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건강심리학: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강혜자,손정락 한국건강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3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the past and present timeframe in regard to an identified Korean health psychology and works to predict future changes within that paradigm. First, we tried to explore the efforts of the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94: its history and development; the fields of its activities, seminars and monthly meetings on health psychology; the Korean Journals of Health Psychology;conferences and workshops; News Letters; "Plan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Health Psychology Association" of the experts in the clinical health psychology; as well as a review of the status of its members. Second, we looked at understanding Korea's health promotion policy (Korea'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important health indicators in Healthy People 2020(USDHHS, 2010). Finally, we predicted a change in the future issues related to health psychology. 본 연구는 한국 건강심리학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의 변화를 예측해보려는 의도로 시도되었다. 첫째, 1994년에 발족된 한국건강심리학회의 그간의 노력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즉 학회의 역사와 발전, 회원들의 활동 영역, 건강심리학 세미나 및 월례회,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학술대회 및 워크숍, 연구회 및 지부학회, 소식지, 한국 건강심리전문가들의 ‘한국 건강심리학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구상’, 그리고 회원현황을 알아보았다. 둘째, 건강 증진에 대한 견해에 관해서는, 한국의 건강 증진 정책의 이해(한국보건복지부)를 알아보고, 미국의 건강한 국민 2020(USDHHS, 2010)에서 중요한 건강 지표들을 알아보았다. 끝으로, 미래의 건강심리학 분야의 변화를 예측해 보았다.

      • KCI등재

        소아청소년 심리학(Pediatric Psychology)에 기반한 소아와 청소년을 위한 건강심리학적 이슈

        박진희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1

        'Health' has become the concern of every age and class in modern society, 'Health psychology' is no longer a discipline only for a specific group. To date, children and adolescents have not the center of attention in the clinical setting and research of health psychology. But, the stages of child and adolescents development have been an emerging subject of interest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during periods making a fundamental and long-lasting impact on the whole lif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reation of Pediatric Psychology, created by the academic and clinical interest in the ne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health psychology. The "new marriage between Psychology and Pediatrics" (Kagan, 1965) also started the academic gestation of interdisciplinary groups such as Clinical Psychology, Child and Adolescents Clinical Developmental Psychology, Clinical Nursing, Social Work, Family Therapy,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Medicine. The Society of Pediatric Psychology, the 54th division in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2001. At last, health psychologis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suggesting looking at domestic issues both now and in the future. 100세 시대를 맞아 건강심리학은 정신건강과 신체건강의 조화를 통해 인간의 건강한 삶을 지향하는 균형 잡힌 학문으로 새롭게 발전하고 있다. ‘건강’이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된 현대사회에서 ‘건강심리학’은 더 이상 특정 대상만을 위한 학문이 아니다. 소아청소년은 지금까지 건강심리학의 학문적, 임상적 분야에서 중심대상이 되지 못했지만 전 생애의 건강에 미치는 소아청소년기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입증되면서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에 대한 건강심리학의 학문적 관심과 임상적 필요성에 의해 탄생된 소아청소년 심리학(Pediatric Psychology)을 소개하고자 한다. ‘심리학과 소아의학(소아청소년의학)의 새로운 결혼(Kagan, 1965)’으로 시작된 학문적 태동은 임상심리학과 소아청소년임상의학 뿐 아니라 발달심리학, 임상간호학, 사회복지학, 가족치료학,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 등 다학제적으로 융합되어 2001년 미국심리학회의 54번째 분과학회로 자리매김하였다. 소아청소년 심리학자들은 대학병원 및 1차 진료 장면, 학교, 연구소, 지역사회 등지에서 임상활동과 연구활동, 교육(임상수련)활동을 하고 있으며 증거기반 치료 및 개입을 통해 과학적 연구와 임상 영역을 넓혀나가고 있다. 현재까지 의료장면에서 소아청소년이 경험하는 치료 불순응과 치료적 협조, 만성 질환의 관리와 치료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의 관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 등과 같이 건강에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이 연구되었다. 더불어 e-Health의 연구 및 대중적 활용, 가족과 간병 보호자의 건강관리 및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등의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 소아청소년 심리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소아청소년 건강을 담당하는 타 분야 보건 전문가들과의 의사소통과 협조 및 행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소아청소년을 위한 건강심리학자의 역할과 학문적 기틀 마련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외 건강심리학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

