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중앙정부의 모바일 전자정부 발전수준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공공 스마트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서교리,김준형,엄석진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行政論叢 Vol.54 No.4

        This study measured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level of smartphone-based mobile government and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level of smartphone applica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high development level smartphone applications with those with a low development level selected from the smartphone applications provided in 2015, based on a survey of public smartphone applications provided by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in 2012 and 2015.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s that provide mostly one-way information services at the initial stage decreased, whereas smartphone applications that provide personalized service, two-way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tizens, integrative business processing, or connection to services increased. Second, the development level of smartphone application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not only by the influencing factors at the Doing stage, but also by influencing factors at the Planning and Seeing stages such as ex ante demand surveys, ex post information updates, and feedback on technical issues. Third, the development level of smartphone applications was also influenced by organizational, managerial, and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cooperation among various divisions, the law, institutions, regulations, the participation of users and outside stakeholders, and reflection of their opinions. In conclusion, smartphone-based mobile government in Korea entered the stage of qualitative enhancement after going through the stage of quantitative expans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requiring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managerial innovations in accordance with this stage of development. 이 연구는 한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제공하는 공공 스마트폰 앱에 대한 2012년과 2015년의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전자정부의 현황 및 발전수준을 측정하고, 2015년에 조사된 스마트폰 앱 중에서 선정된 상・하위 발전수준의 스마트폰 앱의 구축과정에 대한 비교사례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앱 발전수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의 일방향적 정보제공 기능 위주의 스마트폰 앱의 비중이 감소하고, 개인화된 서비스, 정부와 시민간의 쌍방향적 의사소통, 통합적 업무처리 및 서비스 연계 위주의 고도화된 스마트폰 앱 비중이 증가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앱의 발전수준은 스마트폰 앱 제작 단계뿐만 아니라, 사전 수요조사 및 앱 구축 후 정보 업데이트와 기술적 요인에 대한 환류 등과 같은 기획과 평가 단계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다양한 부서간 협력, 법 제도 및 규제, 그리고 사용자 및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의견 반영과 같은 조직과 관리, 제도적 요인도 스마트폰 앱의 발전수준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중앙정부 수준에서 한국의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전자정부는 초기의 양적 확대 단계를 지나 질적 고도화 수준으로 접어들었으며, 이와 같은 발전단계에 부합하는 제도와 조직, 관리적 요인의 혁신이 요청된다.

      • KCI등재

        융복합 시대의 남자 중학생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

        김은주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8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한 서술적 연구이다. 남자 중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스마트폰의 기능별 사용 등에 대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29.9%(잠재적 위험군은 23.6%, 고위험군은 6.3%)이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의 영향요인은 스마트폰 사용시간,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고학년이었다. 즉, 하루 평균 휴대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 수준이 낮을수록, 고학년일수록 스마트폰 과의존도가 높았다. 이에 따라 과도한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개입이 요구된다. 또한 자아탄력성 수준을 높이는 개입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행을 통해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적절한 개입효과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사용시간도 통제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factor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on i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74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ir smartphone overdependence, stress, ego – resilience, and use of smartphone by function. In results, 29.9% (potential risk group 23.6%, high risk group 6.3%) of th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e smartphone overdependency risk group. A higher smartphone overdependency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r the smartphone usage time per day, the higher the stress level, the higher the grade, and the lower the ego-resilience level. This requires the involvement of appropriate stress coping styles to overcome excessive stress situations.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increases the level of ego-resilience can be expected to have an effect of controlling the smartphone use time as well as the intervention effect on stress coping.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 간 관계

        권미영,정윤주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1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ow preschool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is affected by their own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mothers’ own smartphone dependenc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In addition,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mothers’ warmth‧encouragement and limit setting while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protection‧permissiveness. It was also found that when the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which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their children’s own smartphone dependency, was contolled, the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f communication, overprotection․permissiveness, and limit sett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importance of parenting in preventing children from developing smartphone dependency. 본 연구에서는 만3∼5세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양육효능감, 양육행동이 유아 스마트폰 의존과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은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과 정적 상관, 양육효능감과는 부적 상관, 양육행동 중 온정․격려 및 한계설정과는 정적상관, 과보호․허용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으로 나타났고 이 변인을 통제했을 때도 양육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의사소통과 양육행동의 하위변인인 과보호․허용, 한계설정이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정도가 동일한 경우에 어머니의 의사소통 양육효능감이 높으면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정도가 동일한 경우에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과보호․허용이 높고 한계설정이 낮으면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 정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 문제를 해결하고 적절한 자녀양육 행동을 학습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실태 분석

