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상인(Kim Sang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7 누리와 말씀 Vol.- No.41
1980년대 들어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사용된 ‘새로운 복음화’라는 용어는 현대 가톨릭교회 안에서 복음화에 대한 쇄신과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하지만 교회 안에서 새로운 복음화에 관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실과 교감하지 못하는 공허한 이론적인 접근과 토착화되지 않은 방법론적 접근은 오히려 복음화와 이루어지는 과정을 더디게 하고 체화되지 못한 복음화의 모습으로 남게 되었다. 이런 가운데 1980년부터 멕시코의 나바로(A. Navarro) 신부에 의해 고안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새 복음화’라는 뜻의 SINE(Systematic Integral New Evangelisation) 프로그램이 콜롬비아에서 꽃을 피우면서 라틴아메리카 전역에 걸쳐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사목 프로그램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 SINE 프로그램은 본당 사목 전반을 아우르는 총괄 시스템으로 교회의 네 가지 사명(증거, 전례, 친교, 섬김)으로부터 출발한 네 가지 주요 요소와 여섯가지 핵심 단계를 통하여 본당사목과 관련하여 모든 신자에게 열려있고 모든 것을 제공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교회가 신자들의 성사 생활만 관리하는 소극적 사목을 넘어 초기교회 신자들이 누렸던 복음의 역동성을 되살리자는 성취 지향을 두고, 관련 소공동체를 통해 모든 신자를 본당 활동에 참여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로써 SINE 프로그램은 공동체와 같은 본당 역할에 새생명을 불어 넣고 세상을 향한 교회의 역할과 교회 내적인 성사 생활의 쇄신을 통하여 각자 개인의 신앙 안에서 성숙시키기 위한 커다란 임무 속에서 형성된다. The terminology of New Evangelization which is used by St. Pope John Paul II in 1980 s, announced the new era and renewal of evangelization in modern Catholic Church. In spite of enormous efforts for this, empty theoretical approach which couldn’t share with the reality, and not-inculturated methodical approach made dull process and gave wrong shape of evangelization. From 1980, SINE(Systematic Integral New Evangelization) program which was designed by Mexican Fr. A. Navarro come out blossom in Colombia, and it received attention in whole Latin America as to pastoral program for new evangelization. This SINE program is the total pastoral program of each church. It started from four major elements of Church s 4 missions (testimony, liturgy, koinonia and service) and provides everything to every faithful in local church through 6 essential steps relating church pastoral programs. This program also manages not just faithful’s sacramental life, but beyond that it aims to recall Early Church’s Gospel dynamic. So this method means to make all faithful to participate into church activities through relating small church community. Hereby, SINE program resuscitate the role of local church such as church community. And it is formed in the big duty to mature in mature sense of each Christian through renewal of each one’s inner sacramental life.
「복음의 기쁨」과 사회 복음화 - 복음화의 사회적 차원에 대한 소고
황창희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6 누리와 말씀 Vol.- No.39
Evangelii Gaudium, Pope Francis apostolic exhortation, is pastoral exhortation about Gospel proclamation in modern world. Christians who believe and profess that Jesus Christ as our Lord are increasing in numbers, but looks like the real world is far from the completion of Kingdom of God This study examines social dimension of modern world evangelization shown in Evangelii Gaudium, Pope’s pastoral exhortation, then looks over the fact that society evangelization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dimension. Chapter 4 was the major field of this study. This Chapter dealt with social dimension of evangelization and called attention to the weakest people in society. Regarding modern world challenges, Pope Francis impeached that current economy structure is fundamentally unfair. Pope pointed out that market self-control, which is new tyranny, is arouse in many hidden places. Pope is anxious about the immorality in finance speculation, filthiness and corruption, tax evasion and tax escaping. On these unfair social conditions, Pope said Church can’t aside from the battle for justice, can’t do so. He demands for true plunge into socialization. He also emphasized that true society evangelization can be realized after that. Gospel changes the world. If not, it can no longer be Gospel. Christians are the evangelized ones through Jesus Christ. But if such an evangelization only remained in personal salvation dimension, Gospel can’t accomplish its role as Gospel. Catholic Church delivers ethical teachings about social injustice, filthiness and corruption ceaselessly. In the core of these teachings, there always is the unconditional love of Jesus Christ. The practice of love can be the prime mover to enjoy Evangelii Gaudium in modern world Christians. If society can be renewed through Church community renewal, pastor’s renewal, and evangelization renewal, that could be the definite starting point for the entire society evangelization.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도적 권고 「복음의 기쁨」(Evangelii Gaudium)은 현대 세계의 복음 선포에 관한 사목적인 권고문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믿고 고백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외적으로는 늘어나고는 있지만 오늘날 실재하는 세상은 하느님 나라의 완성과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세계의 복음화에 대한 교황의 사도적 권고인 「복음의 기쁨」 안에 나타난 복음화의 사회적인 차원에 대하여 고찰하면서 현대 사회의 복음화가 사회적 차원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관심 분야인 「복음의 기쁨」 제4장에서는 복음화의 사회적 차원을 다루면서 사회의 가장 힘없는 구성원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현대 세계의 도전들과 관련해서 현재의 경제 체제가 근본적으로 불공정하다고 규탄하면서,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많은 곳에서 시장 자율이라는 새로운 폭정이 일어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교황은 금융투기, 부정부패, 탈세와 세금 회피의 부도덕성에 대해 안타까워하고 있다. 