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프란트에 부착하는 세균의 동정 및 효과적인 항생제 선택

        김선권,유선열,Kim, Sun-Kwon,Ryu, Sun-Youl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1997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19 No.4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adherence of oral bacteria to titanium dental implant and to know the effective prophylactic antibiotics using an in vivo model. Three samples each of the implant material were set in an acrylic resin flange and placed in the maxillary buccal sulcus of twenty volunteers. At 6- and 54-hour intervals, each sample was placed on blood agar plate (BAP) and chocolate agar, and then they were incubated and identified. Also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btained mere as follows ; 1. The microorganisms were chain-like Gram positive cocci and staphyline Gram positive cocci, Gram positive bacilli in order of frequency were found at 6-hour and 54-hour samples by Gram staining. 2. Streptococci was found predominantly at both 6-hour and 54-hour samples, but number of streptococci was decreased as compared to 6-hour samples.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bacterial species adherent to implant between 6-hour and 54-hour samples. 4. All the microbes were sensitive to AMC (amoxacillin clavulanic acid), chloramphenicol, quinolone and vancomycin in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Above results suggest that streptococcus are mainly adhered to titanium implant after implant was placed in the oral cavity and AMC is the most recommendable antibiotics to prevent the peri-implant inflammation.

      • KCI등재
      • KCI등재

        깔뱅에 따른 타락 이전 인간의 순전성의 상태

        김선권(KIM Sun-Kwo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1

        이 연구는 깔뱅이 말하는 타락 이전 아담의 순전성의 상태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타락 이전 깔뱅의 인간이해는 부패의 상태로서의 인간, 은혜의 상태로서의 인간, 영광의 상태로서의 인간이해에 대한 중요한 사상적 단초를 제공한다. 깔뱅은 인문주의적 교육을 받으면서 인문주의적 인간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가 급작스런 회심을 하면서 인문주의에서 손을 뗀 것은 아니지만, 전보다는 적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의 인간론은 성서에 기초한 신중심주의적 인간이해로 그의 인간론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인간은 피조물 중에 가장 탁월한 걸작품으로서 하나님의 의와 지혜와 선하심을 드러낸다. 하나님은 인간을 신적 피조물로서 모든 완벽한 것으로 꾸몄으며 인간을 섬기기로 정해진 다른 모든 피조물의 머리 또는 중심에 그를 두었다. 인간이 매우 특별한 피조물임을 나타내는 것은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점에서 잘 나타난다. 깔뱅에게서 하나님의 형상은 관계성일 뿐만 아니라, 부여된 것이다. 인간이 창조물의 면류관과 영광이며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어 하나님과 영적인 교통을 가질 수 있음에도 그 역시 신적 피조물이다. 그는 하나님께 예속된 피조물임을 자각해야 했었고 이를 위해 하나님께서는 선악과를 먹지 말라는 금지 명령을 제시하였다. 선악과의 금지는 인간 자유에 대한 제한조치가 아닌, 보호조치로 주어진 것이다. 타락한 인간이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연합될 수 있는 것처럼, 타락 이전 아담 역시 그의 영적인 생명은 믿음 안에서 하나님과 연합하는 데 있었다. 그러므로 창조된 순전성의 상태 아래에 있는 아담은 믿음으로 하나님과 연합된 존재였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elucidate what Calvin called Adam’s state of integrity before the Fall. Calvin’s view of this integrity offers an important ideolog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his concepts of corruption, grace, and glory as they relate to humanity. Having received a humanistic education Calvin’s anthropology was originally humanistic. But after his sudden conversion his view transitioned, becoming less humanistic and more Scriptural. Calvin developed a theocentric anthropology based on Scripture. Humanity manifests God’s righteousness, wisdom, and goodness as the prime masterpiece among all created things. God created humanity as divine creatures with all perfection, placing Adam and Eve as head and center over all creation made to serve them. That humanity is uniquely special is evident by its creation in the image of God. For Calvin, the “image of God” entails not only relationship, but also endowment. Although mankind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s the crown and glory of creation, they are nevertheless only a divine creation. In order for humanity to acknowledge their subordinate state, God prohibited them from eating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That prohibition was not given to merely restrict man’s freedom, but rather, in order to protect them. Just as fallen humanity is able to come into union with Christ by faith, the prelapsarian Adam was able to have spiritual life in union with God by faith. Therefore, the prelapsarian Adam in his undefiled state was in perfect harmony with God by faith.