        김동균,김종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7 No.3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은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기기의 사용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교육적 활용방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일반적 변인을, 재학 중인 학교소재 지역, 성별, 학년, 스마트폰의 필요성, 스마트폰 사용 여부, 일반 핸드폰 사용 여부의 총 6개로 정하여 스마트폰에 대한 지식․태도․실천 수준을 분석하였다.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방안으로는 교육정보를 얻는 수단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은 분명하나, 교육적 효과는 중립적이거나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실태 분석을 제시한다. This study elementary status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smart phone use, and utilize of smart phones educational way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In this study, factors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use of smart phones, in school area, gender, grade, and the need for a smart phone, smart phone using, whether for general cell phone use was a total of six tablets. General knowledge, attitude, practice about the factors and smart phone levels were analyzed using a smart phone and do not use the group's collectiv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levels were analyzed. To take advantage of the smart phone utilizing educational strategies were suggested, the general situation for smart phones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a positive phenomenon. But Educational effect was neutral or negative views. We suggest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smartphones on elementar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체계 원인에 따른 목회적 방안

        민장배,이수환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3

        2009년 스마트폰이 도입된 이래 가입자 수는 2018년 5천만 명 돌파로 국민 1인 1 스마트폰 시대가 되었다.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하고 있지만, 다른 측면에 서는 이에 대한 의존과 중독으로 개인 내면의 심리 문제와 대인과 소통, 그리고 인터 넷 중독 및 조직 내에서 업무 효율 문제 등 부정적 결과도 초래하고 있는 것이 사실 이다. 스마트폰 중독은 육체와 정신적 문제뿐 아니라 영적 생활에도 영향을 끼친다. 육 체 건강과 정신 건강, 그리고 영적 건강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독자들은 스스로 조절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수치심과 죄책감을 느끼기도 한다. 또한 중독으 로 인해 중독자들은 육체적 고통도 겪으며, 타인과 관계뿐 아니라 하나님과 관계를 방해받기도 한다. 스마트폰 중독은 개인적․가족적·사회적·환경적·매체적 체계 원인이 있다. 기독교 상담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목회적 차원에서 는 미진하다. 예배 시간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목회자와 실천 신학자가 관심을 갖고 스마트폰 중독 예방과 회복에 대한 노력을 기울 여야 할 때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목회적 대안은 첫째, 개인적 원인에 따른 대안으로 정체성 회 복, 균형 잡힌 자존감, 성품 훈련이다. 둘째, 가족적 원인에 따른 대안은 부모교육, 놀 이문화 보급이다. 셋째, 사회적 원인에 따른 대안은 교회 공동체성 강화, 다양한 시설 제공이다. 넷째, 환경적 원인에 따른 대안은 하나님과 관계 회복, 오고 싶고, 머물고 싶은 교회 환경 제공, 익명성 보장이다. 다섯째, 매체적 원인에 따른 대안은 접근성과 만족성이다. 실천 신학자로서 본 연구에 많은 한계점을 느꼈지만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목회자와 실천 신학자들에게 관심과 연구에 대한 도전이 되기를 바란다. 그 결 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은 물론 영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이 회복되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해 본다. Since South Korea introduced the smartphone in 2009, the number of subscribers exceeded 50 million in 2018, marking the era of one smartphone per person. Smartphones make daily life convenient, but on the other hand, dependence on and addiction to them also lead to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personal inner psychological problem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ternet addiction, and work efficiency problems within organizations.. Smartphone addiction affects not only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but also spiritual life. This is because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spiritual health are interconnected. Addicts may feel ashamed of or guilty for not being able to control themselves. Addiction also causes addicts to suffer physically and see their relationships with God as well as with others being disrupted. Smartphone addiction is triggered by individual, family, social, environmental, and media systemic causes. In Christian counseling, studies on smartphone addiction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in terms of pastoral efforts, such is not enough.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Christians using smartphones during worship services is increasing, it is time for pastors and practical theologians to pay attention to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and recovery efforts. The pastoral alternative solu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ernative solutions according to personal causes include identity recovery, balanced self-esteem, and character training. Second, alternative solutions according to family causes include parent education and play culture dissemination. Third, alternative solutions according to social causes include strengthening church community and providing various facilities. Fourth, alternative solution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auses include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provision of a church environment where people want to come and stay, and guaranteeing of anonymity. Fifth, alternative solutions according to media causes include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Although many limitations are felt in this study from the point of view of a practical theologian, this study is hoped to be a challenge for the interest and research of pastors and practical theologians on smartphone addiction. As a result, this study is hop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hristians suffering from spiritual difficulties to recover as well as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건강문제

