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세오경 안에 나타나는 “하느님의 영광”에 관한 신학적 의미

        홍승모(Hong Seungmo)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7 누리와 말씀 Vol.- No.41

        모세오경 안에는 “하느님의 영광”(탈출 24,16)이란 표현을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하느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구절이 모두 18회에 걸쳐서 언급되고 있다. 탈출기에 9회(탈출 16,7.10; 24,16.17; 29,43; 33,18.22; 40,34.35), 레위기에 2회(레위 9,6.23), 민수기에 6회(민수 14,10.21.22; 16,19; 17,7; 20,6), 그리고 신명기에 1회(신명 5,24) 나타난다. 하느님의 영광이 18차례 열거되고 있는 각 구절들을 분석하면 하느님의 영광과 연관되어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1.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첫째 범주 ・ 탈출기(탈출 16,7.10) ・ 민수기(민수 14,10.21.22; 16,19; 17,7; 20,6) 2.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둘째 범주 ・ 탈출기(탈출 24,16.17) ・ 신명기(신명 5,24) 3.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셋째 범주 ・ 탈출기(탈출 29,43; 33,18.22; 40,34.35) ・ 레위기(레위 9,6.23)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첫째 범주에서는 반-출애굽이라는 하느님의 구원과 역행하는 저항과 반역에 대해 하느님의 거룩한 분노와 정의로운 심판을 매개로 결국 당신 백성을 구원하시어 출애굽의 구원 역사를 성취하시는 하느님의 본질적인 구원의 의미가 하느님의 영광에 내재되어 있다.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둘째 범주에서는 율법이라는 하느님의 말씀을 통해 출애굽 여정 속에서 당신 백성들과의 계약이 지속되고 모세를 통해 당신 백성들과 머무시며 통교하시기를 바라는 하느님의 자비로운 현존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하느님의 말씀은 그 말씀을 듣고 지켜야 하는 생명의 원천이며 출애굽이라는 구원 역사 안에서 계약이 지속되는 근본 원리이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셋째 범주에서는 만남의 천막과 관련되어, 당신의 백성들을 특별한 방법으로 보호하시고 인도하시는 하느님의 은총과 자비가 드러나고 있다. 만남의 천막은 경신례의 중심부로서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축복과 평화를 향유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관계가 경신례라는 사실을 나타낸다. 여기서 하느님의 영광은 당신 백성들 가운데 함께 하신다는 당신의 거룩한 현존의 명백한 표지를 나타내는 증거이며, 만남의 천막 앞에서 드리는 경신례를 통해 현재화 된다는 사실을 함축하고 있다. In the Pentateuch, the expression of The Glory of YHWH(Ex 24:16) , phrase of expressing the glory of God, are mentioned 18 times, directly and indirectly. 9 times in the Book of Exodus(Ex 16:7. 10; 24:16. 17; 29:43; 33:18. 22; 40:34. 35), 2 times in the Book of Leviticus(Lv 9:6. 23), 6 times in the Book of Numbers(Nm 14:10. 21. 22; 16:19; 17:7; 20:6), and 1 time in the Book of Deuteronomy(Dt 5:24). Those 18 phrases, which are related “The Glory of YHWH”, can be divided into 3 categories. 1. The first category shown “The Glory of YHWH” The Book of Exodus(Ex 16:7. 10) The Book of Numbers(Nm 14:10. 21. 22; 16:19; 17:7; 20:6) 2. The second category shown “The Glory of YHWH” The Book of Exodus(Ex 24:16. 17) The Book of Deuteronomy(Dt 5:24) 3. The third category shown “The Glory of YHWH” The Book of Exodus(Ex 29:43; 33:18. 22; 40:34. 35) The Book of Leviticus(Lv 9:6. 23) In the first category; lies the fundamental (essential) meaning of God’s salvation God who eventually saves His people and achieves His salvation of Exodus by a medium of His holy wrath and righteous judgment against Anti-Exodus done by recalcitrance and rebellion. In the second category; implies the meaning of God’s merciful presence God wanted to last His covenant with His people through the Laws, God’s Word, during Exodus journey. God wanted to be and communicate with His people through Moses. The Word of God is the spring of life, which should be kept by listening and doing, those are the essential principals to be maintained in the salvation history of Exodus. In the third category; showing God’s grace and mercy relating Tabernacle or Tent of Meeting God protects and leads His people in his special ways, and his grace and mercy has been revealed. Tent of Meeting is the core of cultic ritual; it is shown that Tabernacle is the essential prerequisite relationship to enjoy God’s promised blessing and peace. Here, “The Glory of YHWH” is the hard proof to show Theopany, which God is with His people, and it implies that it is made to be the present through cultic rituals held in front of Tabernacle.

