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마트시티 신서비스 발굴 및 특화단지 조성방안

        옥진아 경기연구원 2018 정책연구 Vol.- No.-

        해외의 스마트시티는 민간차원의 스마트시티로 참여하는 사례가 많고, 실증 및 특화단지의 경우도 덴마크 코펜하겐의 코르스로드, 일본의 후지사와 스마트타운과 같이 주로 쇠퇴도시의 재생을 위한 사업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이 주로 추진되고 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의 시범도시 및 테마형 스마트시티는 세종, 부산 에코델타시티, 판교, 평택고덕, 동탄 등 신도시를 대상으로 실증 및 특화모델을 구축 중에 있다. 시범사업의 성격으로 추진되어 온 스마트시티 또한, 단발성 지원에 그쳐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다양한 스마트기술을 적용된 대표적인 스마트시티의 성공사계가 부족한 것도 문제점과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서비스 부분에서도 도시민의 편의성 제공을 위한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사업화를 도모하였으나, 실증사업 중 최초 제시된 서비스 중 상당수가 중간에 종료되거나, 서비스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도시민이 체감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아직까지는 체감도가 높은 서비스 솔루션을 접목한 특화단지는 부족하고, 대표적 스마트 기술이 구현된 단지조성 또한 미흡하여,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저변확산과 연관산업 육성에는 기여하는 바가 크지 못한 게 현실이다. 현재까지는 대부분 신도시형 모델을 중심으로 기존도시의 여건과 산업 등을 고려한 서비스 모델보다는 신도시에 적용가능한 일률적인 서비스가 주로 제공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적인 지역 발전을 위한 계획적 수단으로써 스마트도시 계획을 수립하려며, 지역의 인구, 산업 등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특화된 스마트도시의 방향과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화단지는 산학연과 지자체 협력방안, 과감한 규제 완화와 R&D 투자 등의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기술 융·복합과 다양한 기술개발을 유도해야 한다. 지역 산업생태계에 맞는 스마트시티 모델을 발굴하고 규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특화단지 조성을 통해서 융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모델 발굴과 서비스 운영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서비스는 지속가능한 모델이어야하며, 지역적 특화문제를 반영한 특화된 모델과 주민참여형으로 도시발전의 모델이 될 수 있어야 하며, 기존도시와 쇠퇴지역에 대한 혁신모델이 필요하다. 기존도시에 대한 도시재생 모델은 신도시와 달리 재원조달형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재원조달 측면에서 중앙부처의 지원방안 등이 함께 검토되어야할 것이다. 유관산업 연계형 실증특화 단지로는 자율주행 투어 모빌리티 단지, 에너지산업단지, 친환경 수자원단지, 대중교통 시설 첨단 복합단지 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구축을 위해서는 지역맞춤형의 리빙랩 모델을 선정하고, 지역 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생태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에너지, 환경, 교통, 건축, 농업 등의 스마트도시 분야별로 도시의 특성에 맞게 리빙랩을 선정하여 지역 주민들의 주도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공-민간-시민의 협력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es in overseas smart cities. In the case of the demonstration complex, the Smart City project is being promoted mainly as a business for the regeneration of declining cities such as Corse Road in Copenhagen, Denmark and Fujisawa Smart Town in Japan. On the other hand, Korea "s pilot city and theme city Smart City are building demonstration and specialized models for new cities such as Sejong, Busan Eco Delta City, Pangyo, Pyeongtaek Godeok and Dongtan. Most of the new city models are mainly provided with uniform servic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new city rather than the service model considering the existing city conditions and industries. In addition, the Smart City, which has been promoted as a pilot project, is not able to compete in the world market due to its one-off support, and lack of success in the representative Smart City with various smart technologies is pointed out as a problem and a limitation. In the service section, w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citizens and planned commercialization. However, many of the services initially presented in the demonstration project are terminated in the middle or the range of services is limited,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urban residents have difficulty in feeling. So far, there are not enough specialized complexes that combine service solutions with high visibility, and it is not enough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smart city services and fostering related industries Specialized complexes should induce technological fusion, compounding and various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intensive support such as industry-academia-research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 bold deregulation and R&D investment. It is necessary to find a smart city model suitable for the local industrial ecosystem and to find out a smart complex city service model and a service operation pla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complex free from regulation. The service should be a sustainable model. It should become a model of urban development with a specialized model that reflects the regional specialization problem and a citizen participation type, and it needs an innovation model for existing cities and declining regions. It is possible to examine self-driving tour mobility complex, energy industrial complex, eco-friendly water resource complex, and public transportation complex advanced complex. To build a sustainable smart city for solving region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elect a living-lab model tailored to the region and build an ecosystem model in which local residents take a leading rol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ublic-private-citizen cooperation model that can lead th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selection of living lab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by energy, environment, transportation, architecture, agriculture.