        윤주영,문지숙,김민지,김예지,김현아,허보름,김재언,정선이,정지은,정현지,이은하,최정혜,홍서영,배정이,박현주,홍희정 국가위기관리학회 2011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3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정도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학생 185명이며, 스마트폰 사용의 심리적 요소와 신체적 불편감을 측정하는 스마트폰 중독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대상자 185명 중 스마트폰 초기 중독 상태는 66%, 스마트폰에 대한 완전한 중독은 17%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의존, 불안, 대인관계 장애 등을 보였고, 신체적 증상으로는 눈의 피로(31%), 근육통(15%), 신경계 장애(5%)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늘어나고 있는 스마트폰 사용자에 대한 중독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건강상태를 조사하여, 향후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중독에 따른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연구

        한석영(Han Seok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양상과 중독 정도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른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K시 일 간호 대학교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간호대학생 345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자료분석 은 SPSS/WIN 19.0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스마트폰 사용양상, 스마트 폰 중독정도, 학습몰입, 학업성취도는 서술통계로 제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정도는 χ²-test, ANOV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학습 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주로 하루 평균 3시간 이상(62.6%)이었고, 전공과목보다 교양 과목 강의시간에 2배 정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는 일반 사용군 (89.6%), 과다 사용군(5.8%), 중독군(4.6%)으로 대부분이 일반 사용군이었다. 스마트 폰 중독과 학습몰입은 역상관관계가 있었고(r=-.24, p=.008),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 는 순상관관계를 보였다(r=.25, p= .007).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 예방지침의 교육과 스마트폰 중독의 개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되고, 학습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학업성취도를 높여 대학생활의 적응, 진 로, 취업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mart phone using pattern, smart phone addiction, learning-flow, and learning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345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a informed cons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19.0 IBM program. The smart phone using pattern consisted of using time and purpose of use. The smart phone using time was over 3 hours(62.6%) in daily average, below 10 minutes(52.5%) per 1hour during lecture, and below 10 minutes (26.4%) per 1hour during practice hours. The purpose of smart phone using was messenger(30.2%), internet surfing(22.4%), SNS(19.0%) etc. The smart phone addiction level was average users(89.6%), heavy users(5.8%), and smart phone addicted(4.6%).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learning-flow(r=-.24, p=.008).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r=.18, p=.016). Therefore more positive and effective smart phone addiction management for nursing students is to considers, and developing programs of learning flow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경험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녕셜 ( Xue Ning ),김기수 ( Ki Su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4

