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조어 분석을 통한 소비 트렌드의 탐색적 연구

        이준영,이제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4

        신조어는 현대의 급변하는 사회와 문화의 단면을 반영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에 의해 수용되고 확대․재생산 된 다. 따라서 신조어를 통해 현대 사회의 소비문화와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 국어원의 ‘신어 조사 보고서’와 인터넷 포털의 뉴스 검색을 활용해 추출한 400개의 신조어를 대상으로 조사, 분 석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반한 질적 연구 소프트웨어 N-vivo 9.0에 자료를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 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한 신조어는 내용분석과정을 통해 총 34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한 뒤 수집된 자료를 분류․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10개의 상위 키워드(경제 불황 대처, 사회갈등․위화감, 남과 여, 행복․공동체, 신(新) 소비자군, 패러독스, 취미오락, 신(新) 소비문화, 외모지상주의, IT 하이테크)로 범주화하였다. 키워드 분류를 통해 현대의 경제 불황 상황을 반영한 신조어, 개개인의 불안한 심리를 표현한 신조어, 새롭게 부상하는 소비자 집단과 소비 문화와 관련된 신조어 등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둘째, 신조어의 의미와 양상을 파악하는데 있어 촉발 요인(trigger point)을 조사하였다. 신조어의 트리거 포 인트를 통해 특정 트렌드에 대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정책’, ‘방 송․보도’, ‘문화․예능’, ‘사건사고’, ‘주요 이벤트’, ‘계절과 시즌’등 여섯 가지 상황적 요인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촉발시키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신조어는 언어의 일종이지만 소비자들이 취사선택하는 일종의 상품이며 트렌드로 나타났다. 대중 소비자들의 공감과 관심을 얻은 신조어들은 계속해서 소비자를 통해 사용되고 있었다. 신조어 분석을 통해 현재 우리 사회의 주요한 이슈와 소비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었다. Neologisms reflect a portion of our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culture, and it is accepted, expanded, and reproduced by consumers. For this reason,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culture and trend of the current society through neologisms. In this study, 400 neologisms extracted by using the “Neologism Survey Report”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earching the news on Internet portals were targeted for further observation and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coding the data with grounded theory-based qualitative research software N-vivo 9.0.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and classification process of the analyzed neologisms, a total of 34 sub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rough the factorization and classification process of gathered data, 10 superordinate keywords(coping with economic recession, social conflict, disharmony, men and women, happiness, community, new consumer group, paradox, hobby and entertainment, consumption culture, appearance-oriented views, IT high-tech)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keywords, various types of neologisms were presented such as neologisms that reflect the modern situation of economic recession, neologisms that reveal the psychological instability of individuals, and the consumer groups and cultures that are newly emerging. Second, the trigger point was observe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aspect of neologisms. Through the trigger point, the reason behind consumers’ interest in specific trend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interest of consumers were being triggered by neologisms in six types of situational factors, which are “government policies,” “broadcasting/press,” “culture/entertainment,” “incidents,” “major events,” and “seasons.” In conclusion, although neologisms are a type of language, they were founded to be a type of product and trend that are adopted or rejected by consumers. Neologisms that gain the empathy and interest of general consumers were being continuously used by consumers. Neologisms can be used as a key factor that can analyze the issues and consumptions trends of our current society.

      • KCI등재

        빅데이터분석기법 인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관광분야 연구트렌드 분석: 관광연구저널을 중심으로