이러한 불공정한 세태에 대해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회가 정의를 위한 투쟁에 비켜서 있을 수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고 말하면서 사회화에 온전히 투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게 될 때 진정한 의미에서의 사회복음화를 실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복음은 세상을 변화시킨다. 만일 복음이 세상을 변화시키지 못한다면 그것은 더 이상 복음이라고 말할 수 없다. 그리스도인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복음화 된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음화가 개인적인 구원의 차원에 머물고 만다면 교회의 복음은 더 이상 복음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가톨릭교회는 사회의 불의와 부정부패에 대해 끊임없이 윤리적인 가르침을 전달해 왔다. 그리고 이러한 가르침의 중심에는 항상 예수 그리스도의 인간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이 있었다. 사랑의 실천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다시금 복음의 기쁨을 누리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교회 공동체의 쇄신, 사목자들의 쇄신, 복음화의 쇄신을 통해 사회 전체의 쇄신을 이룰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사회 전체를 복음화 하는 구체적인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황창희(Hwang Changhe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6 누리와 말씀 Vol.- No.39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도적 권고 「복음의 기쁨」(Evangelii Gaudium)은 현대 세계의 복음 선포에 관한 사목적인 권고문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믿고 고백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외적으로는 늘어나고는 있지만 오늘날 실재하는 세상은 하느님 나라의 완성과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세계의 복음화에 대한 교황의 사도적 권고인 「복음의 기쁨」 안에 나타난 복음화의 사회적인 차원에 대하여 고찰하면서 현대 사회의 복음화가 사회적 차원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관심 분야인 「복음의 기쁨」 제4장에서는 복음화의 사회적 차원을 다루면서 사회의 가장 힘없는 구성원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현대 세계의 도전들과 관련해서 현재의 경제 체제가 근본적으로 불공정하다고 규탄하면서,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많은 곳에서 시장 자율이라는 새로운 폭정이 일어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교황은 금융투기, 부정부패, 탈세와 세금 회피의 부도덕성에 대해 안타까워하고 있다. 이러한 불공정한 세태에 대해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회가 정의를 위한 투쟁에 비켜서 있을 수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고 말하면서 사회화에 온전히 투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게 될 때 진정한 의미에서의 사회복음화를 실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복음은 세상을 변화시킨다. 만일 복음이 세상을 변화시키지 못한다면 그것은 더 이상 복음이라고 말할 수 없다. 그리스도인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복음화 된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음화가 개인적인 구원의 차원에 머물고 만다면 교회의 복음은 더 이상 복음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가톨릭교회는 사회의 불의와 부정부패에 대해 끊임없이 윤리적인 가르침을 전달해 왔다. 그리고 이러한 가르침의 중심에는 항상 예수 그리스도의 인간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이 있었다. 사랑의 실천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다시금 복음의 기쁨을 누리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교회 공동체의 쇄신, 사목자들의 쇄신, 복음화의 쇄신을 통해 사회 전체의 쇄신을 이룰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사회 전체를 복음화 하는 구체적인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Evangelii Gaudium, Pope Francis apostolic exhortation, is pastoral exhortation about Gospel proclamation in modern world. Christians who believe and profess that Jesus Christ as our Lord are increasing in numbers, but looks like the real world is far from the completion of Kingdom of God This study examines social dimension of modern world evangelization shown in Evangelii Gaudium, Pope’s pastoral exhortation, then looks over the fact that society evangelization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dimension. Chapter 4 was the major field of this study. This Chapter dealt with social dimension of evangelization and called attention to the weakest people in society. Regarding modern world challenges, Pope Francis impeached that current economy structure is fundamentally unfair. Pope pointed out that market self-control, which is new tyranny, is arouse in many hidden places. Pope is anxious about the immorality in finance speculation, filthiness and corruption, tax evasion and tax escaping. On these unfair social conditions, Pope said Church can’t aside from the battle for justice, can’t do so. He demands for true plunge into socialization. He also emphasized that true society evangelization can be realized after that. Gospel changes the world. If not, it can no longer be Gospel. Christians are the evangelized ones through Jesus Christ. But if such an evangelization only remained in personal salvation dimension, Gospel can’t accomplish its role as Gospel. Catholic Church delivers ethical teachings about social injustice, filthiness and corruption ceaselessly. In the core of these teachings, there always is the unconditional love of Jesus Christ. The practice of love can be the prime mover to enjoy Evangelii Gaudium in modern world Christians. If society can be renewed through Church community renewal, pastor’s renewal, and evangelization renewal, that could be the definite starting point for the entire society evangelization.
