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약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이미지로서의 물

        송승인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0 구약논집 Vol.17 No.-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the image of water in the Old Testa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 Although water image in the Old Testament is associated with various themes or motifs, such as life or salvation, judgment, chaos, the Spirit, eschatological temple, human words or wisdom, purification, and living water,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that water is used as an image of the Spirit. For this claim, I offer three grounds. First, Old Testament writers often use the language of “pouring out” in describing God’s giving of the Spirit (Joel 2:28-29; Isa 32:15; 44:3-4). Second, water and the Spirit are sometimes mentioned together in the Old Testament (Ezek 36:25-27; Isa 44:3-4). Finally, in the writings of the prophets (Ezek 36:25; Zech 12:10-13:2; Isa 4:4), water and the Spirit perform two identical functions: cleansing sin and removing idols.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구약성경에서 물 이미지가 성령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고 제안한다. 구약 성경에서 물 이미지는 생명 혹은 구원, 심판, 혼돈, 성령, 종말론적 성전, 인간의 말 혹은 지혜, 정결, 생수와 같은 다양한 주제 혹은 모티프와 연관되는데, 본 연구는 이 여러 가지 가능성 중 물이 성령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사용된 경우에 집중한다. 이 주장에 대해 필자는 다음 세 가지 근거를 제시한다. 첫째, 구약의 저자들은 자주 하나님께서 성령 주심을 묘사할 때 “부음”의 언어를 사용한다(엘 2:28-29; 사 32:15; 44:3-4). 둘째, 구약성경에서 물과 성령은 때로 함께 언급된다(겔 36:25-27; 사 44:3-4). 마지막으로, 선지자들의 글에서(겔 36:25; 슥 13:1-2; 사 4:4) 물과 성령은 죄를 정결케 함과 우상들을 제거하는 두 가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 KCI등재후보

        문자/상징 지표를 활용한 요한복음 4:18의 pe,nte ... a;ndraj와 nu/n o]n e;ceij에 대한 의미 재고

        송승인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20 피어선 신학 논단 Vol.9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요한복음 4:18에 등장하는 두 표현 pe,nte ... a;ndraj와 nu/n o]n e;ceij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피는 것이다.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전반부는 이 두 표현의 의미에 대한 학자들의 여섯 가지 주요 의견을 검토한다(다섯 번 결혼하고 이혼한 부도덕한 여인으로 해석, a;ndraj를 “남편들”이 아니라 “연인들”로 해석, 앗수르 정복 후 사마리아에 정착한 다섯 지역 사람들의 이방 신들을 상징, 역사상 사마리아 사람들을 지배했던 제국들과 그들의 신들을 상징, 계대 결혼 제도, 경제적 이유로 다섯 번 결혼).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이 여섯 가지 가능성 중 가장 설득력 있는 해석을 찾기 위해 6개의 상징/문자 지표를 활용한다. 첫 번째 지표는 물이나 물과 관련된 이미지가 문자적으로 뜻이 통하는지의 여부이다. 두 번째 지표는 제안된 해석(문자적이든 상징적이든)이 인접 문맥과 잘 어울리는지의 여부이다. 세 번째 지표는 인접 문맥에 다른 상징적 표현들이 있는지의 여부이다. 네 번째 지표는 속해 있는 내러티브 속에서 물이 강조가 되었는지의 여부이다. 다섯 번째 지표는 인접 문맥에 비교적 상세한 지리적 연대기적 정보가 등장하는지의 여부이다. 마지막 여섯 번째 지표는 인접 문맥에 상징이 사용되었음을 암시하는 단어가 있는지의 여부이다. 이 분석을 통해 우리는 이 여섯 가지 지표 중 첫 번째(남편 어휘가 문자적으로 뜻이 통하는지의 여부), 두 번째(제안된 해석이 인접 문맥과 잘 어울리는지의 여부), 다섯 번째(인접 문맥에서 비교적 상세한 지리적 연대기적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 지표는 문자적 해석을, 세 번째(인접 문맥에 다른 상징적 표현들이 있는지의 여부), 네 번째(속해 있는 내러티브 속에서 남편이 강조가 되었는지의 여부), 여섯 번째(인접 문맥에 상징이 사용되었음을 암시하는 단어가 있는지의 여부) 지표는 상징적 해석을 지지함을 알게 된다. 그리고 이 여섯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필자는 요한복음 4:18의 경우 이 여섯 가지 지표들 중 두 번째 지표인 “제안된 해석이 인접 문맥과 잘 어울리는지의 여부 지표”가 가장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고 평가하고, 따라서 요한복음 4:18의 pe,nte ... a;ndraj와 nu/n o]n e;ceij가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결론 내린다. 