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공연문화 연구동향의 의미연결망 분석

        황동열 ( Dong-ryul Hwang ),권예지 ( Yae-ji Kw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공연문화분야의 학문적 정체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공연분야 연구의 대표적 학회지인 한국공연문화학회에서 발행하는 <공연문화연구>에 수록된 45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공연문화분야의 연구동향과 추세를 분석하였다. 세부연구과제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명을 대상으로 <고전희곡연구>에서 <공연문화연구>로 제호변경 전후의 연구수요 변화현상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2005년부터 2017년까지<공연문화연구>의 논문명, 주제어, 초록을 대상으로 <공연문화연구>의 시기별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공연문화분야의 변화현상을 파악하고 미래예측을 통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academic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and to grasp the trend of th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related papers based on 455 whole articles in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by the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Association from 2000 to 2017. Through this research, the trends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in the period of time were identified, and the phenomenon of the performance culture field an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일반논문 :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處容郞望海寺)」조 깊이 읽기 - 울산광역시 처용문화제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

        강석근 ( Seog Keun Ka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본고는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조를 보다 정치하게 읽고 그 의미를 새롭게 해석한 논문이다. 울산광역시 처용문화제추진위원회에서는 「처용랑망해사」조를 근거로 그동안 49회의 ‘처용문화제’를 개최해 왔지만, 처용의 정체성에 대한 각종 시비로 인하여, ‘처용문화제’는 자주 흔들려 왔다. 필자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새롭게 제시하기 위하여 「처용랑망해사」조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처용랑망해사」조에 나오는 포석정의 남산신, 금강령의 북악신, 동례전지신(地神)의 춤이 망국에 대한 경고였던 것처럼 <처용가>와 처용이 ‘춤추고 물러나는[唱歌作舞而退]’ 행위는 ‘체념과 관용’이 아니라 분명한 ‘위협과경고’였다. 망해사(望海寺)의 ‘망(望)’은 ‘보다’는 뜻이 아닌 ‘보름’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망해사는 ‘어둠에 막히고 미실(迷失)되었던 도로[雲霧冥열迷失道路]가 밝고 청정하게 된 것과 같은 보름 바다의 절이라는 뜻이다. 신방사(新房寺)의 의미는 울산 개운포 지역이 헌강왕의 순수(巡狩)와 망해사 창건으로 ‘새롭게 정화된 지역’의 절이 되었다는 뜻이다. 「처용랑망해사」조의 주된 키워드는 ‘벽사진경(僻邪進慶)’이다. 삿됨을 물리치고 경사로 나가는 것이 벽사진경인데, 개인굿이나 나라굿인 나례(儺禮)의 목적도 벽사진경에 있다. 밝은 달이 뜨는 바다, 새로운 기운으로 재창조된 신방(新房)이 곧 벽사진경의 세상인 것처럼, 사방신(四方神)의 헌무는 벽사진경이 된 새로운 신라에 대한 간절한 바램이었다. 처용은 예지력을 가진 신격으로서 역신을 구축(驅逐)하는 탁월한 권능을 가진 주사(呪師)였다. 49회나 개최되었던 처용문화제는 해매다 정체성 문제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처용문화제에서 채택한 <처용가>와 처용의 정체성은 ‘화합과 관용’이아니라, ‘예지(叡智)와 권능(權能)’이다. 따라서 ‘처용문화제’의 슬로건인 ‘화합과 관용’은 재검토되어야 한다. 역신(疫神)과 처용부인의 간통을 당연시하고, 처용의 정체성을 ‘화합과 관용’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이다. 따라서 처용문화제의 정체성과 구체적인 슬로건에 ‘예지와 권능’과 ‘벽사진경’의 의미가 도입되어야 하며, 앞으로 처용문화제추진위원회는 ‘울산광역시와 울산시민들이 늘 삿된 기운을 물리치고 두루 경사를 맞이 하자는 벽사진경의 개념을 처용문화제 프로그램에 적극 수용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read in different ways and to interpret newly on 「Cheoyongrang mhang-hae-sa」in 『Sam-guk-yu-sa』. Ulsan have held Cheoyong Cultural Festival for 47 times according to 『Sam-guk-yu-sa』. However, there have been a frequent identity crisis about Cheoyong Cultural Festival because of controversial issue about Cheoyong, This paper interpretate 「Cheoyongrang mhang-hae-sa」newly to overcome these crisis, Cheoyong’s dancing and retreating was not the resignation and tolerance, but the treat and warning, as the dance of Namsansin god of Posukjeong, Buk-acksin god of Keumkangryung and Jisin god of Dongryejeon was the warning of Silla’s ruination. ‘The Mhang’ of Mhang-he-sa temple should be interpreted not as ‘watch’ but ‘fifteen days’. Mhang-he means the roads buried in darkness and vanished had become a sea. The name of Shin-bhang-sa temple means Gae-un-po province of Ulsan had become ‘the newly purified region’ because of the inspection of King Heon-ghang. The main keyword of 「Cheoyongrang mhang-hae-sa」is ‘Byuk-sa-jin-gyung’. ‘Byuk-sa-jin-gyung’ means to repel the impious and pray the pleasure. The purpose of the personal Gut and national Gut, Narae, was also ‘Byuk-sa-jin-gyung’. The reinvented bridal room with a fresh life was like the world of Byuk-sa-jin-gyung. The dance of God Sa-bhang was, as well the desperate desire to New Silla. Cheoyong was a shaman with a superior authority who set up the power to foresee to the god of smallpox. The image of Cheoyong at <Cheoyong-ga> is not the resignation and tolerance, but the foresight and authority. Therefore, the slogan of Cheoyong Cultural Festival, the resignation and tolerance, should be reexamined. The new Cheoyong Cultural Festival should adopt the concept of foresight and authority and Byuk-sa-jin-gyung. Cheoyong Cultural Festival, have been held for 49times, often had identity problems. The identity of Cheoyong have been misinterpreted as the resignation and tolerance. The slogan of Cheoyong Cultural Festival should be reexamined. The new Cheoyong Cultural Festival should adopt the concept of foresight and authority and Byuk-sa-jin-gyung.

