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껍데기와 알맹이: 교육내용으로서 한국무용정신의 구성요소 탐색

        최의창,박혜연,신주경 한국무용기록학회 2012 무용역사기록학 Vol.26 No.-

        최근 한국무용 교육의 본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한국무용을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이 기능적 차원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 많이 지적되었다. 무용교육이 진정한예술교육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기술위주의 동작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 예술교육으로서 한국무용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무용교육의 핵심적 교육내용으로서 무용정신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심층면접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채택하여 명성적 사례표본 추출방법으로 한국무용과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경험, 안목을 갖춘 주참여자 8인을 선정하였다. 주참여자들의 의견을 분석한결과, 한국무용 교수과정에서 핵심적으로 가르쳐야할 내용으로서의 정신은 신체적 차원, 인지적차원, 감성적 차원, 영성적 차원으로 나뉜다. 첫째, 한국무용정신의 신체적 차원은 총체적 성질의 신체와 자연스러운 호흡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작의 원리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차원이다. 둘째, 한국무용정신의 인지적 차원은 한국무용을 둘러싼 철학, 역사, 예술 등의 문화적인 요소들에 대한 통찰의 차원을 뜻한다. 셋째, 한국무용정신의 감성적 차원은 무용 동작이나 음악에 내재된 한, 흥, 절제 등의 다양한 감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탐구하는 차원을 의미한다. 넷째, 한국무용정신의 영성적 차원은 무용을 통한 신명, 황홀경, 무아지경 등의 경지를 체험하고, 이를 제대로 하기 위한 예도 등의 마음가짐을 갖는 차원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한국무용정신의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학습되어지고 가르쳐지는지를 상세히 탐구하는 연구와 무용정신을 올바로 가르치는 교수방법과 통합적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re is rising interest about the core of Korean Dance Education. Many people have point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are focused on the technical. We have to get out of movement education focusing the technical to be dance education as art education. It can be first step to identify the character of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for teaching Korean Dance as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dance spirit as core educational content of Korean Dance Education. We cho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reputational sampling selection, 9 people were chosen having knowledge, experiences, and sight about Korean Dance and education. Results are that Korean Dance Spirit as core educational content are composed of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Spiritual dimensions. First, ''hysical dimension''is related to the technique and the bodily, anatomical knowledge to movement contained. Second, ''Cognitive dimension''i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literature on Korean Dance. Third, ''Emotional dimension''is related to a dancer 'expression of their feelings and emotions interpreted through movement and music. Fourth, ''Spiritual dimension''is related to ''enlightenment''that a dancer could achieve. Finally, we suggest study detail about how the components of Korean Dance Spirit are taught and learned. Also, it is necessary to study methods teaching right Korean Dance Spirit, and integrative programmes.