      • KCI등재

        칼빈의 은혜론

        김선권(Sun Kwon Kim)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본 논문은 칼빈에게 은혜가 무엇인지, 그 개념이 실제로 그의 저술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나타나는지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교개혁은 오직 믿음뿐만 아니라 오직 은혜를 강조했다. 칼빈의 은혜 개념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 행위에 관한 것이다. 인간 편에서 성자에게서 출발하여 성부의 은혜에 이르며, 하나님 편에서 성부에게서 출발하여 성자를 통해 은혜가 주어진다. 성령의 은혜는 우리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지체가 되어, 그리스도 아래 있게 하며, 그리스도를 소유하게 한다. 하나님이 은혜를 시작했다면 그 은혜를 완성한다. 인간 문화의 발전을 위한 은혜는 보편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차별 없이 주어지지만, 구원하는 은혜는 택자들에게만 배타적으로 주어진다. 특별 은혜에 참여하는 자는 일반 은혜의 영역에서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활동을 한다. 하나님의 구속 은혜는 주권적 은혜로 확장된다. 신,구약 구원의 길은 모두 은혜 언약에 근거한다. 언약의 실체인 교리, 믿음, 중보자, 하나님, 성령은 모두 동일하다. 실체는 같지만, 은혜를 전달하는 방식(이 땅의 혜택의 유무), 은혜의 분량(현현의 명확성의 차이), 은혜를 받는 대상(한 민족과 모든 민족)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한다. 구원의 길에 있어서 은혜 언약으로 하나님과 결속된 사람은 언약적 책임을 가진다. 신자의 행위는 하나님과 인간의 의지적 협력이 아닌, 전적으로 하나님의 행위인 동시에 전적으로 믿는 자 자신의 행위이다. 은혜는 효과적이며 활동적이다. 칭의와 성화는 구별되지만 분리될 수 없는 이중 은혜이다. 은혜는 선물로 받는 것이며, 하나님께 돌려드릴 수 없다. 대신 하나님께 감사하며 이웃에게 선물로 돌려준다. 하나님이 받으신 것처럼 이웃을 받는다. 윤리는 은혜의 윤리이다. 자신 안에 어떤 선한 것이 있다면, 은혜의 활동이며 은혜의 열매이다. 하나님이 은혜 주시면서 의롭고 거룩하게 하시는 이유는 순전한 삶 가운데서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기 위함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Calvin’s doctrine of grace. Grace is an act of God’s love for his children. The Reformation claimed sola fides and sola gratia. Calvin’s concept of Grace relates to the saving action of the Triune God.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allows us to become members of Christ, to be under Christ, and to possess Christ. If God has started the work of grace, he will hold it with grace until the end. While the general grac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is universally given to all without distinction, the grace of salvation is given only to those who are elect. Those who participate in this special grace shall also serve for the glory of God in the realm of general grace. God’s redemptive grace extends to his sovereign grace. The New Testament and the Old Testament are the same in the substance of the covenant of grace. Doctrine, faith, mediator, God, holy Spirit are all the same. In the way of salvation, those who are bound with God through the covenant of grace have a covenantal responsibility. As double grac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re distinct but inseparable. Ethics is the ethics of grace. If there is something good within oneself, it is an activity of grace and a its fruit.

      • KCI등재

        깔뱅이 말하는 “잘 정돈된 삶”으로서의 기독교인의 삶의 방식

        김선권 ( Sun Kwo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4 한국개혁신학 Vol.42 No.-

