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교육정책학의 최근 연구동향(2006-2010)

        조흥순,전상훈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cent trend(2006-2010)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in Korea and to fi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To accomplish the purpos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Policy Science and precedent studies were examined, as well as 3 scientific journals and recent doctoral dissertation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were more than 50% of the total. Especially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studies of entire school systems and teaching staff and higher education were mainly published. The aim of the most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o find the ways of improving current educational systems. But the relative portion of theory based researches was small.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and formation made up a significant portion. Some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of Education and Policy Science are needed for developing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Second, more researches of curriculum and students(the key areas of Education) are necessary. Third, the studies of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s and theory based researches are needed.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06-2010) ‘교육행정학연구’, ‘교육정치학연구’, ‘정책학회보’에 게재 된 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교육정책학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정책학의 지식 기반과 연구동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음 연구주제별, 연구목적 별, 정책과정영역별, 정책수준별, 연구방법별, 연구수행형태별 준거를 설정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 ‘교육행정학연구’와 ‘교육정치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논문은 전체 게재논문의 과반 수에 해당되는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수가 점차 늘어나 교육정책연구가 활성화되 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주제에 있어서는, 활동부문별로는 전 학교공통 주제, 교원, 고등교육 부 문의 주제가 많았고, 기능별로는 교육제도와 교직원 관련 주제 논문이 다수 였다. 학술지 논문 은 사회적 쟁점이 된 교육현안 연구가 대다수였고, 박사학위논문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 었으며, 전반적으로 교육과정과 학생에 대한 연구가 적었다. 연구목적별로는, 다수의 논문이 실 태분석을 통한 교육정책개선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정책이론 검증과 개발을 위한 논문이 적었 다. 정책과정영역별로는 정책평가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정책수준별로는 국가수준이 대다수였다. 연구방법별로는 문헌연구, 양적연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책평가 논문에서 양적연구방법 사용 빈도가 높았다. 연구수행형태별로는 단독연구가 많으나 공동연구가 늘어나고 있고, 비지원 연구 가 대다수였으며, 박사학위논문의 경우 비 교육학 전공자의 논문이 상당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정책연구의 심화 · 발전을 위한 공론의 장 필요, 학생과 교육 과정 분야에 대한 연구 촉진, 미래지향적 · 거시적 관점의 교육정책 연구 활성화, 정책이론의 접목과 개발 연구 촉진, 공동연구의 활성화와 동기부여책, 문헌연구 이외에 연구방법 다양화, 시 · 도 수준의 정책연구 활성화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분석 방법 연구

        백경선,홍후조 안암교육학회 2006 한국교육학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ay of analyzing the social needs assessment systematically when we construct or revise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This study examined several problems from analyzing actual needs assessment on the previou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evelopment. Also it suggested the improved ways of social needs assessment on the base of several problems and theory of needs assess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establishment of generalized needs assessment procedure; Second, abstraction of social needs from world level, national level, and local level; Third, implication of predicting future as needs assessment contents; Fourth, inclusion of outsider's needs assessment of educational circles; Fifth, variation of needs assessment methods, and periodical and long term needs assessment; Sixth, priority decision-making based on its importance, feasibility and urgency of the problem.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we should check educational propriety of social needs, reflection system of selected nee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needs and social needs.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이루는 3대 원천인 교과, 사회, 학습자 중 사회와 교육과정과의 관계, 더 나아가 사회의 교육과정적 요구를 어떻게 분석하여야 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은 미래지향적이고 사회적으로 유용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요구분석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문제점과 요구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분석의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일반화된 요구분석 절차 확립, 2) 세계 수준, 국가 수준, 지역 수준에서 사회적 요구 추출, 3) 요구분석 내용의 미래지향성, 4) 사회적 요구의 총체적 조망을 위한 교육계 외부 인사에 대한 요구분석 확대, 5) 요구분석 기법의 다양화와 주기적, 장기적인 요구분석의 필요성, 6) 중요도, 실현 가능성, 긴급성에 의한 요구의 우선순위 결정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추출된 사회적 요구의 교육적 타당성 검토, 사회적 요구의 반영 체제 연구, 학습자의 요구와 사회적 요구와의 관계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흥사단 운동의 특징과 교육사적 의의

        박의수 ( Eui Soo Park ),이순복 ( Soon Bok Lee )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3