그리고 위에서 열거한 여섯 가지 해석들 중 네 가지 문자적 해석들 가운데 “다섯 번 결혼하고 이혼한 부도덕한 여인으로 해석”이 “제안된 해석이 인접 문맥과 잘 어울리는지의 여부 지표”와 가장 잘 어울림을 관찰한다. 이 분석에 근거해 필자는 이 다섯 남편이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 여인을 다섯 번 결혼하고 이혼한 부도덕한 여인으로 해석해야 하며), 이 본문을 사마리아 여인이 예수를 선지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예수의 인식 능력을 보여주기 위한 요한복음 저자의 문학적 장치라고 해석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two expressions, pe,nte ... a;ndraj and nu/n o]n e;ceij, in John 4:18. The article is divided into two main sections. The former half examines the six opinions of scholars on the meaning of these two expressions (interpreting as immoral woman who has been married and divorced five times, interpreting a;ndraj not “husbands” but “lovers”, symbolizing foreign gods of five people from five different regions who settled in Samaria after the conquest of Assyria, symbolizing the empires and their gods who ruled the Samaritans in history, the marriage based on levirate law, five marriages for economic reasons). In the latter half of this article, I use my six literal/symbolic indicators to find the most convincing interpretation among these six possibilities. The first indicator is whether the water or water-related image makes sense literally. The second indicator is whether the proposed interpretation (literal or symbolic) coheres well with its immediate context. The third indicator is whether other symbolic expressions are present in context. The fourth indicator is whether water is highlighted in the narrative in which it belongs. The fifth indicator is whether relatively detailed geographic or chronological information is present in the immediate context. The final sixth indicator is whether vocabulary suggesting the use of symbols is present. Through this analysis, we find that the first indicator (whether the vocabulary of husband makes sense literally), the second indicator (whether the proposed interpretation coheres well with its immediate context), and the fifth indicator (relatively detailed geographic or chronological information is present in the immediate context) support the literal interpretation and the third indicator (whether other symbolic expressions are present in context), the fourth indicator (whether husband is highlighted in the narratives in which it belongs), the sixth indicator (whether vocabulary suggesting the use of symbols is present) support the symbolic interpretation. And according 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six indicators, I evaluate that the second indicator, “the indicator of whether the proposed interpretation coheres well with the immediate context”, is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and conclude that pe,nte ... a;ndraj and nu/n o]n e;ceij in John 4:18 should be interpreted literally. Of the six literal interpretations listed above, I observe “interpreting the Samaritan woman as an immoral woman who has been married and divorced five times” best matches the “indicator of whether the proposed interpretation coheres well with the immediate context.” Therefore based on this analysis, I interpret the five husbands literally (more specifically, interpret this woman as an immoral woman who has been married and divorced five times), and see this text as the literary device of the evangelist to demonstrate the supernatural power of Jesus that helps the woman identify Jesus as the prophet.

