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평가를 통해서 본 초등학교 교육의 질 유형화 분석

        김주후(Juhu 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의 질을 구성하는 다양한 변수들을 활용하여 학교 유형화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교육의 질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학교평가를 통해 수집된 자료 중 초등학교 교육의 질을 설명하는 9개의 영역을 활용하여 상관 및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교교육의 질을 설명하는 9개 영역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군집분석 결과 모두 5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는데 9개 영역점수에 걸쳐 어느 정도 일관된 패턴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학교유형화 결과에서 나타난 일반적인 패턴에서 예외적인 두 영역이 발견되었는데 그 것은 ‘학생수준의 배려’와 ‘자기주도적 학습’이었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른 배경변인의 차이분석을 통해 학교교육의 질은 학교규모가 작고, 교사경력이 높고, 사교육 의존율이 낮은 학교들이 높은 질적 수준을 보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각 군집의 특징 및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hool quality types using diverse variables constructing quality of schooling. Through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tried to investigate quality of elementary schooling. For this purpose, correlation and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by utilizing 9 variables explaining quality of elementary schooling. Data for the analyses were from school evaluation project at national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9 area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revealed 5 different types showing a consistent pattern across the 9 areas except 2 areas. The exceptional areas were 'caring students' individual needs' and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additional comparison analyses by background variables, high-quality schools were found from the ones who have small class-size, high level of teacher experiences, and low dependency on private tutoring. Based upon the results of analyse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ach cluster as well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ddressed.

      • KCI등재

        교육성과를 포함한 책무성 중심 학교평가 모형 개발 및 적용

        김주후(Juhu Kim),김주아(Jooah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성과를 포함한 학교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 적용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학교평가를 통한 학교교육의 책무성 증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성과를 포함한 학교평가모형은 기존 학교평가 모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외국사례 분석, 현장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학교교육의 수준과 질을 체계적으로 진단해 줄 수 있는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해 구안되었다. 이 평가모형은 자체평가와 방문평가 결과를 결합하되 각 학교가 산출해 낸 교육 성취를 연계하는 모형으로 평가준비/계획, 평가실시/자료수집, 판단/의사결정, 분석/결과활용 등 4단계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새롭게 제안된 학교평가 모형은 경상북도 실업계고 학교평가에 적용되었으며, 그 적용 결과를 평가기획 및 실시, 실업계 학교교육 성과 정의, 성과지표의 결정, 결과보고 및 후속조치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모형 적용결과를 바탕으로 책무성 중심 학교평가 모형 개발에 주는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rections enhanc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by developing a school evaluation model including educational outcomes, and applying the model to actual school evaluation. The school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critical review of preexisting evaluation models, review of foreign examples, and consensus seeking process from the field. This model 따 4 stages: preparation/planning, conducting/data collection, judgment/decision-making, and analysis/utilization of results. Self-evaluation and site-visiting along with analysis of school outcomes were employed. Through this process, a systematic evaluation model diagnosing quality and status of schools was developed. After applying this model to school evaluation of Kyungsang-bookto province, process and results of the evaluation was analyzed in terms of definement of school outcomes, selection of outcome indexes, process of evaluation execution, and results report with follow-up activities. Based upon the results of school evaluation,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accountability-based school evaluation model and suggestions for future tasks were discussed.

      • KCI등재

        프로그램 논리중심의 평가적용: TALENT 프로젝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주후(Juhu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교육평가연구 Vol.17 No.1

