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엇갈린 교합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증례

        정병석,전영찬,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Jung, Byung-Suk,Jeon, Young-Chan,Jeong, Chang-Mo,Yun, Mi-Jung,Lee, So-Hyoun,Huh, Jung-B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4

        엇갈린 교합 환자의 치료 방법은 피개의치, 이중관 의치를 사용하여 치료하거나 결손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교합 지지를 회복해주는 방법이 있다. 잔존 치조골의 양이 양호하고 심미적, 기능적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경우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을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교합지지 및 기능,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증례는 발치 후 심한 치조골 흡수가 동반되어 좌우 엇갈린 교합이 된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 및 수직, 수평적 치조골 증대술을 실시하였다. 이후, 보철적으로 이상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임시 보철물로 환자의 고유의 기능 및 심미를 평가한 후 이를 반영할 수 있는 double scann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엇갈린 교합을 성공적으로 극복하였으며, 저작 및 심미를 회복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Crossed occlusion can be treated either by overdenture and telescopic denture or by placing an implant at the edentulous area to reestablish the support on the occlusion. If alveolar bony support is sufficient and an the environment where an implant is inserted is favorable to restoring the masticatory and aesthetic function of a patient, the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can provide more definitive occlusal support and more aid for other oral functions. In this case report, a patient with a severe residual alveolar bone resorption following the extraction of teeth and who had a crossed occlusion was treated with sinus bone graft and alveolar bone augmentation in order to place the implants at prosthetically position. The definitive restoration was made to reflect the patient's occlusal and aesthetic function using the CAD/CAM double scanning method. Finally, the treatment had the masticatory and aesthetic function adequately restored, which is reported he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철학 : 웅십력의 성지 수양법 -"격물치지(格物致知)" 논변을 중심으로-

        정병석 ( Byung Seok Jung ),김대수 ( Dae Soo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1 No.-

        본 논문의 목적은 본성을 체인하는 熊十力의 性智수양법의 특징과 이론적 근거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원만히 수행하기 위해 먼저 기존 유학자들이 제시한 수양 방법과 성지 수양법을 비교·검토함으로써 그특징적 차이를 부각시키고자 한다. 『대학』 ``격물치지`` 구절에서 ``격물``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주자학과 양명학 간에 이치[理]의 所在와 본성에 대한 뚜렷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웅십력은 ``격물치지`` 해석에 나타난 기존학설의 앎에 이르는 수양 방법의 한계를 지적하고 본성의 의미를 재규정하고 있다. 본성과 관련해서 웅십력은 양명학의 ``良知`` 개념을 적극 수용하고 있지만, 그 개념을 자신의 ``체용론`` 틀 속으로 끌어와 다루고 있다. 그는 기존 성리학에서 마음 수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본성을 인식하는 나름의 방법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근거나 설명이 부족하다고 진단하고 있다. 웅십력은 인위적인 노력이 아닌 저절로 획득되는 본성 ``양지``의 자발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서 ``性智``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성지는 분별적 사유 형태에 해당하는 理智와는 대별되는 개념으로 본성을 직각적으로 파악하는 지혜를 뜻한다. 웅십력은 성지 사유란 자기-인식의 형태인``返緣`` 방식을 통해 양지의 발현을 드러내는, 이른바 ``直覺``의 통찰력이라고 설명하면서 베르그송이 사용하는 맹목적인 생명의 충동인 ``直觀`` 개념과는 구별할 것을 강조하였다. 인식 주객의 분별적 대립이 사라질 때, 본심인 양지는 마음으로 深入하여 자신의 본 모습인 본성을 스스로 드러난다는 것이다. 유식불교의 인식론을 토대로 하여 세워진 성지 수양법이 기존 성리학 수양론에서 노출된 이론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아울러 ``자연과 인간이 근본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우주본체가 펼치는 작용이 바로 세계``라는 體用不二의 세계관이 유학자의 최종수양경지인 天人合一의 길로 이어질 수 있는지 탐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the characteristic of Xiong Xhi Li`s Xing Zhi Cultivation of the mind which is proposed to enlighten the real human nature. To efficiently deal with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show the difference between Cultivation of the mind by scholars in Song-Ming dynasties and that by Xiong(熊)`s Cultivation of the mind by means of examining and comparing their theories. In interpreting the phrase of ``Ge Wu``(格物) in Great Learning(大學), there are very different viewpoints of human nature between Zhu-zi Xue(朱子學) and Yangming Xue(陽明學). Xiong tried not only to point out the weakness of their Cultivation way but to redefine the meaning of human nature by examining ``Ge Wu Zhi Zhi``(格物致知).`` Xiong was willing to accept the concept Liang Zhi(良知) of Yangming Xue(陽明學) in relation with human nature, but he changed the concept into that of Ti-Yong(體用) which he had devised. Even though Neo-Confucians presented their own cultivation way focused on Mind control, most of them are short of theoretical ground and valid explanation. Xiong devised the concept of ``Xing Zhi``(性智) to prepare on the theoretical basis of Liang Zhi which gains knowledges spontaneously without artificial effort. It is Xing Zhi(性智) cultivation of the mind that he proposed as the way to enlighten the real human nature. Xing Zhi Cultivation of the mind based on the Consciousness-Only(唯識) Buddhism deals with the way to recognize and enlighten the real human nature in Neo-Confucianism. Xing Zhi, the opposite concept of Li Zhi(理智) which belongs to a type of discriminating thinking, means a wisdom to intuitively capture the human nature. Xiong presents a way of Cultivation called ``Reflecting on himself in mind``(返觀自識) which Liang Zhi (良知) reveals in the mind, while he insists that we cannot perceive our human nature by using logical and analytic way of thinking. He explains that "Reflecting on oneself in mind`, so-called self-awareness, is a kind of internal intuition which manifests moral mind called Liang Zhi in the process of cognition. It is quite different from Bergson`s intuition concept. Liang Zhi naturally reveals itself in the mind only when the opposite thoughts of recognition disappear in the mind. Under the premise that Nature(天) and Human Being(人) are not essentially separated, the central point of Xing Zhi Cultivation is to remove conceptual thinking which block off Liang Zhi, the Original mind. However, this kind of Cultivation way, focusing everything on only Mind, is likely to fail knowledge acquisition needed to Cultivation training on account of cutting off the external world. Therefore, to know whether Xiong`s Cultivation theory gets over the systemic drawback of the previous theory and gets explanatory validity of his theory or not, we have to deal with his theory under the whole context of his philosophy, including Ontology and Cosmology.

