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과 기독교학교의 종교교육

        손원영 韓國宗敎敎育學會 2001 宗敎敎育學硏究 Vol.13 No.-

        제 7차 종교 교육과정이 기독교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을 위축시킬지 모른다는 의구심이 기독교학교와 교회당국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의 전면적인 개정의 요구는 적절하지 않다는 전제 위에, 연구자는 제 7차 교육과정 안에서 어떻게 종교교육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제 7차 종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성찰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결과는 ①제7차 종교 교육과정이 제6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개념-경험주의자들의 교육과정이론을 보다 체계적으로 활용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② 제7차 종교 교육과정은 교양교육이라는 맥락에서 접근되고 있음으로, 종단학교 뿐만 아니라 일반 공립학교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③ 제7차 종교 교육과정은 신앙교육적 접근과 종교학적 접근을 병행시키는 특징이 있다. ④ 제7차 종교 교육과정은 신앙교육적 접근과 종교학적 접근의 균형보다는 후자에 의한 전자의 지나친 종속으로 흐르는 경향 때문에, 종단학교로부터 거부될 가능성이 있다. ⑤ 제7차 교육과정은 기독교의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기독교 전통을 간과한 채 어느 하나로 축소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⑥ 제7차 종교 교육과정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종교교사의 양성이 시급하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을 하였다. ① 종교 교육과정의 개념이 교과서와 같은 객관적 실재의 의미보다 재개념주의자들의 주장처럼 "초월을 향한 실천의 과정"으로 재개념화시킴으로써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② 기독교과목(성경과목 혹은 종교교과)만을 종교교육의 전체로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모든 교과목 속에 기독교적 지식과 정신이 스며들게 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③ 종교과목 중심의 종교교육으로부터 인성교육 중심으로 종교교육이 전환될 필요가 있다. ④ 기독교 학교에서의 실제적인 종교교육은 종교수업 시간이나 종교교재를 통해 이루어지기보다는 교사나 학교환경 같은 ‘성례전적 존재’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인식하여 그에 대한 학교의 더 큰 관심이 요청된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critically the 7th National Religious Curriculum for Christianity(NRCC), which has been developing since 2000, and providing some ideas for effective operation of NRCC at Christian schools in Korea.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first of all, describes following results that researcher would try to analyse the 7th NRCC: (1) Compared with the 6th one, it has a characteristics to develop curriculum based on conceptual-empiricists' curriculum theories which would emphasize on effectiveness and system of curriculum. (2) As the 7th NRCC focuses on liberal education, public school will be able to select it as one of the liberal arts like Christian school. (3) The 7th NRCC has a characteristics to integrate the two different functions of curriculum development, i.e., faith educational approach and religious approach. The former is more focused on supporting evangelical missions to students, the latter is highly related in objective understanding on Christianity as one of various religions. (4) Because of unbalance between two approaches in spite of trying to integration, the 7th NRCC has a possibility not to be accepted from many Christian schools and Korean churches as well. (5) The 7th NRCC has inclined to reduce many Christian traditions into one tradition. (6) In order to succeed i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7th one, it is very urgent to recruit the professional religious teachers and to train them as soon as possible they can. Based on these explanation of characteristics on the 7th NRCC, lastly,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proposal for Christian school by suggesting reconstructed ideas in four ways: (1) Christian school is required to re-clarify the definition of curriculum as "actical process toward transcendence,"r "king curriculum"n terms of reconceptualists, who are interested in curriculum as praxis rather than objective reality like textbook. (2) Christian schools and religious teachers should be overcome the narrow meaning of religious education that it would often be regarded it as Christian subject-matters like religious/Bible classes. Instead of that, they need to imbue all kinds of subject matters and students' mind with Christian values. (3) The religious education focused on subject matter or Christian dogma-centered education in Korean Christian school, is required to transform into personality-centered education which is more related in humane relationship based on conversation and encounter. (4) Christian school needs to create an Christian environment where teachers and students could make feel God's love. The potent effect on religious education is really high not through the classroom but school environments like teachers attitude and school's educational settings which is understood as a "cramental beings"oward God.