      •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유스 케이스 검증 모델 연구 - 대구광역시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

        박한나,오명택,권진경,조영태 사단법인 스마트도시건축학회 2020 사단법인 스마트도시건축학회 논문집 Vol.1 No.1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 Use Case는 교통, 안전, 환경, 에너지, 복지, 시민참여 등 도시 내 모든 영역에 대해 개발되고 있고, 스마트시티의 구축 및 실증을 위한 사업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지속가능성과 사용자 관점에서 스마트시티 Use Case의 운영과 효과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검증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Use Case에 대해 검증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검증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시에 적용된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다. 이를 위해 국내외 스마트시티 검증 기법에 대해 문헌 연구를 토대로, 대구시 스마트시티 Use Case 검증방안을 검토한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려와 사용자 관점이라는 전략하에서 구체적인 검증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Use Case에 대해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검증함으로서 스마트시티 Use Case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서비스 개선에 기여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Globally, smart city use cases are being developed in all areas of the city, including transportation, safety, environment, energy, welfare, and citizen participation, and projects for the establishment and demonstration of smart cities are gradually spreading. However, scientific and systematic verification studies on the operation and effectiveness of smart city use cases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and users are still insignificant. This study seeks a strategy for verifying smart city use cases, and attempts to derive a verification method. The subject of research is a smart city innovation growth engine project applied to Daegu City. To this en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on domestic and overseas smart city verification techniques, we review the Daegu City smart city use case verification plan. A specific verification plan is presented under the strategy of considering sustainability and the user's perspecti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to service improvement byproviding feedback on smart city use cases by verifying smart city use cases based on user participation.

      • KCI등재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의 제도적 동형화: 지역 스마트시티 계획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서형준,명승환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3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6 No.4

        While local governments have the main role of smart city polic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smart city policy through institutional isomorphism, including coercive isomorphism, mimic isomorphism, and normative isomorphism. With the framework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ext mining on local smart city plan to reveal the current situation of isomorphism in local smart city. First, in terms of coercive isomorphism focusing on law and institution by central government, it analyzed smart city law,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smart city certification. Second, in terms of mimic isomorphism focusing on imitation of smart city policy among local governments, it analyzed key success factors of smart city, the vision of the smart city, and the target goal of a smart city. Third, in terms of normative isomorphism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echnical trends on smart cities as the professionalization, it analyzed the technical background of smart cities and smart city service. The result drew policy suggestions, including reflection of opinion by local government on smart city policy, classification and provision of smart city benchmarking cases for each capability and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introduction of technolog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governments.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의 주체가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지자체)로 전환되는 상황에서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을 대표하는 지역 스마트시티 계획의 추진 현황을 제도적 동형화의 강압적 동형화, 모방적 동형화, 규범적 동형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제도적 동형화의 이론적 분석틀을 적용하여 질적 내용분석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핵심 키워드 확인 등을 통해 동형화 현황을 확인하였다. 첫째, 강압적 동형화는 스마트시티 관련 중앙정부의 법・제도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법, 스마트시티 종합계획, 스마트시티 인증제도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모방적 동형화는 지자체 간의 스마트시티 정책의 모방적 행태를 확인하고자 스마트시티 핵심성공요인, 스마트시티 비전, 스마트시티 추진 목표 등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규범적 동형화는 전문화에 해당하여,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 동향의 영향을 중심으로 하여 스마트시티 기술환경,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기술환경에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지능정보기술의 주요 기술이 공통으로 언급되고, 이에 따른 스마트시티 정책의 구현화인 스마트시티 서비스에서도 관련 기술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분석틀에 따른 동형화 내용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시티 정책에 지자체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각 지자체의 역량과 환경에 맞는 스마트시티 사례에 대한 중앙정부의 선별 및 홍보이다. 셋째, 지자체의 현황에 따른 스마트시티 기술 도입 등이다.