      • KCI등재

        周易의 儒家經典化

        정병석(Jung, Byung-Seok)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주역』은 도대체 언제 유가의 경전이 되었는가? 곽점초간과 마왕퇴 백서주역 등의 발견은 통행본 주역이 전국 중기 이후에 이루어졌거나, 『역』은 분서 이후의 진한시기에 비로소 유가 경전이 되었다는 관점을 무너뜨린다. 유가가 『역』을 경전으로 보는 이유는 그것을 철학적 의미가 담겨있는 책으로 보기 때문이다. 『역』이 유가의 경전에 포함된 것은 공자에 의한 것이고, 『주역』의 유가 경전화의 과정은 공자의 “晩而喜易”에서 시작한다. 『주역』은 더 이상 점서가 아니라, 성인의 말을 담은 책으로, 마침내 유가의 경전 속에 진입하게 된다. 이로부터 유가들은 『주역』을 해석할 때 占筮가 아니라 德義를 찾는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다. When did Zhouyi become Confucian Classic? Manuscripts of the Chu bamboo slips from Guodian and Mawangdui silk manuscript banished the assertion such as the received version of Zhouyi was formulated after the mid of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Zhouyi was enshrined as a Confucian classic till the turn of the Qin and Han dynasties even in the Western Han dynasty. The reason why Confucian school regarded the Yi as a classic was that the quality of the Yi was thought to be a book of philosophical significance. Yi was entered six classics by Confucius, because he changed viewpoint of Zhouyi. In later life, Confucius begun to develop a liking for the Zhouy. Zhouyi was seen as a book of recoding the words of the saint by the Confucians, instead of a book of divination, so they tried their best to find the morallity and wisdom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Zhouyi.

