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용무용 공연 관람객의 경험가치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람몰입, 관람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김찬희(Kim Chan-Hee)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실용무용 공연 관람객의 재관람의도를 높이기 위해 관객의 만족, 몰입, 재관람의도 형성에 기여하는 경험가치를 확인하고, 타 예술공연과 실용무용 공연 특성의 차이를 확인해 추후 실용무용 공연 기획 및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15세 이상 실용무용 공연 관람경험자 28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해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냈다. 첫째, 실용무용 공연 관람객의 경험가치는 재관람의도, 관람몰입,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실용무용 관람객의 경험가치와 재관람의도의 관계에서 관람몰입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실용무용 관람객의 경험가치와 재관람의도의 관계에서 관람만족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타 공연예술 관람객의 경험가치와 비교하였을 때, 실용무용 공연은 유희성을 중점으로 심미성을 가지며, 배움의 욕구 증진과 사회적 교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연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관객참여형 콘텐츠 확장과 실용무용 공연 지원사업 확보를 위한 대학, 학과 차원의 PD 육성 제도 마련을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perience value that contributes to the satisfaction, immersion, and re-watching intention of the audience to increase the re-watching intention of the audie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and production of practical dance performances in the future.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rough an online survey of 289 people aged 15 or older nationwide,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experience value of visitors to practical dance performa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watching intention, viewing immersion, and viewing satisfaction. Second, viewing immers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value of practical dance visitors and their intention to re-watch. Third, viewing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value of practical dance visitors and the intention to re-watch. Compared to the experience value of other performing arts visitors, practical dance performances can be seen as a performance that focuses on playfulness and improves the desire to learn and obtains the effect of social exchange. Therefore, it was suggested to prepare a system for fostering PDs at the university and department level to expand audience-participating content and secure practical dance performance support projects.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실용무용 교육 동향 분석 :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김이재(Kim Yi-Jae),이연주(Lee Yeon-Ju),최수진(Choi Su-Jin)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2

        본 논문에서는 실용무용 교육 시기별 키워드 분석, 실용무용 교육 동향 분석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빅카인즈를 통해 검색된 총 3,324건의 언론보도 기사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파이썬과 빅카인즈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실용무용 교육의 시기별 상위 5개 핵심 키워드를 통하여 실용무용 교육의 동향은 실용무용이라는 용어가 기사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실용무용 교육 1기를 제외하고 실용무용 교육 2기부터 실용무용 교육 4기까지의 주요 키워드는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2기는 실용무용 학과의 개설 및 학생 모집에 중점을 둔 언론보도 자료가 주로 확인되었고, 3기에는 2기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대회, 개최, 청소년’ 등의 키워드가 등장하면서 실용무용학부가 포함된 교육기관에서 교내 행사를 적극적으로 개최하고 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실용무용 교육기관의 행사에 대한 참여도가 급증하였다는 것을 확인했다. 4기에는 2기와 3기에서 등장하지 않았던 ‘운영, 꿈, 사업, 인재, 지원, 공연, 행사, 콘텐츠, 무대’ 등의 키워드가 등장한 것으로 보아 2020년대의 실용무용 교육은 단순한 강의식 교육이나 교내 행사에서 더 나아가 학위 취득 이후 학생들의 일자리 지원 및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역량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는 실용무용 교육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정량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33년간의 실용무용 교육의 주요 키워드를 시각화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가진다.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keywords by period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and trends in practical dance education. As a way to do this, a total of 3,324 media report articles searched through BigKin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data preprocessing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Python and BigKines. The top five key keywords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derived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keywords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were very similar, except for the first phase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which was not directly used in articles. In the fourth term, keywords such as "operation, dream, business, talent, support, performance, event, content, stage" that did not appear in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appeared, confirming that practical dance education in the 2020s is focused on educational capabilities that can help students support and find jobs after obtaining a degree.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quantitativ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flow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and visualizes major keywords of 33 years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using text mining.

