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을 적용한 연구시설장비 보유기관의 운영효율성 연구

        양인준,이재훈,최승일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evel of operational efficiency and establishing improvement plan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factors of institutions that have established research facility equipment as a government R&D support project.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institutions with research facility equipment that has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main input and output factors of the institution with research facility equipment to measure and analyze the efficiency. The characteristics of efficiency and the main causes of inefficiency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net technolog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which can be confirmed by their difference. Through operational efficiency analysis, inefficient institutions can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for comparison and benchmarking with efficient institu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ssess capabilities and set development directions compared to efficient institution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research institutions can be provided to stakeholders related to research facility equipment for supporting institutions with research facility equipment and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performance evaluation. These result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strategies based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nd indicators of research facility equipment institutions, helping those in charge make optimal decisions.

      • KCI등재

        기업규모에 따른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조직문화, 조직커뮤니케이션 및 교육훈련효과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의 인적자원중시가치의 조절효과

        양인준,정진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ness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s human resource oriented valu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y. In order to conduct the purpose of the study, sampling data was selected from 2017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9,953 out of 10,00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eans of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this study of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MEs workers. Second, paths from variables 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and SMEs were analyzed to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organization's human oriented values had not moderating effect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is study. Further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a research measuring the flow of employee's organizational specific variables. Second, it is needed to have a research to analyze and refine the target groups in detail. Third, it is required to have a research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ther related variables to be able to provide a practical implication in term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본 연구는 대기업·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직몰입과 혁신적 조직문화, 조직커뮤니케이션, 교육훈련효과성의 인과적 관계 및 조직의 인적자원중시가치의 조절효과를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7차년도(2017년)에 응답한 근로자 10,005명 중 본 연구에 부합하는 9,953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몰입과 혁신적 조직문화, 조직커뮤니케이션, 교육훈련효과성 및 조직의 인적자원중시가치의 평균값은 중소기업 근로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다. 둘째, 대기업·중소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혁신적 조직문화는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기업·중소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커뮤니케이션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기업·중소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교육훈련효과성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대기업·중소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의 인적자원중시가치는 조직몰입 관련변인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의 특정변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의 흐름을 측정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연구대상 집단을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조직문화 유형별로 다양한 변인 간의 관계 분석을 통해 인적자원개발 및 인적자원관리의 현업적인 관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Efficacy of geriatric multidisciplinary oncology clinic in the surgical treatment decision-making process for frail elderly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양인준,Heung-Kwon Oh,Jeehye Lee,Jung Wook Suh,Hong-Min Ahn,Hye Rim Shin,Jin Won Kim,Jee Hyun Kim,Changhoon Song,Jung-Yeon Choi,Duck-Woo Kim,Sung-Bum Kang 대한외과학회 2022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103 No.3

        Purpose: Multidisciplinary care has become a cornerstone of colorectal cancer management.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a geriatric multidisciplinary oncology clinic (GMOC), we analyzed the surgical treatment decision-making process and outcome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reviewed the data of patients aged ≥65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GMOC at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between 2015 and 2021. The clinical adherence rat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and a multidimensional frailty score (MFS) were obtained. The groups that were recommended and not recommended for surgery were compared, analyzing the factors impacting the decision and 1-year survival outcomes. Furthermore,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were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165 patients visited the GMOC, and 74 had colorectal cancer (mean age, 85.5 years [range, 81.2–89.0 years]). Among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 (n = 31), 7 were recommended for surgery, and 5 underwent surgery. Among patients with locoregional disease (n = 43), 18 were recommended for surgery, and 12 underwent surgery. Patients recommended and not recommended for surgery had significantly differen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P = 0.024), instrumental ADL (P = 0.001),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P = 0.014), delirium risk (P = 0.039), and MFS (P = 0.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1-year overall survival between the 2 groups (P = 0.980). Of the 17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the median (interquartile range) of operation time was 165.0 minutes (120.0–270.0 minutes); hospital stay, 7.0 days (6.0–8.0 days); and 3 patients had wound complications. Conclusion: Proper counseling of patients through the GMOC could lead to appropriate management and favorable outcomes.