      • KCI등재

        기획논문-주제 : 지역 민속연희와 공연문화유산 ; 아리랑 공연 단체의 성격과 민요 전승의 방향

        유명희 ( Myeong Heui Yo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1

        아리랑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민요로서 2012년 12월 5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우리 민요 중 후렴구에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가 들어가는 노래를 모두 포함하였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이후 아리랑에 관심이 다양한 방향으로 번져 가고 있다. 특히 아리랑을 주제로 하는 공연이 개최되었는데 아리랑의 다양한 층위를 잘 보여주는 무대들이었다. 아리랑 공연의 단체들은 대개 보존회라는 조직이 참여하는데 단체의 성격에 따라 공식적인 무형문화재 보존회, 문화재는 아니지만 지역의 향토민요보존회, 지역의 향토민요를 부르는 전문소리꾼 중심의 보존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아리랑 공연을 살펴보면 지역의 자생소리인 향토민요를 전문소리꾼이 공연에 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지역의 자생소리가 있고 지역의 향토민요보존회팀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상황은 계속 되었다. 전문소리꾼이 공연을 주최한 경우에는 더 심하였다. 아리랑은 층위가 다양한 소리이다. 향토민요 아리랑은 기층민의 정서와 삶이 녹아 있고 그것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공연단체는 향토민요보존회이다. 공동체사회에 대한 회복을 민요가 견인할 수 있도록 향토민요를 부르고 전승하는 사람들이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나아가 향토민요를 지키는 방법, 그러면서 향토민요소리꾼과 전문소리꾼의 조화로운 전승에 대한 길도 찾아야 할 것이다. Arirang is the most popular folksong in Korea which was designated as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n December 5, 2012. Its application for UNESCO listing includes all versions of Arirang of ending with the words "Arirang, Arirang, Arariyo" in South Korea. After being designated as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Arirang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and its international status has been enhanced continuously as well. Many Arirang performances, in particular, has been holding nationwideArirang which represents our ethnic sentiment shows diverse forms and contents. The characters of the performance teams are various as the layers of Arirang are also different. The team is usually divided into two teams, local folksong team and a professional team. Problem I takes place when local folksongs are performed by Korean classical folk music team. Local folksongs contain sentiment and life of normal people. Therefore, local folksong teams should get onto the stage and sing local arirang. If they are given many chances to perform they can contribute to restore community order in rural area. Arirang is a song of life itself and gives energy to get over hardships in life. Even though most of the folksongs are not handed down from prior generations, it is important for local folksongs to be performed on the stage as they are the sources of the ordinary people``s life. Local Arirang should keep their root strong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and serve to leading community life and its villager``s happiness.