사목상담적 접근에 따른 가톨릭 가족 사별자를 위한 상호지지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김보경(Kim Bokyou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1
본 연구는 ‘사목상담적 접근에 따른 가톨릭 가족 사별자를 위한 상호지지 집단프로그램’이 가족을 잃은 가톨릭 사별자가 사별 슬픔을 드러냄으로써 애도과정을 제대로 경험하게 하여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고, 영적 안녕감을 증진하는 데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가톨릭 가족 사별자들은 앞서 말한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사별의 슬픔을 충분히 드러내었고 서로 지지하는 기회를 가졌다. 본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있는 여러 종합병원의 천주교 원목실과 서울대교구 천주교 연령연합회의 추천을 받은 30명의 가족 사별자들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매주 화요일, 10회 동안 모여서 매번 2시간 동안 사별의 슬픔을 나누며 상호지지 하였다. 회기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제로 다루었다: 사별자는 상실감 때문에 고인을 기억할 때 상실감에 힘겨워서 주로 긍정적인 기억만 떠올리며 죄책감을 키우는 경향이 있기에 먼저 고인과 사별자의 관계를 돌아보면서 고인에 관한 긍정적인 기억과 부정적인 기억을 떠올리게 하고 서로 나누었다. 제 2주째는 슬픔의 증상에 관하여, 제 3주째는 슬픔의 고통에 대처하기, 이어서 애도의 동반자인 예수, 분노와 죄책감 다루기, 시편저자와 함께 애도과정 겪기, 작별 편지쓰기를 실시하였다. 마지막 10주째는 고인을 위한 미사 전례를 거행하면서 고인에게 쓴 작별편지를 읽었다.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실시의 사전과 사후에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이 설문지는 Beck 등(1967)이 개발한 Beck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이민규 등(1995)이 한국판으로 표준 번안한 ‘한국판 Beck우울 척도(K-BDI)’와 Faschingbauer 등(1987)이 계발하고 안영란(2006)이 번역 수정한 ‘슬픔 척도 도구(Texas Rivised Inventory of Grief)의 part II' 그리고 Paloutzion과 Ellison(1982)이 계발하고 박지아(2003)가 번안 수정한 ‘영적안녕감 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만들었다.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회 인구학적 분석, 척도의 신뢰도 산출, 사전·사후 비교를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지지 집단 프로그램은 가톨릭 가족사별자의 애도 수준을 유의미하게 높여서 애도과정을 제대로 겪게 하는 데에 효과가 있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가톨릭 가족사별자의 우울 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가톨릭 가족사별자의 영적 안녕감 수준을 유의미하게 높여서 영적 안녕감 증진에 효과가 있었음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결과로 상호지지 집단 프로그램이 가톨릭 가족 사별자로 하여금 사별의 슬픔을 짧은 기간 안에 극복하고 우울에서 벗어나며 영적 안녕감을 증진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상호지지 집단 프로그램은 가족사별자가 몸과 마음과 영혼의 건강을 되찾아 질적으로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 mutual support group program for Catholic bereaved families based on pastoral counseling approaches has an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level and increasing spiritual well-being after experiencing an healthful grieving process by expressing their sorrows. The catholic bereaved families expressed their grief of bereavement fully, and had opportunities to support one another. 30 people who have bereaved their spouses, children or parents took part in this study and they were recommended by Catholic chaplaincy offices of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by the Catholic Association for the deceased souls in Archdiocese of Seoul. During the ten-week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d meeting of sharing the sorrow of bereavement together and supporting each other every Tuesday for two hours. Each week, the following subject was dealt with: Firstly, making themselves recall the positive and negative memories about the deceased as looking back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and sharing them one another. On the second week, they shared the symptoms of sadness. The subject on the third week was coping with the pain of grief, and the subjects of next weeks were Jesus who is companion of mourning, dealing with anger and guilt, undergoing grieving process with the author of Psalms, and writing a farewell letter. On the tenth week, they attended the Mass for the deceased of their families and read the farewell letter written to the deceased in the liturgy. The subject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was prepared by using tools such as ‘K-BDI’ which Beck’s(1967) Depression Inventory translated by Lee Min-Gyu as Korean standard version, Faschingbauer’s (1987)‘Texas Rivised Inventory of Grief’ translated and modified by An Young-Ran(2006) as Part II and Paloutzion & Ellison(1982)’s ‘Spiritual well-being Scale’translated modified by Park Ji-A (2003). In order to perform demographic analysis, reliability calculation for the standard and pre and post comparison through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data has been done by the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suffering properly grieving process by increasing meaningful mourning.