      • KCI등재

        국내·외 근로자의 조직사회화 연구동향 분석

        양인준,정진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research trends of prior research that utilized th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or domestic and foreign workers. To conduct this study, a total of 61 journals including 52 KCI(Korean Citation Index) registered journals and 9 overseas journals us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variable to conduct research from 1987 to August, 2020 were selected.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was carrying out based on a total of 7 criteria, including research period, research journal, research field, research tool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research level), and the role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ior research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as carried out frequently during the 2015- August, 2020 period. Second,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domestic journal us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a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while overseas journals were almost the same. Third, the research field that mainly utilize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as identified as the field of education. Fourth,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tool to measur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as the tool of Chao(1994) et al. Fifth, the most frequently applied research subjects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ere verified as corporate employees. Sixth, a number of quantitative, cross-sectional, and individual-level studies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but some differences exited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Seventh,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as mainly used as a dependant variable in prior researches. Based on those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bou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research trends in detail. Second, it is needed to establish systematic standards for selecting overseas prior research. Third, meta-analysis and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hould be carried out. Fourth, we must be wary of using variables having similar meaning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o analys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본 연구는 국내·외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직사회화 변인을 활용했던 선행연구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87년부터 2020년 8월까지 발간된 학술지 중 52편의 국내 KCI 등재 학술지와 9편의 국외 학술지 등 총 61편의 인적자원개발 및 조직행동 관련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동향 분석은 연구시기, 연구게재 학술지, 연구분야, 조사도구, 연구대상, 연구방법(연구유형, 자료수집, 연구수준), 조직사회화 변인 활용 등 총 7개 준거를 바탕으로 시행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사회화 변인 관련 선행연구는 2015년부터 2020년 8월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둘째, 조직사회화 변인을 활용한 선행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된 국내 학술지는 임상간호연구이며, 해외 학술지는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조직사회화 변인을 주로 활용한 연구 분야는 교육학 분야로 확인되었다. 넷째, 조직사회화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Chao 외(1994)의 조사도구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다섯째, 조직사회화 변인을 가장 많이 적용한 연구대상은 기업체 근로자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조직사회화 변인의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양적연구와 횡단연구 그리고 개인수준의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으나, 국내·외 학술지 간 일부 차이가 존재하였다. 일곱째, 조직사회화 변인은 선행연구에서 주로 종속변인으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여 향후 조직사회화 관련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사회화 연구동향 분석준거를 보다 세분화하여 제시해야 한다. 둘째, 해외 선행연구 선정을 위한 체계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조직사회화 메타분석과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가 추가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넷째, 조직사회화와 유사변인을 혼용하여 활용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 KCI등재

        기업체 근로자의 관계지향 문화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양인준,정진철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of corporate employe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Sampling data was conducted from 2017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6,898. In this study, SPSS 24.0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4 were used for analysing data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th from clan culture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was tes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Second, path from clan cultur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to turnover intention was tested to have a negative effect. Thir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Further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a research on specific groups or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roup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that subdivides the group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Third, it is necessary to apply longitudinal design method that synthesizes previous panel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over time. 본 연구는 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관계지향 문화와 직무만족, 조직신뢰 및 이직의도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연구수행을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7차년도(2017) 설문에 응답한 전체 인원 10,005명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6,898명의 응답결과를 최종 분석과정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4.0과 PROCESS MACRO 4번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과정에서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체 근로자가 인식하는 관계지향 문화는 직무만족과 조직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업체 근로자가 인식하는 관계지향 문화와 직무만족, 조직신뢰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기업체 근로자가 인식하는 직무만족과 조직신뢰는 관계지향 문화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거나 혹은 집단 간의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집단을 세분화한 비교분석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심리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이전의 데이터를 종합한 종단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국내 기업체 근로자의 지식공유 영향요인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양인준,고희원,강혜림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기업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의 수단으로 강조되고 있는 조직구성원의 지식공유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Torraco(2005, 2016)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총 88편의 국내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기업체 근로자의 지식공유의 영향요인은 개인특성 변인, 조직특성 변인, 관계특성 변인, 지식특성 변인 등 총 4가지 분류기준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개인특성 변인은 심리사회적 요인, 구조적 요인 및 학습역량 요인으로 세분화되었다. 셋째, 조직특성 변인은 전략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제도적 요인 및 시스템적 요인으로 재분류되었다. 넷째, 관계특성 변인은 구조적 자본 요인, 인지적 자본 요인, 관계적 자본 요인과 지식 및 학습 자본 요인으로 세분화되었다. 다섯째, 지식특성 변인은 지식자원의 상호보완성, 지식의 속성 및 교육훈련 내용 적절성 등 총 3가지로 재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문헌고찰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도구를 다양하게 검토함으로써 연구 설계 및 결과의 정교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기업의 규모에 따른 기업체 근로자들의 지식공유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특정 직업군 및 산업 군을 반영한 지식공유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지식공유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향후 종단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terminants influencing knowledge sharing among corporate employees. To achieve the purpose, a total of 88 journals were closely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method suggested by Torraco (2005, 2016),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knowledge sharing among corporate employees have been classified as four separate criterion including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variable, relational characteristic variable, and knowledge characteristic variable. Seco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subdivided into psychological factors, structural factors, and learning capability factors. Thir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re subdivided into strategic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institutional factors, and systemic factors. Fourth,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are subdivided into structural capital factors, cognitive capital factors, relational capital factors, and knowledge and learning capital factors. Finally, the knowledge characteristics are subdivided into the complementary areas of knowledge resources, attributes of knowledge, and appropriateness of training and development.