        Theory-based evaluation is an evaluation model emphasizing the systemic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inputs and outputs. The main idea behind this model focuses on analyzing program logic embedded in the program. This model i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traditional evaluation model (e.g., Tylerian approach) evaluating the accomplishment of measurable objectives. In the theory-based evaluation, instead of investigating simple relationship between inputs and outputs, more contextual information of program implementation is important for the evaluation. However, in spite of the long history of discussion about the theory-based evaluation, there are not many evaluation studies utilizing the model. The is a case study analyzing the researcher's experience evaluated an innova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 titled TALENT(Teaching and Learning with Evolving and New Technologies) project. Through the analysis, the researcher tried to discuss how a theory-based evaluation approach was designed and utilized. Additionally, by analyzing the trial and error of the application of theory-based evaluation, it was also explored how to solve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blems in the situation of theory-based evaluation.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theory-based evaluation was also discussed. 프로그램 논리중심의 평가는 프로그램의 투입과 산출사이의 인과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평가모형으로 프로그램에 내재하여 작동하고 있는 논리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모형은 측정 가능한 행동목표를 정하고 이의 도달정도를 평가하는 전통적인 평가방법(예: 타일러 모형)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으로 프로그램의 투입과 산출 사이의 단순관계를 점검하기 보다는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맥락적 정보 분석에 무게 중심을 둔다. 그러나 프로그램 논리중심의 평가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가 꾸준히 이어져 왔음에도 실제 프로그램 평가에 적용된 사례들은 많지 않다. 본 논문은 사례연구 결과로 교사교육의 개선을 목표로 하는 TALENT 프로젝트의 평가에 프로그램 논리중심의 평가를 적용한 연구자의 경험을 담고 있다. 이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논리에 입각한 평가가 어떻게 디자인되고 활용되었는가를 논의하였고 평가과정에서 나타난 시행착오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논리중심의 평가를 둘러싼 이론적이고도 실제적인 문제해결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더불어 향후 프로그램 논리에 입각한 평가개발에 대한 시사점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시.도교육청 주관 학교평가 실태 분석

        김주후(Juhu Kim),정택희(Taek-hee Cheong),김주아(Juah Kim),김승훈(Seunghoon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교육평가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ㆍ도교육청 수준의 학교평가에 대한 실태분석을 하고 학교평가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6개 시ㆍ도교육청에서 발간된 학교평가보고서를 분석하고 연구자들이 학교평가 담당자들을 면담하였다. 분석 결과 시ㆍ도교육청수준의 학교평가는 평가설계의 체계성 및 일관성, 평가방법의 과학성, 평가실시의 전문성, 평가결과의 활용성 측면에서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평가 실시상의 현실적인 제약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행 초기와 비교해 볼 때 긍정적인 방향의 변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개별 시도교육청의 고유한 특성과 교육적 요구가 반영된 평가모형이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향한 진행형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시도교육청 수준의 학교평가의 발전을 위한 제언도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 evaluation system at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annual school evaluation reports from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es revealed that the quality of school evaluation system is not satisfactory in consistency of evaluation design, scientific approach of evaluation methods, quality of evaluation implementation, and utility of evaluation results. However, despite many barriers and limitations in implementation of school evaluation, the quality of school evaluation system has been improved compared to the early years of school evaluation. In particular, many school evaluation models considering uniqueness of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developing, and showing continuous progress.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school evaluatio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영아 연령 통합과 영아교사 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김혜숙(Kim HyeSook),김주후(Kim Juhu),곽승주(Kwak Seung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논의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치원에서의 영아 연령 통합과 영아교사 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교사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공 . 사립 유치원 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교사들은 유치원에서의 영아통합에 대 해 찬성보다 반대 인식을 더욱 많이 보였고, 그 이유는 영아-유아 교사의 역할수행 차이와 유치원과 어린이집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살릴 필요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영아교사 역할로 가장 요구되는 자질을 영아 발달특성 이해라고 인식하였고, 영아교사의 가장 중요한 능력은 영아의 감정 및 정서에 대해 공감하는 능력이며 영아 개별요구에 민감하고 반응적인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고 보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영아교사의 자질이 영아 인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영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자격기준의 강화와 전문적 훈련, 전문지식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보통합의 맥락에서 연령통합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현장실태를 탐색하게 하고, 영아기 교사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이끌어 주는 결과 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eachers' understanding of infant teachers' role and professionalism and integration of infant care with education of kindergarten. To this end, 217 public .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more dissenting views than assenting views about the integration of infant care with kindergarten. And it was shown that this was because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ant teachers-kindergarten teachers' playing a role an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own respective functions needed to be utilized.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most required quality for infant teachers' role was an understanding of infant'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it was presumed that infant teachers should have a sensitive and responsive attitude to infant's individual needs and infant teachers' most important skill was ability to empathize with infant's emotion and affect. Third,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ood that infant teacher's quality had a very important effect on shaping infant's development. And it was shown that tightening qualification standards, professional training and professional knowledge was required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in infant teachers' expertise.