        깔뱅에게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기독교인의 삶의 교리에 중심적 자리를 차지한다. 그리스도와 연합할 때 성도에게 주어지는 은혜는 이중적이다. 즉칭의와 성화이다. 이 중 후자는 기독교인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깔뱅에게서 성화란 신자의 인격의 형성과 관계된다. 죄로부터 승리케 하며, 거룩케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는 신자의 인격을 계속적으로 점진적으로 재건하시며 그 인격의 형성의 열매가 삶 속에서 거룩한 생활로 나타난다. 웅장한 신학적 체계로서 깔뱅 신학은 ‘잘 정돈된 삶’의 방식을 인간 개인의 차원은 물론 이것을 확장시켜 교회적 차원과 사회적이며 우주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이에 대한 포괄적 비전을 제시했다. 깔뱅은 기독교인의 삶의 방식을 자기 부정, 자기 부정의 정점으로서 십자가를 짐, 미래 삶의 묵상, 지상의 재화의 올바른 사용을 제시했다. 이것은 여전히 오늘날의 기독교인의 삶에 대한 본질적 내용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제네바의 종교개혁자에 의하면 기독교인의 삶은 그리스도와 함께 가지는 신비한 교통에 관한 것이며, 삶의 모든 일에서 하나님의 현존을 보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계된다. 그리스도와 연합된 기독교인의 삶이란 결국 그들의 모든 삶의 활동으로 연장돼야 한다. 복음, 복음의 현재화인 그리스도와의 연합, 이것은 결국 진정으로 우리의 삶을 변혁하는데서 그것의 효과와 능력이 나타날 것이다. 깔뱅에게서 복음은 말의 교리가 아니라 삶의 교리이기 때문이다. L`union avec Christ est l`aspect central de la doctrine de la vie chretienne pour Calvin. Lorsque nous sommes unis avec Jesus-Christ, nous en avons double grace: justification et sanctification. Celle-ci aboutit a la vie chretienne. La sanctification pour Calvin est liee a la construction de la personne. La grace de Dieu qui triomphe du peche et sanctifie, reconstruit la personne progressivement: sa fruit apparait comme la vie sainte. En outre, comme un superbe systeme theologique, la theologie calvinienne presente une vision globale de la maniere de bien ordonner la vie humaine sur les plans personnels, sociaux, ecclesiaux et cosmiques conformement a la volonte de Dieu. Calvin a souligne les quatre principales caracteristiques de la vie chretienne: 1. Le renoncement a soi 2. Porter la croix comme le sommet du renoncement a soi 3. La meditation de la vie future. 4. Le droit usage des biens terrestres. D`apres le reformateur de Geneve, la vie chretienne se rattache a la communication haute et mystique que le chretien a avec Jesus-Christ, a la presence de Dieu dans toutes ses affaires. L`Evangile, l`union avec Christ en tant que son actualisation, celles-ci se retrouvent dans la capacite transformant la vie chretienne. Parce que chez Calvin l`Evangile n`est pas une doctrine de langue mais de vie.