        김학준,박수진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1

        국내 관광학 분야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관광연구저널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한국연구재단에 게재한2004년부터 2017년까지 관광연구저널 연구논문의 연구 트렌드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하였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관광연구저널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언어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시각화해서 연구의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관광연구저널의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연구는 ‘관광’, ‘서비스’, ‘만족’, ‘만족도’, ‘동기’ 등의 핵심어를 통해 연구가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관광연구저널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언어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시각화해서 연구의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관광연구저널의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연구는 ‘만족’, ‘관광’, ‘서비스’, ‘의도’, ‘만족도’ 등의 핵심어를 통해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관광연구저널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언어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시각화해서 연구의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관광연구저널의2013년부터 2017년까지 연구는 ‘만족’, ‘가치’, ‘충성도’, ‘고객’, ‘서비스’ 등의 핵심어를 통해 연구가 진행되었음을알 수 있었다. 기간별로 연구트렌드를 비교해 보면, 2004년부터 2008년까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2014년부터2017년까지 세 기간에 걸쳐 공통적인 연구 트렌드는 ‘만족’, ‘서비스’의 핵심어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기간별 차이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연구는 다른 기간에 비해 ‘동기’의 연구가 진행되었고, 2009년부터 2013 년까지는 ‘의도’의 연구가 진행되었고, 2014년부터 2017년은 ‘가치’, ‘충성도’, ‘고객’의 핵심어를 중심으로 연구가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언어네트워크분석의 객관성 문제라 할 수 있는, 핵심어의 유사어 통합과정에서 필자의 주관적 판단이 문제 될 수 있으며, 이것은 향후 연구에서 이 분야 전문가들의 합의 또는 논의에 의해진행한다면 점 더 객관적인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2024 대한민국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 인식조사 : 학계와 산업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어보다

        신하진,안현철,김태경,이정 한국경영정보학회 2024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6 No.1

        본 연구는 한국의 디지털 비즈니스 환경을 분석하여 2024년에 주목할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를 예측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외 ICT 시장 전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객관적이고 심도 있는 분석을 제공한다. 특히, 다차원적인 접근을 통해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트렌드를 도출하였으며,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 적응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 과정에서 국내외 주요 시장조사기관의 보고서를 수집 및 분석하여 초기에 20개의 예비 후보 트렌드를 도출했다. 이후 산업계 및 학계 전문가 10명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 20개 트렌드와 전년도에 선정된 10대 트렌드 중에서 총 15개의 최종 후보 트렌드를 선별했다. 마지막 단계로,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 209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2024년 주목해야 할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 11개를 선정했다. 이처럼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과학적으로 수렴된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국내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 전망을 제시한 본 연구는 한국의 IT 트렌드를 비즈니스 관점에서 이해하고 국제적인 트렌드와의 차이를 이해하는 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gital business environment in Korea and predicts the digital business trends to be noted in 2024. The study comprehensively reviews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CT market outlook and provides objective and in-depth analysis by compiling opinions from various experts. In particular, throug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t derives practical trends applicable to the local business environment,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business in Korea, and suggests directions for Korean companies to adapt to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and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During the research process, 20 preliminary candidate trends were initially identifi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reports from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research institutes. We the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experts from industry and academia to select 15 shortlisted trends from these 20 trends and 10 trends selected from the previous year. Finally, we conducted a large-scale survey of 209 experts from academia and industry, and we selected 11 domestic digital business trends to focus on in 2024. This study, which presents an outlook of digital business trends suitable for the Korean business environment based on a variety of opinions scientifically gathered from Korean digital business leaders,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IT trends in Korea from a business perspective and their differences from global trends.

      • 마음 챙김의 커뮤니케이션학 적용: 토픽모델링을 통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이은순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2