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level of depression meaningfully.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piritual well-being by increasing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meaningfully. As a result, the mutual support group program showed being effective to catholic bereaved families who are going through their grieving process within a short period of bereavement. Therefore It is helpful program that they can live a better life in quality.
인천교구 관할지역 관련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에 대한 사료 연구
김규성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본 논문의 목적은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 중 인천교구 관할지역과 관련된 이들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달레의『한국천주교회사』에 바탕이 된 다블뤼의『조선 순교사 비망기』와『조선 순교자 약전』을 분석하고 다른 기해 병오박해 관련 기록들과도 비교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다블뤼의 기록에 나온 인천지역 관련 순교자들은 모두 6명으로 김성임 마르타, 이군겸 야고보, 장 아나스타시아, 심조이 바르바라, 우술임 수산나, 민극가 스테파노 등이 이에 속한다. 김성임은 부평 출신으로 나오며, 우술임은 인천에서 신앙생활을 한 것으로 나오며, 다른 이들은 인천 출신으로 나온다. 동시대 자료들과 비교해 볼 때 이들의 출신 지역에 대한 언급이 없는 자료들이 더 많다. 김성임이 부평 출신이라는 언급이『기해일기』,『기해 병오박해 순교자 목격 증언록(이하 순교자 증언록)』,『조선 순교사와 순교자들에 대한 보고서』에 있으며 민극가가 인천 지역에서 활동했다는 언급이『순교자 증언록』과 관찬 기록에 나와 있다.『순교자 증언록』에는 이호영 베드로와 이 아가타 자매가 인천 지역 출신이라는 증언과 최경환 프란치스코가 부평에서 거주하였다는 증언이 나와 있다. 이는 다블뤼의 기록에는 없는 내용이다. 또한 관찬 기록에서는 장 아나스타시아로 추정되는 인물이 배교했다는 상반된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료 분석 작업을 통해 기해 병오박해 때에 인천 지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순교자들이 결코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순교한 장소는 서울이나 다른 지역이었으나 출신지와 활동 장소는 인천 지역인 순교자들이 10명 정도로 추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를 이루었다는 이야기가 없으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도 미미하다. 민극가만이 이 지역에서 교리교사로서 열심히 활동하였다는 언급만이 있다. 비록 그 원형을 상세히 알 수는 없지만 민극가의 활동을 보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가 존재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rtyrs who are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Firstly, analyze "Korean Martyrs Memorandum" and "Sketch of Korean Martyrs" written by Daveluy, those were the foundation of Dallet's "Korean Church History", then move to other relative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rchives for comparison. According to Daveluy's documentation, there are 6 martyrs in the region of Incheon; Kim Sung-Im Martha, Lee Kun-Kyum James, Jang Anastasia, Sim Joi Barbara, Woo Sul-Im Susanna and Min Kuk-Ga Stephano. Kim Sung-Im was from Bu-Pyung and Woo Sul-Im has practiced her faith in Incheon, and the others were from Incheon. Comparing other records in that period, there aren't many records which mention their birth places. In "Ki-Hae Diary",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eyewitness testimony-(hereafter 'Martyrs testimony')", "Korean Martyrs history and the record" mentioned that Kim Sung-Im was from Bu-Pyung. The article that Min Kuk-Ga acted in the region of Incheon is written at "Martyrs testimony" and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In "Martyrs testimony", there's a testimony that Lee Ho-Young Peter and Lee Agatha sisters were from the region of Incheon and Choi Kyung-Hwan Francisco lived in Bu-Pyung. These are not written in Daveluy's record. In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there is a conflicting record that a person presumed Jang Anastasia became an apostate. Through examining those record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martyrs who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irectly and indirectly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lthough execution places were either Seoul or other places, but estimated there were 10 martyrs whose birth places and/or acting places were the region of Incheon. But there was no record that they had faith community in Incheon area, only small records about their roles are shown. There was a reference that Min Kuk-Ga actively practiced his faith as a catechist only. Even though there was no detail record, but presumed that there was a faith community in the region of Incheon through Min Kuk-Ga's activity.