      • KCI등재

        칼뱅의 소명론 : 활동하는 하나님, 활동하는 인간

        김선권 ( Kim Sun Kwon )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2 No.-

        칼뱅의 하나님은 “한가한 하나님”(Deus otiosus)이 아니라 “활동하는 하나님”(Deus vivus)이다. 일은 하나님을 닮는 행동이기에,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소명이 필수적이다. 소명은 하나님이 정한 한계를 넘게 하는 야심을 제거한다. 소명을 의식하는 것 자체가 피조성을 상기시킨다. 한계를 인식하고 주님이 세운 테두리를 존중한다. 칼뱅이 주장하는 소명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신자로의 부름, 둘째, 직분으로의 부름, 셋째, 직업으로의 부름이다. 선택은 부르심을 통해서 확정된다. 부르심은 외적 부르심과 내적 부르심으로 구별된다. 즉 칼뱅은 객관적 부르심과 주관적 부르심을 구별하면서도 둘다 강조한다. 외적 부르심이 내적 부르심이 되게 하는 데 있어서 성령의 조명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은 성령을 통해서 신자들을 능력 있게 효과적으로 부르신다. 신자로의 부르심은 교회로의 부르심과 연결된다. 직분은 은혜의 분량에 따라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는 목적을 가지며 이러한 소명은 상호보완적이다. 합법적이며 질서 있는 직분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는 내적 소명을 확인하고, 교회를 통한 외적 소명을 받는다. 신자는 그리스도인과 교회로 부르심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삶의 터전인 세상 속으로 부르심을 받는다. 직업에는 위계질서가 존재하지 않고 모든 직업은 하나님 앞에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 어떤 조건에서든 그리스도인으로 부르신 그 부르심에 따라 사는 삶의 태도와 방식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다. 그리스도인은 세상을 부정(경멸)하면서 긍정한다. 세상 경멸은 세상을 변혁시키기 위함이다. 세상 한 복판에서 소명을 이루며 산다. 세상으로의 소명의 목적은 공적유익과 타인을 섬김,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직업에 신적 부르심이 있다는 것이 직업이 선험적으로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나 변경 불가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요구에 대한 책임 있는 응답을 하는 그리스도에게는 어떤 직업이든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하다. 소명을 의식하는 만큼 소명을 분별할 줄 아는것도 필요하다. 소명을 분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타자를 위한 섬김 2) 개인적 동기화 3) 객관적 능력 4) 하나님의 안내와 인도를 받음이다. Calvin’s God is not “otiose God”(Deus otiosus) but the “active God”(Deus vivus). As work is a behavior that resembles God, calling from God is essential. The vocation eliminates the ambition for a believer to go beyond the limits set by God. The recognition of God’s calling reminds us of our creation. A believer must act according to the limit and respect the boundary which is established by the Lord. There are three kinds of vocation that Calvin has claimed. The first is a call to be a believer, the second is a call to Church office and the third is a call to work. The election(first) is determined by calls. The calls can be distinguished by external vocation and internal vocation. Calvin distinguish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voca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both. The illumination of the Holy Spirit is essential in making an external vocation to be an inner vocation. God calls believers competently and effectively through the Holy Spirit. The vocation to be a believer is linked to a vocation to church. The Offices of believers have a purpose of building up a body of Christ according to the measure of given grace. These callings are complementary. To keep an office loyally and in order, one should above all confirm its internal vocation, then will receive an external vocation through Church. Believers are called not only to be christians and to churches, but also called to the world which is their place of living. Before God, there is no hierarchy of occupation and every occupation has equal value. Under any condition, the attitude and the manner of a life according to the call as a Christian pleases God. Christians affirm the world while denying it. They deny the world with the purpose of its transformation. They live in the middle of the world, achieving their vocation. The purpose of the calling to the world is in public benefits, serving the others, and ultimately in the glory of God. That the call to a job is divine doesn’t mean that the job is intrinsically a prior or unalterable. Instead, the believers can have free choices of any job when they make responsible responses for God's demands. It is also essential to discern the calling, just as being conscious about the vocation. The standards to discern the vocation are as follows: 1. Service for others, 2. Personal motivation, 3. Objective ability, 4. Receiving guidance and lead from God.

      • KCI등재후보

        칼뱅의 교회론과 설교 -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중심으로-

        김선권 ( Sun Kwon Kim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4 조직신학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칼뱅의 교회론과 설교를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관점에서 조명하며 칼뱅의 교회론과 설교의 특징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둘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무엇보다도 칼뱅에게서 교회는 단순한 제도와 기관 혹은 일반 사람들의 모임이 아닌, 신적 피조물로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신비와 성도의 교제를 담아내는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이다. 우리 시대는 교회를 세속 집단들이 추구하는 것처럼 효율, 조직, 행정 등 과도하게 인간적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지만 교회의 본질은 그리스도와의 연합 안에서 나타나는 영적 신비를 담아내는 데 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며, 이 몸의 지체는 성도 각 지체들이며, 지체들의 머리는 그리스도이다. 교회의 본질은 언제나 그리스도 그 자신과의 올바른 관계성 안에서 발견된다. 교회는 하나님의 선택에 기초해서 어머니로서 그의 역할을 담당하고,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실현한다.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인 성도들은 서로 교제하면서 교회를 세운다. 즉 성도의 교제의 목적은 교회를 세움, 성도들을 자라게 함에 있다. 이 교제는 영적 교제와 물질적 교제를 포괄한다. 교회의 교회됨은 말씀과 성례전에 있다. 이 중 말씀은 하나님께서 그의 교회를 세우고, 강화시키고, 붙드는 은혜의 본질적 수단이다. 이 연구는 설교의 주체, 설교의 필요성, 설교가 하나님 말씀이 되는 이유 등을 함께 연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Calvin`s ecclesiology and preaching from the perspective of union with Christ and to explore the features of Calvin`s ecclesiology and pr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bove all, for Calvin, the Church is not a mere system, an institution, or the general public. Rather, the Church as God`s creation is the mystical Body of Christ that holds both the mystery of Christian unity of Christ and of the communion of saints. Today the Church tends to be evaluated on the basis of efficiency,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just as secular organizations are. However, the nature of the Church consists in the mystical union with Christ. The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whose members are the saints. Christ is their head. The nature of the Church is always found in the right relationship with Christ. Based on divine election, the Church plays a maternal role and realizes the union with Christ. The saints, who are members of the Body of Christ, build up the Church through communion. That is, the purpose of the communion of saints is the edification of theChurch and spiritual growth of saints. This communion includes not only spiritual but also material communion. The marks of the true Church are the Word of God and sacraments. The Word of God is the essential means of grace that builds up, strengthens, and supports the Church. This study will also explore subjects of and the need for preaching and how preaching becomes the Word of God, etc.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신사도운동의 영성

