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의 방향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향후 교과서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새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방향과 내용을 검토하였으며, 이에 따른 교과서 개발의 방향으로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의 수시 개정 방식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및 수시 개편의 문제로, 새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장기적인 교과서 개발체제 수립과 관련하여 ‘교과서 상시 개편 방식’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과정에 대한 단위학교의 자율적 편성․운영권 확대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및 검정 기준의 문제로, 해당 교과의 연간 최소 교육과정 기준(32주)에 따라 구성하되 일정 범위 내에서 증감이 가능하도록 교과 내용이 ‘기준’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으며, 재구성 혹은 대체 가능한 내용에 대해서는 해당 교과서 내용 하단부에 아이콘 형식으로 표기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기 집중 이수제에 따른 특정 교과의 교과서 개발 문제로, 해당 교과서의 별도 개발의 어려움과 이러한 어려움은 단원이나 주제 설정을 보다 창의적인 방식으로 접근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넷째, 수준별 수업의 강화에 따른 수준별 수업 교과서와 보조 교재 개발의 문제로, 보조 교과서의 경우 지역 및 학교 규모, 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적정화에 따른 교과서 내용의 양과 수준의 문제로, 해당 교과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요소를 충실히 반영하되 학습내용은 32주 분량, ‘최소필수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based on the recently announced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dealt with the main directions and contents about the revised curriculum, and proposed the 5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 the basis of the issues for textbook development and the constant revision of that according to the constant and partial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proposed \ the system of constant textbook revision\ . Second, based on the partial admission on the autonomy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levels, the study gave clear indication that the subject contents could be interpreted as an \ standard\ , not as the \ essential\ . Third, the outcomes indicated that the problems of textbook development based on the \ semester intensive course\ could be solved with the creative approaching on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s or/and themes. Fourth,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textbook for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uld be constructed by various content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local level, school sizes and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Fifth, volume and level of textbook contents, the every subject contents should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for 32weeks focused on the \ minimal and essential\ elements of knowledge, and developed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bjectives, contents, instruction and evaluation in each subject matter.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민용성,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총론 문서상에 제시된 다문화 내용 요소를 분석한 후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으로 하나의 체제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교육과정 각 구성 요소별로 지향해야 할 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즉, 정체성과 다양성 있는 목표 구성, 소수 인종과 문화 집단의 총체적 관점이 포함된 내용 선정, 교과 및 교과 외 활동을 통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기회를 통합적인 방법으로 제공, 목표, 내용 및 방법 등과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를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네 가지 요소를 하나의 체제로 연결할 수 있는 인적․물적 지원도 개발 방향의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은 일부 소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뿐만 아니라 내용, 방법, 평가 그리고 기타 인적․물적 지원까지도 다문화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체제와 방향으로 구성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은 즉흥적이고 일시적인 필요에 의한 프로그램 제공이 아니라 체계적인 틀을 갖춘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향후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atching up to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which relat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n searched the changes from school-based curriculum in the present. Also analyzed the multicultural contents element which is presented in 7th and 2007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The result for the search of the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 Fir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preferentially aimed at purposing not only identity of the minority race but diversity of culture. Second, reasonable and various contents which contain general perspectives of the minority and cultural community should be selected. Thirdly, to provide selected contents efficiently, equal opportunity should be given through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and utilize only the integration methods. Fourth, in evaluating aims, contents and methods should be consistent and systematic. Lastly, this process can provide the ground for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positive through only the correlation and understanding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suppor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could be presented as follows : First,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for not a minority but all the various and different students. Second,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constituted toward the system and direction for realization of multi-education for not only aims, contents, methods, evaluations but various personal and material support. Thirdly, contents presented by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not provide an extemporaneous composed program but be developed to the direction with systematic struct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current and significant points to draw the pla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ey Words : multicultural society,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atic perspective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의 가능성과 한계 :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2