      • KCI등재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책무성과 교사협력의 관계

        오중열(Jung-yeol Oh),김주후(Juhu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3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책무성과 교사협력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330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교책무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학교생활기록부 및 문서관리’, ‘학급편성 및 운영’, ‘수업시간 편성’ 등에 대해서는 높았지만, ‘학생의 신체적 발달 및 관리’, ‘학생의 인성발달’, ‘학생의 학업성취 결과’ 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은 교사의 학교책무성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직경력과 교사협력에 대한 인식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교사의 학교책무성에 대한 인식은 교사협력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책무성은 학교 현장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변인으로서, 교사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accountability and teacher collaboration. In this study, 330 responses from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Gyeonggi-do province were us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S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accountability were high for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records and documents,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a classroom, and the organization of teaching hours.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accountability, however, were relatively low for students’ physical developments and their managements,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care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accountability was low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care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collabor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accountability g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perceptions of collabora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school accountability is playing a role as a specific variable which is able to explain the school. Thus, school accountability is playing a role as an explanatory variable which affects teacher collaboration.

      • KCI등재

        통합적 동시 활동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탐색활동 및 반응 탐구

        박미현(Park Mee-hyun),김주후(Kim Juhu),이봉선(Lee Bong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동시 활동을 하는 동안 나타나는 2세 영아의 탐색활동과 반응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2세 영아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고 통합적 동시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해 보는 것이다. 통합적 동시활동을 하는 2세 영아반에서 참여관찰을 통해 동시가 제시되는 상황에서 영아의 탐색 행동과 다양한 반응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참여관찰 결과에 따르면 첫째, 통합적 동시 활동을 위한 동시 제시 상황에서 2세 영아의 탐색 행동은 ‘표정과 몸짓으로 따라하기’와 ‘웅얼거림과 따라읊기’로 나타났다. 둘째, 제시된 동시의 통합적 활동에 참여하는 2세 영아들은 특정 어휘에 흥미를 보이고 참조 구하기 행동,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반응하기, 창의적 신체 표현을 즐겼다. 또한 2세 영아들은 모방이나 동조로 또래와 함께 하는 즐거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통합적 동시 활동은 2세 영아들에게 감각운동적 탐색 과정을 제공하고 언어적, 정서적,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소를 통합적으로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2-year-old children's exploration process and responses on integrated poems activities. By analyzing the children's responses, the researchers tried to understand 2-year-old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reconfigure educational meanings of integrated poems activitie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t was pursued to extract 2-year-old children's exploratory behaviors and various responses from the process of conducting integrated poem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bservation, first, 2-year-old children's exploratory behaviors on the integrated poems activities were found to be ‘response using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and ‘murmuring and rhythmization.’ Second, the 2-year-old participants showed deep interests in particular vocabularies, and conducted reference-seeking behaviors. In addition, they responded in accordance with their prior experiences, and enjoyed creative body expressions. They also enjoyed feeling of fun through imitation and conformity by being with pe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tegrated poems activities provide sensory-motor exploratory processes to 2-year-old children, and hold verbal, emotional,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elements, which holistically facilitate young children's development.

      • KCI등재

        여성의 유치원 · 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유형 분석

        이경선(Gyeong-Seon Lee),김주후(Juh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유치원?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자료(KLoWF) 중에서, 만2세 이상 만6세 이하의 유아를 두고 있는 여성 1,81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유아대상 교육기관은 크게 세 가지(유치원, 보육시설, 사교육)로 구분하고 각각의 기관에 유아를 보내는 여성의 특성에 따른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아연령이 어릴수록 보육시설만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유치원만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보육시설 및 사교육의 중복선택은, 만6세에서 유치원과 사교육 함께 이용하는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교육과 유치원, 보육시설을 병행하는 비율은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나, 사교육을 병행하는 비율이 유치원과 보육시설만 이용하는 비율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일자리유무와 일자리 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omen's selection pattern on kindergarten/child care centers and private tutoring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1,810 women whose young children's age was between 2 and 6 were selected from KLoWF data. After categorizing the education centers as daycare center, kindergarten, and private institute, it was investigated the women's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ir decision making for selection of the centers. The results of survey data analyses showed that younger children's mothers preferred to send their children to daycare centers, older children's mothers did to kindergarten. In terms of their dual selection on education centers, the frequency of 6-old-year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private institutes was very high. As the children's age was increasing, the frequency of women's multiple selection on daycare center, kindergarten and private institute was also increasing.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women's job pattern and existence, they preferred to send children to daycare centers. With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논리모형을 활용한 재직학습자 지원 프로그램 평가모델 개발

