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품 서비스 융합을 위한 서비스R&D 전략

        장병열,이윤준,이공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우리나라의 주력 제조업인 자동차, 휴대폰, LCD, 반도체, 조선 등은 산업의 성숙화에 따른 기존 시장의 포화와 기존 설비의 노후화 등으로 차세대 성장 모멘텀 확보가 요구되고 있음 ○ 제조업의 서비스화와 서비스의 제조업화를 위한 서비스 R&D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나, 제조업의 서비스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서비스 R&D 정책은 미흡한 상황 ○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과 서비스의 융합을 위한 서비스 R&D 정책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임 연구의 방법과 주요 내용 ○ 본 연구에서는 DB 분석, 인터뷰 조사, 사례연구, 문헌연구, 기타 자료 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 - 제조기업의 서비스 현황 조사와 국제 비교를 위해서 OSIRIS 데이터베이스(DB)를 분석 - 실제 기업에서 수행중인 제품 서비스 융합 서비스 R&D 관련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국내외 기업들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 ○ 본 연구는 크게 7장으로 구성되어 있음 - 2장에서 제품 서비스 융합 개념 및 특징에 대해 기술하고, 3장에서는 한국 제조 기업의 서비스화(Servitization) 현황과 제조 기업의 서비스화에 대한 국제비교를 통한 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 - 4장에서는 한국 기업의 제품 서비스 융합 서비스 R&D 사례를 5장에서는 해외 기업의 제품 서비스 융합 서비스 R&D 사례를 분석 - 6장에서는 제조기업의 서비스화 현황 분석과 국내외 제품 서비스 융합에 대한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제품 서비스 융합 서비스 R&D의 유형 및 특징을 제시 - 7장에서는 전체 분석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제품 서비스 융합 서비스 R&D 방향 및 정책과제를 제시 제품 서비스 융합 서비스 R&D 방향 및 정책과제 ○ 투자 연계형 제품 서비스 융합 서비스 R&D 사업 시행 ○ 제품 서비스 융합 기초 원천 서비스 R&D 사업 시행 ○ 상업화 배타적 사용기간 부여 ○ 제품 서비스 융합 사례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화 ○ 제품 서비스 융합 연구 성과의 인터넷 포털 공유 ○ 제품 및 업종 특성에 맞춘 제품 서비스 융합 연구 사업 시행 ○ 제품 서비스 융합 메타 연구 사업 시행 ○ 제품 서비스 융합 녹색 연구 사업 시행

