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울릉분지 제 4기 질량류 퇴적체 분포 및 기원

        이영미 ( Young Mi Yi ),유동근 ( Dong Geun Yoo ),강년건 ( Nyeon Keon Kang ),이보연 ( Bo Yeon Yi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4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7 No.2

        동해 울릉분지에서 취득된 2차원 다중채널 탄성파 탐사자료의 해석에 의하면,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제 4기 퇴적층은 침식부정합면에 의해 4개의 층서단위로 구분된다. 각 층서단위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18개의 질량류 퇴적체로 구성된다. 탄성파 단면상에서 질량류 퇴적체는 캐오틱 혹은 투명한 음향상 특징을 보이며, 쐐기 혹은 렌즈상의 외부형태를 가진다. 질량류 퇴적체는 주로 울릉분지 남쪽사면 일대에 중첩되어 분포하며, 분지중앙으로 향하면서 층후가 얇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시간구조도에 의하면 연구지역의 중앙에는 주변보다 융기된 지형과 북서 및 북동방향의 저지대가 발달한다. 등시층후도에 의하면 연구지역의 남쪽으로부터 기원한 질량류 퇴적체는 사면을 따라 분지중앙으로 유입되었으며, 지구조운동으로 형성된 융기지형에 의해 두 방향으로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결과적으로 울릉분지에 분포하는 제 4기질량류 퇴적체의 발달은 다량의 퇴적물 공급, 저해수면시기 동안의 가스하이드레이트 해리, 중앙부에 위치한 융기지형 등의 요인에 의해 크게 조절되었다. Analysis of multi-channel seismic reflection profiles collected from the Ulleung Basin reveals that the Quaternary sequence consists of four stratigraphic units separated by erosional unconformities. Individual stratigraphic unitincludes eighteen mass transport deposits which are variable in geometric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Eachmass transport deposit on the seismic profile is acoustically characterized by chaotic or transparent seismic facies, andshows wedge or lens-shaped external geometry. The mass transport deposits, which comprise a succession of stacked wedges, mainly occur on the southern slope, and their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asin plain. The time structure map of erosional unconformities shows that a tectonic-induced structural high and troughs toward the northwest and northeast are developed at the central part of the basin. Based on the isochron map, the mass transport deposits, originated from southern part of the study area, transported to the basin plain and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structural high. Consequently, the mass transport deposits within the Quaternary sequence in the Ulleung Basin are largely controlled by the large amounts of sediment supply, dissociation of gas hydrate during the low stands, and central structural high.

      • pT1N3 위암

        안대호,권성준,윤효영,송영진,목영재,한상욱,김욱,Ahn, Dae-Ho,Kwon, Sung-Joon,Yun, Hyo-Yung,Song, Young-Jin,Mok, Young-Jae,Han, Sang-Uk,Kim, Woo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2