      • KCI등재후보

        요한복음서의 영광에 대한 주요 연구동향과 사회학적 재해석

        이승문 한국대학선교학회 2010 대학과 선교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ajor study trends on the Glory in the Gospel of John in order to reinterpret it in a sociological aspect. Furthermore, it is to induce the social situation of the Johannine community that is under-toned in the paragraph of mutual glory, and to see what kind of social functions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conducted in the Johannine community.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nvolves a sociological analysis employing a method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with an assumption that each text of the New Testament reflects the social world of the community that produced its own document. The Son of Man ‘Jesus’ realize the mutual glory between the Son of Man(Jesus) and God by willingly walking the path of death without fearing death(John 13:31). However, John wrote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as ‘the mutual glory of Johannine community’ instead of staying in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Jn 17:22): “I have given them the glory that you gave me, that they may be one as we are one”. The glory that was given to John’s Jesus was the mutual glory of Son of Man. Jesus got glory by asking for it from God who sent him(Jn 5:41, 44; 7:18). He revealed God to the world by not fearing death(Jn 12:42-43) and he realized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by raising ‘God’s glory’ over ‘man’s glory’. Likewise, Jesus gave his mutual glory to his disciples, which means John's community. The members of Johannine community who received this glory needed to chase after the glory of Jesus, who was God(cf. Jn 17:10; 5:44; 14:31). Also the members of Johannine community needed to reveal Jesus, who sent them(cf. Jn 13:35), to the world by not fearing of death and by willingly sacrificing themselves(Jn 15:13). Therefore, the reason why John emphasized ‘the mutual glory for the Son of Man’ was not just to reveal high Christology, which says that Jesus is the Son of God and is therefore God. It was because John tried to legitimate the death in front of the danger that the community had, through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본 논문의 목적은 요한복음서의 영광 단락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사회학적 재해석을 통하여 상호영광 단락이 함의하고 있는 요한공동체의 사회적 정황을 도출하고, ‘인자의 상호 영광’이 요한공동체내에서 어떠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고찰하려는 데 있다. 본논문의 연구방법론은 신약성경의 각 텍스트가 그 텍스트를 산출한 해당 공동체의 사회적 세계를 반영한다는 지식사회학의 방법을 활용하는사회학적 분석을 포함한다. 인자이신 예수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죽음의 길을 기꺼이 걸어가심으로써 인자와 하나님의 상호 영광을 이룬다(요 13:31). 그러나 요한기자는 인자의 상호 영광에 머물지 않고,인자의 상호 영광을 요한공동체의 상호 영광으로 옮기고 있다(17:22). “내게 주신 영광(인자의 상호 영광)을 내가 저희에게 주었사오니(요한공동체의 상호 영광) 이는 우리가 하나가 된 것같이 저희도 하나가 되게 하려 함이니이다”(17:22). 요한의 예수에게 주어진 영광은 인자의상호 영광이다. 예수는 자신을 보내신 자인 하나님의 영광을 구함으로자신도 영광을 얻는다(5:41, 44; 7:18). 그리고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음으로(12:42-3) 자신을 보내신 자인 하나님을 세상 가운데서 드러내었고, ‘사람의 영광’보다 ‘하나님의 영광’을 더 사랑함으로 인자의 상호영광을 이루었다. 이처럼, 하나님이 예수에게 주었던 상호 영광은 이제예수가 제자들에게, 즉 요한공동체에게 주고 있다. 이 영광을 받은 요한공동체 멤버들은 마땅히 그들을 보내신 하나님이신 예수의 영광을구하여야 한다(17:10; 5:44; 14:31 참조). 또한, 요한공동체 멤버들은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세상 가운데서 기꺼이 죽음으로(15:13) 자기들을 보내신 자인 예수를 세상에 알려야 한다(13:35 참조). 그러므로요한기자가 복음서에서 인자의 상호 영광을 강조하고 있는 궁극적인이유는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 하나님이라는 고등 기독론을 드러내는것에만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요한기자는 그 무엇보다도 요한공동체의 인자의 상호 영광을 통해서 공동체가 당면한 위기앞에서 ‘죽음의 합법화’를 이루려 하였기 때문이다.