      • 경기도 기술융합 서비스경제 구축 방안

        이상훈,이성룡,성영조,신기동,최석현,박누리 경기연구원 2018 정책연구 Vol.- No.-

        서비스산업은 내수기반 확충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견인하여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핵심 산업 분야로, 서비스산업의 발전에 관한 중 · 장기 정책목표 및 기본방향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서비스산업 동향과 경기도지역 서비스산업을 분석하고 경기도 서비스산업의 전략업종선정과 함께 서비스 부문에서의 신기술 부문을 중심으로 경기도 서비스 기술경제 구축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정부의 서비스산업 육성 정책방향 등과 연계하여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증대 및 고용창출 확대를 위한 경기도 서비스경제 구축방안을 ICT, 지식 서비스 산업 등 기술융합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경제에서 서비스부문의 고용비중은 70.1%로, OECD평균 비중인 73.3%에 못 미치고 있고, 부가가치 비중도 52.8%로 선진국 대비 아직은 낮은 실정이다. 경기도의 서비스업 종사자수 증가율은 5.0%로 서울 3.1%, 부산 2.2%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어, 지역경제 내에서 서비스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경기지역의 서비스업 종사자수 증가는 출판, 정보,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시설관리, 사회복지서비스업, 창작예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국내 서비스업 관련 주요 이슈는 경제의 서비스화 추세, 서비스 일자리창출 증가와 낮은 생산성, 만성적 무역수지 적자 등을 들 수 있고, 이에 기술융합에 의한 서비스경제 구축과 서비스부문에서의 기술혁신이 필요한 실정이다. 경기도 서비스 전략업종의 선정기준으로서 일리자리 창출효과가 크고 지역내 특화 업종, 포트폴리오 모형을 활용한 서비스업 전략업종 선정을 시도하였다. 전략업종 선정결과, 경기도 유방 서비스 전략업종은 1)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2)금융 및 보험업, 3)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4)사업지원서비스업, 5)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6)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이 경기도의 유망서비스업으로 선정되었다. 경기도 기술융합 서비스경제 구축 목표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경제 구축’으로 설정하였고, 기술융합 서비스경제 구축방향으로 1)SW 융합 신서비스산업 생태계 조성, 2)ICT 신기술 · 서비스 산업활성화, 유통산업 기술혁신과 지역상권 육성, 4)복지기술(well-tech) 사회서비스산업 육성, 5)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제로시티’추진으로 설정하였다. 경기도 기술융합 서비스경제 구축방향으로는 첫째, 경기지역 SW융합서비스산업의 지역 확산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 및 新서비스 발굴 · 육성을 위한 ‘SW융합 신서비스산업 생태계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둘째, ICT 기업의 성장 단계별 · 기능별 기업 지원 사업을 기획하고 ICT 인프라 구축 및 테스트 베드를 조성한다. 셋째, 유통산업 기술혁신과 지역상권 육성을 위해 점포단위 또는 상권단위로 SNS, 위치기반서비스 등을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복지기술(well-tech)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복지기술 리빙랩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끝으로, 입지규제최소구역의 적극적인 활용과 특구제도의 활용을 통해 서비스산업 발전을 촉진시킨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ajor strategies for the building of service economy with convergence technology in Gyeonggi province. To this end, we analyzed how 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changed in terms of value-added production and employment growth rate in Gyeonggi and Korean economy. Six major service industries are selected as the major targeted areas by the criteria of job creation, location quotient, congestion index, non-linear mathematical model, and the government’s announced plan. These six service industries are ICT, bank & insurance, profess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 business support service, health and welfare service, and art, sports and leisure industry. In order to promote the convergence technology, we set up the vision as ‘the service industrial hub of convergence technology’ and target is the ‘building the service economy for creating jobs’. Five major strategies were set up to realize the target, those are building the regional business ecosystem for the new service industry, promotion of the new ICT based technology · service industry, promotion of local commercial district with the innovation of marketing technology, well-tech social service industry, and zero regulation city for the service industry. As a result, this research suggested major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he service economy with convergence technology in Gyeonggi province. First, we suggested the building of regional business ecosystem for the new service industry by operating the service laboratory, test-bed, and pilot plant for the software convergence. Second, design of the ICT business support program is necessary which is customized with the ICT firm’s growth level. Thus, we need to build ICT infrastructure and testing bed, innovation cluster in urban area, and to promote international trade for the globalization. Third, we need to develop SNS-based digital marketing system for the local commercial area including unmanned and automation technology. And also, the newly advanced business has to be developed for the small and medium sized service industry. Forth, regulation and rules related with the smart health care systems have to be refined for the development of well-tech social business. Well-tech living laboratory could be operated for the practice of technology and related business. Finally, the minimized regulation zone system could be applied for the underdeveloped urban areas. Special district zone system could be applied for the service industry by considering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rule.

      • KCI등재후보

        방송ㆍ통신 융합서비스의 적정 규제 방안

        이상우(Sang-Woo Lee),곽동균(Dong-Kyun Kwak) 한국언론정보학회 200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7 No.-

        방송ㆍ통신의 융합이 진전됨에 따라, 방송과 통신이 분리되어 규제되는 현재의 법과 제도는 상당한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통신망과 방송망 허가의 실질적인 권한이 규제기관별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망과 방송망의 융합에 따른 이중규제의 문제뿐만 아니라 새롭게 탄생하고 있는 신규 융합서비스를 어떠한 서비스로 분류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원활한 방송ㆍ통신의 융합을 촉진시키고 기존의 방송과 통신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방송과 통신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차등화 기준과 방송과 통신의 중간영역에 위치한 서비스들에 대한 새로운 규제환경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비록 2004년 3월에 새로운 방송법이 통과되었지만, 통과된 방송법을 살펴보면 방송과 통신의 개념에 대한 논리적인 기준을 적용하기보다는 두 기관의 이익을 어느 정도 충족시킨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결론지을 수밖에 없다. 이는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가 도입되었을 때,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가 또다시 소모적인 논쟁을 되풀이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하고, 이는 통신방송 융합서비스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일종의 ‘규제의 아노미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 환경 속에서 전통적인 방송과 통신의 개념에 바탕을 둔 서비스의 분류가 어려워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새로운 융합서비스의 개념을 방송과 통신의 공공재적 특성과 양방향적 특성에 기반하여 이해해 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대한 ‘논의의 정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기존의 논의의 틀을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이를 서비스의 본질적 속성이라는 ‘근원적 태생’을 기준으로 재구성함으로써, 관련 규제 체제의 정비에 지침을 마련할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서 시작하였다. 즉, 임기응변적인 자의적 구분을 탈피하여, 기술적 특성과 그로 인해 비롯되는 서비스의 본질적 차이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융합서비스의 적정 규제 기준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As we know, broadcasting implies a unilateral transmission by one sender to several recipients of information generally produced by third parties. Contrary to that, telecommunications implies an exchange between participants. Participants exchange information they produce during an interaction. However, in the age of convergence between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it becomes difficult to determine exactly the boundary between services classified under telecommunications and those classified under broadcasting services. This means that new regulatory regime should be introduced to meet the convergence between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In this article, we try to overcome the existing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regulating convergent services. In order to develop more powerful and useful framework for dealing with new convergent services, we focus on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cast services," which could give us very significant basis for further discussion. "Cast services," such as traditional broadcasting servic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public goods (non-exclusivity and non-rivalry in consumption) and non-interactivity.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these three characteristics, we are able to apply different regulatory regime to those convergent services.