      • 실용무용 전공자의 중도포기 문제에 대한 고찰

        박한솔(Park Han-Sol)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2

        본 연구는 실용무용 전공자의 중도포기 문제에 대한 경험을 탐구하고,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실용무용 중도포기 문제의 본질적 문제와 그 원인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다중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실용무용을 중도포기한 전공자 5명을 대상으로 실용무용 경험과 중도포기 문제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였다. 다음으로, 도출된 결과물을 토대로 실용무용 경험과 중도포기에 대한 문제와 원인을 논의함으로써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실용무용의 참여 경험은 ‘자존감 향상과 인정욕구’, ‘댄서로서 명성 제고’, ‘자유로움과 불규칙한 생활’, ‘직업의 부정적 인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용무용 전공자의 중도포기 문제 인식은 개인적 문제와 원인으로 ‘경제적 난고’, ‘진로와 취업의 형국’, ‘신체적 고통’, ‘타인에 대한 열등감’으로 나타났고, 조직적 문제와 원인으로는 ‘희박한 성공률’, ‘집단 내 구설수’로 나타났다. 사회·환경적 문제와 원인으로는 ‘댄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정책 및 재정적 지원 부족’, ‘인권 보호와 복지 부재’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논의된 본질적인 실용무용의 문제와 한계를 타파하고, 해결하기 위한 강구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실용무용의 발전과 성장을 꾀하기 위한 이론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실용무용 전공자의 중도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촉매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actical dance majors on the dropout problem, and to reflect the voice of the field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blem to examine the essential problem of the practical dance dropout problem and its causes. To this end, first, by applying the multi-case study method, 5 students who majored in practical dance who gave up on practical dance were explored for their practical danc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problem of giving up. Nex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ovided by discussing the problems and causes of practical dance experience and dropout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ractical dance was 'self-esteem improvement and enjoyment', 'reputation improvement as a dancer', 'freedom and irregular life', and 'negative perception of the job'. Second,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of giving up midway by practical dance majors was shown as 'economic difficulties', 'career and employment patterns', 'physical pain', and 'inferiority towards others' as personal problems and causes, and as organizational problems and causes It appeared as 'a rare success rate' and 'the number of rumors within the group'.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causes were identified as 'social awareness of dancers', 'lack of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and 'lack of human rights protection and welf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overcome and solve the essential problems and limitations of practical dance discuss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paradigm for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practical dance and serves as a catalyst to solve the problem of giving up on practical dance majors.

      • 대학 실용무용 전공자의 졸업 후 진로전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주현아(Joo Hyun-A)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2

        본 연구는 실용무용 전공자의 진로전환 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대학 실용무용과를 졸업한 20~30대 중 졸업 후 2년 이상이 된 자, 새로운 직업을 가진 기간이 최소 1년 이상인 자를 기준으로 총 7명을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진로 전환의 결정적 계기는 실용무용 진로 인식과 자신에게서 느낀 한계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진로전환 이후 정보와 지식의 부족, 낯선 업무에 대한 어려움을 겪었다. 주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스스로 학습하는 것으로 어려움을 해소했으며, 실용무용을 전공한 것이 전환한 직업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실용무용 전공 선택에 후회가 없으며 현재 전환한 직업에 만족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실용무용 전공생들의 진로 불안과 진로전환에 대한 상담적, 제도적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을 희망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areer change experience in practical dance majors in depth. To that end, the researchers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by selecting seven participants with these criteria: practical dance majors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with more than two years passing since they graduated from college and more than one year of working experience after a career transition. The finding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based on case analyses and analyses between cases: first, participants tend to change careers when faced with career awareness in practical dance and limitations themselves. Second, after switching careers, they have trouble asking for help with unfamiliar tasks and lack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y address the issue by asking for help from someone around them or learning by themselves. They also tend to think that their selection of their major is beneficial to a career change. Third, the participants tend not to regret choosing their major and be satisfied with their career transition. Implications can help improve understanding practical dance majors’ career anxiety and career transition regarding counseling and academic institutions.

      • 실용무용 코레오그래피 팀의 LMX(리더와 구성원의 교환관계)와 TMX(팀 구성원의 교환관계)가 팀 몰입 및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연주 한국실용무용학회 2024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2 No.1

        본 연구는 실용무용 코레오그래피 팀의 LMX(리더와 구성원의 교환관계)와 TMX(팀 구성원의 교환관계)가 팀 몰입 및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팀 경력에 따른 가설 경로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연, 방송, 교육, 대회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코레오그래피 팀에 소속되어 있거나 소속 경험이 있는 실용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249부를 최종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과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다중집단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LMX는 팀 몰입과 팀 성과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MX는 팀 몰입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팀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 경력에 따른 경로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사용되지 않았던 사회적 교환관계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실용무용 분야의 연구를 확장하고 효과적인 팀 관리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는 것에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relationships, specifically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Team-Member Exchange(TMX) within practical dance choreography teams, have on team commitment and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explore differences in hypothesis paths based on team experience.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individuals with experience in or affiliation with choreography teams operating for performance, broadcasting, education, or competitions. A total of 249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for the final result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AMOS 26.0 programs, employ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LMX positively influences both team commitment and performance. TMX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eam commitment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eam performance.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hs based on team exper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pplying social exchange theory not previously utilized in practical dance research, aim to extend research in the practical dance domain. They als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team management systems within the field of practical dance.