      • KCI등재후보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정치 교육 내용에 대한 분석 연구

        이춘수 忠北大學校 敎育.生活硏究所 2002 한국교육논총 Vol.23 No.3

        이 논문은 1997년에 교육부에 의해 고시되어 초등학교와 중학교,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2001년부터 연차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제7차 사회과 교육 과정]에서의 정치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한 후 그 해결 방향을 탐색한 논문이다. 현재 초·중·고등학교 사회과에서의 정치 교육 내용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인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4학년, 6학년, 9학년, 10학년에서 필수 과정이며 통합 교과인 [사회] 교과 안에서 각 한 단원씩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2학년 이후의 선택 중심 교육 과정에서는 선택 과목인 [정치] 교과에서 독립 교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행 교육 과정의 문제점으로 ① 정치 교육 내용 비중의 부적절성, ② 정치 교육 내용 구성의 비체계성, ③ 부적절한 용어 및 개념 사용 등이 지적되었는 바, 이에 대한 보완 작업과 아울러 차후 교육 과정 편성 시 타 교육 내용과의 균형, 적확한 나선형 방식의 교육 내용 구성, 용어 사용의 일관성, 검증된 개념 및 용어의 사용 등을 고려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 제7차 유치원 언어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차숙(Lee Cha-sook)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이 연구는 제 7차 유치원 언어교육과정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한 것이다. 교육과정은 크게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교실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일반 교사들이 교실 수준의 교육과정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기준과 지침들을 제공해야 한다. 기준과 지침을 제공하되 교사들이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성격, 교육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방법 등을 쉽게 이해하고, 이를 따를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잘 구조화하고 체계화하여 제시해야 한다.<BR>  제7차 교육과정은 우선 교육과정의 구조화와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교과의 전체적인 성격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고, 그에 따라 영역 구분과 영역에 따른 학습 성취 기준이 제시되지 못했다. 따라서 일반 교사들이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 그리고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쉽게 이해할 수 없다. 교과의 성격이나 학습 성취 기준이 명확해야 적절한 교육내용과 교수 방법이 제시될 수 있는데 7차 교육과정은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구조화와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교과의 성격 규명이 미흡하여 당연한 귀결로서 교육내용과 교수 방법들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했다.<BR>  교육과정은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고 늘 새롭게 변모해 가야 하기 때문에 향후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교과의 성격을 잘 아는 사람들과 현장의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교과의 성격을 먼저 잘 규명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교사들이 쉽게 이해하고 따를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7th national kindergarten language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is a general guideline of what to and how to teach kindergartners. So the guideline should be precise and easily understandable statements about educational objectives, scope, standards, contents,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etc.<BR>  By reviewing the curriculum, I found it failed to present a clear structure and necessary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with relevant curricular perspectives. The main problem of the curriculum is that there is no division of scope and learning standards in it. The first task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to structualize and systematize of it. And then, the contents to achieve the learning standards established sh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scope. An overall problem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not to enable the teachers to understand and follow the guideline of the curriculum.<BR>  To develop a good quality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hould be closely examined and structualized first. And then the ideas, concepts, skills, and attitudes to foster should be selected and well arranged.

      • KCI등재

        슬기로운 생활의 교육내용 진술 방식 분석 :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소영(Park, So-Young),김대현(Kim, Dae-Hy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1

        이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 진술 방식이 지닌 의미와 한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교육내용 진술 방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성, 통합성, 체계성, 명료성의 4개 기준을 선정하였다. 첫째, 다양성의 측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은 동일한 주제를 대상으로 다양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은 주제별로 기초 탐구 활동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반면, 학생들의 깊이있는 개념 이해를 돕는 데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둘째, 통합성의 측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진술 방식은 사회 현상과 자연 현상의 통합 관계를 제시하였으나, 교과서 내용 구성에 있어 실제 통합의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은 사회 현상과 자연 현상 간의 관계를 제시하지 않았으며, 실험본 교과서 내용에서도 영역 간의 통합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계성의 측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의 경우, 기초 탐구 활동과 활동 주제 간에 일관성 있는 진술이 요구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에도 활동 주제를 진술하는 방식이나 활동 주제와 기초 탐구 활동을 관계짓는 데 보다 일관성이 요구되었다. 넷째, 명료성의 측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이 평가기준으로 기능할 수 있기 위해서는 보다 세분화된 수준으로 진술될 필요가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네 가지의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서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defining way of the contents in 'Life for wisd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2007 new curriculum. The defining way of the contents was divided into two aspects: defining focus of contents in content system table and achievement standard of contents stated according to grades. And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four criteria: diversity, integrity, consistency, and defini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defining way of the contents of life for wisdom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ermit for diversity of learning contents but has difficulties in performing various activities centering around a same theme and carrying out the criterion referenced evaluation. In the 2007 new national curriculum, the defining way of the contents can offer th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centering around a same theme, but ha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contents. Second, the defining way of the content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rea and natural area but the effects of it is not large. In the 2007 new national curriculum, the defining way of the contents doesn't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rea and natural area and the intensity of integration of contents is not large in experimental textbook. Thir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2007 new national curriculum, the defining way of the contents is not consistent. Fourth,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2007 new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re not stated definitely. They need to be stated more definitely.

