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기도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 분석

        이찬주,현수,소준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a system of career education which can offer necessary inform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select vocational high schools suiting to their talent and aptitude. For this, the study formulated research questions: how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could acquire information related with entering high school;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general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ir level of information requirement; real state and effect (level of helping them choose future school) of assistance activity for career education as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For the analysis, the study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survey for 4,459 3rd graders from 627 middle schools at Gyeonggi-do.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ethods of middle school students getting information related with entering high school turned out in the order of internet search (42.0%), consultation with family and friends (25.5%), consultation with teachers (24.0%). While, their methods of getting information related with entering vocational high school turned out in the order of briefing session by vocational high schools (39.4%), field trip to vocational high schools (24.9%), consultation with teacher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15.7%). Seco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five points full marks) of Gyeonggi-do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high school by the type they wished to enter, and the level of information requirement (five points full marks) turned out 3.65 and 3.67 respectively for students who wished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with the difference being 0.02.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that of information requirement turned out 2.92 and 3.25 respectively with the difference being 0.33, for students who wished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s. Third, looking at the real state of participation of Gyeonggi-do middle school students in assistance activities for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79.4% of all students were participating. Activity with high participation ratio out of these turned out to be in the order of PR and guide book (booklet, brochure, etc.) for vocational high schools at 90.3%, briefing session prepar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on visit at 87.8% and video of vocational high school PR and introduction at 85.9%. The level of how these activities helped middle school students choose their high school was 3.45, showing more effect by 0.13 on students wishing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s compared to those wishing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부합한 직업계고 진학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로교육 체계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관련 정보 획득 방법, 일반고 및 직업계고에 대한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진로 선택 도움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개발하여 경기도 소재 중학교 627개교, 3학년 4,45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인터넷 검색(42.0%), 2순위 가족 및 친구와 상담(25.5%), 3순위 선생님과 상담(24.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계고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직업계고 운영 학교(학과)설명회(39.4%), 2순위 직업계고 견학(24.9%), 3순위 직업계고 교사와의 상담(1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경기도 중학생의 진로 희망 유형별 고등학교 이해도(5점 만점)와 정보 필요도(5점 만점)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3.65, 정보 필요도 3.67,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02이고,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2.92, 정보 필요도 3.25,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33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중학생의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참여 실태는 전체 79.4%가 참여하고 있다. 이 중에서 참여 비율이 높은 활동은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서(책자, 브로셔 등) 90.3%, 중학교 교실로 찾아오는 직업계고 학교설명회 87.8%,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 동영상 시청 85.9% 등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활동이 중학생에게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는 정도는 3.45이고, 도움을 주는 정도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에 비해서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에게 0.13만큼 더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무대미술에 미친 라리오노프의 광선주의 영향 -발레뤼스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찬주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5 No.1