      • KCI등재

        기획논문-주제 : 지역 민속연희와 공연문화유산 ; 마을 제의의 형성과 공연화 과정- 제천시 송학면 입석리 선돌제를 중심으로

        최명환 ( Myung Hwan Choi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1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입석리에서는 마을 공동체 제의인 ‘선돌제’를 매년 지낸다. 그러나 선돌제는 전통성을 지니고 유지해 온 마을 공동체 제의가 아니라, 현대에 와서 새롭게 형성한 제의다. 1986년부터 시작한 ‘현대적 제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천시와 입석리 마을 주민들은 2011년부터 ‘충북민속예술축제’와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기 위해 마을 공동체 제의인 선돌제를 새로운 공연물로 만들어가고 있다. ‘민속예술축제’ 참가를 목적으로 하지만, 제천시와 마을 주민들 입장에서 마을 공동체 제의인 선돌제를 공연으로 새롭게 만드는 창작을 시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선돌제의 공연화는 선돌제라는 공동체 제의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선돌제를 중심으로 마을에서 전승하는 설화와 기자 의례 등을 혼합한 ‘마을 민속의 공연화’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마을에서 전승하는 설화와 민속을 토대로 어떻게 선돌제를 형성하고 있는지, 그리고 선돌제의 공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모든 과정을 살펴보려 하였다. 이를 토대로 선돌제의 형성과 공연화가 지니는 의미와 그러한 과정에서 나타난 한계점이 무엇인지를 검토하였다. The villagers at Ipseok-ri, Songhak-myeon, Jecheon-si, Chungcheongbuk-do Province perform village community rites called ``Seondolje.`` ``Seondolje`` is not the village rite which has been maintained with traditionality, but a rite newly formed in modern times. In short, it can be called a ``modern rite`` starting from 1986. In addition, the village people in Jecheon-si and Ipseok-ri have been making ``Seondolje`` into a new performance event since 2011 in order to participate in ``Chungbuk Folk Art Festival`` and ``Korea Folk Art Festival.`` Although ``Seondolje`` is aimed at participating in ``Folk Art Festival``, from the position of Jecheon-si and the people in the village, they are making an attempt to re-create ``Seondolje`` into the form of performance. However, the villagers don``t aim at a village community rite only in the process of making a village rite-``Seondolje`` into performance. Instead, they are trying to achieve ``Dramatized Performance of Village Folk`` mixed with the village-transmitted tales and a rite of son-begetting wishes, etc. around ``Seondolje.`` Through this writing, this study looked into the whole process, in which how the village people in Ipseok-ri made village rites on the basis of the village-transmitted tales and folk, and how they are leading them into dramatized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at is the point of formation of village rites and their dramatized performance, and also what are the limitations shown in such a process.

      • KCI등재

        <둥둥 낙랑둥>에 나타난 거리(距離) 연구

        이철우 ( Cheol Woo Lee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9

        최인훈의 작품은 흔히 레제드라마로 평가된다. 이런 까닭에 희곡이 지닌 본래적 의미에서의 공연의 의미는 축소되고 오히려 문학성이 강조된다. 본고에서는 <둥둥 낙랑둥>을 통하여 최인훈 희곡이 지닌 공연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뚜렷하게 확인되는 거리를 통한 무대 형상화에 주목하였다. 여기서 거리는 물리적인 거리를 말하며, 무대에 등장한 배우들의 움직임 속에 놓인 거리를 뜻한다. 설정된 인물들의 거리는 동선을 통해 구현된다. 작가는 동선 속에서 움직임을 섬세하게 예측하고 ‘환상’과 ‘관계’를 거리를 통해 시각화하면서 희곡을 전개한다. 이야기 전개방식과 대화의 특징, 그리고 플롯의 재배열과 작품 속에 표면화되는 이야기와 생략된 이야기 혹은 이야기 숨기기를 통해 설화가 지닌 단순한 구조를 극복하고 새롭게 주목하게 만드는 방법도 아울러 확인하였다. 이 같은 구조상의 새로운 발견은 극중극과 연대기적 시간 속에 감춰 오히려 희곡을 읽거나 관극하는 관객에게 내용을 상상하며 이해하도록 만든다. 작품을 감상하면서 수시로 떠올려야 하는 이런 숨긴 이야기전략은 설화의 재구성을 통해 이야기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무대에서 등장인물들의 섬세한 움직임을 통해 인물들 간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한다. 호동은 쌍둥이 언니인 왕비를 보면서 낙랑공주와 의붓어미를 동시에 경험하는데 이를 실제적인 거리감으로 표현하여 시각화한다. 두 사람의 다가섬과 물러남, 멈춤에서 유발되는 인물에 대한 변화된 대사들은 희곡이 무대에서 상연된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준다. 그리고 이 같은 시각화가 작가의 계획에 의해 정밀하게 서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공연을 염두에 둔 작가의 포석인 것이다. 독백이 지닌 가치도 새롭게 인지 할 수 있었다. 작품에서 독백은 단순하게 자신의 감정을 토로하는 기능만을 담당하지 않고 숨겨진 외부의 적을 내면으로 끌어들이고 이를 통해 극적 긴장감을 고양시키는 방법으로 활용된다. 또한 대사 뒤에 이어지는 독백을 사용하여 대사의 내용을 재인식시켜 자칫 심리적 요인으로 인한 내용상의 모호함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 희곡의 전반부에 집중된 호동의 독백이 후반부로 가면서 왕비의 독백으로 바뀌는 까닭이 심리적인 갈등의 해소와 새롭게 부각되는 갈등양상을 보여주기 위한 수단이라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분법적 대조를 통해 심리극이 지닌 약점을 보완하고 보다 명료하고 분명하게 대상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갈등의 상황을 뚜렷하게 각인시키려는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대조를 통한 주제의 부각과 선택의 양상으로 갈등은 심리적인 인물의 내면에서 밖으로 표출되고 증명될 수 있었으며, 단순한 이분법적 갈등양상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를 안배하여 그를 극복하고자 하는 기법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둥둥 낙랑둥>은 단지 읽는 희곡을 넘어서서 공연에 대한 구체적인 장면전환과 다양한 기법들을 활용하고 무대에서 인물들의 움직임까지 고려한 무대의 형상화에 주목했다는 사실에서 공연성의 가치는 입증된다고 하겠다. Choe in-hun’s Lesedrama is classified as drama plays out is with the meaning of the show, but the value is highlighted with the literature. In this paper, dramatic properties look at the show with patients of a play <Dung-Dung Naklang-dung>. also, check the distance through most clearly noted in the shaping stage. And Of how storytelling and dialogue features, and rearrangement of the plot of the story surfaced in the work omitted the story or narrative story through hide and overcome with a simple structure to create a new note was also confirmed. The novelty of this structure is the same chronological time and concealed drama of drama rather read or play imagine that the audience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make. Should remember that the work of these often hidden while listening to the story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narrative strategy is to focus more on the story so that induced. In addition, delicate movements of the characters on stage to set up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Hodong is Nakrang watching the twin sister of Princess and stepmother to experience it at the same time expressing the actual visualization of the distance. Edging and the withdrawal of the two, and a stop for people in the cause of the metabolic changes that are staged in the stage play that reminds us. And visualization of such plan by the writer, and it was confirmed that describe precisely. This pavement performances of the artist``s mind, will. Whether it is with a new monologue was worth it. Monologue from work is simply in charge of your feelings without speaking only features hidden inside of an external enemy to draw them through uplifting dramatic way to take advantage of the tension. In addition, after leading a monologue using dialogue information in the recognition of the metabolism due to psychological factors liable to get rid of the ambiguity in content that role. This contrasts with the dichotomy of psychodrama than weaknesses and to set clear and obvious, and it is based on the destination of the conflict situation to determine the intent was clearly stamped. Highlight and select through the contrast of subjects i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character``s inner conflict expressed and demonstrated to be had out in the simple aspects of the conflict to avoid dichotomous arrangement with a variety of devices that you want to overcome this technique could also identify.