      • KCI등재

        명무 하비홀릭족에 대한 한국무용 전공인의 의식조사

        윤수미 ( Su Mi Yoon ),명금록 ( Keum Lok Myung ),김예진 ( Yeh Jin Kim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이 연구는 중년여성, 남성들의 시간적, 경제적인 여유가 늘어남에 따라 여가 생활에 적극적인 소비를 하는 새로운 현상의 하비홀릭족을 모티브로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으나 한국무용 전공인 못지 않게 시간과 학채를 아낌없이 투자하며 명무 주변에서 열정을 보이는 집단을 명무 하비홀릭족이라고 새롭게 명칭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춤의 전공자 수요 감소의 원인을 파악하고, 한국무용 전공인이 명무 하비홀릭족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는지를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 지역에서 활동하거나 거주하고 있는 348명의 한국무용 전공인 중 212명의 한국무용 전공 직업인과 136명의 한국무용 전공 대학생을 조사하기 위한 단일 문항을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SPSS를 사용하여 빈도, 교차분석과 같은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 전공인은 구직난과 많은 비용 부담을 한국 전통춤 수요 감소의 원인으로 응답하였고, 물질에 구애 받지 않는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한국 전통춤의 대중화를 한국 전통춤 발전의 주요 과제로 응답하였다. 둘째, 한국무용 전공인은 명무 하비홀릭족을 바라보는 기분 정도에서는 좋은 기분이 느껴진다와 존경스럽다 순서로, 명무 하비홀릭족의 한국 전통춤 수준 정도에서는 취미로 하는 것에 비해 수준이 높다와 그저 그렇다 순서로, 명무 하비홀릭족의 몰입원인으로는 한국 전통춤이 좋아서와 건강을 위해서 순서로 응답하여 명무 하비홀릭족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명무 하비홀릭족이 한국 전통춤에 끼친 영향 정도에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생각된다와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순서로 긍정적인 응답결과가 나왔으며, 한국 전통춤에 끼친 주요 원인으로는 한국 전통춤의 인식 변화와 이해를 통한 한국 전통춤 발전과 대중화 항목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넷째, 명무 하비홀릭족의 사회적 활동 실태에서는 부럽다 61명(28.8%)의 응답결과가 가장 높았으며, 아무 생각이 없다 45명(21.2%)와 직접 본적이 없다 44명(20.8%)의 응답 결과도 보여 졌다. 반면, 명무 하비홀릭족의 한국 전통춤 관련 소비 실태에 대해서는 좀 과하다고 생각 한다 126명(59.4%)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한국무용 전공인들은 명무 하비홀릭족을 한국 전통춤을 저해하는 요소가 아닌 공생하는 관계로 관찰하고 지켜본다면 한국 전통춤의 가장 큰 전공자 수요 감소의 원인과 발전 방안의 주요 과제에 새로운 해결 방안을 모색해 주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또한 대학 내 무용 교과 과정에 비전공자들의 교육방법론과 활성화 방안을 다루는 수업이 신설·권장 된다면, 앞으로 무용 전공 대학생들이 졸업 후 무용 현장에 나왔을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사료된다. As more middle-aged men and women can afford more leisure, a new phenomenon called “hobby-holic”has emerged whereby many willingly spend time and money on their past-time activities. In reference to such phenomenon as a motif, this study newly names an emerging group of enthusiasts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ho willingly invest as much time and tuition fees as Korean dance professionals,“Opus Dance Hobby-holics”, even though the exact genesis of this trend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cause of decline in demand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specialists. In order to find out what Korean dance professionals think of “Opus Dance Hobby-holics”, this study came up with a self-formulated questionnaire containing close-ended questions, for researching a total of 348 Korean traditional dance specialists, consisting of 212 dance professionals and 136 Korean dance majors in college, who work or reside in the Seoul-Kyunggi area. It then has analyzed collected data by using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d cross analysis within the analytical framework of SPSS. The outcome of said analysis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 Korean dance professionals cited employment hardship and onerous financial burdens as the cause of decline in demand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They also pointed out correct 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 free from the restraint of finance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s the key task for further progres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Second, Korean dance professionals provided positive response on the degree of sentiment towards“Opus Dance Hobby-holics”, the level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ithin such group, and their overall impact on Korean traditional dance. On the contrary, Korean dance majors showed overall indifference on each category. Third, the main cause of“Opus Dance Hobby-holics” was conspicuously identified as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resulting from change in the public attitude towards the dance and heightened understanding thereof. Fourth, in terms of the social activities of“Opus Dance Hobby-holics”, Korean dance professionals were either indifferent to them or witnessed no such activities in person. And they frowned upon the general status of consumption among“Opus Dance Hobby-holics” in relation to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on the foregoing, it is cautiously thought that if Korean dance professionals observe “Opus Dance Hobby-holics” not as a deterrent to the traditional dance of Korea, but rather from a symbiotic perspective, it may prove to be a worthwhile solution for an ongoing decline in demand for Korean dance professionals and also a boon for further evolution of the dance. Also, if college curriculums newly adopt the methodology of training non-dance majors and promote classes disseminating the methodology, such a step may help Korean dance majors to land gainful employment in real life.

