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교육과 다양성 추구

        김재춘 한국교육과정학회 2000 교육과정연구 Vol.18 No.1

        이 글에서 필자는 우리 학교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성을 고려한 교육을 실시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필자는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다양성이 결핍된 우리 교육의 모습을 기술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의 역사와 의의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둘째, 교육에서 다양성의 중층적 구조를 분석한 다음, 각 층위에서 필요한 다양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다양성의 중층적 구조는 학생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하여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성, 교육 내용의 다양성, 교육과정 운영의 다양성, 학교의 다양성 순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교육에서 다양성은 단순히 방법론적 수준에서 다양성을 고려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다양성 자체를 추구하는 교육을 실시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 글은 최근 들어 우리 교육 논의의 초월적 기의로서 작용하는 다양성에 대해 교육과 관련하여 본격적인 논의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일단의 의의를 지닌다. In this article, I maintained that we should not only consider diversity, but also pursue diversity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s of schooling in Korea. The article is cmoposed of three sections. First, I described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diversity in the educational literature and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considering and/or pursuing diversity in schools, after briefly describing some characteristics of our schools which are eminently lacking diversity. Second, I tried to identify some different arenas of schooling in which deversity is desperately needed, and suggested potential stategies in the respective arena of schooling. In the article,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and type of schools are identified as the key arenas lacking diversity and diversifying strategies for each arena are proposed. Third, I argued that diversity in education should not be pursued just as a method of teaching the given more effectively, but also as an aim of introducing students to the multiple forms of knowing and differing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is an initial article on the diversity in education. Although diversity in education has recently been frequently talked about in Korea, it is yet to be examined systematically withi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 KCI등재

        니체의 도덕 비판: 도덕의 언어로 쓰인 교육론

        김재춘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Nietzsche's discussion of moral criticism in the books of Daybreak and The Genealogy of Morality, as an educational theory in the language of morality, and to provide a justification of this interpretation. For this, this study addresses three issues. First, what Nietzsche means by ‘the birth of morals’ is interpreted as the emergence of a deterrent of the continuous growth of humanity. And this study gives an overview of how the ethics of customs, which emerged as the first of morals, evolved over time into the morals of conscience, and of how this morality plays a role in inhibiting the continuous growth of humanity. Second, the morality offered by Nietzsche as an alternative is interpreted as a stimulant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humanity. To justify this interpretation, the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rality of consciousness’ and ‘the morality of impulse’. Third, the paper addres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Nietzsche’s alternative morality can be appropriately called morality. Nietzsche's new morality is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one generally accepted. So, the paper intends to interpret Nietzsche's discussion of moral criticism as a discussion of deterrents and stimulants to the continuous growth of humanity, and his critique of morality as an ‘educational criticism’ in the language of morality. 이 연구는 『아침놀』과 『도덕의 계보』를 중심으로 전개된 니체의 도덕 비판 논의를 도덕의 언어로 쓰인 교육론으로 해석하고, 이런 해석의 정당성을 논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니체가 그 계보를 추적하는 ‘도덕’의 탄생을 인간의 ‘성장 억제제’의 출현으로 해석하였다. 최초의 도덕으로 출현한 ‘풍습의 윤리’가 시간이 흐르면서 ‘양심의 도덕’으로 진화하는 과정과 이런 도덕이 인간 성장의 억제 작용을 수행함을 살펴보았다. 둘째, 니체가 대안으로 제시하는 도덕을 인간의 ‘성장 자극제’라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이런 해석을 정당화하기 위해 인간을 의식의 차원에서 피상적이고 편협하게 이해하는 ‘의식의 도덕’과 인간에 대한 심층적이고 확장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충동의 도덕’을 비교 대조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셋째, 니체가 ‘삶의 원리’로 작용하는 기존의 도덕을 비판하고 대안으로 제시하는 새로운 도덕 즉 ‘삶과 성장의 조건’을 도덕으로 부르는 것이 적절한가의 문제를 다루었다. 니체가 제시하는 새로운 도덕은 ‘인간이 지켜야 할 도리’라는 도덕의 일반적인 의미와는 너무나도 다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연구자는 니체의 도덕 비판 논의는 인간의 ‘성장 억제제와 자극제’에 관한 논의로서 니체의 도덕 비판은 도덕의 언어로 쓰인 ‘교육론’이라고 해석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제7차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 분석 : 신자유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김재춘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4