        목적: 위내시경의 보급으로 조기위암의 빈도가 증가하고 축소치료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는 장점도 있으나 림프절 곽청의 측면에서 제한점이 있다. 림프절 전이를 동반하는 조기위암의 대부분은 UICC-TNM 분류의 N1 또는 N2이지만 드물게 N3의 보고도 있다. pT1N3 위암은 증례보고는 있지만 review논문은 없어서 특성을 이해하거나 치료방침을 세우기가 어렵고 UICC-TNM에서 4기로 예후가 나쁜 위암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객관적인 증거는 없다. 저자들은 국내 6개 대학에서 9예의 pT1N3 위암 치험예를 모아서 문헌 고찰과 함께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차병원,한양의대,충북의대,고려의대 구로병원, 아주의대, 가톨릭의대 성가병원의 6개 병원에서 기간은 서로 다르지만 의무기록 분석이 가능하였던 기간동안 수술을 받았던 2,772예의 조기위암 중에서 UICC-TNM의 pT1N3 위암 9예를 분석하였다. 비교 대조군은 분당 차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210예의 조기위암 환자이다. 결과: 9예는 전체 조기 위암 2,772예의 0.32%이며 남자는 3명, 여자는 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7세였다. 점막암이 2예, 점막하층암이 7예이고 전이된 림프절의 수는 18에서 52개로 평균 27개였다. 5예는 표층 팽창형으로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고 종양의 크기도 N3군이 N0, N1, N2군보다 컸다. 7예에서 림프관 침윤이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1예는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어서 비치유 절제가 되었고 2예에서 조기재발이 있는 등 예후가 불량하였다. 결론: pT1N3 위암의 위험 인자로는 여성, 점막하층암, 종양의 크기, 림프관 침윤을 들 수 있다. pT1N3 위암의 존재는 조기위암의 축소 치료 시 주의를 요하며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항암 보조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Various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echniques, such as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a laparoscopic gastrectomy, are becoming common practice for som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EGC) defined in terms of the depth of invasion being limited to the mucosa or submucosa. However, there are rar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with massive lymph-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6 university hospitals of Korea, 2,772 EGC cases were resected during the various period of analysis (1,432 cases of mucosal cancer and 1,340 of submucosal cancer). Results: As control data, we used the data from a single institute, CHA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nin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9/2,772, 0.32%) with N3 lymph node metastasis defined by more than 15 lymph nodes being metastasized according to the UICC-TNM classification (pT1N3, stage IV). Two cases were mucosal cancer (2/1,432, 0.1 4%), and seven cases were submucosal cancer (7/1,340, 0.52%). Metastasized lymph nodes varied in number from 18 to 52. There were three male and six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7. This is a totally reversed sex ratio compared to the usual gastric cancer or EGC. Among the total of 9 EGC patients, there were 5 who had superficial spreading carcinomas with surface areas larger than $25\;cm^2$. This is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compared to the general EGC population. When we compared the tumor size according to the LN status, the N3 group was definitely larger than the other groups. 78% of the pT1N3 cases showed lymphatic invasion, which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4.7% in general EGC cases. Among the 9 cases, 6 patients had too short a follow-up period to evaluate the correct prognosis, but there was one patient with a non-curative resection and two patients with early recurrence. Although the sample size is small and the follow-up period is short, we can expect a very poor prognosis when we consider the common prognosis of EGC that is widely known and accepted.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can a conclude that the risk factors for pT1N3 gastric cancer are female patients, submucosal invasion, larger tumor size, and lymphatic invasion. However rare, the existence of pT1N3 gastric cancer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especially during the diagnosis. Furthermore,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EGC needs to be chosen with great precaution. Since the prognosis of pT1N3 gastric cancer is expected to be poor, aggressive adjuvant chemotherapy may be necessary.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109-113)

      • 논문(論文) : 중국유학자의 유학 3기에 대한 연구와 전망

        석용지,이승모(역)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12 退溪學 Vol.21 No.-

        모종삼(牟宗三)의 유학 3기설, 이택후(李澤厚)의 4기설과 황옥순(黃玉順)의 신 3기설은 모두 형이상학의 입장에 의거해서 유학의 발전시기를 나눈 것으로 엄격한 판교(判敎)를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은 모두 문명 간의 대화가 필요한 시대에 위배되는 것이다. 만약 문명대화, 문화융합의 각도에서 유학을 나누면 중국문화의 당대 임무를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제1기와 제2기 유학의 경험과 교훈을 받아들여 내성(內聖)과 외왕(外王)의 관계를 처리할 수 있고, 신앙에서 문물, 법령제도에 이르기까지 국력, 기술과 기물을 응용해서 중국문화를 전면적으로 부흥시킬 수 있다. 중국인은 유학이 이와 같은 발전을 이룩해서 자신의 제3기를 완성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 KCI등재

