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T1N3 위암

        안대호,권성준,윤효영,송영진,목영재,한상욱,김욱,Ahn, Dae-Ho,Kwon, Sung-Joon,Yun, Hyo-Yung,Song, Young-Jin,Mok, Young-Jae,Han, Sang-Uk,Kim, Woo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2

        목적: 위내시경의 보급으로 조기위암의 빈도가 증가하고 축소치료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는 장점도 있으나 림프절 곽청의 측면에서 제한점이 있다. 림프절 전이를 동반하는 조기위암의 대부분은 UICC-TNM 분류의 N1 또는 N2이지만 드물게 N3의 보고도 있다. pT1N3 위암은 증례보고는 있지만 review논문은 없어서 특성을 이해하거나 치료방침을 세우기가 어렵고 UICC-TNM에서 4기로 예후가 나쁜 위암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객관적인 증거는 없다. 저자들은 국내 6개 대학에서 9예의 pT1N3 위암 치험예를 모아서 문헌 고찰과 함께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차병원,한양의대,충북의대,고려의대 구로병원, 아주의대, 가톨릭의대 성가병원의 6개 병원에서 기간은 서로 다르지만 의무기록 분석이 가능하였던 기간동안 수술을 받았던 2,772예의 조기위암 중에서 UICC-TNM의 pT1N3 위암 9예를 분석하였다. 비교 대조군은 분당 차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210예의 조기위암 환자이다. 결과: 9예는 전체 조기 위암 2,772예의 0.32%이며 남자는 3명, 여자는 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7세였다. 점막암이 2예, 점막하층암이 7예이고 전이된 림프절의 수는 18에서 52개로 평균 27개였다. 5예는 표층 팽창형으로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고 종양의 크기도 N3군이 N0, N1, N2군보다 컸다. 7예에서 림프관 침윤이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1예는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어서 비치유 절제가 되었고 2예에서 조기재발이 있는 등 예후가 불량하였다. 결론: pT1N3 위암의 위험 인자로는 여성, 점막하층암, 종양의 크기, 림프관 침윤을 들 수 있다. pT1N3 위암의 존재는 조기위암의 축소 치료 시 주의를 요하며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항암 보조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Various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echniques, such as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a laparoscopic gastrectomy, are becoming common practice for som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EGC) defined in terms of the depth of invasion being limited to the mucosa or submucosa. However, there are rar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with massive lymph-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6 university hospitals of Korea, 2,772 EGC cases were resected during the various period of analysis (1,432 cases of mucosal cancer and 1,340 of submucosal cancer). Results: As control data, we used the data from a single institute, CHA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nine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9/2,772, 0.32%) with N3 lymph node metastasis defined by more than 15 lymph nodes being metastasized according to the UICC-TNM classification (pT1N3, stage IV). Two cases were mucosal cancer (2/1,432, 0.1 4%), and seven cases were submucosal cancer (7/1,340, 0.52%). Metastasized lymph nodes varied in number from 18 to 52. There were three male and six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7. This is a totally reversed sex ratio compared to the usual gastric cancer or EGC. Among the total of 9 EGC patients, there were 5 who had superficial spreading carcinomas with surface areas larger than $25\;cm^2$. This is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compared to the general EGC population. When we compared the tumor size according to the LN status, the N3 group was definitely larger than the other groups. 78% of the pT1N3 cases showed lymphatic invasion, which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4.7% in general EGC cases. Among the 9 cases, 6 patients had too short a follow-up period to evaluate the correct prognosis, but there was one patient with a non-curative resection and two patients with early recurrence. Although the sample size is small and the follow-up period is short, we can expect a very poor prognosis when we consider the common prognosis of EGC that is widely known and accepted.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can a conclude that the risk factors for pT1N3 gastric cancer are female patients, submucosal invasion, larger tumor size, and lymphatic invasion. However rare, the existence of pT1N3 gastric cancer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especially during the diagnosis. Furthermore,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EGC needs to be chosen with great precaution. Since the prognosis of pT1N3 gastric cancer is expected to be poor, aggressive adjuvant chemotherapy may be necessary.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109-113)

      • 위암환자에서 혈중 Pepsinogen 검사의 의미

        안대호,강혜윤,김광일,김세현,홍성표,Ahn, Dae-Ho,Kang, Hae-Yoon,Kim, Kang-Il,Kim, Se-Hyun,Hong, Sung-Pyo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3