        교육과정 결정의 분권화와 교육과정 구조의 다양화를 표방했던 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는 학교 단위 교육과정 자율성을 위한 노력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1~5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편제 및 편성․운영 지침이 자율 및 허용 규정보다는 통제 및 강제 의무 규정이 많아서 지역 및 학교 단위 교육과정 자율성 증진은 형식적, 선언적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6차~2007년 개정 교육과 정 시기에는 국가, 지역 및 학교의 역할 분담 체제에 따라 보다 구체적인 자율성 확대 지침을 통해 자율적 편성․운영의 실질적 보장이 상당 부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교육과정에서 자율적 편성․운영이 제한적, 부분적이었다는 지적에 따라 ‘교과 집중 이수제 도입’, ‘교과수업 시수의 증감 운영’,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자율성 확대’ 등을 통 해 좀 더 실효성 있는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 확대를 지향하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상황에서 학교 단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은 국가 교육과정 기준에 기초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학교단위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를 위해 향후 국가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바를 제시하면, 우선 단기적으로는 교육과정 편제표상의 수업 시수를 ‘최소’보다는 ‘기준’ 개념으로 해석하는 문제, 교육과정 영역별(교과․재량활동․특별활동) 수업시간 수를 “학교급별” 혹은 “학년군별”로 통합하여 제시하는 문제, 수업 시수의 통합 제시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의 학년별 내용을 ‘기준’으로 해석하고 개발된 교과서내용의 재구성 혹은 대체 가능 내용에 대한 ‘아이콘 형식 표기’ 문제 등의 현실적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국가 교육과정의 체제를 현재와 같이 다양한 교과 중심의 편제에서 벗어나 핵심 교과(영역) 중심으로 재구조화 하는 문제, 학생의 과목 선택권의 실질적 확대를 위해 ‘학기의 세분화’를 통한 집중 이수 및 재이수의 자율적 허용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has been regarded as an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deliberation and decision making. This trend could be understood as a main stream of effort to improv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1st national curriculum included slightly autonomy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local and school level in korea. Especially, the 6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cluded the partial admission on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local level according to the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decision making and expanding the curriculum diversity. Also, the 2007 new national curriculum included the considerable admission on the autonomy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at the local and each schools. Nevertheless, in korea context, there is the limitation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local and school level. Because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our curriculum system. In the future, in order to improve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xtend the curriculum autonom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erm of \ subject matters\ contents\ , \ time allotment\ , and \ curriculum reconstruction or reorganization of textbooks\ in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light of curriculum autonom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curriculum design and construct should be focussing on the \ core competency\ or \ core subject\ in the structure of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학습자 중심의 교육목표 설정 및 진술에 관한 연구 : 제7차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교육목표 개선을 중심으로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설정 및 진술 방식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학습자 중심 교육을 표방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 총론의 학교급별 교육목표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향후 어떻게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교육목표는 3가지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목표는 학교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설정하여 진술한다. 둘째, 학생중심의 목표 진술 방식을 지향한다. 셋째, 초·중학교는 과정어(過程語)를 중심으로, 고등학교는 성취어(成就語)를 중심으로 진술한다. 이러한 개선 방향에 따라 제안된 교육목표 설정 및 진술 방식은 2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현행과 같이 ‘전문+세부 목표’의 구성 체제를 유지하면서 전문을 ‘학생 중심’으로, 고등학교는 ‘성취어’를 중심으로 진술하는 것이다. 둘째, ‘전문+세부 목표’의 구성 체제를 ‘전문’ 중심으로 수정하여 포괄적으로 진술하며, 단위 학교에서 ‘세부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purpos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propose an improvement of current purposes in each level of school. The improvement of present purposes of education were proposed like following two schemes. First, the mode of statement should be changed to learner-centered mode maintaining the current system of \ the foregoing statement + detailed purposes\ in current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purposes in high schools should be stated including the statement of attainment. So to speak, the mode of statement in foregoing statement should be changed from teacher-centered statement to \ student-centered statement\ and the purposes of high school should be corrected to the statement of attainment. Second, the organization system of \ foregoing statement + detailed purposes\ in current curriculum is changed to more comprehensive purposes on the basis of \ foregoing statements\ . This scheme require the more wholescale correction of current purposes, but the current 5 purpose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pertinent level of school to play a directive role in each level of school. That\ s to say, the educational purposes in each level of school are suggested as general purpose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 and the concrete purposes of each school are established in each school 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school.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선정 준거 탐색 및 적용 : 제7차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1