      • KCI등재

        2012년 국세기본법 판례회고

        양인준 한국세법학회 2013 조세법연구 Vol.19 No.1

        이 글은 2012년도 대법원 판례 중 국세기본법 등 조세법총론에 관한 판례 중 의미 있다고 여겨지는 것 10개를 추려 간략히 소개하고 평석을 덧붙인 것이다. 주제별로 보면 조세법률주의와 실질과세원칙 사이의 관계를 다룬 판례만이 2개일 뿐, 나머지는 가산세, 특례제척기간, 중복세무조사, 과세전적부심, 조세소송의 소송물 등 각기 다른 논제를 다룬 것들이다. 특기할 만한 것은 여느 해와 달리 조세법총론과 관련해 다수의 전원합의체판결이 나왔다는 점이다. 조세법률주의와 실질과세원칙이 서로 대립, 긴장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관계임을 밝힌 대법원 2012. 1. 19. 선고 2008두8499전원합의체판결, 과세처분이 위헌 결정된 법률에 근거했을 때 그 후속절차가 허용될 것인가에 대해 여러 법리시비를 극복하고 당연 무효가 된다고 판단한 대법원 2012. 2. 16. 선고 2010두10907전원합의체판결, 가산세 부과처분시 가산세는 본세와 함께 부과하면서 세액만 병기하고 가산세 종류가 여러 개이더라도 그 합계액만 표시해왔던 종래의 오랜 과세관행을 깨고 납세자의 절차적권리를 강화시킨 대법원 2012. 10. 18. 선고 2010두12347전원합의체판결 등이 그것이다. 이들 판례는 모두 선례로서 뿐만 아니라 향후 과세실무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될 중요한 재판례로 파악된다. This paper is a critical review of tax cases rendered by the Supreme Court in 2012. This paper deals With 10 cases. All of them are related to the general theory of tax law, which is including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ll cases have quite different legal issues except just two cases. It is northworthy that in 2012 the Supreme Court rendered several Full Bench decisions regarding the general theory of tax law. One of them is Supreme Court case 2008du8499. That case mainly deals With the legal issues on the relation between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principle of substance over form. Another is Supreme Court case 2010dul0907. Main issue of that case is whether enforcement based on an unconstitutional tax law was void or not. The other is Supreme Court case 2010du12347. The holding of that case is related to the force of the procedural fault on tax payment notice of additional tax. These three cases Will function as precedent. Furthermore, all of them Will have a decisive effect on tax practice as well.