      • KCI등재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영광 언어

        송승인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0 신학과 사회 Vol.34 No.4

        본 연구는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영광 언어에 대한 연구다. 요한복음에는 영광 언어가 많이 등장하고 중요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는 이제까지 많지 않았다. 이 언어를 네 가지로 분류하는 쾨스텐베르거의 연구는 많은 통찰력을 주지만, 그의 분석은 비교적 간단하고 철저하지 못한 약점과 함께 요한복음에 분명히 기록되어 있는 선재한 로고스로서의 예수의 영광에 대해(17:5a; 17:22; 17:24) 고려하지 않으므로 수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쾨스텐베르거의 분류를 보완했다. 먼저 필자는 요한복음의 영광 언어를 분류하되 이 단어의 의미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했다. 헬라어 는 두 가지 주요 의미를 가지는데 첫째는 “영광(glory)”이고 두 번째는 “명예, 명성, 의견(honor, reputation, opinion)”이다. 전자는 하나님의 임재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가시적인 밝음이나 광채를 가리키거나 하나님의 성품의 계시를 통해 나타나는 불가시적인 그의 영광을 가리킨다. 요한복음 1:14, 2:11, 11:40, 12:41이 이 경우에 해당하고, 이 경우 하나님이나 예수의 성품, 모습,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 신적 영광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빈번하게 가 “보다”라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의 두 번째 의미인 “명예”는 요한복음에서 흔히 “영광을 취함”, “영광을 구함”, “영광을 돌림”이라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이런 경우 하나님이나 사람으로부터 칭찬이나 찬양을 받거나 높임을 받는 행위를 가리킨다. 이 범주에 속하는 구절들이 첫 번째 경우보다 훨씬 많은데, 5:41, 5:44(x2), 7:18(x2), 8:50, 8:54(x3), 9:24, 12:43(x2), 17:4; 17:5a, 17:5b, 17:22, 17:24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필자는 영광 언어가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에 따라 다음 여섯 가지로 분류했다. 첫째, 요한복음에서 영광 언어는 성부께서 허락하신 선재한 로고스로서의 예수의 영광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17:5a; 17:22; 17:24). 둘째, 표적을 포함한 공생애 동안 예수가 행한 여러 기적을 통한 예수의 영광이다(1:14; 2:11; 11:4; 11:40; 12:28). 셋째, 요한이 이 언어를 통해 가장 많이 묘사하는 사건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이다(7:39; 12:16; 12:23; 12:28(x3); 12:41; 13:31-32(x5); 17:1(x2)). 넷째, 성령을 통한 예수의 영광이다(16:14). 다섯째, 제자들을 통한 성부와 성자의 영광이다(14:13; 15:8; 17:10; 21:19). 마지막으로 사람의 영광과 하나님의 영광이 대조되어 나타난다(5:41; 5:44(x2); 7:18(x2); 8:50; 8:54(x3); 9:24; 12:43(x2)). This study examines the language of doxa in the Gospel of John. Although the language of doxa occurs many times in the Gospel of John and is an important concept, there have been not many studies on this subject. Köstenberger’s four categories of this language of doxa give a lot of insight. But his analysis has two weaknesses. First, it does not provide a thorough analysis. Second, it omits the category of the glory of preexistent Logos which is mentioned in this Gospel (17:5a; 17:22; 17:24). Therefore, I supplemented his classification through this study. First, I classified the doxa language of John’s Gospel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is word. The Greek word doxa has two main meanings: the first is “glory” and the second is “honor”, “reputation”, or “opinion.” The former refers to the visible light or brilliance emanating from God’s presence, or to the invisible glory of God through the revelation of his character. John 1:14, 2:11, 11:40, 12:41 belong to this case, and these references mean the divine glory revealed through the character, appearance, and behavior of God or Jesus. In this category, doxa is frequently used with the verb “see.” The second meaning of doxa, “honor,” is often used in the Gospel of John with the words “to take the glory”, “to seek glory,” or “turn glory.” In this category, it refers to the act of receiving praise or exaltation from God or man. There are far more references in this category than in the first category. John 5:41, 5:44 (x2), 7:18 (x2), 8:50, 8:54 (x3), 9:24, 12:43 (x2), 17:4, 17:5a, 17:5b, 17:22, 17:24 fall into this category. Next, I classified the doxa language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in terms of its manners that it is expressed. First, in the Gospel of John, the language of doxa is used to refer to Jesus’ glory as a preexisting Logos (17:5a; 17:22; 17:24). Second, it is Jesus’ doxa through the many miracles Jesus performed during his earthly life, including the signs (1:14; 2:11; 11:4; 11:40; 12:28). Third, the events that John describes most in the language of doxa are Jesus’ crucifixion (7:39; 12:16; 12:23; 12:28 (x3); 12:41; 13:31-32 (x5); 17:1 (x2)). Fourth, it is Jesus’ doxa through the Holy Spirit (16:14). Fifth, the doxa of the Father and the Son through the disciples (14:13; 15:8; 17:10; 21:19). Finally, the doxa of human and the doxa of God appear in contrast (5:41; 5:44 (x2); 7:18 (x2); 8:50; 8:54 (x3); 9:24; 12:43 (x2)).