      • KCI등재

        요한복음 4:23-24의 “영과 진리”라는 1 표현에 기초한 성경과 신학교육

        송승인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3 No.-

        본 연구는 요한복음 4:23-24의 “영과 진리”의 의미와 이 표현이 성경과 신학교 육에주는함의에대한연구이다. 본연구는크게두부분으로나누어진행되 었다. 첫 부분은 요한복음 4:23-24의 “영과 진리”의 의미에 대한 고찰이고, 두 번째 부분은 이 표현이 성경과 신학교육에 주는 함의에 대한 고찰이다. 첫 번째 부분에서 필자는 이제까지의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들에 대해 검토 했다. 이제까지 학자들은 이 구절의 pneu,mati에 대해 성령, 인간의 영, 문자에 반대되는 정신으로 다양하게 해석했고, avlhqei,a|에 대해서는 하나님의 말씀, 예수혹은예수를통한계시, 진실성과같은주요해석을제시했다. 이여러 가능성들 중 필자는 전자는 성령으로 후자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해석하여 evn pneu,mati kai. avlhqei,a라| 는 표현을 “성령과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라고 해석 하는 것이 가장 설득력이 있다고 제안한다. pneu,mati가 성령을 가리킨다는 주 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다음 네 가지이다. 첫째, 요한복음 내 pneu/ma의 전체 24번의 용례 중 대부분의 경우인 15번이 성령을 가리킨다. 둘째, 이 구절의 인접 문맥인 4:10-14에 성령을 상징하는 “생수”와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 물”이라는 물 이미지가 사용되었다. 셋째, 요한복음의 저자가 4:23-24을 기록 할 때 부차적으로 더 이상 예루살렘 성전에서 예배할 수 없는 당시 공동체의 상황도 염두에 두고 과거 성전이 감당했던 예배에서의 하나님의 임재를 중재하는 역할을 이제 공동체 구성원들 안에 내주하신 성령이 대체했음을 암시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넷째, 4:23-24에 사용된 문법적 형태 인 전치사 evn과 관사 없이 사용된 명사형 pneu,mati의 결합은 신약성서 저자들 에 의해 대부분의 경우 하나님의 영을 소유했음을 가리키는데 사용되었음을 관찰했다(마 22:43; 눅 1:17; 2:27; 4:1; 롬 2:29; 8:9; 엡 2:22; 3:5; 5:18; 6:18; 계 1:10; 4:2; 17:3; 21:10). avlhqei,a|가 하나님의 말씀을 가리킨다는 주장을 뒷받침 하는 근거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요한복음 17:17이 이 해석을 지지하며 이 해석은 요한복음의 여러 진리 구절들을 잘 해석하는 장점이 있다(3:31-34; 5:30, 37-38; 8:40, 44-46; 17:19). 둘째, 4:23-24의 비교적 가까운 문맥에 위치한 3:31-34이 4:23-24의 avlhqei,a|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해석함을 뒷받침한다. 셋 째, 성경 전체에서 하나님의 말씀은 자주 진리로 표현되거나 진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왕상 17:24; 시 119:160; 엡 1:13; 골 1:5; 딤전 2:15; 약 1:18).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 필자는 요한복음 4:23-24의 “영과 진리”에 대한 필자 의 해석이 성경과 신학교육에 주는 함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필자는 이 표현 을 통해 예수가 장차 오순절에 자신이 보낼 성령을 통해 거듭난 사람만이 참된 예배를 드릴 수 있으며 이러한 참된 예배에는 반드시 진리이신 하나님 의 말씀이 그 중심이 되어야 함을 가르쳤다고 해석했다. 그리고 요한복음 4:20-24에 기록된 예수와 사마리아 여인과의 예배에 관한 대화가 옛 언약 시 대의 예배와 새 언약 시대의 예배 간 대조와 연결점을 동시에 형성함을 제 안했다. 이중 연결점은 옛 시대 예배(유대인 회당예배)와 새 시대의 예배(회 당예배와 가정예배) 모두 진리인 하나님의 말씀이 성경 낭독과 설교를 통해 그중심을차지했다는점이다. 그리고그들은이예배중에행해진성경낭 독과 설교를 통해 성경을 배우고 일종의 신학교육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찰에 근거하여 필자는...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spirit and truth” in John 4:23-24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Bible and theological education. This study wa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examines the meaning of “spirit and truth” in John 4:23-24, and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is expression for the Bible and theological education. In the first part, I reviewed the various views of scholars thus far. Scholars have variously interpreted pneum, ati of this verse as the Holy Spirit, the human spirit, and the spirit as opposed to the literal. For alv hqeia, | scholars have proposed the Word of God, Jesus or revelation through Jesus, and truthfulness. Among these many possibilities, I interpret the former as the Holy Spirit and the latter as the Word of God. Therefore, I suggested that evn pneu,mati kai. avlhqei,a should be interpreted as “in the Holy Spirit and in the Word of God.” There are four grounds to support my argument that pneum, ati refers to the Holy Spirit. First, out of the total 24 uses of pneu/ma in John’s Gospel, it refer to the Holy Spirit as many as 15 times. Second, in the immediate context of this verse, 4:10-14, the water images of “living water” and “spring water springing up to eternal life”, symbolizing the Holy Spirit, are used. Third, when the author of John’s Gospel wrote 4:23-24, it seems that the worship in the Jerusalem Temple was no longer possible. Therefore we must take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that the author tried to replace the role of temple with the role of the Holy Spirit. Fourth, we observe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preposition evn and the noun form pneu,mati used without an article, which is the grammatical form used in 4:23-24, was used by New Testament authors to indicate possessing the Spirit of God in most cases (Mt 22:43; Luke 1:17; 2:27; 4:1; Rom 2:29; 8:9; Eph 2:22; 3:5; 5:18; 6:18; Rev 1:10; 4:2; 17:3; 21:10). There are three grounds to support my claim that alv hqeia, refers to the Word of God. First, John 17:17 supports this interpretation and this interpretation also has the advantage of interpreting several truth passages in the Gospel of John well (3:31-34; 5:30, 37-38; 8:40, 44-46; 17:19). Second, 3:31-34, located in the relatively close context of 4:23-24, supports this interpretation. Third, throughout the Bible, the Word of God is often expressed as or closely related to truth (1 Kings 17:24; Psalm 119:160; Eph 1:13; Col 1:5; 1 Tim 2:15; James 1:18). In the latter part of this article, I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my inter- pretation of “spirit and truth” in John 4:23-24 for the Bible and theological education. I interpreted this expression as teaching that Jesus taught that only those who have been born again through the Holy Spirit, whom he will send on the day of Pentecost, can offer true worship and that the Word of God, which is the truth, must be at the center of such true worship.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dialogue about the worship between Jesus and the Samaritan woman recorded in John 4:20-24 simultaneously forms a contrast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worship in the old covenant era and the worship in the new covenant era. The connection point is that the Word of God, which is the truth in both the worship of the old era (Jewish synagogue worship) and the worship of the new era (synagogue worship and family worship), took center stage through Bible reading and sermons.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learned the Bible and received a kind of theo- logical education through Bible reading and sermons conducted during this worship servic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 suggests the following two as implications or suggestions for the Bible and theological education in our time. First, the fact that anything other than the Bible should not be the main focus of theological education. Second, since the help of the Holy Spirit is essential for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theological edu- cat...