        4,800~4,100년 전 신석기시대「압록강문화권」의 고찰 - 이중구연세퇴문토기와 뇌문토기를 중심으로

        김재윤(Kim Jaeyoun)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7

        압록강문화권은 미송리 유적을 근거로 설정되었는데, 그 이후는 압록강 유역의 쌍학리 유적 및 인접한 지역에서 이중구연세퇴문토기와 뇌문토기가 확인되어 이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중구연세퇴문토기는 하요하 유역의 편보문화 토기로 알려졌지만 압록강 유역의 토기와 형식상 유사하고, 이 지역의 토기가 시간상 이르다는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압록강을 중심으로 양상을 살필 수 있다. 그런데 이 토기는 압록강 유역과 가까운 청천강 및 요동 북부와 남부, 하요하 유역 및 요서 통요 부근의 소하연문화 남보력고토 유적에서도 출토된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알려진 소하연문화의 토기 중에 대표적인 채색된 존형토기와 기대, 고배형토기 등이 출토되지 않고 새로운 요소가 포함된다. 원저토기와 옥제품, 조합식석인도, 두부장신구, 무덤의 장법은 시베리아의 세로보문화와 글라스코보문화의 특징이다. 이중구연세퇴문토기와 뇌문토기도 알려진 소하연문화의 다른 지역유형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그래서 남보력고토 유적은 4,000~3,800년 전 소하연문화의 통요유형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통요유형에서 확인되는 이중구연세퇴문토기와 뇌문토기는 압록강 유역 주변의 유적과 기형의 형태, 문양 등에서 차이가 있어 형식상 구분되고, 측정연대도 늦으며, 압록강문화권에서 볼 수 없는 시베리아문화의 요소가 있어 포함될 수 없다. 따라서 미송리 유적 이후에 압록강문화권은 이중구연세퇴문토기와 뇌문토기가 모두 확인되는 압록강 및 청천강 유역에서 하요하 유역, 요동남부와 요동북부를 포함하며, 그 기간은 4,800~4,400년 전쯤으로 압록강문화권 3기로 볼 수 있다. 압록강문화권 4기는 4,400~4,100년 전쯤으로 압록강 유역과 요동남부에서만 뇌문토기가 확인된다. 다른 지역은 청동기시대까지 유적이 확인되지 않아서 정확하지 않다. Yijunggu yeonse toemun earthenware (double-mouthed earthenware) and noemun earthenware (lightning-patterned earthenware) from 4,800 years ago have been found in the Amnok River basin, northern and southern Liaodong, the lower Liao River basin and the west Liao River. 4,400 years ago, there was a change in the earthenware of the cultural sphere surrounding the Amnok River. For the period between 4,400 and 4,100 years ago, only noemun earthenware have been identified in the Amnok River basin, and northern and Southern Liaodong.

      • 한반도 동북지역 뇌문토기 변천과정

        김재윤,Kim, Jae-youn 국립문화재연구원 2007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0 No.-

        필자는 동북지역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의 이행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뇌문토기를 고찰하였다. 뇌문토기는 현재까지 서북지역 신석기 후기 편년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동북지역 뇌문토기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동-서 지역의 병행관계 설정이 가능한 자료이다. 따라서 서북과 동북의 자료를 모두 검토대상으로 하였다. 동북지역의 뇌문토기 계보와 변천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뇌문토기의 속성을 추출하고 편년작업을 실시하였다. 각 지역의 뇌문토기를 살펴본 결과, 동북지역 뇌문토기는 압록강을 중심으로 한 서북지역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 중 서북지역은 3기로 나누어지는데, 속성분석에 따르면 서북지역 2기에 해당하는 뇌문토기가 동북지역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동북지역 뇌문토기를 두만강 유역에서 초현한다. 전체적으로 4기로 나누어지는데 2기에 계열 분화되며 3기가 되면 남연해주 내륙으로 확산된다. 남부 연해주에는 뇌문토기 4기, 신석기 말기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the late Neolithic Age in North Korea in order to closely examine a transition process into the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Thus,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was selected as target data. Since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s fundamental data that North Korea's archeologists have used for chronological recordings of the late Neolithic Age in the northwest region,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region was established with comparison of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n the northeastern region. The examination focuses on data that cover the target region of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of the adjacent Southern Primorskii region including the counterpart of the northwestern and the northeastern region. As a result, some attribute analyses revealed that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was affected by the counterpart of the northwestern region near the Yalu River. Prior to genealogical and chronological recordings of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n the northeastern region,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n the northwestern region was recorded chronologically in order to examine its specific development process. Consequently, in the second period of the Neolithic Age,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n the northwestern region was assumed to have an impact on the counterpart in the northeastern regi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n the northeastern region shall be based on 4-period development.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pottery, which was found in the Tumen river basin, was thought to belong to the first period. The pottery went through genealogy differentiation in the second period and when entering into the third period, the pottery spread to inland of south Primorskii. The pottery was assumed to exist in the southern Primorskii region until the tip end (the fourth period) of the Neolithic Age. It is assumed that considering the fact that climate change led to the agriculture movement, Zaisanovka culture, i.e. the late Ne Neolithic Age, moved to the southern Primorskii region along the Tumen River basin.

