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제간 통합교과목 운영사례 : 식물과 문화

        김인경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논총 Vol.29 No.-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의미 즉 재배와 문화를 내포하고 있는 culture 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했다. <식물과 문화> 교과목 프로그램을 구성 할 때 가장 중점을 두었던 점은 ‘plants’ 과 ‘culture’라는 두 단어의 관 계에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식물이라는 유형의 생명개체들의 재배 (culture)와 무형의 다양한 문화(culture)의 상관관계의 밀접함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흥미롭게 다가가게 할 것인가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 인간의 의미 있는 문화적 삶에 은유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 윈의 도태, 선택, 생존경쟁과 같은 몇 몇 기초개념 이론들에서 보듯 이 증대하고 있는 자연과 문화의 연계성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문화 현상을 재조명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강의로 나아가기 위한 목표를 설 정하였다. 과학인문학자인 브뤼노 라투르(Latour, 2009)는 근대주의 에서는 ‘인간’으로 규정되면 모든 권리가 부여되어 정치나 윤리의 영 역의 주체가 되고, 반면 ‘비인간’ 사물로 규정되면 모든 권리가 박탈 되어 과학의 영역으로 간주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주장에 대하 여 특히 생태학적 측면에서는 많은 논의가 있고, 자연과학과 인문사 회학의 융합 연구가 실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우수한 성과가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자연과 문화의 연계성에 대한 관심은 과학기술학자 이건 인문학자, 사회과학자 그리고 자연과학학자인건 간에 공통적 으로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기반으로 한 학제 간 통합교과목 개발을 통해 학생들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개인적, 집 단적, 국가적, 세계적 문화의 변화 발전과정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며, 인문학적 사유를 습득할 수 있는 기 회를 직접체험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학생들은 현재의 다양한 문화 현상을 분석, 해석할 수 있게 되어 미래의 개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 학제간 통합교과목 운영사례

        김인경(In kyoung Kim)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논총 Vol.30 No.-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의미 즉 재배와 문화를 내포하고 있는 culture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했다. <식물과 문화> 교과목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가장 중점을 두었던 점은 ‘plants’ 과 ‘culture’라는 두 단어의 관계에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식물이라는 유형의 생명개체들의 재배(culture)와 무형의 다양한 문화(culture)의 상관관계의 밀접함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흥미롭게 다가가게 할 것인가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 인간의 의미 있는 문화적 삶에 은유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윈의 도태, 선택, 생존경쟁과 같은 몇 몇 기초개념 이론들에서 보듯이 증대하고 있는 자연과 문화의 연계성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문화현상을 재조명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강의로 나아가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였다. 과학인문학자인 브뤼노 라투르(Latour, 2009)는 근대주의에서는 ‘인간’으로 규정되면 모든 권리가 부여되어 정치나 윤리의 영역의 주체가 되고, 반면 ‘비인간’ 사물로 규정되면 모든 권리가 박탈되어 과학의 영역으로 간주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특히 생태학적 측면에서는 많은 논의가 있고, 자연과학과 인문사회학의 융합 연구가 실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우수한 성과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자연과 문화의 연계성에 대한 관심은 과학기술학자이건 인문학자, 사회과학자 그리고 자연과학학자인건 간에 공통적으로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기반으로 한 학제간 통합교과목 개발을 통해 학생들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개인적, 집단적, 국가적, 세계적 문화의 변화 발전과정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며, 인문학적 사유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직접체험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학생들은 현재의 다양한 문화현상을 분석, 해석할 수 있게 되어 미래의 개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nalysis began from the perception of Culture, which contains two meanings: Cultivation and culture. When we arranged the course on <Plants and Cultures>,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ds, ‘plants’ and ‘cultures’. We placed high importance on how to approach students in an interesting way explain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angible culture of living organisms and intangible culture in modern society. As Charles Darwin’s basic concept of elimination, selection, and survival of fittest were metaphorically referred to in meaningful human life, we aimed at an effective course to review cultural phenomenon including the growing interest on th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Bruno Latour a literati scientist, indicated that if one is defined as a ‘human’ in modernism, it becomes a subject to politics or ethics with all rights granted, while if one is defined as ‘non-human’ it will be deprived of rights and regarded as an area of science. Related to such argument,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especially on ecological side, and excellent achievements have been made on integrated analysis between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tist. Also, there have been growing interests on th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commonly among scientific technician, humanities scholars, political scientists, and even natural scientis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courses based on such need of the times, students can cultivate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world as well as the procedures of changes and developments of personal, collective, national, and global culture in general. In addition, they can attain humanistic thinking. Furthermore, having ability to analyze and understand different cultural phenomenon, they will be able to actively deal with the future developments.

