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남성의 페미니즘 성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 및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명소,이은진 한국여성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3 No.1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1) the liberal feminism of Korean men on the bases of their social structural variables and (2) the its impact on their well-being. The Liberal Feminist Attitude and Ideology Scale as well as two quality of life scales( Subjective Well-being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ere administered to a nationwide sample of 727 Korean men.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liberal feminist attitude and ideology differed according to their social structural variables such as individuals marriage status, occupation,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The levels of gender roles, and global goals were higher for those men who were better educated, younger, and professionals or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levels of discrimination and subordination as well as collective action were higher for those who were older and had higher income.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ost of liberal feministic attitude and ideology factors affected the Korean men's perception on their quality of life. Specifically, gender role, global goals, specific political agendas, and discrimination and subordination positively affected bo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collective actions positively affect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sisterhood positively affected the subjective well-being. Theses results we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e study on the feminism of korean women and its effects on well-being,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area were discussed.

      • KCI등재

        팀웍 역량의 구성요인 탐색 및 진단도구 개발: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명소,한영석 한국여성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5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1)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eamwork competency, (2) develop a teamwork competency scale to appraise the competency level of college students, and (3)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the structure as well as the level of teamwork competency. The list of 104 behavioral descriptions extracted through FGI and literature review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415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each behavior for teamwork competency as well as their own level of each competency behavior. 89 behavioral descriptions were found important for teamwork among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mpetency model of teamwork consists of 13 factors(consideration or caring, emotional intelligence, effective communication, creativity, feedback, cooperativeness, mediation, responsibility, activeness, information sharing, fairness, ability of data analysis, sociability), and this structure was confirm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llege students with more experiences were higher in their level of 13 competencies than those with less experiences, support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eamwork competency scale.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performed on each gender group indicated tha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on the factor structure. However, the results of latent means analysis demonstrated tha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competencies than female students on 7 factors(creativity, activeness, sociability, responsibility, consideration, mediation, feedback).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present study s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격검사의 형식이 응답왜곡(faking)에 미치는 효과:Normative 형식과 ipsative 형식의 비교

        김명소,이헌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19 No.3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faking behavior on different types of personality measures(i.e., normative and ipsative type) for personnel selection. Specifically,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l)whether the college student participants(future job applicants) use their stereotypes of the desired workers in the target company, (2) whether participants are able to fake their answers on personality questionnaires when so instructed, and (3) whether they are able to fake equally well on both normative and ipsative type scales. Two hundred and ninety two participants, students of 6 different colleges, completed both a normative and an ipsative version of the RPST(Right People Selection Test) either honestly or in a fake-good condition. The normative form consists of 368 independent items while the ipsative is composed of 93 sets of items with 4 alternatives. They also identified what they believed to be an ideal personality profile for the target company. The high performers of the target company also completed an ideal personality profile for the company.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considerable agreement between the incumbents and the student participants on what constitutes an ideal personality profile for the target company(Spearman p=.78, p<.00l), supporting that job applicants can use their stereotypes of desired workers of the target company to be selected in that company. In addition, a two-way AN OVA yielded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different types of personality measures(normative/ipsative) (F=48.66, p<.00l) and a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F=12.70, p<.00l). Thi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faking on the ipsastive form between the honest and faking group, while on the normative form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faking in the faking group than in the honest group.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국내 A기업 신입사원 선발용 성격(인성)검사의 normative 형식과 Ipsative "형식을 사용하여 응답자들의 응답왜곡(faking) 가능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A사의 현직자 240명과 대학생 29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먼저, 응답자들의 응답왜곡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고정관념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역량별 중요도 평정을 현직자 집단과 대학생 집단 모두에게 실시하였다. 또한 응답자들이 A사의 인재상에 부합되게 응답왜곡을 지시 받았을 경우 실제 어느 정도 성공하는지와 검사의 형식에 따라 응답왜곡 성공정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집단을 ‘정직응답’ 집단과 ‘왜곡응답’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각 집단에 두 형식(normative/ipsative)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즉, 참가자들이 각 응답집단(정직응답/왜곡응답) 조건 내에서만 두 형식(normative/ipsative)의 검사에 노출되는 1피험자간-1피험자내 혼합설계(one between-one within subjects design)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성공적인 회사생활을 위한 역량별 중요도는 현직자들이 생각하는 역량별 중요도와 높은 상관(Spearman의 순위 상관)이 도출되어 선발 상황에서 지원자의 의도적 응답왜곡 성공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응답왜곡 정도 비교에서는 응답집단과 검사형식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정직집단의 경우 두 검사 형식 간 응답왜곡의 차이가 없었으나, 왜곡집단의 경우 Ipsative 형식보다 normative 형식에서 응답왜곡의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려한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사회적 바람직성(fake good)과 직무 바람직성(fake job) 외에 기업 바림직성(fake company) 구성개념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함께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평가형식 및 척도화 방법이 다면평가에서 관대화 오류 및 후광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명소,이광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1 No.2