        이 연구는 미하일라리오노프가 ‘광선주의 선언문’을 발표한 뒤 발레 뤼스에 합류하여 행한 무대미술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20세기 초 러시아광선주의와 발레 뤼스의 동향으로 나누어 이를 토대로 살펴보고, 라리오노프의 발레 뤼스협력 작품과 발레 뤼스에서의 예술활동을 연구로 진행하였다. 미하일라리오노프(Larionov)가 추구한 광선주의(Rayonism)는 첫째, 러시아의 색채를 느끼게 하는 이미지를 가지고, 무대미술에서 순수하게 빛의 모양으로 추상회화의 영역을 구축하며 과거와 현대의 교차로 같은 역할을 하였다. 둘째, 공간분할에 의해 파편화되면서 겹겹이 싸여진 색채와 선들이 광선에 의해 서로 유기적 작용을 하도록 하였다. 광선주의는 회화는 물론 발레 뤼스를 포함한 어떠한 무대미술 있어서, 이전까지 한 번도 구성된 적이 없던 형태였다. 그의 회화는 단일 평면에 국한하지 않고 ‘직접적인 실천’을 위해 발레 뤼스(Ballets Russes)에서 활동한 결과 그가 추구한 광선주의를 통해 ‘이콘(Icon)’과 ‘루복(Lubok)’, ‘자율적인 형의 기하학적인 모양’ 그리고 ‘과장과 왜곡’은 새로운 무대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에미하일라리오노프는 시대의 선두에 서서 보다 혁신적이고 현대적인 무대를 창출해내며 무대미술을 발달시키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stage design which, in cooperation with Ballets Russes, has been conducted, since Mikhail Larionov announced the ‘Rayonism Declaration’. This thesis investigates early 20th century Russian Rayonism and the tendencies of Ballets Russes separately, with studies concerning Mikhail Larionov’s artistic activities, as well as his cooperative works with Ballets Russes. Rayonism, pursued by Larionov, first assumes the role of the intersection of past and present by constructing an area of abstract painting purely with patterns of light, using images that ignite and awaken to color. Secondly, colors and lines fragmentized and stacked up divided by space are made to organic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by light rays. Rayonism was a form never attempted prior in paintings or any stage design, including that of Ballet Russes. His paintings were not limited to singular planes, but he worked for Ballets Russes to create and achieve ‘direct practices’, finally making a huge contribution to the new stage design with ‘Icon’, ‘Lubok’, ‘Geometric Patterns with Autonomous Forms’ and ‘Exaggeration and Distortion’, through the pursuit of Rayonism. Mikhail Larionov, hence, leading the era, created much innovation and modern stages work, and greatly contributed to developing Stage Design.

      • SCOPUSKCI등재

        고주파대역에서 기판으로 쓰이는 Glass/Ceramics Composite의 소결거동

        이찬주,김형준,최성철 한국세라믹학회 2000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7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ntering behavior, crystallization characteristic of glass-ceramic and optimal sintering condition on the glass/ceramic composite for fabricating substrate of LTCC. Glass/ceramic composite was made from alumina powder and glass frit, which was composed of SiO2-TiO2-RO-PbO/(R: Ba, Sr, Ca), and was sintered for 0, 30, 60minutes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700$^{\circ}C$ to 1000$^{\circ}C$. Properties of frit and glass/ceramic compsoite were analyzed by DTA, XRD, SEM and Network Analyzer and so on. Main sintering mechanism was densification occurred above 730$^{\circ}C$ by viscous flow and crystallization starting about 780$^{\circ}C$ affected sintering also. So viscous flow was affected by sintering temperature, duration time, and creation of crystallization phase etc. From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fabricate glass/ceramic composite by changing sintering temperature and duration time.