        윤정용(Yoon, Jeongyong),김주후(Kim, Juhu)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재직학습자 지원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한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제안하는데 있다. 프로그램 논리에 기초한 평가모델 개발을 통해 목표 지향적 총괄평가의 제한점을 보완하면서 보다 과정중심의 형성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재직학습자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는 1개 대학의 재직자학과 재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논리모형의 주요 요소로서 재직학습자의 특성, 학습 장애요소, 학습자 지원 방안 등이 도출되었다. 특히, 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일과 학습의 병행, 기초학력 부족, 대학생활 적응 문제 등이 분석되었다. 재직학습자를 위한 지원 방안으로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기초학력 및 대학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유연한 학사제도 및 성인학습자 친화형 수업 실시 등이 제시되었다. 도출된 각 요소들은 맥락에 따라 상황, 투입, 활동, 산출, 성과 등에 배치하고 프로그램 평가의 관점에서 구조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을 통해 대학의 이해관계자는 재직자학습자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구조와 맥락을 이해하고 프로그램의 실천적인 개선과 성과관리가 가능한 과정중심의 평가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opose a logic model for the evaluation of a programs supporting work-study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utcome-oriented summative evaluation, we aimed at developing a process-oriented formative evaluation based on the logic model. To this end,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work-study learner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 survey of 182 work-study learners registered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work-study learners, obstacles to learning, and ways to support learners were derived as the main elements of the program logic model. In particular,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tudents were found to include conditions to carry out work and study together, lack of academic competence, and adjusting to college life. As ways to support work-study learners, it was suggested to offer a customized curriculum, programs to enhance basic academic competency and college adaptation, flexible academic system, and adult learner-friendly classes. Each element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was placed in the situation, inputs, activities, outputs, and outcomes of the logic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context, and was structured in terms of program evaluation. The logic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niversities’ stakeholders to get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structure and context of the work-study learner support programs, and thus conduct a process-oriented evaluation that enables program improvement and outcome management.

      • KCI등재

        중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유형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의 관계

        황우원(Woowon Hwang),김주후(Juhu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밝히는 것이다. 또한, 직무수행의 유형은 어떠한지, 직무수행유형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내 중학교에 근무하는 진로진학상담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14명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직무로는 ‘지역사회 및 기관과의 네트워크 관리’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유형은 크게 4개로 군집화 되었다. 군집1은 ‘직무수행정도가 전체적으로 우수한 집단’으로 ‘고수준유형’, 군집2는 ‘지역사회연계에 주력하는 집단’으로 ‘지역사회연계유형’, 군집3은 ‘지역사회연계는 소극적이면서 수업과 상담 등 교내 진로활동에 주력하는 집단’으로 ‘교내활동유형’, 군집4는 ‘직무수행정도가 전체적으로 낮은 집단’으로 ‘저수준유형’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직무수행유형에 따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수행정도가 가장 높은 ‘고수준유형’이 목표 달성정도가 가장 높았고, 직무수행정도가 가장 낮은 ‘저수준유형’이 목표 달성정도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을 유형화시켜 직무수행의 질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유형에 따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f the entire career guidance teachers working at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314 career guidance teachers were used as the final study materi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Second,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were clustered into four types. Type 1 was named ‘high-level type’ group with the excellent job performance overall. Type 2 was named ‘local community networking type’ group focusing on the local community linkage. Type 3 was named ‘school activity type’ group passive in the local community networking and focusing on school career activities such as classes and counseling. Type 4 was named ‘low-level type’ group with the low level of job performance overall. Thir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ypes of job performance. The highest level of achievement was made by the ‘high-level type’ with the highest job performance and the lowest level of achievement was made by the ‘low-level type’ with the lowest job perform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qualitative structure of job performance by stereotyping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found the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job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