        목적: 위암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 전 혈중 pepsinogen I/II 비율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위암 발생과 혈중 pepsinogen의 변화와의 관련성 및 혈중 pepsinogen의 위암 진단의 이용 가능성 여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분당차병원에서 절제술을 받은 103명의 위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혈중 pepsinogen I과 II를 측정하고, 이 결과를 종양의 임상 및 조직학적 요소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Pepsinogen I/II 비율의 평균치는 mucinous type, 종양 주위에 위축이 있는 경우 및 종양이 큰 경우에 감소하였으며 종양주위에 위축이 있는 환자에서도 종양이 클수록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암세포가 고분화를 보이는 환자가 인환세포암 환자에 비하여 pep I/II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나 종양의 위치,침윤도, 림프절 전이 여부 및 Lauren분류에 따른 종양의 아형은 pep I/II의 변화와 의미 있는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혈중 pepsinogen과 점막위축 정도와의 연관성은 증명하였지만 이 결과만으로 pepsinogen과 위암의 전암 병소의 연관성이나 일차점진의 유용성을 논하기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In order to clarify the carcinogenesis mechanism from chronic atrophic gastritis toward gastric cancer, we measured the pepsinogen I and II and compared their ratio with several clin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We measured the preoperative serum pepsinogen I and II by using a radio-immunoassay and compared their ratio with several clinical findings, such as tumor size, mucinous vs non-mucinous tumor, cell differentiation, tumor location, depth of invasion, lymph-node status, Lauren's classification, and peritumoral atrophy in 103 consecutive patients with gastric adenocarcinomas who had received resections at Bundang CHA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003 to February 2005.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rum pepsinogen I/II ratio between patients with mucinous vs non-mucinous tumors (n=4 vs 9 and mean pep I/II=1.29 vs. 2.99, p=0.0288), with tumor size more than and less than $10cm^2$ (n=55 vs. 48 and mean pep I/II=2.64 vs. 3.24, p=0.0491), and with or without peritumoral atrophy (n=94 vs. 9 and mean pep I/II=2.83 vs. 3.89, p=0.0466). In patients with peritomoral atrophy, the pepsinogen I/II ratio was also lower in larger tumors (n=48 vs. 46 and mean pep I/II=2.44 vs. 3.23, p=0.0083). Well-differentiated carcinoma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rum pep I/II ratios than signet-ring-ceil type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rum pep I/II ratio and tumor location, depth of invasion, lymph-node status, or Lauren's classification Conclusion: We proved the existence of a correlation between serum pepsinogen level and musosal atrophy, but these results are not sufficient for clinical application of serum pepsinogen level as a screening tool for gastric cancer.

      •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위암 관련 질의 및 설문조사

        안대호,신동우,정재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Ahn Dae Ho,Shin Dong Woo,Cheong Jae Ho,Hyung woo Jin,Choi Seung Ho,Noh Sung Hoon 대한위암학회 2004 대한위암학회지 Vol.4 No.4

        목적: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위암관련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이루어진 질의와 설문 조사를 통해 위암환자나 보호자들의 위암에 관한 정보 욕구와 관심사항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6월부터 2003년 9월까지 인터넷 홈페이지(www.gastriccancer.co,kr)에 문의된 619예의 질의와 2003년 8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시행된 설문에 응답한 524예의 위암 환자나 보호자들의 답변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질의 분석 619예의 질의를 내용에 따라 빈도순으로 분류해 보면 치료, 예후, 병기, 증상, 병태, 진단방법, 위암에 이로운 음식, 위암의 원인, 추적관리, 기타의 순이다. 치료에 관련된 질의 가운데 가장 높은 빈도는 수술 전후의 합병증이나 음식에 대한 내용이었고, 다음으로 항암 치료에 관련된 내용이 많았다. 수술 전 상황에서는 수술의 가능성과 예후에 관한 질문이 많았고, 수술 후 상황에서는 가능한 합병증과 예후에 관한 질문이 많았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나 재발 위암의 경우에는 말기치료나 항암치료에 대한 질문이 많았다. 설문 분석 위암 관련 정보의 습득경로는 인터넷을 통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의사들의 설명에 만족하는 경우는 $6\%$에 불과하였고, 설문 응답자의 $89.9\%$는 민간요법이나 대체요법에 대해 관심을 나타내었으며 단지 $5\%$만이 관심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위암 환자와 가족들은 위암에 관련된 정보의 습득을 갈망하고 있으나 의사들의 설명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다. 발달된 인터넷 통신매체를 통한 올바른 위암 관련 의료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들의 치료와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Purpose: Through a survey on an Internet homepage, we conducted research concerning the need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for information on gastric cancer. We also assessed their interest in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619 inquiries presented from June 2002 to September 2003 and 524 replies submitted to a questionnaire survey delivered by the Internet homepage (www.gastriccancer.co.kr) from August to October 2003 to gastric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Results: Analysis of Inquiries: The classified inquiries listed in order of frequency are as follows: treatment, prognosis, stages, symptoms, pathophysiology, diagnostic modalities, favorable food, etiology, follow-up, etc. Among the inquiries about treatment, the most frequent subgroup was about the scope of surgery or perioperative implications. Next came questions concerning chemotherapy. Among the questions from patients yet to be operated, on those about operability and the prognosis were most frequent. Among 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resection, questions on complications and the corresponding prognosis were most frequent. The concern from patients with inoperable or recurrent cancers was related to terminal care and/or chemotherapy. Analysis of Questionnaires: The respondents acquired information on gastric cancer from the Internet ($40\%$), doctors ($32\%$), the mass media ($15\%$) and acquaintances ($13\%$). Only $6\%$ of the respondents were sufficiently 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doctors. Among the respondents, $89.9\%$ were interested in complementing treatment with folk remedies while only $5\%$ were not. Conclusion: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ere eager to get information about gastric cancer. However, many of them found the doctors' information to be insufficient. Our suggestion is that the public health, academic societies, medical institu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should endeavor to provide through an activated Internet network correct information on gastric cancer.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4;4:219-22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