        이 논문의 목적은 100년의 역사를 지닌 흥사단 운동의 특징과 교육사적 의의를 고찰하는 데 있다. 먼저 흥사단 운동의 변천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간단히 살펴본 후에, 흥사단 운동의 특징을 이념, 목적, 조직, 운동 내용 및 방법 등 다섯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고, 흥사단 운동의 교육사적 의의를 생각해보았다. 연구 결과로 드러난 교육사적 의의를 요약하면 첫째, 수난의 역사 속에서 창립 당시의 이념과 목적을 일관되게 지키면서 다양한 사회교육 활동을 전개해 왔다는 역사성 자체에 커다란 의의가 있다. 둘째, 무실역행과 건전인격이라는 인격가치를 핵심 가치로 추구하면서 한 세기를 이어왔다는 점이다. 이는 점수 따기에 골몰하여 인간은 뒷전으로 밀려난 오늘의 교육 현실에서 교육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셋째, 창단 당시부터 지금까지 시대적 상황과 주어진 여건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천해 왔다는 점이다. 특히 아카데미를 통한 청소년 사회교육 운동은 양적?질적 측면에서 현대 한국 교육사에 커다란 흔적을 남겼다고 평가된다. 넷째, ‘신성단결’과 ‘동맹수련’이라는 흥사단 고유의 수련방법은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사회교육 방법 개발을 위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섯째, 흥사단 특유의 조직체계와 프로그램 및 수련방법을 통하여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사회적으로 저명한 인물들도 적지 않지만, 그보다 더 소중한 것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인재가 다양한 분야에서 묵묵히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지도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eungsadan which has a hundred years tradition in the history of Korea education. First, the background of establishment and the historical process of Heungsadan was investigated and the study of the ideas, aims, the types of activities and educational programs was continued.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Heungsadan in the history of Korea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a hundred years history of Heungsadan itself is very significant. The original ideas and aims of Heungsadan have been kept and various activities for adult education in the suffering and difficult course of Korean history. Second, Heungsadan has kept the truth and exertion and healthy character as humanistic value. That makes us rethink the essentials of education. What is the core value of education? Third, Heungsadan has given various social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and youths out of school. Especially Heungsadan Academy programs for youths is very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Korea education. Fourth, ``Holy Alliance`` and ``Allied Discipline`` as Heungsadan`s original method of discipline will give many suggestions for lifelong learning society in the future. Finally, Heungsadan with the unique organizational system and curriculums and methods has produced a large number of talented person in various fields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평생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제고를 위한 중요한 순간(MOT) 탐색

        이성엽,김석구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2

        The objectives of this article is to search learner’s impressive MOT(moments of truth) in participa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contact-staff’s activities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for costumer’s satisfaction. Research method for sol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pplies Delphi method. Delphi group was formed Professional training services and Educational operations professionals who work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HRD departments of companies, etc. Findings of this study are 26 MOTs received the impression to learners, and contact-staff’s 54 activitie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Several of Important MOTs are listening to lectures, contacting with instructors, introducing to the overall curriculum, connecting occupation or volunteer activities, answering from the staff on customer questions etc. Several of contact-staff’s important activities are expertise on education program, friendly and accurate responses, quick action on discomfort and relaxed consultation, good impression and a smile, kindness and caring attitude, providing learners to meet the learning content, fair and meaningful evaluation, focusing on assessment wheth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the overall description on program operating, active support for the goal to have confidenc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and volunteer activities etc. 평생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만족에 직결되어 있음에도 교육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실천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의 교육프 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감동받은 순간은 언제인지 결정적인 순간 즉, MOT(Moments of truth)를 탐색하는 것과 만족 혹은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접점직원의 활동은 무엇인지 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26개의 MOT와 54개의 중요한 활동이 도출되었다. 학습자들이 감동받은 중요한 순간들은 수업을 듣는 순간, 프로그램 관련 전반적인 교육과정을 소개받는 순간, 교.강사를 접하는 순간, 취업이나 자원봉사활동과 연계되는 순간, 학습자의 문의사항에 직원의 답변을 듣는 순간이 우선순위가 높았다. 학습자들에게 만족 혹은 불만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직원들 의 활동은 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응답에 대한 전문지식 구비, 프로그램 관련 학 습자의 질문에 대한 정확한 대답,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 제공, 프로그램의 최종목표를 정확하게 제공, 고객의 요구에 맞는 학습내용 준비, 학습자와 눈을 마주치며 성 실한 강의, 질문 시 질문에 대해 알기 쉬운 답변, 요구사항에 대한 피드백 제공, 좋은 인상 과 미소, 친절함과 배려,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담시스템 구비, 공정하고 의미가 있는 평 가, 프로그램의 목적이나 의도의 달성여부에 초점, 목표달성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지원, 취업 및 자원봉사활동 관련 정보 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 한 한국 다문화교육의 재개념화