      • KCI등재

        연희현장에서의 올바른 활용을 위한 진도다시래기 음악분석

        한승석 ( Seung Seok Han ),남초롱 ( Cho Long Na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5

        다시래기는 전라남도 진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상장례놀이로서, 죽음의 현장에서 새 생명이 탄생한다는 생사불이(生死不二)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더불어 많은 춤과 노래, 재담을 포함한 독특한 양식적 구조로 인해 현장 연희판에서 새로운 콘텐츠에 목말라 있 던 공연문화 담당층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다시래기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물들이 이들의 다시래기 재창조 작업에 커다란 도움을 주었다는 것은 불문가지의 사실이다. 그 러나 이전의 연구들이 진도다시래기를 다각도로 다루어 적지 않은 성과를 이루어 내었지 만 주로 학술적 접근을 통해 연행의 상징적 의미를 구명하는 데 치중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공연요소들에 대한 접근도 대본, 노래가사, 재담, 행색, 소도구, 장단, 춤사위 등의 소개에 그쳐 정작 중요한 공연요소인 소리(唱)의 구체적 모습에 대한 연구가 없어 아쉬움 으로 남아 있었다. 이에 본고는 다시래기 음악을 분석하고 그 음악의 성격과 특징을 악보 와 함께 제시하여 공연현장의 연희실기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음악분석 대상으로 삼은 소리는 가상제놀이와 거사·사당놀이에 나오는 모 든 소리, 그리고 연희패의 입장 시에 부르는 상여소리로 한정하였다. 다시래기 다섯 절차 중 가상제놀이와 거사·사당놀이, 상여소리가 가장 많이 공연되기 때문이다. 수많은 공연 자료가 있지만 분석의 텍스트로는 E&E미디어에서 출반된 음반인 「진도다시래기」를 택하였다. 이는 이 음원의 녹음상태가 우수하며 무엇보다 본고에서 제시된 악보를 학습 자료 로 삼아 다시래기 소리를 익히고자 하는 연희실기자들이 음원 구득과 그 활용을 용이하 게 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음악분석 결과, 진도다시래기에서 불리는 소리들은 대부분 꺾는 음이 있는 ``미``음계를 사용한 전형적인 육자배기토리로 짜여 있었다. 그리고 ``솔``음계의 남부경토리는 극히 일부분에 짧게 나타나며, 음악적 완결성은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 은 상장례음악임에도 씻김굿과의 음악적 친연성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데, 이는 망자를 달래서 천도하는 씻김굿과 산 자의 삶을 북돋우는 다시래기의 성격과 기능이 다른 데서 비롯된 음악적 특징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다시래기 소리 전반에 판소리 음악어법적 특 징들이 보이는데, 이는 다시래기의 복원과 전승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한 예능보유자 의 과거 창극단 활동이력과 무관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다시래기 예능 담당자의 이러한 활동이력은 다시래기 원형의 변질을 초래한 원인이 되기도 하였지만, 한편으로는 다시래 기의 공연요소를 더욱 풍부하게 하여 공연현장에서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연희적 기 반을 확장시킨 결과로도 나타났다. 본고의 작업이 다시래기를 원형 삼아 죽음의 상실을 극복하고 삶의 활력을 지켜낼 미래의 진지한 현장예술가들에게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기 대한다. Dasiraegi is a traditional funeral rite performance of Jindo located in the South Jeolla Province of South Korea. With its unique stylistic structure including various dances, songs and witty dialogues, and a storyline depicting the birth of a new life in the wake of death, embodying the Buddhism belief that life and death is interconnected; it attracted great interest from performance organizers and performers who were desperately seeking new contents that can be put on stage as a performance. It is needless to say previous research on Dasiraegi had been most valuable in its recreation as it analyzed the performance from a wide range of perspectives. Despite its contributions,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mainly academic focusing on: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performance, basic introduction to the components of the performance such as script, lyrics, witty dialogue, appearance (costume and make-up), stage properties, rhythm, dance and etc., lacking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most crucial element of the performance which is sori (song). For this reason, the study analyzes the music of Dasiraegi and presents its music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its scores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performers who are active Out of all the numbers in Dasiraegi, this study analyzed all of Geosa-nori and Sadang-nori, the funeral dirge (mourning chant) sung as the performers come on stage and Gasangjae-nori, because among the five proceedings of the funeral rite they were the most commonly performed. There are a plethora of performance recordings to choose from, however, this study chose Jindo Dasiraegi, an album released by E&E Media. The album offers high quality recordings of performances, but more importantly, it is easy to obtain and utilize for performers who want to learn the Dasiraegi based on the script provided in this study. The musical analysis discovered a number of interesting findings. Firstly, most of the songs in Dasiraegi use a typical Yukjabaegi-tori which applies the Mi scale frequently containing cut-off (breaking) sounds. Although, Southern Kyoung-tori which applies the Sol scale was used, it was only in limited parts and was musically incomplete. Secondly, there was no musical affinity between Ssitgim-gut and Dasiraegi albeit both are for funeral rites.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character and function of Ssitgim-gut and Dasiraegi may be the reason behind this lack of affinity, as Ssitgim-gut is sung to guide the deceased to heaven by comforting him/her, whereas, Dasiaregi is sung to reinvigorate the lives of the living. Lastly, traces of musical grammar found in Pansori are present in the earlier part of Dasiraegi.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master artist (Designee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o was instrumental in the restoration and hand-down of Dasiaregi, and his experience in a Changgeuk company. The performer`s experience with Changgeuk may have induced the alterations in Dasiraegi, causing it to deviate from its original form. On the other hand, it expanded the performative bais by enhancing the performance aspect of Dasiraegi allowing it to be utilized as contents for Performing Arts. It would be meaningful to see this study utilized to benefit future performance artists, taking Dasiraegi as their inspiration, which overcomes the loss of death and invigorates the vibrancy of life.