        복잡한 사회 환경에서 다양한 정서적 문제를 겪는 현대인들은 정체성에 대한 조정과 성찰이 필요하다. 마음챙김 명상은 불안과 변화의 사회에서 인간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근본적 대안 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마음챙김 명상은 과학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심신질 병 치유와 예방, 기업의 효율성 및 직원복지 차원에서 활발하게 도입되었다. 마음챙김이란 ‘의 식적으로 현재의 순간에 무비판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정의 되며(Kabat-Zin, 1992; 1995), 마음챙김 명상을 임상적으로 적용한 ‘마음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완 화’(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프로그램을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 학계에서는 명상의 사회적 트렌드 및 효용에 대한 학문적 접근 을 시도하지 않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을 융합연구로서 커뮤니케이션학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명상을 커뮤니케이션학에 도입하고 문화와 사회 트렌드로서의 명상의 함의를 문헌연구와 국내연구의 트렌드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데 있다. 국내의 문헌고 찰을 통해 마음챙김이 어떻게 연구되었는지 살피기 위해 토픽모델링을 활용하고, 이어 커뮤니 케이션 영역에서 어떻게 확장 적용 될 수 있는지를 파악해 보았다. 기존에는 트렌드 분석을 위해 문헌조사 또는 전문가 평가와 같은 정성적인 연구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본 연구에 서는 객관적 분석을 위해 국내 학술 논문에 대하여 토픽분석을 포함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 였다. 마음챙김 주제어를 Web of Science에서 제공하는 분류체계로 분석하여 1992년부터 2021년까지 KCI DB에 개재된 논문을 살펴보았고 웹 크롤링한 총 논문수는 764건이었다. 분 석결과, 결과 국내에서 마음챙김은 2004년 이후 연구가 점차 활발하게 진행되어 2015년 부터 본격적으로 다양한 연구분야로 확장되어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중 심리과학영역 논문이 233건으로 27%를 점유하고 있었다. 특히 커뮤니케이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한국심리학회 지 건강분야의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 이어 스트레스 연구, 인문사회연구, 청소년학 연구 및 상담과 교육영역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융합연구로서 커뮤 니케이션학의 주제발굴 차원에서 인접 관련 연구 분야의 핵심 토픽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으로 연구의 키워드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구 영역의 확장 가능성 을 살펴보았고, 텍스트마이닝이 연구자들이 문헌연구에 있어 정성적인 자료를 보조하는 정량 적인 자료 분석 방법으로 활발히 사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내학술논문을 통해 살펴 본 연극의 교육성관련 연구 동향

        김수연 ( Kim Su-you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연극의 교육성에 관한 현장과 학계의 관심은 나날이 높아져 가고 있다. 연극의 교육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시점인 1990년대 중 후반부터 현재까지 매년 관련 연구논문의 수는 증가하고 있고 점차 다양화된 주제와 형태를 가진 연구들을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그간 연극의 교육성 관련 연구사를 정리하는 것은 그 동안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고는 1990년대부터 2017년 4월까지 KCI 등재지를 통해 소개된 연극의 교육성 관련 연구 동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자와 현장 전문가의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특별히 한국에서 생산되어 널리 쓰이고 있는 연극교육, 교육연극, 연극놀이라는 용어를 정리하였다. 각 년대별 연구대상연령, 연구형태, 연구주제와 발표 수를 살펴보며 도입기, 팽창기, 정착기로 명명할 수 있었고 전체적으로 국내 관련 연구는 실용적, 융합적, 현장적 성향을 가지며 지금까지는 초등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대적 요구와 맞물려 실용적, 융합적, 현장적 연구 성향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 발전을 위해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이 분야가 높은 연극과 교육적 식견을 요구하는 전문 분야라는 인식의 확산이다. 관련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연극과 교육적인 전문성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고 부족하다면 관련 전문가와 협업하거나 감수를 의뢰하는 등의 보완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A number of studies on the educational influence of drama and theatre have increased since the 1990s in South Korea. These days, more Korean researchers seem to have recognised the educational influence of drama and theatre than before. At this time, it is meaningful to look into how the domestic trend of studies has changed and developed over the past thirty years. This paper especially adopted a bibliometric method to analyse the trend by time of studies from the late 1990s to 2017. In addition, target age, research topic and research approach of each study were investigated. Some of terminologies particularly used in South Korea were also defined to help young researchers’ understanding in this paper. In detail, the total number of studies for the last thirty years is 225 and the first domestic study on the educational power of drama and theatre was published in 1994. In the 2000s, there was quantitative expans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studies and topics. Eventually pragmatic and integrated features of the studies were found in the 2010s. It is anticipated that the pragmatic and integrated features of the studies will be stimulated to fit into the need of the time. Until now, the most fevered research target age was mainly primary school students. However, it would be possible to widen a target age range in the future. It should be considered having collaboration among researchers who have different expertises for conducting higher quality studies.