      • KCI등재
      • KCI등재

        국립무용단 정기공연의 작품변천 분석

        엄은진,강혜련 한국무용기록학회 2012 무용역사기록학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무용단에서 발표한 정기공연 제1회부터 제92회까지 총92회를 재고찰하여역사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서 국립무용단의 미래 작품방향성 발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귀납적 형태의 종설연구인 문헌고찰이다. 연구 자료는 국립극장 60년사를 위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국립극장 50년사(2000)와 장현수(2011)의 국립무용단 역사 구분 및 단장에 따른 예술적 특징변화를 바탕으로 1기부터 4기까지 구분하고, 해당 작품의 신문기사 발췌와 비평가들의 비평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정기공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기(1962-1969) 정기공연은 발레와 한국무용 구분이 정립된시기로, 전통문화유산 발굴 및 한국무용의 춤 소품들도 새롭게 정립되었다. 또한 무용음악의 창작 시도와 코리안 발레의 수립은 이 시기의 가장 큰 업적이라 할 수 있다. 단 대극장 규모의 장편작품은 없었다. 2기(1973-1986) 정기공연은 발레적인 무용극에서 탈피하여 한국적 무용극의 기틀이 마련됐고, 서구 무용기법과 음악을 차용해 한국무용의 표현영역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86아시안 게임개최는 한국문화와 무용에 대한 세계인들의 관심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에국립무용단 정기공연이 연이은 재공연으로 대치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3기(1987-1999) 정기공연은 작품이 스토리 중심의 무용극에서 춤예술 중심의 무용극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역사인식의 작품들이 등장하면서 소품수준으로 머물고 있었던 민속춤이 예술춤의 영역으로 상승되었다. 한편,88서울올림픽을 계기로 한국무용의 세계화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국제교류에 있어서도 주최국으로서 해외문화를 주도하는 형태로 진일보한다. 4기(2000~) 정기공연은 한국무용극에서 벗어나 예술성 측면에서 한층 진화하였다. 더욱이 2002월드컵을 계기로 외국의 현지기획 혹은 직접 제작투자가 되면서 진정한 의미의 한국무용 세계화가 실현되기 시작했다. 한편, 국립무용단정기공연에 외부 20, 30, 40대 안무가들의 참여라는 국립무용단 기획 안무자 선정에 대폭적인 개방화와 혁신이 있었다. 관객 관람형태도 초대공연에서 유료공연으로 변화하여 2000년대부터는 시장 경제논리가 적용되었다. 이에 국립무용단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국민성을 강조하는 작품에서 나아가 작품의 독창적인 예술성과 함께 수준높은 완성도 및 시장성 그리고 국민과 세계인의 오감과 상상력을 뛰어 넘는 작품제작과 기획력으로 거듭 발전해 나아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work directions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by compiling total 92 performances presented by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from the first subscription performance to the ninety second one and historically analyzing them. Study method is the literature review which is reviews study of the inductive form. Study materials were collected mainly with the 60 years of history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Collected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from the first generation to the fourth one on the basis of the change i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nd they were analyzed around the reason why that relevant work was performed, the extracts from the articles, and the criticisms of art critics. The analysis results of subscription performances are as followed. The 1st generation(1962-1969) subscription performances were in the era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ivision of the ballet and the korean dance. And excav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and new establishment of korean dance opuscules were also performed. And attempts to create dance music and establishment of korean ballet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biggest achievements in this generation. But there was no long piece for the size of the grand theater. In the 2nd generation(1973-1986) subscription performances, the foundation for the korean dance drama out of the ballet dance dramas was prepared and the expressional area of korean dance began to be expanded by borrowing western dance techniques and musics. Hosting of the Asian Game 1986 became an opportunity to amplify the interests of the people throughout the world on the korean culture and dance. On the other hand, another problem in the subscription performances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ppeared as being replaced by repeated performances. The 3rd generation(1987-1999) subscription performances developed into the dance-based dance dramas from the story-based dance dramas. Also as works of historical recognition appear, folk dances which were merely in the level of opuscules were raised into the area of art dances. On the other han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dance began in earnest taking Seoul Olympics 1988 as an opportunity. And Korea evolve into the form of leading foreign cultures as the holder even inviting foreign dance companies in international exchanges. The 4th generation(2000~) subscription performances much evolved in the aspect of artistic values out of existing korean traditional dance dramas. Moreover, with the World Cup 2002, true globalization of korean dance began to be realized receiving production investments or being on-site directed abroad. On the other hand, as external choreographers in their 20s, 30s, and 40s participate in the subscription performances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great innovation and liberalization were made on the choreographers in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lso the form of audience changed from the invitation performance into the paid performance letting the market economy to be applied to the theater from 2000s.