      • KCI등재
      • KCI등재

        朱子의 讀書論에 보이는 切己工夫와 치료적 사유

        정병석(Jung, Byung-Seok)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3 No.1

        주자는 『讀書法』에서 讀書가 心身이나 性命의 문제를 벗어나 단순한 지식탐구로 빠지는 위험에 대해 늘 고도의 경계심을 가지고 있다. 주자는 독서 혹은 경전을 읽는 해석 활동자체를 심신수련의 工夫와 실천으로 보고 그것을 치료적 사유를 통하여 비유하고 있다. 세계의 만사만물은 모두 理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들이 가진 理를 하나하나 다 고찰할 수는 없다. 성현의 문장 속에 그 理의 핵심이 모두 담겨 있기 때문에 이치를 발견하려면 성현의 책을 읽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자는 말한다. 경전은 독자의 마음과 성인의 마음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교량 역할을 한다. 독서를 오로지 종이 위에서 의리를 구하는 것으로 끝내서는 안 되고 반드시 자기 자신에게 돌아와 切己體察하여야 한다. 주자가 보기에 독서는 자기완성의 실천과정으로, 끊임없이 자기에게 절실한 것으로 나아가 점검하고 살피기를 요구한다. 주자가 말하는 독서의 일차적 목적은 切己체험의 공부이다. 이런 절기체험의 공부는 자신이 가진 허물과 병을 스스로 진단하여 치유하는 "切己自療"를 의미한다. 주자는 독서를 "약으로 병을 치료한다(用藥治病)"는 말로 비유한다. 이것은 修身工夫로서의 독서 자체에 심신을 바로잡고 치유하는 함의가 담겨 있음을 말한 것이다. Zhuxi has always been highly wary of the dangers of pure intellectual exploration when reading books leaves his mind and body or xingming in the On Reading. Zhuxi sees reading or reading classical interpretation activities in itself as the practice of mind and body training, and explains them by the viewpoint of therapy. All things in the world have principle(Li), but it is impossible to examine it one by one. Since the core of principle is contained in the writings of sages, it is said that reading books about sage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ad them. The scripture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 mind of the reader and the mind of the sage. In reading, we cannot seek moral principle solely from the text, must turn the process around and look for it in ourselves. In Zhuxi"s view, as a practical process of self-cultivation, reading is a constant demand for self-scrutiny. Zhuxi"s theory of reading has finally returned to self, must be an experience meaningful to the self. This physical and mental training means self-treatment for one"s own ailments. When discussing reading, Zhuxi always uses medicine to cure illness. Indeed, the metaphor implies that reading as a physical activity involves therapeutic meaning of the mind.

      • KCI등재

        대구권 성리학과 의병활동

        정병석(Jung, Byung-Seok),권상우(Kwon, Sang-Woo)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79 No.1

        대구성리학은 임진왜란의 의병활동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대구권 성리학과 임진왜란의 상관성은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해 논의하였다. 우선,임진왜란 직전에 대구지역에 연경서원이 건립되면서 성리학이 정착되었음을 논의하였다. 둘째 단계에서는 대구 유림이 의병활동에 참여하게 된 배경과 목적을 성리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들은 성리학적인 이념에 근거해 의병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셋째 단계에서는 대구 유림이 당시 폐허가 된 대구지역을 중건하기 위한 노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들은 무엇보다도 학풍을 진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그래서 연경서원을 중건하고, 향촌질서를 바로잡기 위에 향약을 시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대구 유림이 정구의 학문을 배우게 되면서 대구의 성리학을 발전시키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이 논의를 통해 대구 성리학의 형성은 임진왜란 의병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Neo-Confucianismin the Daegu area is closely related to the War with the Japanese in the 1590s. The relation between The Neo-Confucianism in the Daegu area and the War with the Japanese in the 1590s is classified as a level 4 event. First, The Neo-Confucianism in Daegu area was settled to be established Yeonkyung private school. Second, The Neo-Confucianists in Daegu area are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of the Righteous Militia based on an idea of the Neo-Confucianism. Third, They taked efforts to reestablish ruined Daegu. They reestablished the YeonKyung private school to recognized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ownership to raise their academic traditions. The last, The Neo-Confucianists of Daegu area developed the Neo-Confucianism of Daebu to learn the study of the Jeong Ku(鄭逑 :1543~1620) Through the discussion, The Existence of the Neo-Confucianism in Daegu area is closely related with the Activity of the Righteous Militia I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