      • KCI등재

        우리나라 공연문화 연구동향의 의미연결망 분석

        황동열 ( Dong-ryul Hwang ),권예지 ( Yae-ji Kw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공연문화분야의 학문적 정체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공연분야 연구의 대표적 학회지인 한국공연문화학회에서 발행하는 <공연문화연구>에 수록된 45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공연문화분야의 연구동향과 추세를 분석하였다. 세부연구과제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명을 대상으로 <고전희곡연구>에서 <공연문화연구>로 제호변경 전후의 연구수요 변화현상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2005년부터 2017년까지<공연문화연구>의 논문명, 주제어, 초록을 대상으로 <공연문화연구>의 시기별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공연문화분야의 변화현상을 파악하고 미래예측을 통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academic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and to grasp the trend of th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related papers based on 455 whole articles in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by the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Association from 2000 to 2017. Through this research, the trends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in the period of time were identified, and the phenomenon of the performance culture field an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립 컬러 분석 및 유행색상과의 비교 · 분석

        이정의(Lee, Jeonge Ui),김은실(Kim, Eun Si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립스틱 컬러를 분석하여 컬러 트렌드와 비교 · 분석해 봄으로써, 컬렉션에 적용된 립스틱 컬러를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향후 립스틱 컬러 트렌드의 경향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 범위로는 2011 S/S부터 2015년 F/W까지 컬러트렌드 및 패션 컬렉션을 분석하고자 하며, 특히 총 10개의 시즌인 패션 컬렉션은 파리 오뜨꾸띄르(Haute couture) 컬렉션을 중심으로 살펴보되, 「Mode et Mode」지에 수록되어 있는 오뜨꾸띄르 대표 디자이너 총 6인의 작품인 최종 총 77장의 작품사진을 중심으로 립스틱 컬러를 분석하였다. 이때 사진자료는 전문가 3인(박사학위 전공자)의 1, 2차에 걸쳐 립스틱의 색상이 유색으로 인정되는 사진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때 한 디자이너의 동일 시즌 내에서 동일한 모델의 메이크업이 중복된 사진은 제외하였음을 밝혀둔다. 연구 방법으로는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립스틱 컬러를 분석하는데 있어 먼셀(Munsell)의 색체계를 활용하고, 컬러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색채 연구소인 팬톤(Pantone) 연구소의 이 시즌의 유행색 발표 자료를 근거로 유행색을 활용하였다. 또한 컬렉션 립스틱 색상 분석을 위해 먼셀의 색체계를 활용하되, 팬톤 연구소에서 발표한 관용색명의 색을 먼셀의 색체계 표시방법으로 변환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난 립스틱 컬러는 2011S/S부터 2015F/W 까지 패션 컬렉션의 립스틱 컬러와 트렌드 컬러를 비교분석한 결과, 트렌드 컬러에 영향을 받아 립스틱 컬러가 유행되고는 있었으나, 모든 트렌드 컬러가 립스틱에 반영되지는 않았고, 시즌별로 두드러진 립스틱 유행색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11S/S 시즌에는 YR계열과 RP계열이, 2011 F/W 시즌에는 R계열, RP계열, 2012 S/S 시즌에는 R계열, 2012 F/W 시즌에는 YR계열 RP계열, 2013 S/S 시즌에는 YR계열과 R계열, 2013 F/W 시즌에는 YR계열과 R계열, 2014 S/S 시즌에는 R계열과 M계열, 2014 F/W시즌에는 YR계열과 R계열, 2015S/S 시즌에는 R계열과 YR계열, 2014 F/W시즌에는 YR계열과 RP계열이 립스틱 색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알수 있었으며, 이러한 색상은 팬톤에서 발표한 색상계열과 일치하며, 같은 색상이면서 톤의 변화를 보이면서 립스틱 색상으로 선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 of lipstick color used in collec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lipstick colors used in fashion collections, and predict a future trend of lipstick color. Color trends and fashion collections from 2011 S/S to 2015 F/W were selected to analyze for this study and especially, Haute couture collections in Paris were mainly chosen for fashion collection with total 10 seasons and final 77 collection photographs by total 6 top designers, who are listed in 「Mode et Mode」 magazine, of Haute couture were selected for lipstick color analysis. For photograph data, 3 experts with doctor degrees were participated in selecting photographs approved as a colored lipstick through first and second process for analyzing and duplicated pictures used within one season of a designer were excluded. Color system by Munsell was used as a study method, to analyze lipstick colors used in fashion collections and the popular colors of the season, which are shown in the data from Pantone, where is an international color research center, were used to analyze color trend. Moreover, this study is going to compare and analyze color name of usage represented by Pantone as it is transformed to the color order system by Munsell for analyzing lipstick colors used in collection. The study results are describ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comparison and analysis of lipstick colors used in fashion collections from 2011 S/S to 2015 F/W, some colors are became popular with the color trend effect, however, not all of trend colors is us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pecific popular lipstick colors for each season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YR and RP hue for 2011 S/S season, R and RP hue for 2011 S/S, R hue for 2012 S/S, YR and RP hue for 2012 F/W, YR and R hue for 2013 S/S, YR and R hue for 2013 F/W season, R and M hue for 2014 S/S season, YR and R hue for 2014 F/W season, R and YR hue for 2015 S/S season, and YR and RP hue for 2014 F/W season were popularly used for lipstick colors and these colors are identical with the color hues represented by Pantone and as they are same colors, they are diverse in color tones at the same time and these colors have been chosen for lipstick color.