      • KCI등재

        한국 고전춤의 개념에 관한 연구

        이찬주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9 No.2

        고전춤은 지역별 민속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되어 이들 춤이 전통춤으로 이동된 배경을 시작으로 서서히 그 자취를 감춰나갔다. 때때로 시대적 흐름은 연구하는 주체가 어떠한 가치를 부여하는가에 따라 다른 개념을 지닌 용어로 바뀌어 사용되기도 한다. 현재 고전춤은 용어의 혼용 속에서 어수선하게 전통춤과 공존하고 있다. 전통춤은 역사성과 시간성에 의한 것으로 전통은 비전통과 나뉘며, 전통에 반(反)하는 개념으로는 혁신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전통춤은 갑오경장(1894)을 기점으로 한 근대성의 개념과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무엇보다 고전춤의 논의를 재고해야하는 이유는 현시대에 이르러 궁중춤의 재구성무와 고전적 가치의 춤이 등장하였고 이들은 개인의 개성을 포괄하여 펼치며 신고전의 기법을 지니며 고전춤을 향한 움직임의 등장으로 우리는 이것을 어떠한 용어로 부를 것에 대한 논의에 서게 되었다. 따라서 고전춤의 성격 규명은 꼭 필요한 만큼 절실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전춤의 의미론적 측면은 충효사상을 바탕으로 예(禮)를 통한 수양에서 배움과 존경을 갖고 수직적 관계로서 질서를 중시한다. 이것은 흠신(欠身)의 의미 속에 있는 마음과 음양오행(陰陽五行)을 통해 덕(德)을 받들어 성실하게 행하는 것으로서 질서를 바로 잡는데 있다. 고전춤은 조화성(harmonity) 속에서 영혼이 중용과 질서를 가져야 한다는 것과 장중한 의식처럼 인간의 욕망을 억제하는 예의규범을 통해 절제를 지녀야하고 이것을 주체하는 향유자의 주도로서 규범성(normality)을 결합시킨 춤으로 만들어졌다. 둘째, 고전춤의 기술적 측면은 정중동의 절제미와 춤의 구조에 드러나는 대칭성 그리고 원기(元氣)를 나타내는 것으로 힘을 모아 끌어 들이는 내부적 힘의 확보를 지닌다. 특히, 나막신을 신고 발을 딛는 것 같은 움직임으로 내딛는 발에 몸무게를 실어 무겁고 느리게 추는 향섭족도(響屧足蹈)와 앞으로 가고 뒤로 후퇴하는 진퇴(進退)의 춤사위, 그리고 이와 더불어 고풍스런 미소의 화전태(花前態)가 주요한 기술적 측면에 포함된다. 이로서 고전춤은 중후하고, 우아하며 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게 추는 춤으로 대칭성과 균형성을 지닌 정형화의 구속력을 지닌다. 이로서 고전춤의 개념은 감성보다는 이성의 요소로서 정연한 ‘형식’을 중요시 하며 균형성을 통한 수평적인 안정된 질서를 추구하여 기존의 질서와 존재를 유지하는 것을 요구한다. 고전춤은 민속춤이 주관성과 개성을 강조한다면, 이와 달리 작품의 객관성에 중점을 두는 춤이다. 특히 고전춤은 ‘과거로부터의 지속성’이 가장 중요하다. 현시대에서 새로운 신고전춤이 등장하며 고전춤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고전춤의 구속력은 형식을 지닌 ‘규칙에 대한 탐구’로서 대중적 동의를 얻을 때 그것을 우리는 고전춤이라 부른다. As the study on regional traditional dances became more active, classical dances slowly lost its identity on the backgrounds of its transformation into traditional dances. Sometimes the historical flow causes some terms with different concepts to be used instead of its original meaning depending on what value is added by the subject being studied. The current term of classical dance coexists in a disordered mix with the term traditional dance. Traditional dance is based on historic and temporal aspect which is divided into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and should be observed with the concept of modernity that began with Gapohgyeongjang (institutional reformation policy in 1895). The reason why we must reconsider the discussion on classical dance is due the emergence of dance with classical reconfiguration and value, which led to the current discussion on what to call the movement of classical dances that hol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o-classical techniques.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the classical dance’s characteristic is as imperative as the need for its continued exist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mantic aspect of classical dance is based on filial piety that emphasizes vertical relationship of respect and order that is learned through self-discipline in propriety. This is about keeping order that stems from the meaning of low bowing and diligently practicing the virtues of the Five Elements in the theory of Yin and Yang. It refers to the golden mean and order of the spirit within harmonity. Classical dance is an expression of self-control that suppresses the human desire through the practice of propriety much like a solemn ritual, which combines normality through the act of practice by the dancer. Second, the technical aspect of classical dance can be described as the beauty of moderation in ‘motion amidst rest’, symmetry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the dance, vigor, and the internal power that attracts by combining strength. Especially, there are dances such as Hyangseopjokdo which is danced with heavy and slow footfall as if stepping with wooden shoes and Jintoi dance style that has advancing and retreating movements. There is also Hwajeongtae, which is danced with a traditional smile. Classical dances are solemn and elegant that is neither over the top nor lacking, and carries ‘the binding force of standardization’ in symmetry and balance. Classical dance emphasizes reason rather than emotional elements through orderly formality and seeks stable vertical order through balance, and it demands ‘former order and existence’. If traditional dances emphasize subjectivity and individuality, classical dances put more importance on the objectivity of the art. ‘Continuity of the past’ is especially important in classical dance. Currently, the emergence of new classical dances is bringing change to the world of classical dance. The binding force of classical dance is ‘the study of rules’ with form, and we can call it a classical dance when the consent is given by the general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