      • KCI등재후보

        요한복음을 중심으로 한 사복음서의 ῥαββί / ῥαββουνί에 대한 연구

        송승인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21 피어선 신학 논단 Vol.10 No.1

        This study examines ῥαββί/ῥαββουνί , which appear in the entire four Gospels and centers on the Gospel of John. As far as I know,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how r`abbi/, r`abbouni , has been used in the four Gospels. I divide this study into five parts. In the first section, I looked at how Rabbi, Rabboni, and teacher appear in the four Gospels. In the second section, based on what I observed in the first section, I analyzed what the commons and differences are in the use of these words in the four Gospels. In the third section, the use of the Rabbi/Rabboni word in the Synoptic Gospels was examined to see if the use of the Rabbi/ Rabboni word in the Gospel of Mark is historical. In this section, I observed that Mark 14:45’s historicity is supported by the criteria of multiple attestations, and the historicity of Mark 9:5 and 10:51 is supported by the Markan priority and a certain pattern of title changes. I proposed that in the case of the Synoptic Gospels, the Rabbi/Rabboni of Mark 9:5 and 10:51 were historically used by disciples, and the authors of Matthew and Luke changed these titles according to their theological purpose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 insisted that the Rabbi/Rabboni of Mark’s Gospel is historical. In the fourth section, I examined whether there are any Synoptic parallels of the Rabbi/Rabboni passages in the Gospel of John, and based on this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Rabbi/Rabboni words in the Gospel of John are historical. In the last section, after analyzing how the author of the Gospel of John used the technique of codeswitching through the word Rabbi/Rabboni in his Gospel, I proposed that he used this technique with three purposes (to fill the linguistic gap or to convey meaning clearly, to be more polite, to emphasize). 본 연구는 사복음서 전체에 등장하는 랍비(ῥαββί )와 랍오니(ῥαββουνί)를 살펴보되 특별히 요한복음에 초점을 둔 연구이다. 필자가알기로는 이제까지 사복음서에서 r`abbi / r`abbouni , / dida,skaloj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었기에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진행된다. II.에서는 사복음서에 랍비, 랍오니, 선생이라는 단어가 어떻게 등장하는지 살펴보았다. II-5.에서는 첫 번째 섹션에서 관찰한것에 기초하여 사복음서에서 이 단어들의 사용에 있어서 공통점과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III.에서는 공관복음에서의 랍비/ 랍오니 단어 사용 용례를 통해 마가복음에 등장하는 랍비/랍오니 단어 사용이 과연 역사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섹션에서 필자는마가복음 14:45의 역사성은 다수 확증 기준에 의해 지지를 받고, 마가복음 9:5과 10:51은 마가복음 우선설과 호칭 변경의 일정한 패턴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고 관찰했다. 즉 공관복음의 경우 마가복음9:5과 10:51의 랍비/랍오니가 역사적으로 제자들에 의해 사용된 호칭이고, 마태복음의 저자와 누가복음의 저자는 이 호칭들을 그들의신학적 목적에 따라 “주”로 변경했다고 제안했다. 이런 관찰에 근거해 필자는 마가복음의 랍비/랍오니가 역사성이 있음을 주장했다. IV.에서는 요한복음에 사용된 랍비 구절들이 공관복음에 병행 구절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 분석에 근거하여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랍비단어가 역사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마지막 V.에서는 요한복음 내 랍비/랍오니가 어떻게 코드변경 되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세 가지 목적을 가진다고 관찰했다(언어적 간격을 메우기 위해서 혹은 의미를 분명하게 전달할 목적, 좀 더 공손하게 들릴 목적, 강조의 목적).