      • 실용무용 전문인력의 직무분석 연구

        서예일(Seo Ye-Il)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2

        실용무용 전공생들의 취업 장애 요인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취업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직업, 진로교육이 필요하다. 취업정보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직무가 수행되고 있는지 먼저 파악이 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 경영, 공연 3가지 분야로 나누어 직무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참여자와의 면담 중에 반복적으로 언급된 내용을 정리해보았을 때 3가지의 내용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지도법 교육의 필요성이다. 여기에서의 지도법은 도제식 교육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지도법과 지성, 인성적 면모를 갖춘 교육자 양성을 위한 윤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마인드 등의 교육 필요성을 의미한다. 둘째, 직업 소양을 기르기 위한 세분화된 교육과정의 필요성이다. 장르로 세분화한 교육도 좋지만 직업 교육을 통해 취업 장애 요인을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경력 증빙과 포트폴리오의 중요성이다. 교육 또는 경영분야로 종사하는 경우에는 재직증명서, 경력증명서 등의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지만, 공연분야의 경우에는 수상경력, 활동경력의 증빙체계가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공연분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이력을 증빙하고 무용 수행능력을 증명해야 하므로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줄 알아야 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e obstacles to employment for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dance,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is need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mployment information. In order to derive employment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what kind of job is being performed. Therefore, in this study, job analysis was attempted by dividing it into three areas: education, management, and performance. When summarizing the mentioned contents repetitively during the interview with participants, it can be classified with 3 cont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educate a teaching method. In this thesis, a teaching method means an education necessity of ethics, communication, and service mindset for growing instructors who has teaching methods, intelligence, and upright character that can cover weaknesses of apprenticeship education method. Second, an education curriculum subdivided for growing job skills is necessary. The education subdivided by genres is useful, but reducing employment obstacle factors through vocational education is the first. Third, proof of experience and portfolio are important. In the case of working in education or management fields, you can get issued documents such as certificate of employment and certificate of career, but in the case of performance field, there is a lack of proof system for award winning careers and activity careers.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own portfolio to work in the performance field because a dance ability need to be proved.

      • 스트릿 댄스 조기교육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현황 비교 연구

        정세빈 한국실용무용학회 2024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treet dance early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To this end, a total of 8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4 Korean participants and 4 Japanese participants based on those who have been working as street dancers for more than 10 years and those who have been teaching for more than 2 years from the age of 3 to 13.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about 2 months from September 2023 to November 2023. In Japan, there were restrictions between language barriers and movement at home and abroad, and various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used to obtain in-depth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ithout time constraints. Therefore, Japanes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by e-mail, non-face-to-face video interview(ZOOM), and face-to-face interviews, and the answers to the interview were translated through a professional translator.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ur major categories, 13 subcategories, and 54 subcategories were derived: 'Status of Early Street Danc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Early Street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and 'Development of Early Korean Street Danc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arly street dance education were found, and through this study, omparing early street dance education between countrie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Korean street dance education, such as expanding classes by age group, event sharing sites, and expanding street dance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스트릿 댄스 조기교육에 대하여 한국과 일본의 현황을 살펴보며, 국가 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인 내러티브 연구 기법으로 진행하였으며, 현재 10년 이상 스트릿 댄서로 활동하고 있는 자와 현재 3세~13세까지 2년이상 교육하고 있는 자를 기준으로 한국 참여자 4명, 일본 참여자 4명으로 총 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은 2023년 9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일본은 언어장벽과 국내 외 이동 간에 제약이 있었으며, 시간 제약 없이 참여자의 경험을 심도 있게 얻기 위하여 다양한 자료수집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일본 참여자는 이메일과 비대면 화상면 담(ZOOM), 대면면담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에 대한 답변은 전문적인 번역사를 통하여 번역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하여 ‘스트릿 댄스 조기교육 프로그램 현황’, ‘미디어의 발달’, ‘한국과 일본의 스트릿 댄스 조기교육의 차이점’, ‘한국스트릿 댄스 조기교육의 발전’으로 4개의 대분류와 13개의 중분류, 54개의 소분류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트릿 댄스 조기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국가 간의 스트릿 댄스 조기교육을 비교함으로써 연령대별 클래스확대, 행사 공유 사이트, 스트릿 댄스 교육 확대와 같이 한국 스트릿 댄스 조기교육 발전 방향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딥러닝 CNN 모델을 이용한 무용 전공별 이미지 분류 실험