      • KCI등재

        논문 : 해외공연이 최승희의 예술세계에 미친 영향

        최성옥 ( Sung Ok Choi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20 No.-

        본 논문은 해외공연활동이 최승희의 춤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더 나아가 한국무용계의 발전에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에 무용 활동을 하면서 최승희는 한국인들의 민족적 아픔을 담아 민족적인 감정을 표현하였으며, 그녀가 민족을 대표하는 작품을 창작 할 때 사상적인 개념을 구축하기 위한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최승희의 스승인 이시이 바쿠의 영향으로 한국전통무용을 토대로 한국무용을 창작하게 되었다. 최승희는 1938년부터 1940년까지 미국, 유럽, 남미를 순회하면서 해외활동을 한 결과 한국 고유의 전통적인 소재로 창작한 한국무용이 외국에서는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는 것을 인식하고 한국의 전통무용을 최승희만의 독특한 체계로 확립시켜 새로운 무용으로 창작해나갔으며, 넓은 의미로 동양무용수립을 창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승희는 ``최승희 동양 발레단``의 결성을 시도하고 한국에 발레무용을 창작하여 무용연구소를 설립하고자 하였으나 사회적인 상황으로 인해 실패되었다. 최승희의 미주순회공연이 그녀의 무용예술세계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미국과 유럽의 순회공연에서「보살춤」과「초립동」은 민족적 성격을 지닌 작품으로써 서양적인 발레나 현대무용 형식에 민족적인 내용을 소재로 한 작품에 더 관심을 가졌으며, 남미 순회공연에서는 한국적인 춤사위와 외국무용의 조화로움 속에 표현된 동양적인 신비함과 아름다움에 매료되었다. 이처럼, 최승희는 해외공연을 통해 서양에서는 한국적인 춤에 더욱 관심을 갖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한국 무용의 세계화를 위해 한국의 근대무용에 기틀을 세워 전통무용을 현대화시킴으로써 무용사에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또한 그녀만의 예술관을 가지고 끊임없는 노력으로 많은 작품을 창작하여 한국의 무용계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최승희는 일제강점기라는 혼란한 시대에 한국무용계의 근대화를 추구하여 신무용을 창시하였으며, 무용을 예술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 주었다. 예술인들을 천시하여 무용을 독립된 예술로 인정하지 않았던 시대에 한국 무용계를 구축한 인물이었으나, 일제강점기 시대를 지내는 과정을 걸쳐 월북함으로써 친일의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분단 상황과 이데올로기라는 시대에 의해 그 존재가 묻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민족적인 최승희는 얼이 담긴 한국을 대표 할 수 있는 한국적인 무용을 창시하여 세계적인 예술로 승화시킨 인물이다. 한국무용역사에 큰 획을 그은 최승희의 업적은 사회적인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uch Ishii Baku and overseas dance performance tours had impacted Seung-Hee Choi`s choreography and her unique dance styles. This study also tries to show her contribution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s traditional da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Seung-Hee Choi showed the pain of the Korean people who had lost their nation through dancing. This nationalistic aspect was the foundation of her choreography and her dance styles. She was influenced by Ishii Baku who was her Japanese dance teacher. With his influence, she choreographed the new form of Korean modern dance styles by incorporating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s to her own creative style. After overseas tours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U.S.A., Europe, and South America from 1938 to 1940, Seung-Hee Choi realized that her dance styles incorporating traditional Korean dance movements are more acclaimed by the foreigners than the domestic audiences. Thus, she decided to develop her own unique dance styles more incorporated with traditional Korean dance. Furthermore, she wants to establish East Asian dance styles. Choi tried to establish "Choi Seung-Hee East Asian Ballet Foundation" for a systematic study of Asian dances. However, her venture failed because the social and political milieu was not conducive at that time. This study confirms that Isihe Baku and the American dance tour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building Choi`s own dance styles. In the American and European dance tours, she introduced "Bosalchum" and "Choripdong," which showed Korean national emotions and attracted the interest of Western ballet groups that tried to incorporate the nationalistic materials into the modern dance. During the South American dance tour, she expressed mistery and beauty of Asia by harmonizing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s and Western dance styles. After she recognized that traditional Korean dance movement attracted foreign interests, she devoted herself to internationalize Korean modern dance, which eventually became the foundation of Korean modern dance and 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dances. With her own artistic ideas, she constantly created dance works. Therefore, she deserves to be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igures in Korean dance history in spite of the political ideology and her achievements should be taught to the young generation.