      • KCI등재

        연쇄극의 정체성 논의 -총체예술론적 관점에서-

        김수남 ( Soo Nam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5

        한국에 영화가 전래된 시기는 분명치 않으나 1903년 6월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한 국영화의 효시에 대한 논쟁은 김도산의 연쇄극 <의리적 구토>(1919년)를 영화로 인정하 느냐 아니면 연극으로 인정하느냐의 문제이었다. 조선에 연쇄극이 처음 들어 온 것은 일 본 세토나이카이 일행의 <선장의 처>로 알려져 있지만 또 다른 설은 1915년 10월 16일 대한매일신문의 연재소설을 무대화한 미쯔노 강게쓰 일행의 <짝사랑>이 부산의 부산좌 에서 공연된 것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서울에서는 1917년 3월 14일부터 황금관에서 <운 명의 복수>가 무대에 올랐다. 연쇄극은 우리의 독창적인 공연형식이 아니다. 연쇄극이 조선연극계에서 전성을 누렸던 시기는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공연된 김도산의 <의리적구토>부터 3년 정도에 불과하다. 연쇄극의 공연형식은 연극이 진행 되 는 중에 영화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특별한 극형식이다. 연극이 기존의 예술을 종합한 종합예술이라면 연쇄극은 새로운 매체인 영화까지 무대에 도입한 새로운 종합예술(총체 예술)로서 확대연극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마디로 연쇄극의 영상 도입은 영화적 행위의 삽입이며 연극적 표현의 확대기능으로서 새로운 공연예술로서 총체예술의 관점에서 논의 되어야 한다. 현재 연쇄극의 학술적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연극으로서 연쇄극인가 또 는 영화로서 연쇄극인가의 개념 정의는 우선 연쇄극의 정체성과 그 미학적 확립이 요구 된다. 조선영화 비평가, 임화는 연쇄극 필름을 영화라고 부를 수 없는 것은 활동사진을 영화 라고 부르지 못한 것 이상이다. 라고 연쇄극의 정체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연쇄극이 활동사진만치 독립된 작품도 아니고 연극의 보조수단에 불과한 영화의 한 태생 에 그치는 것이라고 연쇄극을 연극으로 결론 내렸다. 조선영화 초창기의 대표적 감독인 안종화 역시 연쇄극이 무대에서는 도저히 실연할 수 없는 야외활극 같은 것을 촬영해서 연극 장면에 적당히 섞어서 상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당시 연쇄극이란 연극과 활동사진 이 결합된 형식의 공연물로 영화는 연극의 보조수단으로 보았다. 공간이 제한된 연극무대로는 표현하기 곤란한 정경이나 극적인 장면들을 야외에서 촬영하였다가 무대공연시 필요한 대목에 극장 내의 불을 끄고 백포장에 영사하다가 다시 불을 켜고 무대공연을 계 속하는 식의 공연양식이었다. 연쇄극은 작품에 있어서도 진지한 연구가 없이 일본 연쇄 극의 제작방식을 그대로 답습하여 그 내용에서도 신파극의 잔재를 그대로 이어받았다. 당시 일간지 지상에서는 연쇄극이란 개량신파극의 모방이므로 약식있는 연극인들이 가질 무대가 아니라는 혹평을 연일 게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연극이냐 영화이냐의 정체성이 불분명한 연쇄극의 형식미학을 논의하고자 한다. 논의 과정으로서 연쇄극의 등장 배경과 공연형식 그리고 새로운 공연 예술로서 연쇄극을 총체예술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그 결과 연쇄극은 영화가 아닌 확대 연극의 개념으로 규명하고 새로운 공연예술로서 재평가하고자 한다. I. Identity of Yeonsegeuk as total arts.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arrange the identy of Yeonsegeuk(Kino-Drama) which is theatre or film. The process of study is tried to discuss on the aethetic of Yeonsegeuk. II. Appearance of Yeonsegeuk and negative disputation of yeonsegeuk The first imported Yeonsegeuk from Japanese in Korea is <One Side Love(짝 사랑)> made by the group of Mizuno Ganggetsu(水野觀月) on Oct. 16. 1915 at Pusan and also <Revange of Civilization> to run in Seoul at Hwanggeumgwan. The first of Korean Yeonsegeuk is <Eurijeokguto(의리적 구토)> by Kim, Dosan, a leader of Singeukjwa(theare group) on Oct. 27. 1919 at Danseongsa.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 all made korean Yeonsegeuk are 28 works. III. Dramatic form of Yeonsegeuk I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Yeonsegeuik and Sinpageuik(new theatre of modern drama in 1920`s). I find that Yeonsegeuik admitted the thechnics of the Sinpageuik and the contents. If We think that the theatre is synthetic art which genealize all arts, we can insist that the Yeonsegeuk is valued the total art as new performance to comply with film art to theatre. Conclusionly Yeonsegeuk is called ``Expanded Theatre`` as the new performance which must be dicussed in the view of total art. VI. Discussion on the the aethetic of Yeonsegeuk When we compare the structure of film with the structure of theatre, we can`t find a diffrent element between the structure of two art in art semiotic. But we find a fact that film art has special elements in mechanics character which are camera working and motage. These technics influence