      • 다문화 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사상 비교 연구 :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의 신유학 이해를 중심으로

        안동렬(Dongryeol Ahn)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논총 Vol.27 No.-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권 속에서 다문화 교육의 사상적 기초를 논하며, 특별히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 지역의 신유학 이해에 주목하였다. 먼저, 유교 문화권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면서도 각 지역의 유학 이해에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유학의 사상적 흐름을 정리하였다. 중국에서 시작된 신유학이 한국에서 철학적 완성을 이루고 일본에서 문화로 정착되는 과정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신유학 사상에서 다문화 교육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핵심 개념을 밝히고 정리하였다. 신유학의 공동체적 인간관에 따라서,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공동체 안에서 배우고 성장하는 인간에 대한 관점을 통해서, 교육 공동체의 개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신유학 사상에 근거한 교육 공동체의 적용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는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는 세계적 추세에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주요한 논점 및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thesis discusses philosophical found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ultural area of eastern Asian area and focuses on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of China, Korea and Japan particularly. First of all, it arranged differences of each area's confucianism understanding under the common matter of Confucianism cultural area and philosophical stream of Confucianism. Neo-Confucianism starting from China accomplished philosophical completion in Korea and confirmed the process to settle it in Japan as a culture. Next, it revealed and arranged the core concep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neo-Confucianism philosophy. According to the communal human view of neo-Confucianism, there was an aspect of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through the standpoint for human learning and growing in community, there was a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 Finally, it examined an aspect of applying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neo-Confucianism. It provides important issues and implications while forming commun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global tendency of multicultural society.

      • 이기영 『두만강』에 나타나는 매개자의 변이와 그 특성

        문흥술(Heung sul Moon)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논총 Vol.30 No.-

        이기영의 장편 대하소설 『두만강』에 나타나는 대립 구조는 민중계급과 지배계급과의 갈등과 조선민족과 일제와의 갈등, 곧 계급모순과 민족모순에 의한 갈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이러한 갈등 구조에 긍정적 인물을 보다 높은 단계로 고양시키는 매개자를 삽입한다. 그리고 그 매개자가 1부에서 3부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바뀐다. 이 매개자의 변화야말로 이 작품의 특성을 규정짓는 핵심 요소이다. 1부의 매개자는 양반 지식인 출신 이진경이다. 이진경은 봉건 양반과 관련된 모순된 제도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신교육을 통한 개화사상의 계몽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그러한 교육을 통해 봉건 질서와 왜놈을 물리치고 백성들이 편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지향한다. 이처럼 개화를 통한 반봉건과 일제에 맞선 조선 민족이 결합된 이진경의 사상은 다름 아닌 부르주아 민족주의에 해당한다. 곧 이진경의 매개적 역할은 반봉건, 반외세를 목표로 하는 부르주아 민족주의 혁명을 담지하는 것에 국한된다. 이진경을 매개자로 한 부르주아 민족주의 혁명은 실패로 귀결된다. 실패의 원인은 독립단체들의 이기적인 파행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존 독립운동을 하던 이들은 죽거나, 변절하여 일제의 앞잡이가 된다. 이들의 죽음과 변절은 부르주아 민족주의에 의한 독립운동의 실패를 의미한다. 3부에서는 씨동과 분이의 매개자로 먼저 사회주의 서적과 노동 체험이 제시된다. 씨동과 분이는 김일성 휘하로 들어가기 전에 사회주의 책과 노동 체험을 매개자로 하여 사회주의 이념을 알게 되고 그 이념에 의해 조직화되는 과정을 밟는다. 3부 30장 ‘평강판’에서부터 씨동은 반제동맹에 가입해 김일성을 만나면서 책을 통해, 또 탄부생활을 통해 받아들이게 된 계급의식과 사회주의 이념과 완벽하게 일체가 된다. 여기서 매개자는 김일성 동지이다. 반일운동이 ‘인민의 혁명적 무장투쟁’이라는 보다 적극적이며 높은 단계로 나아가야 할 필연성을 띨 때, 김일성 동지가 등장하는 것이다. 매개자로서의 김일성 동지의 등장이야말로 이 작품이 드러내고자 하는 궁극적 주제에 해당한다. 민족이 곧 노동인민계급이라는 자각을 하고 노동계급의 단결과 무장투쟁을 통해 민족해방을 지향하는 것, 그러한 민족과 노동계급 전부를 아우르는 위대한 지도자가 김일성 동지라는 것, 그 김일성 동지야말로 ‘조국’ 그 자체이자 ‘백성’을 감싸 안는 ‘부모(어버이 수령)’라는 것, 그 수령은 자신의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 신비로운 존재이지만 ‘광명의 서광’을 비쳐주는 위대한 존재이며 그런 존재의 영도를 따르는 것이야말로 ‘영예로운’ 것이라는 것, 그런 김 동지와의 완전한 합일을 강렬히 지향하는 것, 그것이 이 작품의 궁극적인 주제이다. Lee Gee-Young’s 『Doomangang』(1954~1961) is written in three parts. The structure of conflict that leads this work from the first part to the last is mainly the two conflicts: One is the conflict between the people’s class and the ruling class. The other conflict is between the Korean people and Japanese imperialism. In the first part, Lee Jin Gyeong, a “yangban” intellectual, is the mediator. He leads the bourgeois nationalism revolution that sets a goal of anti-feudalism and anti-foreign, but the revolution fails. The main cause for this failure is the death and defection of people who were the member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Part three, the mediator is the books of Socialism and labor. Through its mediator, the characters experience Socialism and become a part of the organization created by Socialism. Starting from Chapter 30 Part 3, the mediator is comrade Kim Il-Sung. Through this mediator, the characters become one with Socialism and become aware of class consciousness. Through its mediator, anti-Japanese movement is a step towards the revolutionary armed struggle. The ultimate subject of this work is the appearance of comrade Kim Il-Sung as the mediator. The fundamental theme of the work is that Comrade Kim Il-Sung is a great leader who embraces people and the labor class, and that Comrade Kim Il-Sung is the homeland itself and the parent who embraces all people.