        스마트폰은 모바일폰의 새로운 세대로 유비쿼트스 컴퓨팅 기술의 좋은 예이다. 스마트폰을 사용해서 사용자들은 편리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인터페이스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은 또한 단순한 전화나 문자 메시지보다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친구들과 연결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성능의 하드웨어와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스마트폰은 업무나 오락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하고 있다 (Charlesworth, 2009). Verkasalo 등(2010)은 스마트폰은 단순한 모바 일폰으로 뿐만 아니라 손안에 들어가는 컴퓨터로 사용될 수 있는 기기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한 스마 트폰을 통제하는 것은 이제 기기가 아니라 사용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사용자들이 스마트폰과 상호작용할 때 그들의 스마폰 사용 경험은 그 상호작용으로부터 나온다. Goto는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 UX)을 “어떤 기업이나, 서비스 또는 제품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전반적인 인식이나 포괄적인 상호작용”으로 정의하였다 (Wang et. al. 2008). 경험은 사람의 마음에 존재하는 사람과 세상 사이의 눈에 보이지 않는 상호작용 과정이고, 새로운 상호작용들에 의해 유발된다. 이들 상호작용은 육체적, 감각적, 인지적, 감정적, 그리고 미적과 같은 다양한 경험들을 만들어낸다 (Davis, 1992). 이와 같은 관점에서 스마트폰 사용 후 그 기능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경험과 사용자들의 사회적 경험은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에 대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자 수의 증가와 다양한 스마트폰 제조기업과 서비스제공 기업들 사이의 경쟁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지배하는 요인들과 그들의 역학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효율적 인터페이스의 개발, 사용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그리고 관련 기술의 개발과 같이 사용자의 심리적인 관점에 대해 연구하기보다는 스마트폰 자체의 기능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 (Lin and Ye, 2009; Abowd et. al., 2005; Verstockt et. al., 2009). 반면, 지난 몇 년간 사용자 경험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과 연구의 틀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Swallow et. al., 2005; Deng and Li, 2008; Wang et. al. 2008; Oza et. al. 2010). 사람들은 스마트폰 이용에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사용겸험이 그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를 도출하는데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인지과정에 핵심요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이론적 기반 위에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스미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자경험이라는 개념을 선행변수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태도와 행위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경험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용자경험은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두 가지 관점으로 표현하였다. 기능적 경험에는 이용가능성(usability)과 보안성(security) 그리고 사회적 경험에는 사회성(sociability)과 사회적 주체성(social identity)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사용자경험 요인들을 선행변수로 스마폰의 지속적 이용의도를 결과변수로 하고, 두 변수를 매개변수로 하는 하나의 인과관계(causal)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즐거움(perceived enjoyment: PE)과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PU)을 선행변수인 사용자경험 요인들과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 사이의 매개변수로 고려하였다. 그 이유는 최근 스마트폰은 업무를 위한 기능적 목적뿐만 아니라 오락이나 사회적 관계(형성)을 위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PU와 PE가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이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모두 인지된 유용성 또는 인지된 즐거움을 통해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능적 경험 가운데 이용가능성 요인과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성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능적 경험 가운데 보안성은 인지된 즐거움에만,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적 주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즐거움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 모두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기능적 경험 가운데 이용가능성과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성을 높임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을 높이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면에서 학술적이고 실무적인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스마트폰의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지금까지 경영정보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인 사용자경험이란 개념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나아가서 여러 사용자경험 요인들 가운데 스마트폰의 특성을 고려해서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요인들을 고려했다. 또한 본 논문은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경험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 요인들이 어떠한 역학관계로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 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스마트폰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유용한 실무적 정보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우선 사용자경험은 아주 방대한 개념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지 그 일부만 다루었다. 사용자경험의 다른 측면들은 추후 연구들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사용자경험의 다양한 측면들을 고려하여 사용자경험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 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 포함된 실증 자료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들이 포 함되어 있어 분석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가 시행될 때에는 대학생이외 스 마트폰을 사용하는 다른 그룹의 사람들 수가 많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이 표본에 포함 되었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 서는 한국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기 때문에 문화 및 다른 환경의 차이에 따른 편향성(bias)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거나 국가별 비교분석도 가능할 것이다. Smartphone is a new generation of mobile phones and it is a good example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Users can surf the internet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the easy touch-screen interface. Also users can connect with their friends in more efficient ways than calling or texting messages. Besides, its prominent hardware and software support all kinds of applications for work and entertainment (Charlesworth, 2009). Verkasalo et al. (2010) pointed that Smartphone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mobile phone as well as a handheld computer, they also argued that it is the user rather than the device who controls the Smartphone. When users interact with Smartphone, their experience of using Smartphone is derived from such interactions. Goto, K. defines User Experience (UX) as "the overall perception and comprehensive interaction an individual has with a company, service or product" (Wang et al., 2008). Experience is an intangibl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the world that exists in humans`` minds and is triggered by new interactions. These may create different types of experiences such as physical, sensual, cognitive, emotional, and aesthetic (Davis, 1992). From this aspect, after using Smartphone, users`` experience on the functions of it and their social experiences with it might be very important in decid- ing if they continue to use Smartphones. Given the growth of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and the competition among Smartphone manufacturers and service provide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ynamics that govern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However, previous researches on this topic have mostly focused on problems such as creating efficient interfaces, developing usable systems, and establishing technologies, which paid more attention to the facet of functions of the Smartphone itself rather than studying from users`` psychological perspective (Lin and Ye, 2009; Abowd et al., 2005; Verstockt et al., 2009). On the other hand, over the last few years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provide a comprehensive theory or framework of user experience (Swallow et al., 2005; Wang et al., 2008; Oza et al., 2010; Deng and Li, 2008). Since people spend more and more time with Smartphones, the experience users have with Smartphones is likely to be a key factor in the cognitive process users experience in developing their continued usage intention. Upon this basis,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es, we employ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 (UX) as the antecedents in this study to explain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users`` experience to assess their further attitudes and behaviors. Users’ experience is represented in two aspects, one is functional experience which includes usability and security, and the other is social experience which includes sociability and social identity.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to conceptual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UX factors as antecedent variables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s as consequent variables with two intermediary variables. Specifically, we considered perceived enjoyment (PE) and perceived usefulness (PU) as mediating factors between UX factors and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CUI) since it is widely used not only for functional purposes but for entertainment and social relations. Then our research model was tested empirically by using a survey data collected from diverse Smartphone users. Our results suggest that experience about func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of Smartphone after using Smartphones can influenc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of their usage, which, in turn, influence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s. More specifically, we found that usabi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oth PU and PE, while security has a strong effect on PE, although no such significant impact was observed on PU. Some previous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Smartphones are vulnerable and, therefore, securi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phones. However, security did not affect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phones significantly in our result. A plausible explanation for this result might be that approximately 60% of our survey respondents are students and they do not consider security issue seriously because they use Smartphones mostly for entertainment or social interactions rather than for job or work related purposes. However, it does not mean security issue is not important for usefulness of Smartphones or the current level of security of Smartphone is perfect. Moreover, sociability is found to affect both PE and PU, while social identity have significant impact on PU only. Besides, P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of using Smartphone and both PE and PU positively affected CUI. Main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 which is a relatively new concept in MIS researches, was adopted to explain users’ continued intention to use Smartphones. Moreover, not only functional experience but social experience was included as user experience factors. This paper also makes contributions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s and the dynamics of these effects, which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martphone service providers. There are, however, some limitations inherent in this study. Although user experience is a broad concept, we focused only a part of it. Other aspects of user experience may be considered in future researches. More systematic research on user experience may be also needed related with Smartphone usage. In our survey data, relatively larg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were included, therefore, we have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s. Since the survey data were gathered from Korean, the analysis results may be subject to culture and/or other environmental biases. In future researches, we may use survey data from users of different countries and also implement a cross country analysis.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의 즉각 반응 및 선택 충동성의 양상†