        본 연구는 다면평가 상황에서 평가자에게 제공되는 평가형식(리커트 척도 형식, 행동기술평정척도 형식) 및 척도화 방법(균형적 척도, 긍정적 어조의 불균형적 척도)이 평가의 관대화 오류와 후광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역량 다면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A기업의 다양한 직군과 직위의 현직자 133명을 대상으로 자기 · 상사 · 부하 · 동료로 구성된 440명의 평가자들로 하여금 피평가자의 역량 수준을 측정토록 하였으며, 각 독립변인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각 수준에 따라 2Ⅹ2 피험자간 실험설계를 실시하였다. 관대화 오류 분석방법으로 2Ⅹ2 ANOVA와 왜도(degree of skewness)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가형식은 피평가자의 점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척도화 방법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긍정적 어조의 불균형적 척도는 각각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점수와 작은 음의 왜도지수를 지닌 것으로 나타나 관대화 오류가 더 적은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후광효과 분석방법으로 표준편차 비교 분석법과 상관비교 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가 형식에서 행동기술평정척도는 상관비교분석을 사용한 경우에 리커트 척도와 비교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후광효과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척도화 방법은 두 분석결과에서 서로 상반되는 결과를 보이며 그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다. 또한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함께 앞으로의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남성의 양성평등행동에 대한 합리적 행위이론 및 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도덕적 책무의 역할 탐색

        김명소,금미,한영석 한국여성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9 No.1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1) examine the effec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explaining gender equality intention as well as gender equality behavior, i.e., test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2) investigate the role of moral obligation in the prediction of gender equality behavior, and (3) propose and test the research model which includes the moral obligation variable in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nationwide sample of 727 Korean male adul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Both Reliability analysis and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showed that most factors were unidimensional with moderate to high reliability. The results from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gender equality intention was explained 35.2% by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45.9% b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le gender equality behavior was explained 37.3% and 39.6% respectively by each theory. When the moral obligation was added into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nce was increased into 55.4% for gender equality intention and 40.8% for gender equality behavior. Furthermore, the moral obligation was more important predictor than the subjective norm. The results from the LISREL supported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ith reasonable goodness of fi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area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여성의 페미니즘 성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 및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명소,이헌주,한영석 한국여성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자유주의 페미니즘 성향에 차이가 있는 가와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들에서 차이가 나는가를 살펴보고, 이와 함께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64세에 해당하는 성인 여성 771명을 대상으로 자유주의 페미니즘 성향,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한 삶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력, 결혼관계, 직업 및 소득수준에 따라 페미니즘 성향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페미니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성역할과 여성활동의 목적 및 세부적인 정치적 협약은 학력이 높고, 연령이 낮으며, 학생과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서 높게 나타났고, 그러나 반대로 페미니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차별과 경시 및 집합적 행동은 학력이 낮고, 연령이 높으며, 주부 및 일반 사무직 및 영업직 여성 종사자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유주의 페미니즘 성향은 여성들의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한 삶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역할과 여성활동 목적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리고 세부적인 정치적 협약은 심리적 안녕감 및 행복한 삶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페미니즘 이데올로기에 해당하는 집합적 행동은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적 변인에서도 유일하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자매애의 경우 삶의 질 변인들과도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