        이 글은 최근 우리 초․중등학교에 도입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을 분석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삼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 특히 선택중심 교육과정과 수준별 교육과정은 경쟁과 선택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종 신자유주의적이라고 지적된다. 여기서는 제7차 교육과정이 신자유주의적 정책의 산물이라는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신자유주의의 상위 개념인 ‘신우익’이 교육의 맥락에서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고, 둘째, 신우익 내에서의 신자유주의오 신보수주의의 관계 분석에 근거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에 비해서 경쟁과 선택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간 것은 사실이고, 그런 점에서 신자유주의적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제7차 교육과정은 여전히 시장 논리(markets)보다는 정책적인 결정(politics)을 통하여 더 많이 규제되고 있다는 점에서 제7차 교육과정을 신자유주의적이라고 묘사하는 것은 부적절해 보인다.

      • KCI등재

        플라톤과 니체의 ‘동굴’ 비유에 나타난 교육의 의미 비교 분석

        김재춘 한국교육철학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4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Plato's Republic and Nietzsche's Thus Spoke Zarathustra in terms of the meaning of education. First, the study explores the main features of the caves used by Plato and Nietzsche. Both Plato and Nietzsche use the same term of 'cave', but they imply different ideas for it. While Plato's cave is a place of ignorance or obscurity from which one should flee as quickly as possible, Nietzsche's or Zarathustra's cave is a place of learning where one can experience enlightenment while descending and ascending repeatedly. Secon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Plato's and Nietzsche's caves and their background ideas. In Plato's and Nietzsche's works, similarities are found in the analogy of the cave. (1) Both Plato and Nietzsche emphasize not only learning but also teaching. (2) Learning is understood as an activity that requires several steps which carry quite distinctive features. (3) Learning and teaching are described as a difficult and enduring process. Notwithstanding the similarities, the cave metaphors used by both Plato and Nietzsche showed more differences than similarities in view of education. While Plato emphasizes the education of being, memory, and reason, Nietzsche emphasizes that of becoming/creation, oblivion, and body. Plato affirms the former and denies the latter, thereby locating the former and the latter as oppositional. Nietzsche, on the other hand, believes that the former and the latter have a 'non-symmetrical' relationship, with the latter including the former. Facing these different paradigms of education,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er's position. 이 연구는 플라톤의 『국가』와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제시된 ‘동굴’ 비유의 교육적 의미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플라톤과 니체 저작에 제시된 동굴과 그 배후 사상의 주요 특징을 탐색하였다. 플라톤과 니체 모두 ‘동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들의 동굴은 서로 다른 특징과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 플라톤에게 동굴은 무지 또는 무명의 장소로서 가급적 빨리 벗어나야만 하는 공간이라면, 니체또는 차라투스트라에게 동굴은 하강과 상승의 반복을 가능하게 하는 깨달음이 일어나는 공간이다. 둘째, 플라톤과 니체의 동굴과 그 배후에 있는 사상이 지니는 교육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플라톤과 니체의 동굴 비유는 ① 배움과 가르침을 모두 강조하고 있고, ② 배움을 몇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활동으로 파악하며, ③ 배움과 가르침을 힘들고 지난한 과정으로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라톤과 니체의 동굴 비유는 교육의 유사점보다는 차이점을 더 두드러지게 보여 준다. 무지의 동굴에서 벗어나 빛의 세계로 나아가는 교육을 추구하는 플라톤은 존재·기억·이성의 교육을 강조하는 데 반하여, 어두운 동굴에서 깨달음을 얻는 니체는 생성·망각·신체의 교육을 강조한다. 우리 삶을 영위하는 데에 낮과 밤이 모두 필요하듯이, 우리 교육을 제대로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플라톤의 존재·기억·이성의 교육과 니체의 생성·망각·신체의 교육 모두 우리에게 필요함을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선택 과목의 이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사이버 교육의 활용 방안 탐색