      • KCI등재

        요한복음 6장 35절의 목마름 언어에 대한 의미 재고

        송승인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9 신약연구 Vol.18 No.3

        This study is a study of the meaning of the phrase “he who believes in me will never be thirsty” in John 6:35c. So far,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 passage have been suggested, and I argue that this expression is deeply related to John 4:10-14 and 7:37-39 and that it is most persuasive to see it as the promise of Jesus to quench people’s spiritual thirst through the Holy Spirit. As a basis for supporting this interpretation, I present the following five points. (1) The thirsty language of John 6:35c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ing water in John 4:10-14 and 7:37-39. (2) Isaiah 55:1-2 provides a better background for John 6:35 than Sirach 24:21 or Proverbs 9:5, and the water in Isaiah 55:1 refers to the Holy Spirit. (3) The words of Jesus in John 6:35c (“he who believes in me will never be thirsty”) presupposes that Jesus will give water, and this water is given by Jesus. It not only fits well with Jesus’ giving the living water in John 4:10-14 and 7:37-39, but also coheres well with the theology of the Fourth Gospel (Jesus is introduced as the giver of the Holy Spirit in 15:26, 16:7, and 20:22). (4) References to the Holy Spirit appear in the near context of John 6:35(6:63). (5) The thirsty language of John 6:35c can be seen as a symbolic expression because it does not make sense literally and this partially supports that this thirsty language refers to the Holy Spirit. These five points make a convincing suggestion to read this thirsty language in connection with the living water in John 4:10-14 and 7:37-39, and lead the readers to interpret it as Jesus’ promise to those who believe in him to satisfy their spiritual thirst forever through the Holy Spirit whom he will send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요한복음 6:35c에 등장하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 마르지 아니하리라”라는 구절의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이제까지 이 구절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이 제안되었는데, 필자는 이 표현이 요한 복음 4:10-14, 7:37-39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이 표현을 장차 자신을 믿는 자들에게 주실 성령을 통한 영적 목마름 해소에 대한 예수님의 약속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설득력이 있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이 해석을 뒷받침하는 근거로서 필자는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시한다. (1) 요한복음 6:35c의 목마름 언어는 요한복음 4:10-14과 7:37-39에 등장하는 생수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2) 이사야 55:1-2이 집회서 24:21 혹은 잠언 9:5보다 요한복음 6:35에 대한 더 나은 배경을 제공하며, 이사야 55:1의 물은 성령을 가리킨다. (3) 요 한복음 6:35c의 예수님의 말씀(“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은 예수께서 물을 주심을 전제하며 이 물은 예수님에 의 해 주어짐으로, 요한복음 4:10-14과 7:37-39에서 예수께서 생수를 주 심과 잘 어울릴 뿐만 아니라, 예수께서 성령을 주시는 분으로 소개된 요한복음의 신학과도 잘 어울린다(15:26; 16:7; 20:22). (4) “성령”에 대한 언급이 요한복음 6:35의 인접 문맥인 6:63에 등장한다. (5) 요한 복음 6:35c의 목마름 언어는 문자적으로 의미가 통하지 않음으로 상 징적 표현임을 알 수 있고, 이 사실은 부분적으로 이 목마름 언어가 성령을 가리킴을 지지한다. 이 다섯 가지 포인트는 요한복음 6:35c의 목마름 언어를 요한복음 4:10-14, 7:37-39에 등장하는 생수와 연결하 여 읽도록 설득력 있게 제안하며, 이 목마름 언어를 장차 믿는 자들 에게 주실 생수이신 성령을 통해 사람들의 영적 목마름을 영원토록 해결해 주실 것이라는 예수님의 약속으로 해석하도록 인도한다.