      • -고의 범주와 자질에 관하여

        정용길(Yong kil Jeong)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논총 Vol.27 No.-

        Jeong(1990)은 한국어의 동사접사인 -고와 대격조사인 -를과 통일한 환경에서 허가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고가 대격표지라는 분석을 제시한다. 한편 Yoon(2013)은 -고를 대격표지로 분석하는 Jeong(199)의 주장을 반박하며 -고는 대격표지가 아니고 보문소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Yoon(2013) 의 이러한 주장에는 이론적, 경험적 문제가 있다. 먼저 Yoon(2013)은 대격표지와 보문소가 서로 대비되는 개념으로 가정하고 있는데 이는 명백히 잘못된 가정이다. 보문소는 문법범주에 해당하는 반면에 (대)격표지는 문법범주가 아니라 문법자질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Jeong(l999)은 -고를 대격자질을 지니고 있는 보문소로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Yoon(2013) 의 주장이 논리적인 타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고가 격표지가 아니라 보문소다라고 주장하는 대신에 ‘보문소는 격자질을 포함할 수 없다‘라고 주장해야 한다. Yoon(2013)은 격표지들인 - 가나 -를이 생략되는 환경에서 -고가 생략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고가 격표지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주장에도 문제가 있다. 먼저 여기서 언급된 환경에서 어떤 접사가 생략되었다는 사실이 그 접사가 격표지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격표지 이외의 다양한 표지들도 동일한 환경에서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생략현상을 좀 더 확대해 보면 오히려 -고와 -를이 같은 속성을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가 격표지가 아니고 보문소라는 Yoon(2013) 의 주장은 설득력이 약하다. 그리 고 Jeong(l999) 에 대한 반박이 설득력을 얻으려면 -고와 -는의 대조적인 분포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Jeong (1999) proposes that the verbal particle -ko is a morphological realization of accusative case feature. Criticizing Jeong's (1999) argument, Yoon (2013) argues that -ko is not a case marker but a complementizer. Yoon's (2013) criticism, however, reveals serious problems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First, Yoon (2013)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syntactic categories and morphological features. Yoon's (2013) main point is that -ko is not a case marker but a COMP. Note, however, that the latter refers to a syntactic category but the former to a morphological feature. Jeong (1999) assumes that -ko is a COMP and therefore Yoon's (1993) criticism against Jeong (1999) is not valid theoretically. Yoon (2013) also shows that unlike -ka and -lul, -ko cannot be deleted in some cases, which he argues provides evidence against Jeong's analysis of -ko as a case marker. If we consider more examples regarding the deletion phenomenon, however, we find that -ko patterns with case markers -ka and -lul. This implies that the phenomenon mentioned in Yoon (2013) has nothing to do with the discussion of whether -ko is a case marker or not. A valid criticism of Jeong' s (1999) analysis of -ko should provide a principled account of the fact that -ko is licensed by verbs but not by nouns or adjectives.