on the audience`s mind. It is different point between Japan and Korean`s Kino-drama and Germany`s that is to admit the aethetic of total art or not. V. Yeonsegeuk as new performance During Korean modern times Kino-drama was first a kind of total art with stage and screen. But it is regretable that Kino-drama didn`t have the background of theory which discourse on the comprehension of total art. As the result Kino-drama bring the confusion of argument that Kino-drama is total art or expanded theatre. This confusion will be disputed on film art as performing arts or future art as expanded film and total art.

      • KCI등재

        소통을 위한 몸짓 - 농음의 문화상호적 해석 -

        김혜림 ( Hyelim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3

        한국의 전통악기, 대금은 악기의 특이한 음색과 다양한 기법으로 한국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전하면서 동시에 국제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대금 연주가 및 음악인류학 연구자로서 활동하고 있는 본인은 대금 연주를 통해 클래식, 동아시아 음악, 전자 음악, 재즈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주가들과 한국 외 세계 여러 곳에서 협업을 진행해 왔다. 공연을 기반으로 한 협업은 음악간의 문화적 간극을 극복하고자 한 빅토르 터너 (Victor Turner)가 주장한 ‘다문화적 퍼포먼스 (Intercultural Performances)’를 지향하는 연구 주제와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그 중의 한 예로서 한국 전통 음악과 클래식 음악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 공연 연구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본인이 한국의 저명한 작곡가 김대성(1967년생)에게 위촉한 대금과 서양 악기를 위한 두 곡, ‘님’과 ‘청’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협업 내용은 리차드 셰크너 (Richard Schechner)의 공연 이론 (Performance Theory)을 기반으로 음악 인류학 및 공연 연구의 핵심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본 공연 연구의 목적을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대금의 현대화 과정을 클래식 음악의 문맥 안에서 구체적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두번째, 본 공연 작업은 영상과 음원 등의 자료를 이용해 분석되고 이를 마이클 텐저 (Michael Tenzer)의 ‘문화적 상대화 (Cultural Relativism)’ 개념에 적용시켜 본다. The Korean taegum, a horizontal bamboo flute,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wind instru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ymbolized by its unique timbre and diverse techniques, this instrument transmits the beauty of Korea, and has become acknowledged even in international music scenes. Being a taegum player, composer, and ethnomusicology researcher, I have developed creative collaborations with musicians from Asian, electro-acoustic, jazz, and Western art music traditions developed outside my country of origin and tried to overcome musical boundaries through the ``intercultural performances`` (after Turner 1988). Zooming in one collaboration, I detail the process of music creation and performance, collaborating with prominent Korean composer Kim Taesong (b.1967), who was commissioned by myself to write two compositions for the taegum and Western art music. The purpose is twofold: firstly, the moderniza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Korean flute is briefly tracked down within the context of Western Art music. Secondly, a performance project is illustrated with the support of technical apparatuses such as DVD and CD recordings and delves further into the question of the ``cultural relativism`` (Michael Tenzer, 2006: 7) through the interactive process. The performance-as-research, as a tool ``actualizing`` (Richard Schechner 2003: 32) the hybridity, touches on critical domains in Ethnomusicology. The corresponding two parts discover, as Alan Merriam``s(1964) ``tripartite model`` suggests, the ``context`` of Korean and Western cultures, the ``behaviour`` of collaborating and performing and the ``sound`` of improvised and composed productions in the course of music making.