      • KCI등재

        고대 환대습관과 그리스 인식 양식 장면 관점을 중심으로 요한복음 4:1-42에 대한 다양한 해석 방법 고찰

        송승인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4 No.-

        본 논문은 요한복음 4:1-42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제까지 학자들은 이 본문을 해석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해 왔다. 이에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이 다양한 방법들을 차례대로 검토한 후 이들 중 가장 설득력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한다. 본문에 대한 이제까지의 해석 방법은 크게 여덟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이 여덟 가지 방법을 각각 검토한 후 각 방법의 장단점을 논의한다(서사적 관점에서 해석, 드라마 관점에서 해석, 시의 관점에서 해석, 약혼 양식 장면의 관점에서 해석, 고대 환대습관의 관점에서 해석, 고대 그리스의 인식 양식 장면의 관점에서 해석, 화행 독법을 적용하여 해석, 독자-반응 비평을 적용하여 해석). 이 분석을 통해 필자는 이 본문이 장르적으로는 서사이며 해석 방법론적으로는 고대 환대습관과 그리스 인식 양식 장면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 가장 설득력이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먼저 필자는 이 본문이 장르적으로 볼 때 역사성을 가진 서사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요한복음 4:1-42 내 일부본문은 시적 형태를 가질 가능성도 있고 또한 저자에 의해 그리스 드라마에서 사용된 드라마적 특징들이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요한복음 4:1-42의 전체적인 장르는 서사로 규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해 보인다. 그리고 필자는 해석 방법론적으로 볼 때 요한복음 4:1-42은 고대 환대습관과 그리스 인식양식 장면의 관점에서 해석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먼저 알터베리(Andrew E. Arterbury)가 관찰한 것처럼 알터(Robert Alter)가 약혼 양식 장면으로 분류한 창세기 24:10-61와 출애굽기 2:15-21, 그리고 이와 유사한 본문들인 창세기 18:1-16와 창세기 19:1-24을 필로와 요세푸스와 같은 고대 작가들이 환대에 대한 고대 습관의 관점에서 해석했음이 이 주장을 강하게 지지한다(A.J. 1.16.2-3 §§246, 250-252; Mos. 1.11 §58; A.J. 1.11.2 §196). 그리고 주후 1세기후반에 그리스-로마 문학이 지중해 연안에 널리 퍼져 있었음과 랄센이 제시한 남녀가 우물에서 만남(오딧세우스/하녀의 만남과 예수/사마리아 여인의만남), 환대, 점차적인 인식의 발전, 남녀의 만남이 결혼으로 발전하지 않음과 같은 개념적 병행이 또한 이 본문을 그리스 인식 양식 장면의 관점에서 해석하도록 우리를 인도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how to interpret John 4:1-42. Thus far, scholarshave suggested a variety of ways to interpret this text. In this study, Ireview these various methods in order and find out which of them is themost convincing. The method of interpretation of the text can be categorizedinto eight ways. I review each interpretation method through this articleand discuss the merits and shortcomings of each method (interpretingit as a narrative, interpreting it as a drama, interpreting it as a poetry, interpretationin terms of betrothal type-scene, interpretation in terms of ancienthospitality custom, interpretation in terms of recognition type-scene, applying speech act reading, applying reader-response criticism). Basedon this analysis I conclude that John 4:1-42 is a narrative in terms of genreand that this passage sh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e lens of the ancienthospitality custom and recognition type-scene in terms of interpretativemethodology. First of all, I think it is most persuasive to see this text asa narrative with historicity. Some of John 4:1-42 may have a poetic formand the dramatic features used in Greek drama may be employed by theauthor. But the narrative seems to be the best option when we considerthe entire genre of John 4:1-42. Regarding interpretive method ancienthospitality custom and Greek recognition type-scene seem to be two mostconvincing tools for this text. First of all, as Andrew E. Arterbury observed,it is noteworthy that ancient writers such as Philo and Josephus interpretedGenesis 24:10-61, Exodus 2:15-21, Genesis 18:1-16, and Genesis 19: 1-24in terms of ancient hospitality custom (A.J. 1.16.2-3 §§246, 250-252; Mos. 1.11 §58; A.J. 1.11.2 §196). Genesis 24:10-61 and Exodus 2:15-21 wereclassified as betrothal type-scenes. Therefore, these interpretations of ancientwriters strongly support this claim. Regarding recognition type-scene,two observations lead us to this method. First, Greco-Roman literature waswidespread in the Mediterranean region at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AD. Second, John 4:1-42 and recognition type-scene of Greco-Roman literatureshare significant conceptual parallels such as the meeting at the well betweenman and woman (Odysseus/a girl and Jesus/the Samaritan woman),hospitality, the gradual development of recognition, and not developinginto marriage. These two points strongly guide us to interpret this text interms of the Greek recognition type-scene.

      • KCI등재

        공관복음에 등장하는 회당 핍박 구절들(막 13:9-13, 마 10:17-22, 눅 21:12-19)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ἀποσυνάγωγος의 역사성