        서경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1

        본고에서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를 바탕으로 건강심리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개괄하여 한국의 건강심리학자와 건강심리학을 전공하는 학생에게 앞으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목을 바탕으로 국내외 연구를 비교한 결과, 국내 건강심리학 연구도 국외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국외 건강심리학 연구들은 조금 더 다양한 신체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경향이 있었고, 연구된 건강행동들도 더 다양하였다. 국내는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방식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들이 많았으며, 다양한 중독행동을 주제로 연구되었다. 끝으로 한국의 건강심리학자들은 다양한 건강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나 심리적 요인들을 조금 더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질적 연구나 메타분석 연구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This brief report reviewed research trends based on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and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Korean health psychologists students to further stud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ocal and foreign research, it was determined that Korean research of health psychology did not differ from foreign researches. However, foreign researches in health psychology have been targeting patients with the more diverse physical diseases, and researched healthy behaviors so far varied. In Korea, experimental studies which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health promotion were more frequently fulfilled, and more diverse addicted behaviors were studied. Finally, Korean health psychologists need to be interested in studying theories and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a large variety of healthy behaviors, using both qualitative and meta analysis studies.

      • KCI등재

        한국 건강심리학 연구주제의 흐름: 2002-2021

        한규만,최지명,이민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6

        본 연구는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한국 건강심리학의 연구주제의 흐름을 확인하여, 건강심리학의 변화를 예측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년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에 게재된 논문 994편의 논문 제목에서 추출된 1207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를 추출하고, 주제어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의 주요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 변인 간의 관계 및 확인을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주요 주제어는 정서 및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들이 많았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의 연구들은 주요 주제어인 정서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COVID-19 전후의 비대면 심리상담에 대한 주제 변화

        김효정,고소임,정경진,현명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2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interest in telepsychotherapy has increased. Therefore, we aimed to examine the topics related to telepsychotherapy that were of public interest, by analyzing posts containing the keyword ‘telepsychotherapy’, after text mining. Furthermore, our study investigated any changes in the topic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We collected data from Naver, a representative portal site in Korea, from before (T1) and after (T2) the spread of the COVID-19 (as of January 20th, 2020), when the first case was reported in Korea.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Three topics were derived from the data in T1: the prospect of the mental health care field, the understanding of human psychology based on IT technology, and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individuals. Meanwhile, five themes were derived in T2: support and provis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psychological services related to children's development, psychological problem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experience of psychological problems, and services delivered non-face-to-face. Our results revealed that interest in telepsychotherapy has increased after the COVID-19 outbreak, and expectations for telepsychotherapy have led to the actual services and experiences. Moreover, our findings also highlighted caregivers’ concerns for the impact of prolonged COVID-19 on child development.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가 불가피해지면서 비대면 심리상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의 게시글 중 ‘비대면 심리상담’ 키워드를 포함한 글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비대면 심리상담과 관련된 대중의 관심 주제를 조사하고 COVID-19 발생 전후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20일을 기준으로 코로나 확산 전(T1)과 후(T2)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빈도분석, 동시출현 단어 분석, 토픽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1의 자료에서 정신건강케어 분야에 대한 전망, IT기술을 기반으로 한 심리의 이해, 개인의 심리적 문제라는 3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한편 T2의 자료에서는 정신건강 서비스의 지원 및 제공, 아동의 행동과 발달 관련 심리서비스, 관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 심리적 문제의 경험, 비대면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라는 5가지 주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비대면 심리상담에 대한 관심이 COVID-19 이후 양적으로 증가하였고, 막연한 관심 및 기대가 실제 서비스의 제공과 경험으로 이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과 관련된 비대면 심리서비스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심리서비스에 대한 정신건강 영역 전문가의 새로운 역할과 고려할 점 등에 대해 논의하였고 연구 결과의 시사점,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군 복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강인성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설정훈 한국건강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rough the associated psychological hard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 were a total of 300 Korean military personnel chosen to complete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Stress Diagnostic Scale for Korean Military Personnel, Psychological Hardiness Scal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 psychological hardiness,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results show notabl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as ident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is found to be related in this study. Thir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hardiness is found. Finall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rough psychological hardiness is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ed stress and mental health. Overall, the noted implications for positive improvement of the mental health of military personnel member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군인이 군 복무 중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강인성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해군 장병 300명을 대상으로 군내 스트레스 진단 척도, 정신건강 척도, 심리적 강인성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Muller, Judd와 Yzerbyt(2005)가 제시한 매개된 조절모형 검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스트레스, 정신건강 문제, 심리적 강인성, 사회적 지지 간의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문제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다. 셋째, 스트레스와 심리적 강인성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SPSS Macro PROCESS Model 8(Hayes, 2012)을 이용하여 심리적 강인성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신건강 문제를 예측하는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항이 심리적 강인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고, 군인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강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청소년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의 타당화