      • KCI등재

        조선시대 영광군수의 문서 행정과 업무

        노인환 호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7 No.-

        Yeonggwang-gun during the Joseon Dynasty became Yeonggwang-gun or Yeonggwang-hyeon through the change of the local system, the morality incident, the birth and residence of a high-profile criminal, and the demotion and sign of multiplication of the township. When the three candidates were appointed from the authorities, the king was appointed and after his appointment the appointed governor offered his thanks and his resignation to the king. The governor of Yeonggwang reported to the Jeolla-do governor by Chupjung(牒呈), and the Jeolla-go governor ordered the governor of Yeonggwang by Gwan(關). Yeonggwang-gun governor also exchanged documents related to his duties by Gwan and Chupjung with the provincial governors. Yeonggwang-gun governor and his officials exchanged Hacheop(下帖) and Munbo(文報)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complaints of the people. The administration of documents by Yeonggwang-gun governor and local officials wa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Yongmunjasik(用文字式) of the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 Yeonggwang-gun governor's handling of civil complaints can be viewed through petitions, which was posted by the people of Yeonggwang County, as evidence of governor through constitution and prove, as well as the reward of filial piety and exemption of miscellaneous duties. 조선시대 영광군은 지방 제도의 변화, 綱常 사건, 대역죄인의 출생 및 거주지, 읍호의 강등과 陞號를 통해 영광군 또는 영광현이 되었다. 영광군수는 吏曹에서 세 명의 후보자를 올리면 국왕이 落點을 하여 임명하였고, 임명 후에 국왕에게 謝恩과 下直을 거행하였다. 영광군수는 전라도관찰사에게 牒呈으로 보고하였고, 전라도관찰사는 영광군수에게 關으로 지시하였다. 영광군수와 지방 수령 사이에도 關과 첩정으로 업무와 관련된 문서를 주고받았다. 영광군수와 소속 관원 사이에는 백성들의 민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下帖와 文報를 주고받았다. 이러한 영광군수와 지방 관원의 문서 행정은 경국대전 用文字式의 조항을 준용하여 이루어졌다. 영광군수의 민원 처리는 영광군 백성들이 영광군수에게 올린 所志를 통해 立案과 立旨를 통한 官의 증빙, 효행의 포상과 煙戶雜役의 면제에 대한 처리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 KCI등재

        칼뱅의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i Deo Gloria)