        송승인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2 영산신학저널 Vol.- No.60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ity of ἀποσυνάγωγος in John 9:22; 12:42; and 16:2. Since the publication of Martyn’s research, most Johannine scholars have agreed that this word is an anachronistic expression. However, my proposal is that the expression is not anachronistic, but descriptive of the historical situation during Jesus’ public ministry. I suggest that the author of the Gospel of John uses this word as a general term referring to a discipline executed in the synagogue, not as terms referring to specific punishment such as flogging, imprisonment, expulsion, niddui, and Herem. This proposal receives support from the parallel passages of John 16:2 in the Synoptic Gospels: Mark 13:9-13; Matthew 10:17-22; and Luke 21:12-19. The four passages are parallels because they include references in common as follows: (1) the synagogue as the subject which will persecute the disciples, (2) the aftermath of the disciples that they will be killed due to their confession of faith in Jesus, and (3) the Holy Spirit’s appearance as a facilitator when the disciples stand in court for their testimony. I will compare the four passages under the premise that the four Gospels were written in the order of Mark-Matthew-Luke-John. Through the comparison, this study will reveal that the Gospels of Mark and Matthew provide specific descriptions about the persecution of the disciples that they will be beaten or whipped in the synagogue; whereas the Gospel of Luke describes that they will be simply handed over to the synagogue without mentioning explicit discipline methods. Furthermore, the Gospel of John simply renders Luke’s “hand over to the synagogue (παραδιδόντες εἰς τὰς συναγωγὰς)” as “out of the synagogue (ἀποσυναγώγους ποιήσουσιν).”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 suggest that the ἀποσυνάγωγος in John 16:2 be understood as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persecution that will be given to Jesus’ disciples in the synagogue in a while. In other words, the term does not intend to mean expulsion from the synagogue, but is used as a general expression of persecution, such as beating, whipping, or handing over to a synagogue. I also propose that ἀποσυνάγωγος in John 9:22 and 12:42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ame way. According to my interpretation, therefore, ἀποσυνάγωγος in these three passages of John’s Gospel is not anachronistic, but historical. 이 연구는 요한복음 9:22, 12:42, 16:2에 등장하는 ἀποσυνάγωγος의 역사성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요한복음을 연구하는 대부분의 학자는 마틴의 연구 이후 이 단어가 시대착오적인 표현임에 동의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 표현이 시대착오적인 표현이 아니라 예수의 공생애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묘사하는 표현이라고 주장한다. 필자는 요한복음의 저자가 이 단어를 통해 회당에서의 징계로서 채찍질, 투옥, 축출, 니두이, 헤렘과 같은 특정한 징계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회당에서의 징계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로서 이 단어를 사용했다고제안한다. 이러한 필자의 제안은 공관복음에 등장하는 요한복음 16:2의 병행구절인 마가복음 13:9-13, 마태복음 10:17-22, 누가복음 21:12-19를 통해 뒷받침된다. 이 네 구절은 (1) 제자들을 핍박할 대상으로써 회당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며, (2) 예수에 대한 믿음의 고백으로 인해 제자들이 죽게 될 것이라는 언급이 등장하며, (3) 제자들이 법정에 섰을 때 그들의 증언을 도울 존재로 성령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리고 필자는 사복음서가 마가복음-마태복음-누가복음-요한복음의 순서로 기록되었다는 전제 하에 이 네 구절을 비교하여 이 네 구절의 회당에 의한 핍박 묘사가 보다 구체적이고 자세한묘사로부터 점차 일반적인 묘사로 나아가는 경향을 발견한다. 즉 마가복음과마태복음에서는 회당에서 매질 혹은 채찍질할 것이라고 묘사하며 분명한 징계의 방법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반면, 누가복음에서는 구체적인 징계의 방법에대한 언급 없이 단순히 회당에 넘겨 줄 것이라고 기록하며 더욱 일반적인 묘사로 나아가고, 요한복음에서는 누가복음의 “회당에 넘겨 주며(παραδιδόντες εἰς τὰς συναγωγὰς)”를 단순히 “출교(ἀποσυναγώγους ποιήσουσιν)”라는 표현으로더욱 짧게 묘사함을 보게 된다. 이러한 관찰에 근거하여 필자는 요한복음 16:2 의 ἀποσυνάγωγος는 장차 예수의 제자들에게 행해질 회당에서의 핍박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묘사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즉 요한복음의 저자는 요한복음16:2에서 이 단어를 회당에서 쫓아내는 출교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마가복음 13:9, 마태복음 10:17, 누가복음 21:12에 묘사된 회당에서 매질하거나, 채찍질하며, 회당에 넘겨 주는 핍박과 같은 일반적인 핍박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필자는 요한복음 16:2와 동일한 단어가 사용된 요한복음 9:22와 12:42에 대해서도 동일한 해석을 행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따라서 이 필자의 견해에 따르면 요한복음의 이 세 구절에 등장하는 ἀποσυνάγωγος는 시대착오적인 표현이 아니라 역사성을 가진다.