        김진영,문기범,고영건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Adolescent Positive Health Scal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668 adolescents (960 middle school students and 708 high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Adolescent Positive Health Scal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investigat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of 189 adolescents (99 middle school students and 90 high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Korean Version of the Adolescent Positive Health Scale, the School Adjustment Scale, the Ego Strength Scale, and th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reliability coefficients (Cronbach’s α)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dolescent Positive Health Scale were .92 for the mental well-being factor and .82 for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actor. According t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model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nt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actor evidenced a better fit than a model withou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The Mental Well-being Scal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hool Adjustment Scale, the Ego Strength Scale, and th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while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ca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ose scal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discussed that a longitudinal study would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mental health type on the prevention of mental disorders and process of recover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청소년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중학생 960명과 고등학생 708명, 총 1,668명에게 한국판 청소년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렴 및 변별타당도 분석을 위해서 중학생 99명과 고등학생 90명, 총 189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청소년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 자아강도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판 청소년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의 내적 일치도 계수(Cronbach’s α)는 정신적 웰빙 .92 그리고 심리적 부적응 .82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정신적 웰빙과 심리적 부적응의 두 요인 간 상관이 있는 모델이 그 두 요인 간 상관이 없는 모델보다 더 좋은 적합도를 나타냈다. 정신적 웰빙 척도는 학교생활적응 척도, 자아강도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와 정적인 상관을 보이는 반면, 심리적 부적응 척도는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이 정신장애의 예방과 회복 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종단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 KCI등재

        자기은폐와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심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 심리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김정애,이민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4

        Self concealment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have been known to impair psychological health, but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generalized research and underlying factors have not been identifi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wo factors cause the maladaptive cycle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which is essential for psychological health, is suppressed and continuous attachment takes place in the process, this study designed a mediation model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conducted two experiments. Experiment 1 tested the model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and ordinary people (n=386)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ethod,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on the effect that self concealment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have on psychological health.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 1, Experiment 2 measured the change of daily state in university students (n=50) repeatedly for 21 days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based on the model tested in Experiment 1 in order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daily state. The daily state of self concealment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daily psychological health on daily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such a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are impaired by the characteristics and daily state of self concealment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this, consequently, causes negative psychological health. Furthermor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자기은폐와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심리건강을 저해하는 변인으로 알려져 왔으나, 일반화된 연구가 부족하고, 기저에 어떤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에서는 심리건강에 필수적인 기본 심리욕구만족을 저해하는 억제의 과정 및 그러한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집착하는 부적응적 순환이 야기된다고 보고, 자기결정이론에 따라 매개모형을 설계하여 두 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구조방정식 방법을 사용하여 대학생 및 일반인(N=386)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모형검증을 실시하고, 자기은폐와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심리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 심리욕구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일일의 ‘상태’에 따른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연구 1에서 검증된 모형을 바탕으로 위계선형모형을 사용하여 대학생(N=50)을 대상으로 21일 동안 일일 상태에 따른 변화를 반복측정 하였다. 일일 상태 자기은폐와 일일 상태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일일 상태 심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일일 상태 기본 심리 욕구 만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은폐 및 부적응적 완벽주의 특성 및 일일에 따른 상태로 인해 기본 심리욕구인 자율성, 효능감, 관계성이 저하되고, 그로 인해 부정적 심리건강이 야기됨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의의, 한계,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 학부모들의 정신건강 및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현황 분석

        조현섭,한영주,원성두,김희선,유지혜,최재원,황유빈 한국건강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6 No.5

        As Covid-19 pandemic prolongs, rapid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 such as restrictions in schools and group gatherings are impacting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guideline for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to prepare for their alternative parenting in the Covid-19 pandemic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ir mental health and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524 parents from 37 kindergartens and daycares, 21 elementary schools, and 23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using individual mental health-related scales, parent-child relationship-related scales, parental efficacy, and scale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hanges after Covid-19. Results showed that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of parents were with in their normal ranges. However, participants experienced negative changes in their mental health after Covid-19. They had more worries and anxieties about the coronavirus. Both negative and positive changes were reported by recognitions of parents about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after Covid-19. Moreover,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ren represented an adverse change. Their smartphone and internet use showed increases. For realistic and practical intervention in advance, ways to utilize the current status of mental health in parents who are rearing children in Covid-19 and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as elemental data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과 관련하여 학령기 자녀를 둔 학부모들의 정신건강 및 부모자녀관계의 현황을 파악하고 대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역의 37개 어린이집 및 유치원, 21개 초등학교, 23개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학부모 524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부모자녀관계, 부모효능감,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등을 측정하는 척도로 주요 관심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학부모들의 우울과 불안 평균 점수는 정상범위였으나 코로나19 이후 정신건강 상에 부정적 변화를 경험하고 규준집단에 비하여 코로나19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학부모들이 지각하는 부모자녀관계는 부정적 변화와 긍정적 변화가 모두 보고되었고 자녀의 우울과 불안과 같은 정신건강이 부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스마트폰과 온라인게임 시간 또한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코로나19 시대에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의 정신건강과 부모자녀관계의 현황을 추후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