정신철(Sinchul Ju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2 누리와 말씀 Vol.51 No.1
이 논문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보편 교회에서 반포한 교리교육 지침서들의 신학적 배경과 교리교육의 방향들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1971년에 반포된 『교리교육에 관한 일반 지침서』는 첫 번째 지침서이었기에, 교리교육에 대한 전반적 내용을 포괄적으로 담았다. 특별히 1950-1960년대에 있었던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의 결과를 이 지침서는 포함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래서 그리스도 중심주의 교리교육이라는 신학적 기초를 통한 교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1997년에 반포된 『교리교육 총지침』은 1992년에 반포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더욱 잘 사용하기 위한 교리교육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반포되었다. 물론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교리교육에로의 적용에 대한 지침을 주기도 하였지만, 『총지침』은 복음화의 과정 안에서 교리교육을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이전까지 첫 번째 복음선포와 교리교육의 구분을 없애고, 초기 선교의 교리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복음화 전체과정 안에서의 교리교육의 역동성을 정의하기 시작하였다. 2020년에 반포된 『교리교육 지침』은 프란치스교 교황의 『복음의 기쁨』의 기본 사상인 ‘선교’를 기초로 한 교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복음화의 과정 안에서 교리교육은 첫 번째 복음선포에서 시작되고, 복음선포를 더욱 심화하는 역할을 함을 강조한다. 그래서 이 지침에서도 그리스도 중심주의 교리교육을 언급하지만, 이전 문헌보다 더욱 심층적으로 그리스도와의 첫 만남과 그에 대한 회개를 이끄는 총괄적 의미의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에 대해 말하고 있다. 보편 교회에서의 지침서들의 반포는 지역 교회의 교리교육 지침서의 출판에 자극을 준다. 보편 교회가 제시하는 원칙과 기준들이 각 지역에 맞는 환경과 상황을 고려한 지침들로 구체화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이미 『한국 천주교 교리교육 지침』이 만들어져 반포되었지만,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교리교육 지침』에 따른 다른 형태의 교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문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천주교 청소년 사목 지침서』의 더욱 깊은 연구를 통한 활용도 깊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thesis explained of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guidelines which were promulgated and of the changes of direction for catechesis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the Universal Church. Because The General Catechetical Directory (Directorium Catechisticum Generale) was the first directory, promulgated in 1971, it contains the general contents on catechesis wholly. Especially, in this directory we can see the effort for including the results of International Catechetical Congress which were held in 1950’s and 1960’s. Therefore, it set a catechetical direction through the theological basis, Christ-centered catechesis. The purpose of The General Directory for Catechesis promulgated in 1997 was to propose the catechetical direction for the better using of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issued in 1992. Needless to say, The General Directory for Catechesis gave guidance on the catechetical application of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and also begun to see catechesis in the process of evangelization. Therefore, it remov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revious first proclamation of Gospel and catechesis, and begun to define the dynamic of catechesis in the process of evangelization by using the term of catechesis of early-stage mission. The Directory for Catechesis issued in 2020 propose the catechetical direction based on the ‘Mission’, the fundamental idea of The Joy of the Gospel by pope Francis. The Directory for Catechesis says that Catechesis in the process of evangelization started from the first proclamation of Gospel and underline that it plays a role to more enhance the proclamation of Gospel. Therefore, this Directory for Catechesis also mention the Christ-centered catechesis, but it is talking about the overall-meaningful Gospel-proclamatory Catechesis, which leads to the first encounter with Christ and the repentance about it in depth than the previous documents. The promulgations of the Directories in the Universal Church stimulate the publication of the ones of local churches. It is because the Universal Church wants local churches to make the directories in the circumstances and situation according to each district in the principles and criterion which the Universal Church proposes. In Korea, The Directory for Catechesis of Korea Catholic Church was made and promulgated but there is also need for the documents which propose the catechetical direction with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Directory for Catechesis, which showed new direction. In this meaning, the application, through deep study on The Pastoral Directory for Youth of Korea Catholic Church, needs to consider seriously.