      • 일제강점기 조영출(조명암) 시문학의 위상

        이숭원(Soong won Lee)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논총 Vol.28 No.-

        조영출은 1932년부터 여러 신문과 잡지에 시를 투고하여 좋은 반응을 받았다. 특히 1933년에 여러 편의 작품을 『조선일보』에 투고한 것이 김기림의 눈에 띄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음으로써 창작 의욕이 더욱 고양되었다. 김기림이 조영출의 시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이 “주지적 색채”와 “주지적 정신”이었기 때문에 그의 창작은 이런 경향을 심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자유시 발표와 함께 그는 대중가요 가사 창작에도 관심을 보였는데, 문제는 대중가요 가사를 쓰게 되면서 그의 자유 시도 가사 형태로 전환되기 시작한다는 점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시에서 참신한 주지적 색채는 점점 줄어들고 감상적 요소가 늘어나고 직선적인 감정 토로의 어법이 드러나게 된다. 1935년을 지나면서 자유시 창작은 현저히 줄어들고 1938년 이후에는 대중가요 가사 창작에 전념하게 된다. 대중가요 가사를 쓸 때에는 주로 조명암이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조명암은 대중가요 가사 창작 분야에서 남이 따라갈 수 없는 독보적인 자리를 개척했다. 김기림이 칭찬했던 “도시 시인으로서의 주지적 색채”와 “남달리 빛나는 위트”를 적극 활용하여 도시 대중의 감성을 자극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간단하면서도 창의적인 감성적 제목은 대중들의 마음을 휘어잡았다. 그러한 제목과 어울린 노래의 가사 역시 1 절, 2절, 3절로 갈수록 더욱 애절한 느낌을 주도록 구성하여 대중들의 심금을 울렸다. 그가 만든 가사는 대중적 매력과 문학적 격조를 동시에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성공한 것이다. 이러한 매력적인 제목과 문학적인 가사는 당시 대중가요의 수준을 높이는 동시에 아픔과 슬픔에 시달리는 대중들의 마음을 달래고 순화하는 역할도 했다. Jo Yeong-chul received favorable responses by submitting his poems to various newspapers and magazines after 1932. In particular, his submission of several works to “The Chosun Daily” in 1933 attracted the eyes of Kim Gi-rim. In this way, he was given a positive evaluation, which further enhanced his will to create works. Since it was “intellectual color” and “intellectual mentality" that Kim Gi-rim evaluated positively in Jo Yeong-chul's poems, his creation was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intensifying such a tendency. Along with the announcement of such free verses, he also showed interest in the creation of lyrics for popular music. The problem is that as he began to write the lyrics of popular music, his free verses began to be transformed into the form of lyrics. Along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novel intellectual color in his poems diminished gradually while emotional factors increased and language that revealed outspoken emotions appeared. Passing 1935, the creation of free verses was reduced significantly, and he was fully focused on creating the lyrics of popular music. When he wrote the lyrics of popular music, he mainly used the stage name Jo Myeong-am. Jo Myeong-am achieved an unrivaled position that could not be achieved by others in the creation of the lyrics of popular music. He succeeded in stimulating the sensibility of the urban public by utilizing actively the “intellectual color as an urban poet” and “exceptionally brilliant wit” that were praised by Kim Gi-rim. In particular, simple yet creative emotional titles fascinated the heart of the general public. Also the lyrics of the songs, which matched such titles, were composed to give more plaintive feelings as the verses progressed. This touched the heart of the general public. The lyrics created by him were successful because they had popular attraction and literary nobility at the same time. Such attractive titles and literary lyrics raised the level of popular music at that time. Also, they played a role in soothing and purifying the heart of the general public, who were suffering from pain and sorrow.

      • 고려중·후기 이후 천도 논의와 조선조 漢陽 遷都의 의미

        이원명(Won myung Lee)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논총 Vol.28 No.-

        본고는 “고려 중·후기 천도 논의와 조선조 漢陽 遷都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필자는 이를 위하여 <고려 중·후기 南京(한양)으로의 천도 논의>과 <공민왕대 이후 反元運動과 한양 천도 논의> 및 <조선초 치열한 천도 논의와 漢陽 遷都의 의미>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은 한양이 종래 조선의 수도로서 600년의 역사 뿐 아니라, 삼국시대 이래 2000년의 역사의 중심지로서 그 의미를 재음미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특히 조선초 한양 천도 논의 과정은 조선조 儒敎社會로의 시대적 변화의 산물이자, 새로운 시대의 도약을 알리는 상징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s <discussion of transfer of capital in the middle and latter of Koryo period and Meaning of Hanyang transfer of capital in the early of Chosun dynasty>. In such case, the writer of this article search divided 'Discussion to transfer of capital Namgyung(南京; 한양) in the middle and latter of Koryo period' and 'Movement of anti-Mongols of after King of Gongmin(恭愍王) and discussion to transfer of Hanyang(漢陽) capital, and after keen battle of discussion of transfer of capital in the early of Chosun period. This search is not Hanyang as a history of 600 years traditional capital of Chosun, but take review since the period of the epoch of the three kingdoms, as a center of 2000 years. Like this discussions and decision process of transfer of capital from the middle and latter of Koryo dynasty is able to the result of change and symbol move into a new epoch. Especially, discussion process of transfer of Hanyang(漢陽) capital in the early of Chosun dynasty is a result of change the confucian society(儒敎社會) and symbol move into jump of a new epo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