        김선권 ( Sun Kwo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7 No.-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i Deo Gloria)의 개념은 칼뱅 신학의 중심적 개념이다.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호의에 의하여 그리스도의 구속의 은혜에 참여하는 자는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에도 참여한다. 영혼 구원은 신적 주권과 연결된다. 하나님의 영광은 하나님 자신, 창조, 그리스도의 인격,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 그리고 성령에 의해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에 참여하는 것에서 나타난다. 이 논문은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역사적, 신학적, 실천적 맥락에서 다룬다. 첫째, 오직 하나님께 영광은 어떤 역사적 계기에서 중요한 주제가 되었는가? 둘째, 그의 신학 안에서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란 무엇인가? 셋째, 어떻게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하는가? 이 연구는 성도의 궁극적 관심사가 자기 영혼 구원이 아닌, 그보다 더 높은 차원에 놓여 있는 하나님께 영광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우리가 왜 믿음 생활을 하며 교회에 오는지를 분명하게 해야 한다. 단순히 구원받고 행복해지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놀라운 특권을 누리기 위해서이다. 개인의 영혼 구원뿐만 아니라, 타인의 영혼 구원이 너무나 중요한 신앙의 문제이긴 하지만 이것들은 하나님께 영광에 종속되어야 하며, 하나님께 영광과 반드시 병행해서 개인의 구원과 타인의 영혼 구원인 전도도 실천되어야 한다. 구속의 은총을 받은 신자는 자기 자신 을 부정하고 신적 주권을 인정하면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사는 하나님 중 심의 삶을 살아야 한다. La notion a Dieu seul la gloire est la notion essentielle dans la theologie calvinienne. Ceux qui participent a la grace redemptrice du Christ par l``amour et la misericorde de Dieu, participent aussi a la grace souveraine de Dieu. Car le salut des ames se lie a la souverainete divine. Pour Calvin, la gloire de Dieu apprait dans Dieu lui-meme, sa creation, la personne du Christ et l``oeuvre redemptrice du Christ, mais elle apparait plus fort dans la vie des fideles qui reconnaissent la souverainete divine, en se renoncant soi-meme et en vivant theocentriquement. Cet article en traite dans le contexte historique, theologique and pratique. Premierement, dans quel contexte historique Soli Deo Gloria devient-elle importante? Deuxiemement, qu``est-ce que Soli Deo Gloria dans la theologie de Calvin? Troisiemement, comment pouvons-nous honorer Dieu? Cet article insiste que la grande preoccupation du fidele n``est pas le salut de son ame, mais Soli Deo Gloria. Nous reconnaissont clairement: pour quelle raison venons-nous a l``Eglise et vivons-nous la vie religieuse? Le salut de l``ame a beau etre si important, il est cependant considere comme d``importance secondaire. Le salut se soumet a la gloire de Dieu et la vie sauvee doit temoigner de sa gloire. Plutot que de negliger le salut de l``ame, Calvin entend elever la gloire de Dieu a la valeur ultime. Le fidele ne vient pas a l``Eglise simplement pour ere sauve et heureux, mais pour avoir l``insigne privilege de manifester la gloire de Dieu.

      • KCI등재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i Deo Gloria)과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실천운동

        이은선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4 생명과 말씀 Vol.38 No.1

        ‘오직 하나님께 영광’은 창조, 섭리, 구속에서 ‘오직 하나님의영광이’ 드러나는 것을 말한다. 창조, 섭리, 구속의 모든 과정을오직 하나님께서 이루어가시기 때문에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이있게 된다. 루터는 중세의 영광의 신학을 비판하면서 십자가신학과 이신칭의를 통해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주장하였다. 칼빈은창조, 섭리, 구속에서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특히 구속에서 유효인(하나님의 자비와 사랑과 긍휼), 질료인(예수 그리스도), 형상인(복음의 선포), 수단인(믿음), 목적인(영광) 의 5가지 원인들의 유기적 연결 속에서 구속에서 오직 하나님께영광이 있음이 잘 드러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칼빈은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 있음으로 제네바 요리문답을 작성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을 살도록 교육하였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 있음이 오직 성경, 오직 은혜, 오직 믿음, 오직 그리스도의 종합을 통해 잘 드러났음으로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실천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을 신앙운동, 신학회복운동, 회개용서운동, 영적 생명운동, 하나님 나라 운동, 나눔운동, 기도성령운동의 7대 실천사항을 통해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Soli Deo Gloria’ refers to ‘the glory of God alone’ being revealed in creation, providence, and redemption. Because only God carries out the entire process of creation, providence, and redemption, only God has glory. Luther criticized the medieval theology of glory and insisted on giving glory to God alone through the theology of the cross and justification by faith. Calvin argued that only God has glory in creation, providence, and redemption. In particular, in the organic connection of the five causes of redemption, the effective cause (God's mercy, love, and compassion), the material cause (Jesus Christ), the formal cause (proclamation of the gospel), the instrumental cause (faith), and the purpose cause (glory), it is explained that it is clearly revealed soli Deo Gloria in redemption. Calvin believed that only God has glory, so he wrote the Geneva Catechism and educated people to live a life that gives glory to God. Reformed Life Theolog focuses on the practice of giving glory to God alone, as it is clearly revealed through the synthesis of sola scriptura, sola gratia, sola fide, and solus Christus that there is soli Deo gloria. Reformed Life Theology strives to practice a life that gives glory to God alone through the seven major practices of faith movement, theological restoration movement, repentance and forgiveness movement, spiritual life movement, kingdom of God movement, sharing movement, and prayer and Holy Spirit movement.