한국 가톨릭 성령 쇄신 운동의 의미에 관한 신학적 성찰
명형진(Hyeongjin Myeo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4 누리와 말씀 Vol.56 No.-
평신도 사도직에 대한 소명을 다시금 인식하고 교회의 쇄신과 신앙생활의 쇄신을 강조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실제로 많은 평신도 사도직 단체들과 신심 단체가 교회 안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성령쇄신 운동 또한 평신도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신앙을 체험하여 교회 생활을 쇄신하기 위한 역할을 시작했다. 1966년 미국의 듀케인 대학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지는 가톨릭 성령쇄신 운동은, 1971년 한국에서 외국인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첫 번째 ‘성령 안의 생활’ 피정이 개최되었고, 1976년 ‘한국 가톨릭 성령쇄신 봉사자 위원회’를 구성하여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 가톨릭 성령쇄신 운동은 부흥기를 맞이했으며,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한국 가톨릭 성령쇄신 운동의 성장과 더불어 내외적인 신앙 성숙을 위한 영적이고 신학적인 기준의 식별에 대한 요청은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한편으로, 한국 가톨릭 성령쇄신 운동을 통해 교회의 많은 이들이 하느님의 현존을 체험하고 복음화의 실천을 이어가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 그것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은 한국 가톨릭 성령쇄신 운동의 성장을 위해 심도 있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과제를 지니고 본 논고는 한국 가톨릭 성령쇄신 운동의 역사와 그것이 한국 가톨릭 교회에 끼친 영향, 그리고 그것의 발전 방향을 성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가톨릭 성령쇄신 운동의 기원에서부터 시작하여 그것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부흥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한국 성령쇄신 운동 전파의 반세기가 흐른 지금 시점에서 그것은 한국 가톨릭 교회 안에서 어떻게 유지되며 성장하고 있는지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성령쇄신 운동이 한국 가톨릭 교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신앙의 쇄신을 모색하는 ‘평신도 사도직 운동’의 특성에 비추어 한국 가톨릭 성령쇄신 운동의 발전에 필요한 요소들을 신학적으로 성찰함으로써, 한국 가톨릭 교회 안에서 그것의 성숙된 발전을 기대해 보고자 한다.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at affirmed the call to lay ministry and emphasized the renewal of the Church and faith life, many lay ministries and devotional groups began to be spring up in the Church. Organized by the laity who experienced new faith, Catholic Charismatic Renewal (CCR) also began renew the life of the Church. This Catholic movement is said to have begun at Duquesne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in 1966. The first ‘Living in the Spirit’ retreat happened in Korea in 1971 and was led by foreign missionaries. CCR began its activities in earnest in 1976 with the formation of ‘Korean Catholic Charismatic Renewal Service Association.’ In the 1980s, the movement experienced a revival, and by the turn of the new millennium, it had seen a remarkable growth. With the expansion of CCR, there was a constant call for the discernment of spiritual and theological criteria for internal and external faith formation. On the one hand, CCR helped many faithful to have a personal encounter with God and breathed in a desire for evangelization. On the other hand, a number of issues arose that required an in-depth consideration for the future growth of the Korean Catholic Renewal Movement. With this context in mind, this paper aims to reflect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Catholic Charismatic Renewal, its impact on the Church, and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To this end, this paper looks at the origins of the movement and history of growth over half a century. It also investigates its impact on the Church and reflect theologically on the elements that are needed for development,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a lay apostolate that seeks to renew faith, and look forward to its mature development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