        김선권 ( Sun Kwon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8 No.-

        우리는 본고에서 ‘영성’과 ‘개혁주의’라는 용어를 먼저 정의하고, 신사도운동에 대한 역사(歷史)를 간략하게 기술한 뒤에, 신사도운동의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신사도 개혁 운동’(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은 1906년 미국 아주사 부흥(Azusa Rivival)을 기점으로 시작된 ‘늦은비의 새 질서’(New Order of the Latter Rain) 운동을 거쳐 ‘빈야드 운동’ (Vineyard Movement)에 이른다. 빈야드 운동은 1990년대 중반에 토론 토와 플로리다 펜서콜라를 중심으로 다시 크게 일어났다. 1994년부터 존 아놋(John Arnott)은 토론토공항교회(Toronto Airport Christian Fellowship)를 중심으로 소위 ‘토론토 블레싱’(Toronto Blessing) 또는 ‘거룩한 웃음 운동’(Holy Laughter Movement)을 일으켰다. 이 운동은 성령세례로서의 은사 운동에서 시작하여 치유 운동과 예언 운동 및 이적과 기적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 운동은 외국의 신사도운동가들이 한국교회와 각종 집회에 강사로 초청되거나 한국교회의 목회자나 평신도가 현지에 직접 방문하여 영향을 받아 다시 귀국하여 한국에 영향을 미치거나 책이나 인터넷 등의 매체들을 통하여 전파되었다. 비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일반 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근본적인 차이점을 가진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졌고, 그리스도 안에서 보존되고 확증되었으며,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 복음 안에서 열매를 맺는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열려진 참 인간적인 삶의 능력인데, 우리의 인생관, 가치관, 행복관의 인식과 관계되며, 그와 같은 실천 가운데서 감격, 감사, 기쁨, 평안을 누릴 수 있는 능력과 관계된다. 개혁교회의 ‘경건’(pietas) 또는 영성의 본질은 성령의 감동을 통해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응답인데,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서 인간은 자신의 가장 깊은 본질 안에서 그리고 자신의 삶의 모든 차원 안에서 하나님 앞에 서게 된다. 우리가 본고에서 정의한 ‘개혁주의’ 또는 ‘개혁적’(reformed; reformiert; 네덜란드어로 gereformeerd 또는 hervormd)이라는 일차적 의미는 ‘역사적(歷史的) 개혁신학(改革神學)’ 전통이며, 역사적 개혁신학 전통은 세계 도처에 ‘개혁교회’(the Reformed churches)와 ‘장로교회’(the Presbyterian churches)라는 이름으로 약 500년 동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우리는 신사도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첫째, 신사도운동의 사도직과 선지자직의 역사적(歷史的) 회복의 영성은 역사적(歷史的) 보편 기독교회의 권위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둘째, 신사도운동의 ‘직통계시’의 영성은 하나님의 말씀과 계시로서의 정경(正經)의 절대성을 완전히 파괴하는 결과를 낳는다. 셋째, 신사도운동의 비성경적 성령론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비정상적, 비윤리적 삶을 초래케 한다. 넷째, 신사도운동의 잘못된 구원과 선교 방법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구원관과 선교관을 오도(誤導)한다. 다섯째, 신사도운동의 신학과 성경에 대한 몰이해는 교회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반(反)신학적, 비성경적 사고로 유도(誘導)한다. 여섯째, 신사도운동의 문제된 은사, 기도, 선교 운동으로부터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성경에 기초한 올바른 은사 운동, 올바른 기도 운동, 올바른 선교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역사적 큰 책임감을 갖게 된다. 신사도운동의 영성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를 통해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유익을 얻었다. 하나는 신사도운동의 영성과 신학이 개혁교회의 신앙과 신학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라는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 교회는 자신의 영성과 신학의 취약한 부분을 뒤돌아 보아야한다는 사실이다. “개혁된 교회(개혁교회)는 항상 개혁하는 교회”(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라는 신앙과 신학의 주요 원리와 정체성을 우리는 계속 실천해야 할 것이다. 개혁교회는 만왕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말씀과 그의 성령을 통해서 우리를 항상 다스리시도록 끊임없이 기도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spirituality of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The term ‘Reformed’ as a designation for a denomination or family of churches is a late-Reformation development. In the 1560s, the word came to be used on the continent in a somewhat official way, but it was almost an equivalent of ‘Protestant’ or ‘Evangelical’ and included Lutherans as well as those churches affiliated with Zwingli or Calvin. It was only after 1590 that a distinction came to be made between Lutherans and Reformed. ‘Reformed’ subsequently came to be used of almost all the Calvinist Churches on the Continent. A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that accepts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the prophets in Old Testament and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rejects the authority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es in the history. We see the rapidly increasing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the Korean churches, where the reality of the Holy Spirit is often sought in the emotional, individualistic, and extravagant. But we disagree with the opinion that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discontinue the churches in our days. We have to recover together some badly neglected gifts of the Holy Spirit. Only when we earnestly desire the spiritual gifts, God will grant us the solution of many problems with which we now wrestle.