      • KCI등재

        로마 8,18의 고난과 영광에 대한 주석 연구

        임숙희(Lim, Sook Hee)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神學展望 Vol.- No.178

        본고는 로마 8,18을 통해 바오로 영성의 중요한 주제인 ‘고난과 영광’의 의미를 탐구한다. 8,18은 8,19-30에서 더욱 발전될 내용을 대표하는 ‘주제구절’이라고 할 수 있다. 8,18-30해석의 주된 어려움은 8,18의 정확한 의미가 분명하지 않다는 것이다. 많은 학자가 미래의 영광을 강조하면서 고난과 영광을 단지 ‘비교’나 ‘대조’의 관계로 해석해왔다. 그러나 이런 해석은 미래의 영광보다는 현재의 고난에 더욱 초점을 맞추는 8,19-30의 흐름과 연결되지 않으며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현재의 삶과 영원한 삶을 구분하게 한다. 본고에서는 고난과 영광이 현세에서부터 뗄 수 없는 관계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8,18을 해석한다. 바오로가 8,18-30의 주제 구절인 18절에서 ‘나는 여깁니다’ (λογ?ζομαι)라는 뜻의 일인칭 단수형 동사를 사용하는 것은 이 구절의 해석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일인칭 동사의 사용은 8,18에서 바오로가 말하는 고난과 영광이 자신의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그것을 공동체가 떠올리고 본받기를 바란다는 암시가 들어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바오로의 체험에서 볼 때 고난과 영광은 신앙 여정의 처음부터 끝까지 뗄 수 없는 관계이다. 바오로 자신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는 사도’로서 그의 생애 동안에 고난을 겪으면서 그리스도의 영광스런 모습으로 변형되어 가는 여정을 계속 하였다. 지금 우리가 겪는 고난은 우리 안에 계시될 미래의 영광을 막는 것이 아니라 준비한다. 8,18에서 바오로는 믿는 이의 ‘고난과 영광’이라는 주제를 통해서 로마 공동체에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에 참여하며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삶을 통해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라고 권고한다. This article examines ‘suffering and glory’ in Rm 8,18,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themes of Pauline spirituality. The major difficulty of the interpretation of Rm 8,18-30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8,18, the thesis statement of 8,18-30, is not certain. Many commentators interpret the relation between suffering and glory in Rm 8,18 either as a comparison or a contradiction focusing on the future glory. But these interpretations are not related with the whole structure of 8,18-30 which is focused on the present suffering and furthermore may distinguish between this world and eternal life in Christian life. With this point of view, I interpreted Rm 8,18 considering the inseparable relations between suffering and glory.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attend that Paul uses the first person singular of the main verb. ‘I consider’ (λογ?ζομαι). This observation is significant for our interpretation of 8,18. Because from this verbal form, we can glimpse that the suffering and glory in Rm 8,18 may be rooted in Paul’s personal experience of life by which Paul wants the Roman Community to record and imitate his example regarding present suffering. Viewing Paul’s experience, suffering and glory are inseparabl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during the journey of the faith. Paul himself experienced the transforming journey form glory to glory continuously during his suffering life as an ‘apostle glorifying God in Christ’. The present suffering is not a hinderance for the future glory that will reveal in us but preparation for it. With the theme on suffering and glory in 8,18, Paul exhorts to the Christian communities in Rome to participate on Christ’s passion, death, and resurrection and be conformed with Christ always to glorify God.

