirements in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of Korea. "The standards for Korean special school principals`` competency"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education, appointment, job training, and competency assessment of special school princip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