      • KCI등재

        기획논문-주제 : 지역 민속연희와 공연문화유산 ; 제주 해녀들의 삶과 생활을 활용한 공연 스토리텔링 연구

        김미경 ( Mi Kyung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1

        본고는 우리 민족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문화 속성들을 파악한 다음, 우리의 고유한 문화원형(Prototypes) 중에서 특히, 무형문화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을 중심으로 어떻게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잘 활용하여 문화콘텐츠(Cultural Contents)로서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Brand)를 만들 수 있느냐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궁극적인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21세기 강인한 여성의 대표주자로 바다에서 삶을 살아가면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제주 해녀들의 삶과 생활을 어떻게 스토리텔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해 보고, 그들의 중요한 가치를 추출해 내고자 했다. 2013년 12월 19일, 문화재청 무형문화재분과위원회는 “201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한국대표 종목으로 제주 해녀문화를 등재 신청하기로 심의 의결했다. 그러나 문제는 일본의 “아마(Ama)”라는 해녀의 추격이다. 일본은 “아마”를 등재하기 위해 폭넓은 국내외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우리가 긴장하지 않으면 세계인들이 제주 여성의 강인한 생명력을 담고 있는 바다의 어멍 - “해녀”라는 소중한 우리의 독특한 무형문화유산의 이름을 알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런 시의성(時宜性)을 고려해 제주 해녀들에 대해 통시적인 관점과 공시적인 관점을 접목시켜 연구해 보고자 했다. 특히, 현재 제주 성산포에서 실제로 공연되고 있는 제주 해녀들의 성산포 공연 스토리텔링을 찬찬히 살펴보고 앞으로 제주 해녀들의 삶과 생활을 활용하여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공연 콘텐츠를 담아내는 스토리텔링 연구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해 보고자 했다. 이는 제주 해녀들의 공연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여 세계인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빅 킬러 콘텐츠가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표를 둔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gure out the unique cultural attributes of Korean people, make good use of storytelling around the unique Korean cultural prototypes, especial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ultimately suggest a direction for creating a representative Korean brand with cultural contents. The study set out to examine how to utilize the life and living of Jeju Haenyeos(female divers), who live a life in the ocean and take care of the family livelihood as the model of strong women in the 21st century, as well as to extract their critical values. On December 19, 2013,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bcommitte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sidered and decided to make an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Jeju Haenyeos culture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of 2015" as the representative item of Korea. The problem is, however, the chase by Japanese female divers called "Ama divers." The efforts to register them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becoming full-blown in Japan, which has carried out broad promotional activities to achieve the goal. If Koreans do not get tense about the whole situation, the world can be deprived of a chance even to hear the name of "Haenyeos," who are the mothers of the sea possessing the strong life force of Jeju women and represent the unique, preciou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Korea. Considering such timeliness, the study investigated Jeju Haenyeos by combining the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s. In particular, this study set out to closely examine the storytelling of Seongsanpo performance by Jeju haenyeos, which is put on the stage in Seongsanpo, Jeju these days, and contemplate over storytelling research plans to make use of the life and living of Jeju haenyeos and deliver richer and more diverse performance content. The ultimate purpose was to propose directions for big killer content to attract the global attention by developing storytelling for the performance of Jeju haenyeos.