      • KCI등재

        한국무용기록에 있어서 호흡 표기에 관한 의미론과 전개방향 모색

        김지원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18 No.-

        한국무용의 기록은 현재 상당한 발전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본 논고는 한국춤이 서양의 춤과는 상대적인 의미론에서 차이가 있음을 논하고, 어떤 관점에서 기록을 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논점은 한국춤의 정서와 사상에 대해 보다 정밀한 기록적 요구를 필요로 함을 시사한다. 즉 한국춤을 기록할 수 있는 독자적인 형태를 추구함에 있어서, 호흡의 의미론과 표기법에 관련한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한국춤의 기록과 관련한 호흡은 각 동작마다 세세한 근육의 움직임과 골절의 구조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담긴 에너지, 힘 등을 계량적으로 파악하는 것도 춤동작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데 거쳐야 할 작업이다. 또한 현재의 디지털 방식, 예를 들어 모션 캡처(motion capture)는 춤에 담긴 정신의 지향성, 호흡에 따른 우주와의 교감과 음양 철학, 춤의 현상에 반영되어 있는 오행사상 등을 표현하기 어렵다. 다시 말해. 한국 춤동작의 움직임의 골절과 형상에 대해서는 표현이 가능하나, 진정한 체(體-내적사상)에 대한 표상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작업은 춤을 디지털화하고 컴퓨터를 이용해 모션캡처화 하는 것과 함께 춤의 정신까지 표상할 수 있는 기록체계를 정립하는 것을 서로 변증법적으로 종합하여 나아가야 할 것이다. A record of the Korean dance now goes forward to a considerabl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states about the relative difference of the Korean Dance from the Western Dance in the semantics, and focuses on the recording perspective. Then, this study emphasizes that more delicate record is necessary for an emotion and a thought of the Korean Dance. That is, this study states the importance on the semantics and the making method of breathes. The breath marks for the Korean Dance throughly annalize on a structure of a skeleton and detailed muscular movement for each movement. Simultaneously, the measurable recognition on energy, strength and others is a necessary work to go through for a scientific study of dancing movement. Also, the modern digital method, for instance, the motion capture is difficult to express the thoughts of five elements reflected on the dancing way, the philosophy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an interaction with the universe through breaths, and the directivity of the spirit contained in Dance. On the other way, an expression on a frame and structure of movements in Korean Dance is possible. However the true Body(internal spiritual thought) is difficult to be represented. Accordingly, the ideal goal is to digitalize Dance, to make the motion capture with a computer, to establish the symbolic system to represent the spirit of the Dance and to synthesize these works in the process.