      • 서비스디자인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제품·서비스 융합 공동창의 연구 - 어린이 안전 XR 디자인 워크숍을 중심으로 -

        황유경,김선아 한국컨설팅학회 2024 컨설팅융합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설계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워크 숍 진행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된 디자인 개발을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의 융합 및 서비스디자인과 공동창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다. 둘째, 통합적 개발 방식인 서비 스디자인의 대표적인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하여 제품·서비스 융합 공동창의 연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셋째, 설계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기 위한 기획, 제품, 서비스 디자이너를 포함한 융합팀을 구성하여, 제품·서비스 융합 디자인 개발을 위한 워크숍을 수행한다. 연구결과, 서비스디자인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제품·서 비스 융합 공동창의 워크숍이 신제품 개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품과 서비스 융합제품의 필요성 이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디자인 기반의 공동창의 프레임워크는 제품·서비스 융합제품 개 발의 선행적 사례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framework using service design that combines products and services in workshops that use the designed framework. For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first,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vergence of products and services, service design, and joint creativity is conducted through prior research. Second, we design a framework for product and service convergence co-creativity research using the double diamond model, a representative of service design, which is an integrated development method. Third, in order to utilize the designed framework, a convergence team including planning, product, and service designers is formed and a workshop is conducted to develop the product and service convergence desig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oduct and service convergence joint creativity workshop using the service design framework is effective for developing new products. As the need for product and service convergence increases, the service design-based co-creativity framework present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leading example of convergence product development.

      • 융합미디어 서비스의 망과 콘텐츠 접근 논의에 관한 연구

        박주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09 東西言路 Vol.26 No.-

        지상파 실시간 재전송이 합의됨에 따라 융합 미디어서비스인 IPTV 도입 논의를 시작한 지 4년 만에 IPTV 서비스 상용화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개시되었다. 지금까지 IPTV규제 논의는 융합서비스라는 IPTV의 특성을 이해하는 차원보다는 기존 이해관계의 맥락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현 시 점에서도 융합서비스의 미래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그동안 융합 미디어서비스의 도입에 있어 망과 콘텐츠 동등접근의 쟁점은 융합미디어 서비스의 공정 경쟁에서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고, 이 쟁점은 향후 미디어 시장지배력의 전이방지, 가격결합 경쟁 등 실질적으로 모두 상호 연계되 어 있다. 이 논문은 국내 융합 미디어서비스인 IPTV의 도입을 중심으로 그동안 국내 미디어 시장에서 나타난 주요 규제 쟁점 등을 살펴보면서, 주요 쟁점의 내용과 논의의 전개과정, 그리고 이슈를 둘러싼 각 사업자의 입장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융합미디어서비스 도입에 따라 제기된 관련 쟁점에 어떤 정책적 대안과 규제가 필요한지에 대한 논 의를 제기하고자 한다. IPTV provides a variety of service due to its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ity.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regulatory policy of IPTV and to analyze the relevant factors of regulatory dilemma in the convergence service.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content access regulation that allows new platform operators to provide vertically integrated channels or program in the market. Many operators will not intend to supply their programs to competitors; this may cause unfair competition among operators in the media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tent access regulation like PAR in the US.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structural changes in the content industry and issues in content access.