        지식과 정보의 폭발적 확장에 따른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는 앞으로 전개될 세계 각국의 지식 전쟁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지식이 사회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그러한 지식을 배양하기 위해 어떤 교육적 노력을 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우리의 절실한 교육 과업이다.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의 가치가 사회의 핵심을 이루기 때문에, 이미 실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기존의 암기와 재생 위주의 획일화된 교육으로는 더 이상 지식의 구성과 창출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하여 제7차 교육과정은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한 학생중심 교육과정의 추구를 변화의 핵심으로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교육법규에 의거하여 고시한 국가 수준의 ‘기준’임을 명시하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과정,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교원․학생․학부모가 함께 실현하는 교육과정, 교육과정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 교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라는 성격을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1999). 따라서 학생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준별 교육과정,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 학습력 향상, 특기․적성 교육의 강화, 외국어 교육의 강화, 학교교육의 자율성 확대와 다양화 등을 교육과정의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제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previous studies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contents i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the validity of contents selected was examined in the light of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content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referred to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which is characteriz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students\ elective curriculum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nation\ s educational needs as well as students\ needs. In additio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should accept some aspects of curricular adopted after liberation. That is, subject-centered curriculum,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nd humanistic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riteria of contents selec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areas and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contents selection criteria were inferred from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 criteria for contents selection are as follows: First, curriculum content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consistency). Second, the contents should be within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but the contents should be challengeable in some degree(learning ability). Third, the contents should have relevance for the learners\ needs, interests and real life(reality). Forth, the contents should be appropriate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futurities). Fifth,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knowledge should be facilitated by the contents(creativity). On the basis of the above criteria for contents selection, the analysi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to performed. As a result of this study, \ the consistency with the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 , \ the learning ability and basic skill knowledge\ , \ the relevance to the learners\ needs and reality\ and \ the appropriateness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re in some degree applie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On the other hand, the criterion of creativity is not fully reflec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행동과 신념에 관한 사례 연구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the relevance of teaching behaviors and belief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instruction observation, videotaping and recording, interviewing. And then data were analyzed by the analysis criteria for teachers\ teaching behaviors and beliefs. The analysis criteria were motivation, question, learning management, objectives attainment strategy, explanation, and 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The research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teachers in the H elementary school in Chung-buk. As a result, teachers behaviored somewhat differently to \ ideal\ teaching beliefs in the process of teaching. That is to say, the beliefs of teachers reflected two distinctive aspects on teaching and learning; the \ ideal\ view is related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 real\ view is related to their present teaching environments such as the teaching schedule, the school evaluation systems, etc. This means that teaching behaviors are not necessarily based on the teachers\ ideal beliefs and philosophies. In other words, teaching behaviors are generally based on the teachers\ \ real\ beliefs and philosophies. So, researches of teaching effectiveness should be focused on the congruency of teaching behaviors(real beliefs) and beliefs(ideal beliefs). Consequently, focusing on teacher\ s mental, philosophical aspect as well as teaching skill is to be necessary in the initi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행동과 신념간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수업 관찰, 녹화 및 녹음, 교사와의 면담을 통하여 교사의 교수행동과 신념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교수행동과 신념의 분석 영역은 동기유발, 질문, 학습관리, 수업목표 달성 전략, 설명, 수업내용의 구조화 등의 6가지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사들은 대체로 교수행동에 대한 이상적 신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학교 현장의 다양한 현실적 문제 때문에 이상적 신념의 왜곡된 형태인 실제적 신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업의 과정에서 표출되는 교수행동과 교사 자신이 갖고 있는 신념간에 괴리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교수행동과 신념간의 관련성 연구의 확대와 더불어 향후 교사교육에서 기법적 측면보다는 교사의 심리, 철학적 측면에 보다 많은 관심과 배려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