      • KCI등재

        무용 예술에서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소고

        남수정 한국무용기록학회 2002 무용역사기록학 Vol.3 N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ays how dance and technology interact and will be blende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o augment an enthusiasm towards dance technologies. It will also make some speculations about how technology may in the near future move into common usage by dance artists in Korea. Until recently, technologies and the performance arts have typically occupied mutually exclusive spheres. The rational and logical methods of technologies have clashed with the fluid, nonlinear processes of artistic expression. However, this dichotomy is weakening as advances in technology allow artists to use computers in more flexible ways. Dance is one area of the arts that has benefited from new computer H/W and S/W, allowing technology and creative movement to be blend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dance has taken several forms, including the following: administration of dance schools and companies through the use of specialized information systems, automated control of lightening during performances, dance preservation and notation software, and graphical creation and performance of choreography. But the costs of the systems, combined a basic distrust in technology, resulted in little interesting artistic work being done within the dance field until recently through the efforts of a small but determined artistic vanguard of dance and digital artistic collaborators. The use of technology in dance has united two formerly separate fields. Even though limited in use, computer software and hardware devices have affected how dance organizations operate, improved stage lighting, and facilitated new ways of preserving, creating and performing dance. That's why we have to concentrate on how we can blend dance and technology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o make technology move into common usage by dance artists in Korea, we have to promote discourse around this complicated subject, which is of such significance to today's social and artistic climate by continuing process of stock take and evaluation. In addition, we have to extend the number of different strands to the use of technology in dance-related fields and analyze the impact of technologies on dance or making dance. 테크놀로지가 무용 예술이 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존재 마당으로 그 동안 무용 예술이 상실하였던 일방성의 한계를 보완하고 포괄적 의미의 참여자들간 유대를 증폭시켜 원형의 무용 예술이 가지고 있던 역동성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용 예술은 무엇인가 근본적인 변화를 겪을 것이며 그러한 변화의 방향과 정도에 대해서는 정확한 예측이 곤란하지만 변화 그 자체는 필연적 귀결로 예측된다. 따라서 테크놀로지와 무용 예술과의 상호 작용에 관한 논의는 테크놀로지를 “얼마나” 사용하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사용하는가의 문제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에 따라 무용 예술 분야에서 변화를 이끌어 내고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초점을 둔 것으로 문헌 검토를 통하여 몇 가지 확인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예술에 있어 테크놀로지 활용은 무용 기록, 안무, 무용 공연, 신체 모델링 및 동작 분석, 무용 교육 등 무용 예술과 관련된 제반 분야에서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무용 예술 분야 종사자들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기본 이해와 활용 능력 부족, 테크놀로지 활용에 요구되는 소요 자금 문제 등이 무용 예술 영역에서의 테크놀로지 활용을 제약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국내 무용 예술 분야에서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접근과 접목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고 그 영역도 주로 무대 공연에만 치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 테크놀로지를 매개로 하는 무대 공연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특히 테크놀로지와 용이한 접목 또는 결합을 이룰 수 있는 무용 기록 분야에서 전문학회가 발족하는 등 제반 환경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 하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무용 예술에의 테크놀로지 수용이 무용 예술에 대하여 상당한 잠재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반면 테크놀로지를 매개로 하여 실제로 유의미한 변화를 인위적으로 창출하기 위한 규범적 노력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테크놀로지를 일부 무용 예술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적 수단으로만 인식하고 테크놀로지가 가지는 기능적 유용성에 주된 관심과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인 것이다. 이에 테크놀로지가 무용 예술에 대하여 가지는 관계성과 파급 효과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무용 예술이 미적 성취를 위한 경쟁력 있고 접근 가능한 예술 영역으로서 그 정체성을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를 도입·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위한 향후 실천 방향으로 무용의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무용에의 테크놀로지 도입과 활용이 적용 가능한 무용의 여타 영역으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 테크놀로지를 무용 기록이나 안무 등에 활용하는 경우 테크놀로지의 실용성에만 지나치게 중심을 두어서는 안 되며 테크놀로지가 일련의 과정이나 활동에 대하여 가지게 되는 작용 메카니즘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그리고 테크놀로지를 국내의 무용 예술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가능인자(enabler)로서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한국무용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 기능의 차원과 정신의 차원-

        박혜연 ( Hye Youn Park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2 무용역사기록학 Vol.24 No.-

        한국무용교육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한국무용교육내용에는 ``기능적 차원``과 ``정신적 차원``이 있으나, 그 동안 기능적 차원만이 주된 교육내용으로 주목 받았다. 그러나 정신적 차원은 기능적 차원만큼이나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가치라고 할 수 있다. 한국무용이 예술의 한 장르가 되고, 한국무용교육이 예술교육의 한 분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기능과 기능교육의 차원에서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무용의 교육내용에는 두 층위가 있음을 드러내 보려고 한다. 그리하여 한국무용교육에서는 정신적 차원에 대한 새롭고 높은 관심과 조처가 취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무용교육내용과 관련된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2절에서는 한국무용교육내용의 지배적인 차원인 기능에 관하여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그것의 문제점을 검토한다. 3절에서는 교육내용에는 기능적 차원과 정신적 차원이 관여된다는 점을 살펴보고, 4절에서는 정신적 차원의 교육내용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적으로 탐색해본다. 마지막으로 정신적 차원의 교수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요인이 바로 무용교사임을 강조하면서, 교수법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노력이 요청됨을 제안한다. What is the content of Korean Dance Education? There are two aspects; the technical and the spiritual. However, it is primarily the technical aspect which is focused on as the main educational content. The spiritual aspect has an important value as well and is also the core essence of Korean Dance. Therefore the concentration in both Korean Dance and Korean Dance Education must extend beyond mere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at the content of Korean Dance has two aspects. I stress the need of interest on the spiritual aspect in Korean Dance Education. First of all, I look into studies about the content of Korean Dance Education by and large. Second, I examine technique closely as the main content of Korean Dance Education and consider the problem. Third, I identify the technical and the spiritual aspects involved in Korean Dance Education content. Fourth, I explore the meaning of spirit as an educational content in detail. Finally, I emphasize that dance teacher is the key factor in teaching the spiritual aspect, and suggest various factors involved in the teaching method.