        최종환(Choi Jong-Hoan)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2

        국내 대학 무용학과 전공 분류는 크게 발레, 실용무용, 한국무용, 현대무용 4가지로 나누어진다. 전공별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인공지능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무용 이미지를 전공별로 분류하는 합성곱 신경망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모델들의 성능을 비교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총 977개의 학습데이터를 훈련하여 CNN의 대표적인 모델 VGG 16, InceptionResNetV2, ResNet 50의 성능을 비교하였고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결과 CNN 모델에서는 InceptionResNetV2 모델이 71.43%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나, Inception ResNet V2 모델에서 과대적합 문제가 나타나 정확도 66.94%로 VGG16이 가장 안정적인 성능을 가진 모델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합성곱 신경망 기술을 적용하여 무용 전공별 이미지 분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major classification of dance departm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ballet, practical dance,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Reflecting cultural characteristics by major, the performance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s that classify dance images by major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algorithms is compared. In this paper, a total of 977 learning data collected over the Internet were train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CNN's representative models VGG 16, InceptionResNetV2, and ResNet 50, and the final resul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InceptionResNetV2 model showed the highest accuracy at 71.43%, but the InceptionResNetV2 model showed an overfitting problem, and the VGG16 was judged to be the most stable model with 66.94% accura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mage classification by dance major by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echnology.

      • 댄스IP와 춤 저작권의 개념에 대한 고찰

        김수인(Kim Su-In)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1

        이 연구는 Mnet에서 '댄스IP'라는 제목으로 제작한 대표 프로그램인 TV 시리즈 <스트릿 맨 파이터>(2022)를 중심으로 안무 저작물 및 표절 논란 사례를 살펴본다. 이론적 배경으로 무용의 저자성 개념을 해체하고 특정 맥락에서 그 의미를 비판적으로 파악한 문헌을 참고한다. 분석대상으로는 안무 공동창작 논란, 창작자 명칭 및 안무 모방 미션, 동작 표절 논란 등을 고찰한다. 이 연구는 비물질문화를 사적 재산으로 소유한다는 개념화의 전제를 분석함으로써 Mnet의 댄스IP는 무용의 저자성이 용해되는 것과 미디어 산업의 견고한 지식재산권을 대비시킨다고 제안한다. I discuss the cases of disputes over choreographic authorship and plagiarism around the television series Street Man Fighter (2022), a representative program produced by Mnet under the title of “Dance IP.” Referring to literature deconstructing the concept of the authorship of dance and critically grasp its meaning in a specific context, I investigate the controversy over co-creation of choreographies for application, title of creator of Street Man Fighter and missions to copy choreographies, and movement plagiarism dispute. By analyzing the premises underlying the conceptualization of owning immaterial culture as personal property, I suggest that Mnet's Dance IP contrasts the dissolving authorship of dance with the solid intellectual property of the media industry.

      • 스트릿 댄스 시장의 과제와 개선 방안 연구 :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우재, 나윤빈,문병순 한국실용무용학회 2024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2 No.1

        본 연구는 최근 미디어 등을 통해 주목받고 있는 스트릿 댄스의 주요 과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문헌조사와 더불어 관련 종사자 겸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스트릿 댄스 시장은 아직까지 제도적 미비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계약, 일자리, 법제도 측면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일자리 정보 공유, 의무적인 표준계약서 사용,법적 갈등에 대한 지원 등의 개선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향후 지속가능한 형태의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는 스트릿댄스의 허브 역할을 할 공적 협회의 설립 및 운영이 필요하다. This study looked at street dance, which has recently become popular through the media. The method was to identify major problems in the market and find ways to improve them. A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related workers and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omestic street dance market still had many institutional insufficiencies. This was divided by type into contracts, jobs, and legal system aspects. Here,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sharing job information, andatory use of standard contracts, and support for legal conflicts were found to be necessary. In addition, for future mid- to long-term 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public association that will serve as a hub for street 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