      • 제품ㆍ서비스 융합 촉진을 위한 서비스 R&D 정책 방향

        장병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Issues & Policy Vol.- No.48

        경제의 서비스화에 따라 제조 기업에서 제품의 서비스화(Product Servitization)가 가속화 되고 있고, 제조기업과 함께 서비스 기업인 구글, 아마존 등을 중심으로 서비스와 제품을 융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조업의 성장한계 및 기술의 평준화 등으로 인해 제품과 서비스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제조 기업의 서비스화(Servitization) 국제비교와 선진국의 제품ㆍ서비스 융합을 위한 서비스 R&D 사업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제품ㆍ서비스 융합 촉진을 위한 서비스 R&D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1. 제품ㆍ서비스 융합을 위한 서비스 R&D 국가 연구개발 사업 시행 2. 저탄소 녹색 성장을 위한 제품ㆍ서비스 융합 녹색 국가 연구개발 사업 시행 3. 제품ㆍ서비스 융합 기초·원천 서비스 R&D 사업 시행 4. 제품ㆍ서비스 융합 메타 연구 사업 시행

      • KCI우수등재

        N-Screen 기술 기반 IPTV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기대와 인지 간의 GAP분석에 관한 연구

        김준수(Jun Soo Kim),강상욱(Sang Ug Kang),임규건(Gyoo Gun L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3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8 No.2

        최근 IT분야의 중요한 화두인 융합은 이전까지는 단순히 기술의 기능적인 융합에서 이루어져 왔다면, 최근에는 비즈니스 측면, 서비스 측면에서의 융합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유형으로서 방송통신융합은 방송산업의 디지털 전환으로 인하여 다매체, 다채널화 등과 같은 방송기술이 통신산업의 네트워크 광대역화와 융합이 가능해지면서 IPTV와 같은 융합서비스들을 출현시키게 되었다. IPTV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본격화되면서 네트워크, 콘텐츠, 단말기의 융합이 종합적으로 결합된 새로운 서비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PTV가 인터넷TV와 무엇이 다르고 IPTV를 통해 소비자가 얻을 수 있는 편익이 무엇인지 등 새로운 융합서비스의 범위와 가치에 대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N-Screen 기반 IPTV서비스의 요구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과 사용 후의 인지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IPA분석을 통해 각 항목별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방송통신융합서비스 기능에 대해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인식수준 차이(Gap)를 규명하고, 사용자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One of the recent important issues in IT fields is the convergence. It had been simply focused on functional convergence of technologyies. However the convergence in terms of businesses or services also has been made in recent years. The convergence betwee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industries can be possible because the e-transformation of broadcasting industry based on digital technology such as multimedia and multi-channel, can be combined with the high speed telecommunication network. It is giving a birth of various convergence services such as IPTV. IPTV is a kind of new service that is combined with the convergence of network, contents, and device. Nevertheless the controversy about the scope and the value of this new convergence service has constantly been raised; for exampl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PTV and Internet TV? or what are the benefits that customers can have? This study measured the expectation level and the cognitive level of users before and after using the service and analyzed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 From this study, we proposed the priority of each function by analy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method to suggest required functions of IPTV service based on N-Screen technology.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gap of awareness level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end users for the functions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service and suggest a solution enhancing user satisfaction.

      • KCI우수등재

        융합 서비스의 진화를 위한 프로파일 기반 동적 서비스 바인딩 기술

        김길환(Kilhwan Kim),금창섭(Changsup Keum),배현주(Hyun Joo Ba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3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8 No.2

        융합 서비스를 빠른 시간 안에 시장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외부 서비스와 자신의 핵심 역량을 융합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정보시스템 아키텍처는 이러한 서비스 융합을 효과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는 이러한 서비스 융합을 성공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아키텍처이다. 그러나 기존의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를 이용한 융합 서비스의 구현은 개별 서비스진화가 융합 서비스의 진화로 반영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의 맥락하에서 개별 서비스의 진화에 따른 융합 서비스의 자체적 진화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파일기반 동적 서비스 바인딩 기법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파일 기반 동적 서비스 바인딩 기술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스마트 운동 기구와 관련된 융합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해당 기술이 구현해야 할 요구 사항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파일 기반 동적 서비스 바인딩 기술의 개념 및 구조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OSGi, Apache Camel, Apache CXF 등을 이용하여 프로파일 기반 동적 서비스 바인딩 기술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제안된 기술에 대한 간략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To reduce time to market for converged services, the service provider needs to combine external services and internal processes together, and IT architecture for converged services has to support it.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enables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d service by combining external services and internal processes effectively.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existing SOA methods to support the evolution of a converged service, even though the service which consists of the converged service changes over time. In this paper, we argue that a method for profile-based dynamic service binding is required to support evolution of converged services. In order to identify requirements for the proposed method, a business scenario with a smart athletic equipment is given. We then present the concept and architecture of the method for profile-based dynamic service binding to meet the identified requirements. We also demonstrate a prototype implementation for evaluating the proposed method.