      • KCI등재

        번역 : 세대 변화에 따른 한국 춤 공연의 질적 변화

        윤혜준(역),( Christine Loken Kim ),( Juliette T. Crump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1 무용역사기록학 Vol.1 No.-

        이 논문의 원자인 로켄-킴(Loken-Kim)은 UCLA대학에서 무용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노스 케롤라이나 대학에서 한국문화와 여성의 행동 그리고 여성의 생활 반경과 춤동작을 비교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무용을 연구하기 시작한 최초의 외국인으로서 1974년부터 한국 무용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줄리엣 크럼프(Juliette Crump)는 미국 워싱턴 대학에서 석사를 졸업했으며 현재 몬타나 대학에서 무용을 가르치고있다. 이 논문은 두 가지 유형의 무용 훈련을 대표하는 4명의 무용수들에 의한 현대 공연의 움직임의 질에서의 차이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 여성들의 독무 유형인 살풀이와 굿거리가 전통 및 현대 한국 공연 자들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채택되었으며 공통된 안무 특성을 띠고 있는 4개의 공연 테이프들이 로켄-킴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분석되었다. 두 가지 유형 중 첫 번째 유형은 권번/기생 훈련을 받은 무용수들이 전라도 지방에서 그들의 스승으로부터 전수된 굿거리 춤을 공연한 것이며 두 번째 유형은 대학 또는 전문학교 무용학과에서의 훈련된 무용을 다루었다. 이들 두 그룹의 무용수들 사이의 차이를 탐구하는데 이용된 전제는 그 두 유형 중 하나의 유형으로 훈련된 무용수들에 의한 공연을 관람한 한국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구두 응답과 라반 움직임 분석의 원리를 이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공연 팸플릿에 나타난 한국의 무용 장(Field)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으로

        윤지현 ( Ji Hyun Yoon ),김재리 ( Jae Lee Kim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8 무용역사기록학 Vol.15 No.-