      • KCI등재

        천국에서의 영광을 바라보며: 구제와 헛된 영광에 대한 요한 크리소스톰의 사상

        배정훈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8 No.-

        Early church Christians recognized that vainglory was a great obstacle in the life of disciples who follow Jesus. John Chrysostom also frequently warned of the danger of vainglory. This article will analyze in detail John’s warnings against almsgiving for vainglory. This is related to the motive of charity, and John teaches how this sin negatively affects good works and how we can overcome it in many homilies. In particular, this is deeply related to the reward that God will give us in the future. This discourse will be examined in the background of patronage system which was an important economic structure of the society at the time. John warns that the pursuit of vainglory will result in great loss. Assistance to the poor benefits greatly us, but vainglorious charity takes away the rewards stored up in heaven. John insists that in order to overcome this vice, we should help the poor secretly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God, the best teacher of almsgiving. It should also be remembered that the pursuit of worldly glory has the opposite effect. The receivers who are asked to give their honor will rather condemn. Lastly, John emphasizes that we need to desire heavenly glory. Using the images of public donations of pagans, he depicts great heavenly rewards for donors who helped the poor out of pure motive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Bible and theology, he transformed Greco-Roman patronage into divine one, encouraging believers to think and act within this world view. In this system, heavenly reward plays a very vital role. John’s discourse on almsgiving and worldly honor is systemized in a big picture of eschatological reward. In Christianized patronage, seemingly incompatible things can be realized: an act of pure love for the poor and a great reward. 초대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를 따르는 제자의 삶에서 헛된 영광(κενοδοξία)이 큰 장애가 된다고 인식하였다. 4세기 동방교부 요한 크리소스톰 역시 자주 헛된 영광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였다. 본 논문은 헛된 영광을 위한 구제행위에 대한 요한의 경고를 상세히 분석할 것이다. 이는 구제의 동기에 관한 문제로 요한은 이 죄가 선행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극복방안을 여러 설교에서 가르친다. 특히 이 문제는 미래에 하나님이 주실 보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요한의 담론을 당시 사회의 중요한 경제구조인 후원제도의 배경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요한은 헛된 영광을 추구하는 것은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구제는 우리에게 큰 유익을 주는데 명예를 위한 구제는 하늘에 쌓인 보상을 없앤다. 요한은 헛된 영광을 극복하기 위해서 구제의 최고의 교사인 하나님의 가르침대로 은밀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세상의 영광을 추구하는 일은 그 반대의 결과를 낳음을 기억해야 한다. 명예를 돌릴 것을 요구받은 수혜자들은 오히려 욕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요한은 천국에서 얻을 영광을 바라볼 것을 강조한다. 이교인들의 공적 기부제도의 이미지들을 사용하여 순수한 동기에서 가난한 자들을 도와 준 기부자들에 대한 엄청난 천국의 상급을 묘사된다. 요한은 성경과 신학의 관점에서 그리스-로마 후원제도를 하나님의 후원제도로 변혁하여 신자들이 그 세계관 안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유도하였다. 이러한 제도 속에서 천국의 보상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제와 헛된 영광에 대한 요한의 담론은 종말론적인 보상이라는 큰 그림을 중심으로 헛된 영광의 본질과 폐해, 그리고 극복방안이 체계화되어 있다. 기독교적인 후원제도에서는 가난한 자들에 대한 순수한 사랑의 실천과 엄청난 보상이라는 양립할 수 없을 것처럼 보이는 것들이 실현될 수 있다.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천국의 소망으로 세속적인 헛된 영광을 극복할 수 있다.