      • KCI등재

        기업체 근로자의 직무재창조 조사도구 개발

        양인준,정진철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of job crafting for corporate employees. In this study, preliminary questionnaires were deriv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 job crafting and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which were done by field employees and experts were conducted. In addition, a pilot test was conducted on 512 corporate employees by using questionnaires derived through those process. After that, sub-sectors and main instrument of job crafting for employees were derived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analysis by using the respons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job crafting was consisted of 4 sub-sectors: improving job performance, making social relationships, expanding the meaning of job and responding job demand. Second, there are 16 items consisting of job crating instrument; 5 items of improving job performance, 4 items of making social relationships, 4 items of expanding the meaning of job and 3 items of responding job demand. Further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categorize group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erception of employees by job crafting sub-sectors based on the job crafting instrument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job crafting development program. Second,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job crafting in the context of the domestic business environment by using this instru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external validity of job crafting instrument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es.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환경 및 근로자 특징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직무재창조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기업체 근로자의 직무재창조를 구인화하고, 구인화한 내용을 토대로 예비문항을 도출한 뒤, 현업 근로자 및 분아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된 문항을 활용하여 국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 512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후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수집된 응답데이터를 바탕으로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종합하여 기업체 근로자 직무재창조 조사도구의 하위구인 및 세부 문항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재창조는 직무 수행 개선, 사회 관계 형성, 직무 의미 확대, 직무 요구 대처 총 4개의 하위구인으로 구성된다. 둘째, 직무재창조 하위구인별 세부 문항 구성과 관련하여 직무 수행 개선 5문항, 사회 관계 형성 4문항, 직무 의미 확대 4문항, 직무 요구 대처 3문항 총 16문항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재창조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성 향상을 위해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직무재창조 조사도구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직무재창조 하위구인별 인식수준 차이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이 직무재창조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국내 기업환경 맥락을 반영한 직무재창조 영향요인을 구명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직업군 및 산업군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직무재창조 조사도구를 활용한 실증연구를 통해 조사도구의 외적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 KCI등재

        이른바 과세단위가 다른 경우의 특례제척기간 적용가능성에 관한 소고 - 대법원 2020. 8. 20. 선고 2017두30757 판결을 중심으로 -

        양인준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아주법학 Vol.15 No.2

        이 글은 최근 대법원 판례를 논의소재 삼아 소위 과세단위가 다른 경우에 특례제척기간을 적용해 과세처분을 다시 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과세단위가 다르다는 것이 어떤 법적 의미를 갖는가, 그에 비추어 특히 제2차 납세의무가 문제되는 경우처럼, 주된 납세의무와의 관계에서 인적 과세단위나 물적 과세단위가 일응 달라보이는 사안이라면 특례제척기간 적용 가부 등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강학상의 과세단위 개념에 특례제척기간을 맞추어야 하는지나 특례제척기간제도의 적용범위에 관한 일반적 규범적 기준은 무엇인지 등을 음미해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결론에 갈음해 이 글의 주된 논지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기 다른 이념적 배경을 갖는 제척기간제도와 재처분제도 양자를 조화롭게 해석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특례제척기간에 따른 재처분 당부의 기준으로 소위 ‘과세단위’에 기계적으로 얽매일 이유가 없다. 둘째, 과세기간이 다른 경우가 아닌 한, ‘세목’ 등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쉽사리 대법원 판례가 특례제척기간을 적용하지 않아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단정 짓기 어렵다. 셋째, “납세자로서의 법적 지위에 대한 법률적 평가는 다르되 실제 동일인물에 대한 과세가 문제된 경우”는, 납세자의 방어권 행사에 지장이 없다는 점에서 인적 과세단위가 다른 경우로 봐서 재처분이 금지되어야 하는지에 의문이 적지 않다. 이런 관점에서 특별한 논거설시 없이 본 건에서 재처분을 부정한 대법원의 태도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 넷째, 과세연도 등 동일한 사실관계 하에서 법률적 평가(가장행위 존부)의 상이 탓에 분쟁절차가 진행된 것에 대한 기본인식이 납세자에게 있는 경우라면, 비록 세목의 차이가 나더라도 납세자의 방어권 행사에는 달리 지장이 없어서 특례제척기간에 따른 재처분은 가능하다고 봐야 옳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o-called tax unit should affect a special statute of limitation where specific tax unit become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vious tax litigation, using the recent Supreme Court precedent as a topic of discussion. Specifically, this paper critically review what should be considered as legal implications in case of different tax units whether it is related to taxpayer or tax base. A summary of the main points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reason to be formally tied to the so-called "tax unit" as the standard of tax assessment for the special statute of limitation, given the harmonious interpretation. Second, other than the taxation period,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Supreme Court's precedent should not apply the special statute of limitation simply because the tax bases are different. Third, it remains questionable whether tax unit regarding taxpayer or tax base should be main factor to determine tax reassessment even wher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axpayer's exercise of defense. In this regard, the Supreme Court's decision is still open to cri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