        본 연구는 부르디외의 장 이론에 근거하여 무용공연팸플릿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현대 한국의 무용생산 장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담론들과 담론 선점을 위한 행위자들의 상징투쟁을 살펴보고자 했다. 장 이론에 따르면 사회의 특정 장에 속한 행위자들은자본의 보유량에 따라 장내의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즉, 장을 구성하는 행위자들은보유한 자본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를 선점하기도 하고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자본을 보유한 행위자들은 특정 위치를 얻기 위해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한다. 상징투쟁이 이루어지는 장은 정태적인 공간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공간이라고 할수 있다. 부르디외는 예술 장이 지닌 자율성 때문에 특정 장 내부의 행위자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징투쟁의 전략을 통해 장의 특수한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고 했다. 한국의 무용생산 장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부르디외의 예술 생산 장에 근거하여 한국 무용생산 장을 구성하는 행위자를 자본의 보유량을 기준으로 보존세력과 신참세력으로 분류하였다. 무용생산 장은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과 같은 순수무용만으로 제한했다. 국,시립무용단과 대학에 기반을 둔 무용단의 단체장 및 예술감독을 보존세력으로 분류하고 독립무용가, 신진 안무가 등은 신참세력으로 분류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공연 팸플릿을 수집하여 팸플릿을 구성하는 텍스트를 분석했다. 자료는 2006~2007년 서울에서 공연된 작품의 팸플릿 70부를 무작위로 수집하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예술성, 지성, 전통성, 실험성, 전문성, 소통, 세계화 등의 담론을 추출했다. 위와 같은 담론의 사용은 보존세력과 신참세력에게 모두 나타났으며 담론별로 이를 선점하고자 하는 전략에서 차이를 보였다. 전문성과 전통성 담론은 보존세력과 신참세력 모두 자신과 관계를 갖는 상징권력을 사용하는 전략이 관찰되었으며, 지성, 예술성, 실험성 담론은 신참세력과 보존세력 모두에게 나타났지만 다른 전략을 사용하였다. 보존세력은 자신의 학력이나 경력 등 문화자본을 이용하여 담론을 생산하지만 신참세력은 작품의 내용이나 안무 의도의 설명을 통해 지적인 작업, 철학적, 이지적 등의 어휘를 사용하였다. 특히, 무용의 대중화 문제와 관련한 소통, 세계화 담론은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모든 장르와 세력에서 발견되는 담론이라고 할 수있다. This study tries to analyse the texts of dance performance pamphlets in recent Korea in order to show symbolic violence by the social actors belonged to the field of Korean dance production. This concept of symbolic violence is based on Bourdieu``s field theory. The study manipulated the field of Korean dance production from Bourdieu``s field theory that shows the distribution of capital and places of social actors`` groups. Bourdieu indicated that there were 4 categories of capital: economic capital,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symbolic capital in the field of art production. The social actors in the field act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se capitals they possess. The field of art production is not a static place but a dynamic and restless contestant place. That means the social actors in the field are consistently struggling to keep their own place and total amounts of capital if they have relatively much capital, or to challenge the established order and power relations if they haven``t got enough capital. The competitions between the social actors in the field happen to occupy in advance the limited capitals. We can see some aspects of these contests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production through analysing the texts of the dance performance pamphlets. 70 dance performance pamphlets produced in Seoul between 2006 and 2007 were randomly selected. Some methods of text analysis which are emphases and repeats of particular words or phrases, absence, and so on were used for extracting the thematic sentences. The study derives 7 thematic sentences in dance field in Korea. These are: first, dance is a result of a long period, professional train, shown from the emphases of academic degrees of performers and choreographers printed on pamphlets, specially pamphlets of established groups in the field ofdance performance production; second, dance is based on the artistic talents and senses only proved by the comments of critics or academic members highly positioned in society and possessed symbolic and cultural capital relatively a lot; third, dance performances were produced by artistic experiments and creative trials; fourth, dance performances contribute to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fifth, dance performance contribute to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sixth, the processes of dance production are intelligent works; seventh, dance performances are trying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and society. We roughly divided the members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production, particularly limited production that is limited to fine arts. The national or city dance companies and the dance companies consisted by the alumni of university as established groups were placed upper part in the field. Independent dance companies and choreographers who newly participated in the field were placed lower part in the field. These two groups were both struggling to preoccupy the 7 discourses which we derive from pamphlets but their own strategies are a littl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upper ones tend to use the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legitimacy more and the groups placed in the lower part in the field tend to use experimentalism more. However both struggle to preoccupy the discourses of globalization,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라바노테이션으로 분석한 「한영숙류 살풀이춤」의 움직임 특성