        정석환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view of post-moderrnism. Firstly,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utilized in Korean culture was discussed. Secondly, philosophical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was closely exmined. Lastly, postmodern re-conceptualiz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was progressing toward integrating diverse cultures to the Korean culture. During the process, ideological viewpoint that takes Korean cultures as superior culture and other cultures as subordinates seemed to exist. Therefore, it was demonstrated that educating tolerant attitude about diverse differences using postmodern viewpoint(viewpoint of post-modernism) to solve the problem is educationally signigicant. 본 연구는 한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 지향점에 내재한 이중적 성격을 밝히고 이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하여 새로운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한국 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양한 일차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에서 다문화교육이 어떻게 인식되 고 있으며 그 지향점은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내재한 이 중적 성격을 밝히고 이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하여 새로운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 다문화교육의 전반적인 전개 양상은 국제화 교육과는 매우 다른 이중 적인 태도를 지향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의 다문화교육에는 다양한 다문화교육 당사자 간 의 ‘차이의 인정’이 아니라, 문화, 경제, 사회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다문화교육의 대상자 들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시각이 존재하고 있었다. 필자는 이러한 차별적 관점을 지양하고 다양한 차이를 무관심의 태도로 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차이라는 구분 자체를 무의미한 것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진정한 다문화적 환경을 갖추는 기본 여건이 될 것이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원리는 다문화교육의 바람직한 실천을 위한 논리적 기반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EBS 방송콘텐츠에 대한 내용분석: 개인의 생애단계와 평생교육 영역별 학습주제에 의한 분류를 중심으로

        노경란 ( Kyung Ran Roh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평생교육 관점에서 EBS 방송콘텐츠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EBS 방송 콘텐츠의 내용 특성을 이해하고 평생교육에의 기여 관점에서 EBS 방송콘텐츠의 주제 선정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4월 한 달 동안 송출된 EBS 방송콘텐츠에 대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법에 근거한 EBS의 기능을 중심으로 방송콘텐츠의 구성 특성을 보면 학교교육 보완 목적의 방송콘텐츠와 평생교육 관련 방송콘텐츠가 양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관련 방송콘텐츠에 대한 세부 내용분석 결과, 생애단계의 측면에서 보면 EBS가 성인보다 유아 및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방송콘텐츠의 제작·편성에 높은 비중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주제의 측면에서 보면 인문교양 관련 방송콘텐츠의 비중이 높고 특히 외국어 능력향상 목적의 학습주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BS의 다채널·다매체화에 따라 채널 및 매체별 명확한 기능분화의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에의 기여 관점에서 EBS 방송콘텐츠의 주제 선정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broadcasting contents of the Korean Education Broadcasting System(hereafter EBS) with the lifelong educational view and to suggest implications to decide topics as broadcasting contents for improving lifelong educational function of EBS. EBS` broadcasting contents which were aired for one month(April of 2013)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wo functional contents were well balanced in terms of quantity between the complementary function for school education and the facilitative one for lifelong education. Secondly, EBS organized more broadcasting contents for youth and children than that for adults. Also the quantitative ratio of broadcasting contents related to humanities including foreign language skills was the highest in terms of topics. Lastly, each channel/media had a clear differentiated function according to diversification of channels/media.