      • KCI등재

        경주 천군동지역 단층에 기록된 제4기 지진성미끌림

        박현제,한래희,구도희,우상우,손문,윤동화 대한지질학회 2022 지질학회지 Vol.58 No.3

        A Quaternary fault may have slipped seismically or aseismically. If a Quaternary fault of interest has slipped since before the Quaternary,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any seismic slip indicator identified from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aternary slip or not. In this study, we conducted structural observation and material analysis on the damage zone and core of a Quaternary fault, Cheongun-dong area, Gyeongju, to find seismic slip records and determine whether they have originated from the Quaternary seismic slip. We recognized two geological features that may be directly related to seismic fault slip: pulverized granite in the damage zone and gouge injection veins in the core. Concerning the former, its formation timing is uncertain. The latter, some of which include the Quaternary sediment grains and are injected into the Quaternary deposit, reliably indicates the occurrence of the Quaternary seismic slip on the fault. 제4기 퇴적층을 절단하여 제4기 단층으로 인지되는 경우라도 그 단층을 따라 지진성미끌림이 발생했는지의여부는 추가적으로 확인되어야 한다. 아울러 연구대상 단층이 제4기 이전부터 활동해온 것이라면 거기에서 관찰되는 지진성미끌림의 흔적은 제4기뿐 아니라 그 이전에 기록된 것일 수도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층에 남겨진 제4기 지진성미끌림의 기록을 확인하고자 경주시 천군동지역의 제4기 단층의 손상대 및 단층핵을 이루는암석을 대상으로 물질분석 및 노두규모에서 미세규모까지의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차적으로, 손상대에서는 분쇄화강암이, 단층핵의 여러 위치에서는 단층비지의 주입세맥이 지진성미끌림과 관련된 기록임을 확인하였다. 이 중 동지진성 분쇄화작용으로 인한 분쇄화강암의 형성은 제4기 발생여부가 확실치 않은 반면, 단층비지 주입세맥의 경우 제4기 퇴적물을 포함한 것과 제4기 퇴적층 내로 주입한 것 등이 관찰되므로 제4기 지진성미끌림 발생을 분명하게 지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