      • KCI등재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헤르만 바빙크의 견해

        박재은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4 No.3

        The ‘only’ principles that Reformation theology of the 16th and 17th-centuries pursue ultimately converge with the concept of the ‘glory to God alone’(soli Deo gloria). If the principles of the Scripture alone(sola Scriptura), Christ alone(solus Christus), grace alone(sola gratia), and faith alone(sola fide) stand firm, the final result is solely one: the glory to God alone. If the principle of the ‘glory to God alone’ is greatly important, what is the ultimate ‘content’ of this principle? This study will try to answer this questio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works of Herman Bavinck(1854-1921), a Reformed theologian who lived in the Netherlands in the 19th and 20th-centuries. Bavinck was a person who constantly pondered and worked hard on how to reveal the ‘glory of God’ in all areas. In his writings, Bavinck correctly describes the principle and context of the concept of the glory of God, and the way and attitude toward this principle with a uniquely balanced tone. In particular,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Bavink’s ‘theological context,’ which deals with the expression of God’s glory, because if we closely examines the nature of theological context in which Bavinck uses the expression of God’s glory,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principle of ‘God’s glory’ and the ‘glory to God alone’ can be clearly revealed. This point is the core thesis of this paper. The proced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will review Bavinck’s works as a whole, and identify and analyze the theological context in which Bavinck uses the expression and concept of ‘glory of God.’ Based on this analysis, the paper will grasp the essence and attributes of the concepts of the ‘glory of God’ and the ‘glory to God alone’ and conclude this paper with a final arrangement after examining the practical consideration points of all previous discussions. 16-17세기 종교개혁 신학이 지향하는 ‘오직’ 원리들은 ‘오직하나님께만 영광’(soli Deo gloria)이란 개념으로 궁극적으로 수렴된다. 만약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오직 그리스도(solus Christus), 오직 은혜(sola gratia), 오직 믿음(sola fide)의 원리들이 건실하게 서 있기만 한다면, 그 최종 결과는 오직 하나님께만영광이 될 수 있다.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이라는 원리가 그토록 중요하다면, 과연이 원리가 궁극적으로 말하고 싶은 ‘내용’은 무엇일까? 본고는이 질문에 대한 답을 19-20세기 네덜란드를 살았던 개혁파 교의학자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작품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며 내려 볼 것이다. 바빙크는 모든 영역 속에서‘하나님의 영광’이 어떻게 하면 오롯이 드러날 수 있는지에 대해부단히 고민하고 애썼던 인물이었다. 바빙크는 자신의 글 가운데서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개념의 원리와 맥락, 이 원리를 대하는방식과 자세에 대해 특유의 균형감 어린 논조로 올바르게 말해주고 있다. 특별히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표현을 다루는 바빙크의‘신학적 맥락’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바빙크가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신학적 맥락의 본질을 면밀하게 살피다 보면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이라는 원리의 본질과 속성이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지점이 본고가지향하는 핵심 논지이다. 본고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바빙크의 작품들을 전반적으로 훑어보며 바빙크가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표현과 개념을 어떤 신학적 맥락에서 사용하는지를 파악하고 분석할 것이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개념의 본질과 속성을 파악하고, 앞선 모든 논의의 실천적 고찰 지점을 살핀 후 최종정리하며 본고를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

      • Edwards' Understanding of God

        Kyoung Chul Jang(장경철)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논총 Vol.18 No.-

        본 논문은 에드워즈의 하나님 이해를 종말론과 영광화의 관점에서 다룬다. 에드워즈의 신학에 있어서, 종말의 목적이 되는 하나님의 영광은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에드워즈는 종말론의 모든 주제를 다룰 때에, 하나님의 영광화의 사역이라는 큰 틀에서 다루고 있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종말에 대한 이해는 그의 삶과 신학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종말론은 단지 마지막 순간에 대한 이해에 국한되지 않는다. 에드워즈는 종말의 과정을 하나님의 영광화 과정에의 참여로 이해한다. 에드워즈의 신학은 무엇보다도 하나님이 이 세상을 창조한 포괄적인 영광화의 목적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한 목적에 대하여"라는 중요한 논문에서 에드워즈는 사변적인 질문을 다루고 있다. 하나님은 왜 세상을 창조하였는가? 두 가지 답변이 거부된다. 하나님은 자신의 존재의 실현을 위해서 세상을 창조한 것이 아니다. 하나님은 단지 피조물의 행복을 위해서 세상을 창조한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창조의 목적은 무엇인가? 그것은 하나님 안에 이미 존재했던 내적인 영광을 소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제기된다. 창조의 중요한 목적인 하나님의 내적인 영광의 소통이라면, 에드워즈의 하나님 이해에 있어서 피조물 존재의 지위는 어떠한가? 에드워즈의 신학은 하나님의 영광의 역동적 중요성을 격하시키지 않으면서 피조물 존재의 참여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신학이다. 피조물의 선은 하나님의 내적인 영광 가운데 함축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님의 영광을 소통하는 행위는 피조물의 능동적 참여를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피조물의 상대적 중요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영광의 역동성을 강조하는 점에서 에드워즈 하나님 이해의 독특성이 있다. 에드워즈는 자신의 신학적 비전 가운데 피조물의 운명과 하나님의 영광을 밀접히 연결 시키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