        임종민,이종환,곽호완,장문선,구본훈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patterns of Rapid-Response Impulsivity (RRI) and Choice Impulsivity (CI)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 smartphone addic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subjects. Prior to the study, 30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618; these participants performed a Continuous Performance Task (CPT), a Stop Signal Task (SST), and an Experiential Discounting Task (EDT) through both a computer and a smartphon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neuropsychological task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computer, suggesting that it is possible to use CPT, SST, and EDT wth a smartphone. In the study,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group(n=27) and the control group(n=28) were selected among 618 students, based on their results on the SAS-B, and performed the CPT, the SST, and the EDT.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group showed more commission errors in the CPT, higher SSRT in the SST, and lower AUC in the EDT. In particular,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group showed increased ommission errors in the CPT, and SSRT in the SST on the smartphone than the computer,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have difficulties in refraining from action initiation or stopping an ongoing action, as well as difficulties in delaying gratification or exerting self control; we conclude that smartphone addiction might be regarded as a subtype of behavioral addiction.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서 즉각 반응 충동성(RRI)과 선택 충동성(CI)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대학생 61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30명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연속 수행 과제(CPT), 멈춤 신호 과제(SST),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EDT)를 컴퓨터 및 스마트폰 웹기반으로 모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웹기반 과제의 결과는 컴퓨터 웹기반 과제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져, 스마트폰 웹기반 실험과제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SAS-B)를 기준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27명)과 통제집단(28명)을 선정하여 CPT, SST, ED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은 컴퓨터 및 스마트폰 웹기반 모두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CPT의 오경보율과 SST의 SSRT 값이 유의하게 높고 EDT의 AUC 값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행동의 시작을 억제하거나 진행 중인 행동을 멈추는데 어려움을 겪고 충동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은 컴퓨터 웹기반에 비해 스마트폰 웹기반에서 CPT의 누락오류율과 SST의 SSRT 값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진행 중인 행동을 억제하고 주의력을 유지하는 것에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이 행동중독의 하위유형으로 간주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