      • KCI등재

        융합형 서비스의 정부 지원 범위에 관한 연구 : 융합형 서비스의 다차원적 개념을 중심으로

        김희경,차영란,봉미선 한국지역언론학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방송통신위원회의 융합형 서비스 지원과 관련한 보도자료 및 사업계획서와 사업요약문을 통해 양 진흥기관이 융합형 서비스에 대해 어떠한 개념과 범위로 규정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문화부는 콘텐츠 영역, 방통위는 IPTV, 통신서비스 및 콘텐츠 영역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부가 지원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세부 유목으로는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가 가장 높았으며 파생콘텐츠로 모바일콘텐츠, 관광콘텐츠, 스포츠콘텐츠, 전시콘텐츠, 출판콘텐츠, 인문학콘텐츠 등으로 나타났다. 방통위는 방송콘텐츠가 가장 높았으며 파생콘텐츠로 교육콘텐츠, 국방콘텐츠 등이 나타났다. 융합형 서비스의 지원범위에 있어서도 문화부는 콘텐츠사업자를 방통위는 통신사업자를 제작 및 신규개발과 같은 형식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 진흥기관이 IPTV를 융합형 서비스를 대표하는 플랫폼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양 부처의 지원 대상이나 범위가 특정 서비스 및 플랫폼에 쏠려있었다. 더불어 양 기관이 지원하고 있는 융합형 서비스의 특성은 본 연구가 설정한 조작적 정의와도 차이를 보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융합형 서비스에 대한 정부지원이나 진흥 정책에 대해 산업과 법제 측면에서 지원내용을 평가 혹은 분석하였다면, 이 연구는 양 기관의 지원 현황과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인 융합형 서비스의 개념 정립을 토대로 지원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both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re prescribing 'Converged service' in which concept and range through their media releases, business plan and summary related with the support of converged service. As a result, it was firstly found tha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as contributing in supports to contents field, whil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was supporting in IPTV, communication service, contents areas. The specific categorization of contents tha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willing to support the most was 'the next converged contents', and for the derived contents, mobile contents, tour contents, sports contents, exhibition contents, publication contents, humanities contents and etc were appeared. Meanwhile, broadcasting contents were found the most in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education contents, national defense contents were usually found in derived contents field. In terms of support range of converged servic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as supporting contents providers, whil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was actively backing up communication operators in forms of production and new business. Especially, supporting objects or ranges of both promotion agencies were inclined to specific services and platforms due to the regulations of both agencies on IPTV as a representative converged service platforms. Also, the features of converged services that both agencies were supporting were a little bit different in operational definition of this study. If the past studies usually were focusing on assessing or analyzing governmental supports or promotion policies about converged service in terms of industry and legisla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point of presenting problems of the supports on the basis of positioning the concept of converged services which is the cause of the situations and results of these supports.

      • KCI등재

        제조업과 서비스업 융합이 제조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이동희,고대영,양나경 한국응용경제학회 2018 응용경제 Vol.20 No.2

        본 연구는 생산기술구조의 융합 관점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간 연계수준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네트워크로 시각화하고, 관련된 융합도가 제조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로 첫째, 제조업과 지식집약사업서비스(KIBS) 간의 강한 연계는 전반적으로 제조업의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융합의 효과는 제조업 기술수준과 세부 KIBS 분야에 따라 달라진다. 중고위기술 제조업의 생산에는 과학기술전문서비스, 사업전문서비스, 연구개발과의 융합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중저위․저위기술 제조업의 경우 연구개발 및 정보통신서비스와의 융합은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셋째, 제조업과 KIBS간 연계⋅융합은 지역별로 이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지역마다 산업구조 및 주력제조업이 이질적이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제조업에 대한 서비스 중간투입 확대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제조업의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적합한 KIBS와의 융합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of production technology structure, this study measured the level of linkage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analyzed the effect of convergence on manufacturing production. As main findings, firstly, the strong linkage between manufacturing and knowledge-intensive business services (KIBS) mostl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manufacturing production. Secondly, the effect of convergence depends on the technology level of manufacturing and the sub-industries of KIBS. Thirdly, the impact of convergence between manufacturing and KIBS is heterogeneous across regions. Therefore, manufacturing-service convergence should be pursued by considering the technology level of manufacturing and the sub-industries of KI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