      • KCI등재

        칼뱅의 교회정치 체제 및 교회법에 대한 연구

        김선권 ( Kim Sun-kwon ) 한국조직신학회 2017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7 No.-

        이 논문의 목적은 칼뱅이 말하는 교회정치 체제 및 교회법을 살피고 그것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있다. 칼뱅의 교회정치 체제 및 교회법은 그의 교회론에 근거한다. 칼뱅은 목회 활동 전에는 비가시적 교회를, 목회 활동을 하면서부터는 가시적 교회를 강조한다. 칼뱅이 강조하는 교회의 정치 체제는 목사, 교사, 장로, 집사라는 네 직분론의 형태로 나타난다. 주님의 대리적 사역의 도구로서의 기능을 하는 직분이다. 모든 직분은 동등하며 직분 간의 서열은 존재하지 않는다. 네 가지 직분론의 확립은 성직자 중심의 교회에서 목회자와 평신도의 공동 책임이라는 교회의 권력과 사역의 분배의 한 시도이다. 교회법은 구원을 위해서가 아니라, 교회의 질서 유지를 위함이다. 칼뱅은 교회법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명료 해야 함을, 그것의 목적은 교회를 세움에 있음을 천명한다. 칼뱅의 교회정치 체제와 교회법은 향후 개혁정신을 계속해서 이어받은 유럽 대륙의 개혁교회와 미국의 장로교회의 교회정치와 교회법의 기틀을 마련해 주었다. Cet article concerne le systeme politique de l`Eglise et le droit canonique pour Calvin. Son systeme politique ecclesiastique et son droit canonique se fondent sur son ecclesiologie. La parole de Dieu apparait comme triple forme: la parole audible, la parole visible, et la parole agissante. Avant le ministere pastoral, Calvin insiste sur l`Eglise invisible, par contre en le commencant, il souligne l`Eglise visible. Les ministeres ecclesiastiques apparaissent comme quatre ministeres : le pasteur, le docteur, l`ancien et le diacre. Dieu use du service des hommes. Le ministere de l`Eglise fonctionne comme divin lieutenant. Pour notre Reformateur tous les ministeres sont egaux. Il n`y a pas de la hierarchique parmi eux. Pour lui la constitution ecclesiastique ne vise pas le salut, mais la maintenant de l`ordre de l`Eglise. Calvin n`aime pas la constitution ecclesiastique complexe. sa constitution ecclesiastique a pour but l`edification de l`Eglise. Pour ce point, elle doit etre claire et con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