      • KCI등재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영광 언어

        송승인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0 신학과 사회 Vol.34 No.4

        본 연구는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영광 언어에 대한 연구다. 요한복음에는 영광 언어가 많이 등장하고 중요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는 이제까지 많지 않았다. 이 언어를 네 가지로 분류하는 쾨스텐베르거의 연구는 많은 통찰력을 주지만, 그의 분석은 비교적 간단하고 철저하지 못한 약점과 함께 요한복음에 분명히 기록되어 있는 선재한 로고스로서의 예수의 영광에 대해(17:5a; 17:22; 17:24) 고려하지 않으므로 수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쾨스텐베르거의 분류를 보완했다. 먼저 필자는 요한복음의 영광 언어를 분류하되 이 단어의 의미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했다. 헬라어 는 두 가지 주요 의미를 가지는데 첫째는 “영광(glory)”이고 두 번째는 “명예, 명성, 의견(honor, reputation, opinion)”이다. 전자는 하나님의 임재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가시적인 밝음이나 광채를 가리키거나 하나님의 성품의 계시를 통해 나타나는 불가시적인 그의 영광을 가리킨다. 요한복음 1:14, 2:11, 11:40, 12:41이 이 경우에 해당하고, 이 경우 하나님이나 예수의 성품, 모습,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 신적 영광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빈번하게 가 “보다”라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의 두 번째 의미인 “명예”는 요한복음에서 흔히 “영광을 취함”, “영광을 구함”, “영광을 돌림”이라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이런 경우 하나님이나 사람으로부터 칭찬이나 찬양을 받거나 높임을 받는 행위를 가리킨다. 이 범주에 속하는 구절들이 첫 번째 경우보다 훨씬 많은데, 5:41, 5:44(x2), 7:18(x2), 8:50, 8:54(x3), 9:24, 12:43(x2), 17:4; 17:5a, 17:5b, 17:22, 17:24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필자는 영광 언어가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에 따라 다음 여섯 가지로 분류했다. 첫째, 요한복음에서 영광 언어는 성부께서 허락하신 선재한 로고스로서의 예수의 영광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17:5a; 17:22; 17:24). 둘째, 표적을 포함한 공생애 동안 예수가 행한 여러 기적을 통한 예수의 영광이다(1:14; 2:11; 11:4; 11:40; 12:28). 셋째, 요한이 이 언어를 통해 가장 많이 묘사하는 사건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이다(7:39; 12:16; 12:23; 12:28(x3); 12:41; 13:31-32(x5); 17:1(x2)). 넷째, 성령을 통한 예수의 영광이다(16:14). 다섯째, 제자들을 통한 성부와 성자의 영광이다(14:13; 15:8; 17:10; 21:19). 마지막으로 사람의 영광과 하나님의 영광이 대조되어 나타난다(5:41; 5:44(x2); 7:18(x2); 8:50; 8:54(x3); 9:24; 12:43(x2)). This study examines the language of doxa in the Gospel of John. Although the language of doxa occurs many times in the Gospel of John and is an important concept, there have been not many studies on this subject. Köstenberger’s four categories of this language of doxa give a lot of insight. But his analysis has two weaknesses. First, it does not provide a thorough analysis. Second, it omits the category of the glory of preexistent Logos which is mentioned in this Gospel (17:5a; 17:22; 17:24). Therefore, I supplemented his classification through this study. First, I classified the doxa language of John’s Gospel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is word. The Greek word doxa has two main meanings: the first is “glory” and the second is “honor”, “reputation”, or “opinion.” The former refers to the visible light or brilliance emanating from God’s presence, or to the invisible glory of God through the revelation of his character. John 1:14, 2:11, 11:40, 12:41 belong to this case, and these references mean the divine glory revealed through the character, appearance, and behavior of God or Jesus. In this category, doxa is frequently used with the verb “see.” The second meaning of doxa, “honor,” is often used in the Gospel of John with the words “to take the glory”, “to seek glory,” or “turn glory.” In this category, it refers to the act of receiving praise or exaltation from God or man. There are far more references in this category than in the first category. John 5:41, 5:44 (x2), 7:18 (x2), 8:50, 8:54 (x3), 9:24, 12:43 (x2), 17:4, 17:5a, 17:5b, 17:22, 17:24 fall into this category. Next, I classified the doxa language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in terms of its manners that it is expressed. First, in the Gospel of John, the language of doxa is used to refer to Jesus’ glory as a preexisting Logos (17:5a; 17:22; 17:24). Second, it is Jesus’ doxa through the many miracles Jesus performed during his earthly life, including the signs (1:14; 2:11; 11:4; 11:40; 12:28). Third, the events that John describes most in the language of doxa are Jesus’ crucifixion (7:39; 12:16; 12:23; 12:28 (x3); 12:41; 13:31-32 (x5); 17:1 (x2)). Fourth, it is Jesus’ doxa through the Holy Spirit (16:14). Fifth, the doxa of the Father and the Son through the disciples (14:13; 15:8; 17:10; 21:19). Finally, the doxa of human and the doxa of God appear in contrast (5:41; 5:44 (x2); 7:18 (x2); 8:50; 8:54 (x3); 9:24; 12:43 (x2)).

      • KCI등재

        The Matthean Theology of Prayer

        송승인 한국신약학회 2019 신약논단 Vol.26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ntire book of Matthew in terms of prayer. Through this study I conclude that Matthew had his distinct theology of prayer. Even though overall it is appropriate to evaluate that he followed his Markan sources faithfully in many places, he was not a simple copier but a skillful editor or re-interpreter through the processes of alteration, addition, and omission for his own theological purposes. Matthew presents a balanced view on prayer to his readers by introducing the instructions on individual prayer and on community prayer together. The emphasis on secret prayer in one's private place is more striking in Matthew than the other Gospels in that the evangelist provides the teaching and example of Jesus together and connects it to the promise of reward (6:5-6). It is also worth noticing that through the negative examples of the Gentiles' prayer, Matthew reminds his readers of God, the perfect provider (6:7-8). Although Matthew suggests several needs for community prayer (asking spiritual laborer in 9:37-38, preparation for impending temptation in 6:13, 24:20, and Gethsemane Prayer),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church's decision on how to deal with unrepentant sinners (18:15-20).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Markan parallel, what draws our attention is the Matthean emphasis on the rapidness of the fulfillment of Jesus' prayer. By putting together the account of the withering fig tree, an account which was separated in two in his Markan source, the evangelist seems to highlight immediate fulfillment of Jesus’ curse on the tree. The Matthean redaction on the Markan Gethsemane Prayer reminds us of the Immanuel motif. Through this subtle redaction, we can notice the Matthean emphasis on what the disciples should have done which was to respond faithfully to their master's request by being with him. Matthew also portrays more vividly how the inner mind of Jesus was changed from the hope of escaping the cross to the full submission to the will of God as he pray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