      • KCI등재

        학제간 융합연구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

        노영희 ( Younghee Noh ),박종희 ( Jonghee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현대 학문분야는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융합적으로 해결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수행된 학제간 융합연구와 관련된 연구들을 대상으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제간 융합연구지원사업 1557개의 선정년도, 연구책임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수행된 학제간의 연구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융합 연구 발전에 기여를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2015년에 238개의 연구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A 연구책임자가 8개로 가장 많은 연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제간 융합연구지원사업 중에서 NTIS(국가과학기술지식서비스), KRM(기초학문자료센터)에 등록된 자료 중에서 505개를 추출하여 선정년도, 연구수행기관, 지역, 연구비, 연구기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간별 분석에서 2009년부터 2020년 사이에는 2014년에 74(15%) 개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제간 융합연구와 관련된 연구들이 각 지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학제 간 융합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트렌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융합연구들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odern academic fields are actively attempting to solve complex social problems in an academic convergence. In this study, cases were examined o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ies and related studies conducted from 2009 to 2020. To do this, 1,557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pport projects were selected an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the year of selection and the person in charge of research.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research by examining the cases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ies conducted. As a result , 238 studies were conducted in 2015, with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and It was found that A the research director, conducted the most research with eight. Among the data registered in NTIS and KRM, 505 data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support projects were extracted and then the year of selection, research institution, region, research fund, and research period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74 (15%) studies were conducted the most in 2014, in the analysis by period from 2009 to 2020. These results show that studies related to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various regions. Further more, by identifying the overall trend of convergence research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s convergence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의제 도출 연구