      • KCI등재후보

        제7차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 분석 : 신자유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김재춘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4

        이 글은 최근 우리 초&#8228;중등학교에 도입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을 분석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삼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 특히 선택중심 교육과정과 수준별 교육과정은 경쟁과 선택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종 신자유주의적이라고 지적된다. 여기서는 제7차 교육과정이 신자유주의적 정책의 산물이라는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신자유주의의 상위 개념인 ‘신우익’이 교육의 맥락에서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고, 둘째, 신우익 내에서의 신자유주의오 신보수주의의 관계 분석에 근거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에 비해서 경쟁과 선택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간 것은 사실이고, 그런 점에서 신자유주의적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제7차 교육과정은 여전히 시장 논리(markets)보다는 정책적인 결정(politics)을 통하여 더 많이 규제되고 있다는 점에서 제7차 교육과정을 신자유주의적이라고 묘사하는 것은 부적절해 보인다.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구조가 교과서 다양성에 미친 영향: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박선미 ( Sun Mee Par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중학교 사회교과서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구조가 교과서 다양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 비하여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수는 절반 정도로 줄었으나 구체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2007년 개정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보다 학문적 위계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내용조직방식을 취하고 있다. 둘째,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들이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들보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조직되었다. 셋째, ``인구`` 관련 단원에서 나타난 개념 수를 비교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이 1쪽 당 약 1개의 개념을 제시한 반면,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2쪽 당 약 1개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탐구활동을 비교한 결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보다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사례를 이용한 탐구활동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 대강화는 교과서의 형식적 다양성을 이끌었고, 내용조직방법의 변화는 내용의 다양성을 이끌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curriculum structure on textbook diversification focusing o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develop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number of standards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ecame half of tho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curriculums in terms of how specific the standards were. And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is less dependent on hierarchical system of geography tha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econd, textbooks produced in the 2007 Curriculum were more diverse in terms of formation than those produced in the 7th Curriculum.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wo curriculums in terms of the number of concepts in the population chapter, the 7th Curriculum showed 1 concept per 1 page whereas the 2007 Curriculum showed 1 concept per 2 pages.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exploring activities of the two curriculums, textbooks produced in the 2007 Curriculum suggested various exploring activities based on everyday life experiences than those in the 7th Curriculum. In conclusion, sliming of curriculum results in diversity of textbook organization and the change of content organization method leads diversification of contents.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선정 준거 탐색 및 적용 : 제7차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1

        지식과 정보의 폭발적 확장에 따른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는 앞으로 전개될 세계 각국의 지식 전쟁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지식이 사회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그러한 지식을 배양하기 위해 어떤 교육적 노력을 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우리의 절실한 교육 과업이다.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의 가치가 사회의 핵심을 이루기 때문에, 이미 실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기존의 암기와 재생 위주의 획일화된 교육으로는 더 이상 지식의 구성과 창출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하여 제7차 교육과정은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한 학생중심 교육과정의 추구를 변화의 핵심으로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교육법규에 의거하여 고시한 국가 수준의 ‘기준’임을 명시하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과정,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교원․학생․학부모가 함께 실현하는 교육과정, 교육과정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 교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라는 성격을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1999). 따라서 학생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준별 교육과정,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 학습력 향상, 특기․적성 교육의 강화, 외국어 교육의 강화, 학교교육의 자율성 확대와 다양화 등을 교육과정의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제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previous studies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contents i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the validity of contents selected was examined in the light of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content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referred to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which is characteriz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students\ elective curriculum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nation\ s educational needs as well as students\ needs. In additio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should accept some aspects of curricular adopted after liberation. That is, subject-centered curriculum,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nd humanistic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riteria of contents selec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areas and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contents selection criteria were inferred from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 criteria for contents selection are as follows: First, curriculum content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consistency). Second, the contents should be within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but the contents should be challengeable in some degree(learning ability). Third, the contents should have relevance for the learners\ needs, interests and real life(reality). Forth, the contents should be appropriate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futurities). Fifth,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knowledge should be facilitated by the contents(creativity). On the basis of the above criteria for contents selection, the analysi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to performed. As a result of this study, \ the consistency with the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 , \ the learning ability and basic skill knowledge\ , \ the relevance to the learners\ needs and reality\ and \ the appropriateness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re in some degree applie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On the other hand, the criterion of creativity is not fully reflec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정혜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1 교육과학연구 Vol.32 No.1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을 형식적인 측면에서 교육과정의 기본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고, 내용적인 측면에서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교육과정인지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즉,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과를 왜 가르쳐야 하는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분명한 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성격-목표-내용-방법-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체계가 긴밀하게 연결되지 못하였다.또한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특히 '목표'와 '내용' 면에서 지식 기반 사회의 요구를 충분히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고는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요소별로 분석한 문제점들에 대해 나름대로의 대안을 제시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주제어]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평가, 국어과의 성격, 국어과의 목표, 국어과의 내용, 국어과의 방법, 국어과의 평가, 창조적 지식기반 사회 This paper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re disregarded by teachers in classroom who is the subjective body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s a mother language.The primary reason for that situation may be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esn't perform the basic functions as a curriculum.In this paper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analyzed and the used criteria for analysis are that if it performs the basic functions as a curriculum sufficiently, if the inner coherence is maintained through the whole curriculum, and if the curriculum is suitable for the critical knowledge-based society.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esn't satisfy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good curriculum.It doesn't present any definite answers regarding why the Korean Language should be taught, what should be taught, and how it should be taught.It is not organized systematically, so that composing elements of a system such as Character-Objectives-contents-Methods-Testing are not linked closely.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curriculum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quirements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adequately, particularly in the area of Objectives and Contents. This paper is intended to be helpful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showing found problems in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presenting some practicable alternatives. [Key Word]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curriculum evaluation, character, objectives, contents, methods, testing, critical knowledge-based society