        김재춘,박소영 한국교육개발원 2004 한국교육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mplementation plans of cyber education for the enlargemen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opportunity to choose elective subjects. Elective subjects of secondary school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ake more important status than that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Under the new curriculum, howeve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don't offer a variety of subjects and students cannot choose the subjects they wish to learn. In the situation, cyber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larging students' opportunity to learn the subjects wished by less than 20 student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cyber education partially implemented in secondary schools. Second, this research conducted a national survey to ascertain whether students and/or teachers like or dislike the implementation of cyber education. Third, this article proposed implementation plans of cyber education for the enlargement of students' opportunity to choose elective subjects. The suggested plan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reedom of time and place. Among four policies, two, distance video education system and limite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are recommended for secondary schools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is study, researchers conclude the article with suggesting that three kinds of researches be conducted in order to implement cyber education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ey are as follows: To educate teachers to be ready for the implementation of cyber education, to revise current education laws related to cyber education in the grade schools, and to standardize educational contents for cyber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소수의 학생이 희망하는 선택 과목의 이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사이버 교육의 활용 방안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우리 나라의 중등 사이버 교육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사이버 교육에 관한 학생과 교사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 및 요구 분석의 결과에 근거하여 사이버 교육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사이버 교육의 활용 방안은 원격화상강의, 실시간 원격교육, 제한된 자기주도형 원격교육, 완전 자기주도형 원격교육이다. 이 중 현 중등 학교 체제에서 소수 학생들의 선택 과목 이수 기회를 확대하는 데 활용 가능한 방안은 원격화상강의와 제한된 자기주도형 원격교육임을 제안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본 원칙들과 후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는 연구 영역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탈근대적 페미니즘 논의가 교육 정치에 주는 시사점 탐색

        김재춘 한국교육정치학회 2010 敎育政治學硏究 Vol.17 No.1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ture of a postmodern feminism as an encounter of postmodernism with feminism, and to explore its educational implication. The study mainly deals with Gilles Deleuze's body politics and Elizabeth Grosz's corporeal feminism, both of which have been regarded as big theoretical streams investigating the problems of body/mind, male/female relations. The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ly, it examines Gilles Deleuze's body politics through his well-known concepts, the body without organs and becoming-woman, because Gilles Deleuze can be regarded as a prominent postmodern philosopher dealing with the binary relations of body/mind, male/female, and so on. Secondly, it also analyzes Elizabeth Grosz's corporeal feminism, which directly deals with the binary opposition of body/mind, male/female. In the analysis, the study focuses on the question of how the binary oppositions such as body/mind and male/female could be understood, and whether the opposition could be abolished meaningfully. Thirdly, the implication of the postmodern feminism as an encounter of Gilles Deleuze's body politics with Elizabeth Grosz's corporeal feminism for both education and schooling in our society would be explored. 이 글은 탈근대성과 페미니즘이 조우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탈근대적 페미니즘 논의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논의가 교육 정치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연구에서는 마음과 몸, 남성과 여성의 경계 문제를 비교적 심층적으로 다룬 것으로 간주되는 탈근대론자인 Deleuze와 페미니스트인 Grosz의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연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마음과 몸, 남성과 여성의 경계 문제와 관련하여 탈근대적 사유의 대표자격인 Deleuze의 몸 정치학을 ‘기관 없는 몸’과 ‘여성-되기’를 통해 살펴보고, 둘째, 마음과 몸,남성과 여성의 경계 문제를 주된 이슈로 다루는 Grosz의 육체 페미니즘의 논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Deleuze와 Grosz의 논의를 분석하면서 마음과 몸의 관계, 남성과 여성의 관계가 어떻게 해체되거나 유지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셋째, Deleuze의 탈근대적 논의와 Grosz의 육체 페미니즘 논의의 조우로 형성된 탈근대적 페미니즘 논의가 교육 정치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탐색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적 탐구

        김재춘,박정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교사되기'의 길을 걷는 과정에서 어떤 생활지도 경험을 하는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생활지도 능력은 어떻게 성장하는 지를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진솔하게 드러내어 보여줌으로써 학교 공동체 구성원들의 관심과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2007년 9월 1일자로 발령받은 초임교사 두 명에 대해 2009학년도 1학기까지 2년간에 걸친 내러티브적 탐구를 통해 두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을 연구하였다. 초임교사로서 2년간의 생활지도 경험을 통해 김교사와 이교사가 깨달은 것 중에서 이 연구에서는 첫째,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능력 신장 문제, 둘째, 초임교사의 이른바 '문제 학생'의 생활지도 문제, 셋째, 중간 발령 초임교사의 학급 담임으로서의 생활지도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교사양성과정이나 임용 전후 연수를 통해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능력을 길러주는 방안, 둘째, 연?월?주간 생활지도 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하고, 생활지도 활동 평가표에 따라 실시현황을 점검해 보도록 함으로써 생활지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 셋째, 중간 발령으로 인한 초임교사의 학생 생활지도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