      • KCI등재

        고등학교 교육학 과목의 성격과 내용 체계 연구: "교육학"과 "진로와 직업"의 통합을 중심으로

        강현석 ( Hyeon Suk Kang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교양 선택 과목의 하나인 교육학 교육과정의 성격과 내용 체계를 탐구한 것이다. 탐구의 계기는 현행 고교 교양 선택 과목 내용의 중복 문제를 해소해 보고, 과 목로서 교육학의 성격과 내용을 분명히 하기 위한 것이다. 현행 교양 선택과목 중에서 교육학의 내용과 진로와 직업의 내용이 중복이 심하고, 그 성격 면에서도 상당히 유사한 부분이 많다. 이 문제를 하기 위하여 텍스트 분석과 심층 면담 및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다각도로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교육학의 관점에 기초하여 몇 가지 차원에서 교육과정 개정의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현재 교육학 교육과정은 내용 영역에서 많은 논리적 문제와 적정성, 중복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것은 교육학 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인식의 결여와 내용의 스코프와 시퀀스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부족 한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교육학 교육과정 개정 시에는 이에 대한 개선과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교과로서의 위치와 성격에 대한 논의를 기초로 하는 포괄적인 교육과정 개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issue of the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Education`` as the highschool subject in Korea. Currently, the ``Education`` as a subject has been managed in the system of the general?selective subjects. With the need of revision the 7th, 2007 revision, and2009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we are also revising the next curriculum and textbook. There are many criticisms in discussing the nature and content of ``Education`` curriculum. We can find two problems of curriculum design in Education as subject. First, that is overlapping which means repetition between ``Education`` and ``career and vocation`` as subject. Second, similarity is that. We need to improve these two problems through integration of the ``education`` and ``career and vocation`` as the highschool subject. For this we use text analysis, interview, and survey to explore possibility of integration ``career and vocation`` into ``Education``. According to review of the related method, the unit of Education is 5 domains and 20contents. These results may bring to many controversial issues. These problems will be revised toward the grasp of generic nature of the educational science. In the future the revision of curriculum should be constructed by the nature, objectives, and content of education in view of integration spirits.

      • KCI등재

        한국 교사교육 철학 연구 동향

        정윤경 ( Yun Kyoung Chung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본고는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교육 철학 또는 교사교육의 관점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교육의 철학에 관한 학술지 논문49편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틀은 ①본질 탐구(교사의 본질/교사의 자질/교사의 지식에 관한 탐구) ② 교사관과 교직윤리 ③ 지배적인 교사의 현실과 교사교육의 논리적 가정에 대한 비판적 탐구 ④ 대안적 교사교육의 방향 ⑤ 교사교육 정책/교사교육제도/교원임용시험 ⑥ 교사교육을 둘러싼 개념 분석: “교사전문성”개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 ⑦ 교사교육과 교육철학이다.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향후 교사교육의 철학적 탐구를 위한 비판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교육에 관한 철학적 탐구는 관심과 주제를 더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둘째, 교사의 현실과 교사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교육철학적 탐구는 교육현장의 실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셋째,교사교육 분야는 교육학 분과학문 분야 중 특정 한 분야의 연구 대상일 수 없다. 따라서 교사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학 분과학문 내 대화와 협력이 필수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n overview and analyse a tendency of research in the philosophy of teacher education. The author analyses 48 journal articles which about the philosophy of teacher education. The framework for analysing is as follows: ① searching for essence of teacher & teachers` knowledge ② views of teaching & teacher ethics ③ critical inquiry into teachers` reality & logical assumptions of teacher education ④ alternativ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⑤ policy & system of teacher education ⑥ analysis of concept “teachers professionalism” ⑦ teacher education & philosophy of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hilosophical studies focused on teacher education critical suggestions could be as follows. First, the philosophical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need to diversify its interest and theme. Secondl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eachers and teacher education, research of education(including philosophy of education) must focus on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Thirdly, a field of teacher education could not be an object of research of a specific field of pedagogy. For the sake of better teacher education, subdivisions of pedagogy must do a dialogue and working together.

      • KCI등재

        미국대학의 온라인 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와 평생교육적 함의 : College for America 사례를 중심으로