      • KCI등재

        언어기능별 평가기준과 평가문항의 적절성에 대하여

        이재성(李在晟),장근수(張根壽) 한국일본어학회 2013 日本語學硏究 Vol.0 No.37

        교수설계에 있어 평가는 교육의 피드백과 개선을 위한 자료이며, 차후에 실시되는 교육의 준비와 실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교수설계 부분 이외에도 학습자는 평가를 통해 현재 자신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스스로 진단이 가능하다. 현재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 교과서 각 단원의 마지막에는 ‘확인학습’, ‘まとめよう’ 등의 명칭으로 단원에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형성평가 문항이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두어 제7차 교육과정과 2007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형성평가 문항을 대상으로 대해 언어의 4기능에 따른 평가기준 반영여부와 그 구성비의 적절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은 읽기 기능의 비율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쓰기 기능은 20.5%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기능은 말하기 기능은 18.8%였으며, 2기능 이상이 결합된 복합기능은 전체의 16.3%였다.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쓰기 기능이 27.2%로 가장 높았으며, 읽기 기능이 25.8%로 나타났다. 말하기 기능은 5.6%로 제7차 교육과정과 동일하게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복합기능은 제7차 교육과정에 비해 2.2%p가 상승한 18.5%의 비율을 보였다. 두 교육과정 모두 읽기 기능과 쓰기 기능에 집중된 평가 문항을 제시하고 있었고, 말하기 기능의 경우 제7차 교육과정보다 13.2%p 감소하여 관련 평가 문항의 보완이 요구되었다. 두 교육과정 모두 읽기 기능과 쓰기 기능에 집중된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며, 복합기능의 경우에도 제7차 교육과정에 비해 기능별 유형이 적었다. 이러한 현상은 4기능 및 상호 행위 능력에 대한 평가 지침과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교현장에서는 부족한 기능의 형성평가 문항에 대한 문항 제작등을 통해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제7차 유치원 언어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차숙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1

        This study is to review the 7th national kindergarten language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is a general guideline of what to and how to teach kindergartners. So the guideline should be precise and easily understandable statements about educational objectives, scope, standards, contents,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etc. By reviewing the curriculum, I found it failed to present a clear structure and necessary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with relevant curricular perspectives.  The main problem of the curriculum is that there is no division of scope and learning standards in it. The first task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to structualize and systematize of it.  And then, the contents to achieve the learning standards established sh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scope. An overall problem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not to enable the teachers to understand and follow the guideline of the curriculum. To develop a good quality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hould be closely examined and structualized first. And then the ideas, concepts, skills, and attitudes to foster should be selected and well arranged 이 연구는 제 7차 유치원 언어 교육과정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한 것이다. 교육과정은 크게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교실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일반 교사들이 교실 수준의 교육과정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기준과 지침들을 제공해야 한다. 기준과 지침을 제공하되 교사들이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성격, 교육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방법 등을 쉽게 이해하고, 이를 따를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잘 구조화하고 체계화하여 제시해야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은 우선 교육과정의 구조화와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교과의 전체적인 성격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고, 그에 따라 영역 구분과 영역에 따른 학습 성취 기준이 제시되지 못했다. 따라서 일반 교사들이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 그리고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쉽게 이해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교과의 성격이나 학습 성취 기준이 명확해야 적절한 교육내용과 교수 방법이 제시될 수 있는데 7차 교육과정은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구조화와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교과의 성격 규명이 미흡하여 당연한 귀결로서 교육내용과 교수 방법들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했다. 교육과정은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고 늘 새롭게 변모해 가야 하기 때문에 향후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교과의 성격을 잘 아는 사람들과 현장의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교과의 성격을 먼저 잘 규명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교사들이 쉽게 이해하고 따를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