        유시현 한국무용기록학회 2005 무용역사기록학 Vol.8 No.-

        살풀이춤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무용 중 하나로 현재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남도 무악인 시나위 장단에 맞춰 추는 살풀이춤은 몇몇 대표적인 무용수들의 해석을 토대로 그 유파가 나뉘며, 그 중에서도 현행되고 있는 살풀이춤 형식을 "살풀이춤"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명명하고 소개했던 한성준 옹의 손녀인 한영숙의 살풀이춤은 「한영숙류 살풀이춤」이라는 이름으로 오늘날 많은 무용수들에 의해 추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 민속무용인 살풀이춤이 가진 춤의 구조를 살펴보고 이 춤이 갖는 움직임 특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현재 서양에서 과학적이며 합리적인 움직임 분석 도구로 널리 알려진 라바노테이션을 이용하여 한영숙류 살풀이춤을 기록하고 그 기록된 보표를 분석하였다. 라바노테이션은 인간 신체의 움직임을 '신체 어느 부위가' '얼마만큼 시간 동안' '공간상에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상징화된 기호들을 통해 기록하는 움직임 분석 표기법이며 따라서 몸동작의 구조와 형태를 묘사하는데 적합한 도구이다. 작성된 보표는 '지지대,' '다리 동작,' '몸통 동작,' '고개 동작,' '팔 동작,' '무대 평면도'의 여섯 부분으로 나뉘어 각 부분에서 어떤 특정 기호와 패턴이 자주 사용되었는지 중점적으로 검토되었다. 그 결과 한영숙류 살풀이춤에 나타난 움직임의 구조적 특성은 근본적으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무용수의 호흡에 기인한 것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무용수의 호흡 활동이 팔, 다리, 몸통, 머리 등 신체 모든 부위의 움직임을 통해 시각화되는, 즉 무용수의 호흡이 모든 움직임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또한 「한영숙류 살풀이춤」 기록과정을 통해 서양에서 개발된 움직임 기록체계를 한국춤 기록에 적용할 경우 나타나게 되는 가능성과 한계점을 함께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라바노테이션을 이용한 한국춤 기록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ylistic features of Young-Sook Han's Salpuri Chum through analysis of the dance movement in Labanotation. Salpuri Chum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raditional Korean dances and is currently practiced through several established versions of the dance following the original dancer's artistic interpretation. For this study, Young-Sook Han's Salpuri Chum, a well-known version of Salpuri Chum originated by the dancer Han, Young-Sook, was selected and explored. For analysis of the movement in Young-Sook Han's Salpuri Chum, Labanotation, an advanced recording system for human movement, was employed in this study. Originating in Western dance, Labanotation is a highly articulated method for describing bodily movement in space and time, and, consequently, it allows a reader to identify the stylistic features of a dance by examining the structure and pattern of the dance movements. This study thus began with the work of creating a Labanotation score of Young-Sook Han's Salpuri Chum based on a videotape of the dance. The Labanotation score of Young-Sook Han's Salpuri Chum that was produced was closely examined and analyzed through the six categories of movement: supports, leg gestures, the torso, the head, the arms, and the floor plan. From the analysis, the most unique stylistic feature of Young-Sook Han's Salpuri Chum was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role of the breathing, which naturally influences every movement in the dance. During the process of notation, some critical questions arose as a traditional Korean dance, which is generally viewed with more emphasis on the expression of a dancer's inner emotions, was captured, analyzed, and notated through the Labanotation system, which primarily focuses o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bodily movement in space and time.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Labanotation for recording a traditional Korean dance has positive value if the purpose of the application is limited to capturing and describing the outer structural dimensions of the dance.

      • KCI등재

        한국무용의 과학적 기록을 위한 멀티미디어 기술의 적용

        전미현,조양숙,조세홍 한국무용기록학회 2003 무용역사기록학 Vol.5 No.-

        한국춤 가운데 민속무용은 궁중무용에 비해 춤 기록 및 재현 작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많은 민속춤들이 원형과는 다르게 변형되어 가고 있으며, 그나마도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는 사실은 민속무용의 기록화작업의 시급함을 보여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한국 민속무용가운데 봉산탈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기록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새로운 기록방법은 텍스트 데이터(text data)를 비롯하여, 사진, 동영상, 사운드, 라바노테이션(Labanotation) 스코어를 비롯하여 3D모델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록방법 개발을 위한 하나의 출발점으로 3D모델링을 제외한 데이터들을 컴퓨터 화면상에 구축하여 봉산탈춤의 과학적인 기록, 재현 및 전승을 시도하여 보았다. 이러한 과학적 기록화 작업은 유사무용들에 대한 기록들을 데이터 베이스화 함으로써 춤동작의 비교, 분석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여 체계적인 무용 학술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며, 디지털 기록화 및 멀티 미디어 콘텐츠 개발을 위한 하나의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presents a method of documenting Korean traditional folk dances with implementation of Labanotation and multimedia technology. Bong-San Mask Dance had been notated by Prof. Baek-Bong Kim and Kyung-Hee Song without three dimensional emphasis and details of body-parts. Labanotation, one of the well accepted notation systems, is to incorporate both kinesthetic knowledge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 toward a truly holistic process of dance transmission. The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technology is to emphasize the three-dimensional aspect of dance which will provide visual materials for foreign dance notators, scholars, students as well as Koreans. Korean traditional folk dances are very dynamical and improvisational and in the process, some difficulties resulted but was resolved; 1. To capture movements and dynamical patterns in a closed space(a large dance studio, not a recording studio) required several camera set-up points which would place a dancer within an appropriate screen scope. 2. To remake digitally visual material was to provide three dimensionality to two dimensional video captured materials. 3. To provide the insight of Labanotation to the public as well as dance professionals, we added some layers in the Labanotation score as a device. In this paper, Part 1 covers the purpose of research and method. Part 2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research for both dance and the multimedia technology. As the main part, Part 3 describes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and then, the result material of it. Finally,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or dance documenta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technology will b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