        권양이 ( Kwon Yang-yi ),이성엽 ( Yi Sung-yup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온라인 기반의 역량기반교육과정을 구축하여 미국대학 최초로 교육부 승인을 받은 Southern New Hampshire 대학의 College for America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평생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outhern New Hampshire 대학의 College for America는 온라인 역량기반교육과정을 구축하여 고등교육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했거나 전혀 받지 못한 일하는 성인학습자들에게 120가지의 역량습득을 목표로 하는 온라인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수준 1단계에서는 산출 기반 접근 하에 수행을 강조하는 역량을 다루고 수준 2,3단계에서는 산출 및 투입 기반 접근 하에 각각 수행의 기준을 강조하는 역량 및 근원적 특성을 강조하는 역량을 다루고 있다. 셋째, 전통적인 학점이수가 아닌 자신의 학습 속도대로 학습을 하고 역량을 증명해 보이면 과정을 신속히 마치는 것을 허용하는 학습자 중심의 온라인 역량기반 교육과정이다. 넷째, 고등교육 지원(Higher Education Act Funding)(Title VI)시행령이라는 타이틀 아래 연방정부에 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다. 이러한 정부정책으로 일하면서 공부하는 성인학습자들은 저렴한 학비로 고등교육의 혜택을 누리면서 평생직업 능력개발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 and continuing higher education with Korean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plore College for America of Southern New Hampshire University and its online competency based education. This is the first competency based model in the nation to be approved by the U.S. Department of Education under the direct assessment provisions. As a result, firstly, College for America provides online competency based education built around 120 competencies with working adult learners with little or no college education. Secondly, we identified a focus on performance under the output-based approach to competencies at the level 1 whereas a focus on standards of performance and the underlying attributes under the output-based and input-based approach, respectively at the level 2, 3. Thirdly, It is not based on traditional credit hours or seat time but focuses on the self-paced learning and the demonstration of competencies by learner-centered learning which allows learners to finish their learning quickly. Fourthly, working adult learners apply for federal financial aid under the Title VI, Higher Education Act Funding from which adult learners benefit at relatively low cost pursuing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mployment while studying at universities.

      • KCI등재

        김정환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형성과 의미에 관한 고찰

        우정길 ( Jeong-il Woo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3

        본고는 고려대학교 교육학과에서 1970년부터 1995년까지 재직하였던 교육철학자 김정환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형성 과정과 의미에 관한 고찰이다. 그의 퇴임기념논문집 『인간주의 교육사상』 (1996)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인 “인간주의 교육사상”은 그가 평생 탐구하고 추구하였던 학문의 실체와 지향점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페스탈로치 연구에서 출발한 그의 학문 여정은 한결같이 “교육의 인간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1970년대 그가 매진하였던 페스탈로치 교육사상, 교육인간학, 실존주의 교육사상 그리고 종교교육ㆍ민족교육에 대한 연구의 결과들은 1980년대 들어 “전인교육론”과 “인간주의 교육론”으로 체계화되었으며, 이 두 가지 이론은 김정환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중요한 두 축을 이룬다. 본고는 “교육의 인간화”라는 화두로부터 비롯되어 “전인교육론”과 “인간주의 교육론”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인간주의 교육사상”에 이르는 그의 교육적 사유의 여정을 문헌사적 관점에서 조명한 것이다. 이것은 일차적으로는 김정환이라는 교육철학자 개인의 학문 이력과 성격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지만, 동시에 그에게서 배우고 그와 동행하였던 학자들의 모임 그리고 이들이 공유하고 있는 학문적 정체성, 즉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학맥과 학풍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a brief history of the Humanistic Educational Thought (Pedagogy for Humanity, Erziehung zur Menschlichekit) by Jeong-wan Kim, who taught and served as a Professor for philosophy of education at Korea University from 1970 until his retirement in 1995. The terminology Humanistic Educational Thought was first used for Humanistic Educational Thought (1996) published in honor of him by his former students and comrades, and it contains and reflects what Prof. Jeong-wan Kim aimed at through his passionate efforts for educational research as well as through his social engagement for human-riented democracy in every field of education. His journey of philosophy of education, started from H. Pestalozzi’s education for everyman (Volksbildung) and education for awakenness of the people, remained steadfast in his faith for humanization of education. With this aim, he devoted himself to the examination of Pestalozzi’s educational thought, existentialism, relligious education and the national eduction in the nineteen seventies which became four keystones in the establishment of his representative two theories in the nineteen eighties, namely the Theory of Education for Integrated Humanism and the Theory of Humanistic Education (Erziehung zur Menschlichkeit). Tracing the courses of his theories from his conception of humanization of education untill his two theories in the nineteen eighties, we investigated what he pursued through his theories and what he left to the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It is primarily about the philosopher and professor Jeong-wan Kim as a person and his own contribution to the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but it is at the same time about an academic tradition and culture which had been shared between his students, colleagues and all who are interested in his conception for humanization of education. In menoriam and respect of him, we lay this heartly study on his gra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