      • KCI등재

        일반논문 : 아리랑축제 관련 문화유산과 소리축제

        이창식 ( Chang Sik Lee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1

        아리랑축제의 정체성(正體性) 연구는 아리랑에 대해 종합예술적 접근과 수요층의 다양한 소통방식을 살펴야 드러난다. 소리문화유산 관련 축제는 다른 테마축제와 달리 예술성과 대중성, 현재성이 내재되어 있다. 전주세계소리축제 연구 역시 이 점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아리랑축제의 활성화 대안이 역동적인 공연예술축제이면서 민족문화의 상징성(象徵性) 찾기에 두는 것도 아리랑축제 연구의 또 다른 시각일 수 있다. 아리랑축제의 연구방향은 아리랑의 축제항목 발굴과 문화상품 창출 과정의 문제점까지 논의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아리랑의 상징성은 남북 모두 한민족문화의 대표 아이콘으로 명시하고 있다. 아리랑의 정체성은 한국 민요의 역사성과 민속성 그리고 현재성 등과 긴밀하게 맞물려 있다. 소리문화유산에 바탕을 둔 전주세계소리축제는 축제의 전문성과 정체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전주소리축제에서 보이는 소리문화유산 관련 자원의 활용법을 아리랑축제의 미래를 위해 비교근거로 삼아 쟁점화하였다. 아리랑축제는 테마축제, 관광축제, 교육축제, 화합축제 등의 성격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상생과 신명의 축제라는 정체성을 확보해야 한다. 아리랑축제는 소리축제의 차별성이 있고 앞서 살핀대로 한민족 공감대의 울림이라는 가능성이 있다. 뗏목아리랑 관련 축제만 하더라도 정선, 영월, 인제 등 여러 곳에서 산발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아리랑의 지역축제 항목에 편입된 사례로 정선, 밀양, 진도 등 여러 곳이 있다. 그러나 아리랑 관련 축제는 독자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했다. 그리고 네트워크 순회의 축제성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리축제는 팩션 감각의 기획력이 요구된다고 진단하였다. 보수적 전통형 축제는 이벤트형 축제든 킬러콘텐츠의 발상이 필요하다. 경쟁력 있는 축제 만들기에는 전통적 감성과 상상력이 상생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킬러콘텐츠의 구성력과 제도적 정비가 절실하다. 무형문화재의 원론적 창조유전자를 살리되, 특별한 민족미학의 연출력이 있어야 한다. 아리랑축제는 아리랑 구연 연고지 중심의 전통적 문화행사다. 소리축제 역시 판소리 연고권을 바탕으로 한 이벤트형 문화행사다. 아리랑축제는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라는 무형문화재적 잠재력 염두에 둔 지역별 아리랑민요의 축제상품화로 광풍이 불고 있으며, 소리축제는 등재 인정으로 특정 지역과 특정 지식인들이 중심이 되어 자랑할 만한 세계축제로 키우겠다는 전략이 존재하고 있다. 둘 다 체계적인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더구나 판소리와 아리랑은 아직 만남이 적었다. 지나치게 축제의 외향에 매달리다가 보니 소프트 항목의 내향 실속이 없다. 소리문화유산의 미래를 염두에 둘 때 소비자 중심의 감동 극대화가 필요하다. 축제의 생산자, 유통자, 소비자가 화쟁하는 건강함, 생명력, 역사성, 보편적 가치, 창조적 상상력 등의 명품축제적 요건이 두루 녹아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통적 기반에 둔 아리랑축제는 소리축제의 기획 예술성을 수용할 필요가 있고 소리축제는 고유의 지방색을 살리면서 세계적인 표적 시장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하고 싶다. Arirang festival is a symbolic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The research for identity of Arirang festival requires a composite art approach and a various kind of communication of demand class about Arirang. Festival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of voice should be focused on artistry, popularity and nowness. The research for Ch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is point. The alternatives for revitalization of Arirang festival is necessary to Arirang festival. The identity of Arirang is closey tied to historical and rac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song and nowness. Officials of Ch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are endeavoring to procure a specificity and an identity as a festival. In this article, the efficient use of resources related to Sori cultural heritage, which is shown at Ch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was discussed specifically. Arirang festival is based on the characters of theme festival, sightseeing festival, education festival, and harmony festival. Arirang festival must secure the identity of coexistence and excitation as a festival. Arirang festival is different from Sori festival, and also it is a sensibility of the Korean race. Festivals related to Raft-Arirang are held in Jeongseon, Yeongwol and Inje. However, they are too sporadic. Also Arirang festival has not secured the independent competitiveness yet. Arirang festival did not even support the actual network as a festival. Sori festival requires a well-designed planning from the power of faction. Both a tradition-style festival and an event-style festival need ideas of killer contents. To become a competitive festival, traditional sensibility and imagination should be interdepend from each other. Organization of killer contents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must be prepared for the festival. Also, they need to support the theoretical creative gen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production power of special national aesthetics should be brought together for harmony. Arirang festival is a traditional cultural event focused on the hometown of Arirang oral narration. Sori festival is an event-style cultural event focused on the hometown of Pansori oral narration. Arirang festival added Arirang to the World heritage list and has commercialized the fesitival of Arirang folk song. Pansori was also registered as the World heritage of UNESCO. Sori feistival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world festival. However, Both festivals lack the systematic development. In addition, Pansori and Arirang have not gained any chance of cultural exchange to each other. They both depended too much on the outward appearances as festivals. Thus, they do not have any inner beauty or solid contents inside of the festival. They both were mere shows. The future of Sori cultural heritage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The maximization of the consumer focused system should also be prepared for development. To be able to achieve theses, requirements such as universal values, historical values and life forces as a festival must be united harmoniously. Therefore, the tradtional based Arirang festival needs to embrace the artistic value of Sori fesitival. On the other hand, Sori festival should procure the market that targets the world while maintaining local col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