        박민수(Minsu Park),노영희(Younghee Noh)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의 관점에서 미래유망기술을 분석하여 메가트렌드, 트렌드, 이슈로 정리하여 미래 환경에 대한 예측과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에 대한 탐색을 수행하고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융합연구 의제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우선 다양한 미래 유망기술에 대해 언급한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핵심 키워드를 분석하였고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핵심키워드를 정리하여 트렌드를 유추하였다. 이어서 유추된 트렌드를 계층화하여 정리하고 핵심트렌드와 파생트렌드로 분류하여 이를 바탕으로 융합연구 의제(어젠다)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해당 의제의 필요성, 혁신성, 융합성, 실현가능성, 미래지향성, 수용가능성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융합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가까운 미래에 실현가능한 기술로 일상생활과 밀접한 사회문제를 다루는 의제들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먼 미래에 실현가능한 기술이나 테러 혹은 국제적 분쟁과 같은 의제에 대해서는 다소 낮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research and arranged them into mega-trends, trends, and issues, to carry out predictions of the future environment and search for technologies that are expected to b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nd ultimately to achieve convergence research agenda that can predict various social problems. First,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mentioned about various promising technologies and analyzed them to analyze key words and summarize the most frequently used core key words to infer trends. Then, an agenda was drawn that emphasized connectivity with the humanities-based convergence research by stratifying and organizing the inferred trends and classifying them as core and derived trends. The necessity, innovation, convergence, feasibility, future-oriented, and acceptability of these derived agenda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The analysis showed that researchers conducting convergence research showed a high interest in agenda items that deal closely with daily life with feasible technologies in the near future, while they showed a rather low interest in issues such as technology that can be realized in the distant future, terrorism or international conflicts.

      • 국내 스트릿댄스 관련 트렌드 빅데이터 분석: 언론보도 및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1990년 – 2022년)

        최종환(Choi Jong-Hoan)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1

        본 논문에서는 국내 스트릿댄스 언론보도 및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트릿댄스 연구 동향 분석, 스트릿댄스 시대별 키워드 분석, 스트릿댄스 유형별 키워드 분석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198개의 논문자료와 18,710개의 뉴스 기사를 수집하였고, 파이썬과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도출된 스트릿댄스 연구 동향은 스트릿댄스 교육과 사회적 인식에 관한 부분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스트릿댄스의 언론보도 동향을 시대별로 살펴본 결과 1990년대 댄스 가수와 행사 활동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뤘으며, 2000년대에는 지역 행사와 대회 중심으로 보도가 이뤄졌다. 2010년대에 들어서며 국제적인 인지도가 상승하였고, 2020년대에는 스트릿댄서들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종합할 수 있었다. 스트릿댄스 유형별로는 미디어의 노출 빈도가 높을수록 해당 키워드를 대표하는 인물로 대중들에게 인식되며, 케이팝 가수들의 스트릿댄스 안무 동작 사용으로 인해 대중문화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또한, 청소년 문화와 연관하여 발전하였으며, 스트릿댄스 유형 중 비보잉이 가장 높은 빈도로 다른 유형에 영향력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트릿댄스 연구에 필요한 정량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1990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스트릿댄스 33년사를 시각화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가진다. In this paper, big data analysis using text mining was conducted, focusing on domestic street dance media reports and research trends. In this study, analysis of domestic street dance research trends, keyword analysis by street dance era, and keyword analysis by street dance type were set as research questions. 198 thesis data and 18,710 news articles were collected for big data analysis, and data preprocessing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Python and BigKinds. The trend of street dance research derived from the analyzed results was centered on street dance education and social percep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 coverage trend of street dance by era, the content of dance singers and event activities in the 1990s was mainly focused on local events and competitions in the 2000s. In the 2010s, international recognition increased, and in the 2020s, street dancers became popular. By type of street dance, the higher the frequency of media exposure, the more recognized by the public as a representative of the keyword, and it is closely correlated with popular culture due to the use of street dance choreography by K-pop singers. In addition, it was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youth culture, and it was confirmed that B-boying had the highest frequency among street dance types and influenced other types.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quantitative basic data necessary for street dance research and visualized the 33-year history of Korean street dance from 1990 to 2022 through big data analysis using text m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