      • KCI등재

        스마트시티 정책추진 변화와 지자체 대응 분석

        이재용,한선희 한국도시지리학회 2019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개념 및 그 변화ㆍ확장 과정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에 대한 국내 전국 시· 군들의 대응 방식을 살펴보았다. 스마트시티는 여러 국가 및 도시에서 정책적으로 많이 채용하고 있는 개념이지만그 출발점이 다양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출발점 및배경을 살펴보고,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전환에 대한 키워드를 분석하였으며 국가 스마트시티 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외 스마트시티 정책의 등장 배경 및 그 전환들에 대해 검토 후 스마트시티 추진 주체인 지자체들에 이러한 정책들이 실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전국 지자체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하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에 대한 키워드 빈도가 현재 스마트시티와 관련하여 가장 빈도수가 높은 키워드 그룹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시통합운영센터라는 물리적 공간과 도시통합플랫폼이라는 기능적 통합을 위한 소프트웨어는향후 국내 스마트시티의 가장 기본적 인프라로 작동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ncept of a smart city, its changes and expansion processes, and how local governments in Korea respond to theses changes. The concept of a smart city is widely used in numerous different countries and cities. However, the concept of a smart city still does not have a consensus because it comes from different origins. In this paper, different origins and backgrounds of a smart city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policy change of a smart city were discussed through a keyword analysis and the implications of a national smart city policy were suggested. The background of the domestic and foreign smart city policy was also examined along with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local governments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policies are actually affecting them. The keyword frequency for innovation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frequent keyword group in relation to the smart cit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oftware for functional integration of the physical space of the city integration operation center and the city integration platform will serve as the most basic infrastructure of the smart c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스마트 빌딩 관련 법제도적 전략 - 영국에서의 관련 정책을 참고하여

        김용훈(Kim, Yonghoo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64 No.-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말미암아 많은 국가들은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스마트시티이다. 도시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민이 본격화됨에 따라 등장한 이슈가 바로 당해 스마트시티인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스마트시티에서 나아가 이에 대하여 필수적으로 연계되어 설계되어야 하는 스마트빌딩에 대한 관심 역시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도시 관리는 인구의 유입과 이로 말미암은 형식적 문제의 해결 그리고 건설, 시설 등 주로 하드웨어적인 사항에 집중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도시로의 인구 유입의 폭발적인 증가와 이로 말미암은 도시 관련 문제의 복잡한 양상 나아가 도시 운영에 있어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등 전혀 새로운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도시의 실효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한 개념으로 스마트시티라는 것이 등장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실제적으로 도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적인 운영체제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으며 나아가 범죄의 효과적인 예방과 같은 안전 관련 쟁점도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 역시 스마트시티 정책의 추진을 위하여 법률을 제정하였는데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이 그것이다. 스마트시티의 개념을 전제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당해 법률 제정 자체의 의의를 인정할 수 있지만, 당해 법률 상 정부가 관련 정책의 주요한 행위자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다른 정책에 있어서의 입장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즉 당해 법률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관련 사업을 주도하고 스마트시티와 관련한 이슈들을 나열식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민간 기술 활용 방안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당해 지점에서 스마트시티 나아가 스마트빌딩의 도입과 관리를 위하여 보다 다각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영국의 경험을 참고할 수 있다. 영국은 스마트시티 혹은 스마트빌딩의 도입기에 있어 거시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가운데 민간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고민을 거듭 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활용이 중요한 영역의 경우 정부가 주도권을 가지는 가운에 민간 업체의 제한적인 참여를 규정하는 법률에서의 기존 입장은 극복될 필요성이 상당한 것이다. It is true that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countries are taking many active actions for the revolution. In particular, it is ‘Smart City’ that has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in this regard. The issue of smart city has emerged as primary concerns about how to make the use of the city more efficiently. Recently, however, interest in ‘Smart Building,’ which must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smart cities policy, has also increased considerably. And it is reasonable to argue that urban management has so far focused mainly on hardware issues such as the adoption of construction/facilities technology and settlement of formal problems due to the influx of population into the cities. However, the explosive increase in population inflow into cities has led to the necessity of the smart cities as a tool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ities, as the important means to deal with urban-related problems and completely new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which are essential for city operation. Thus the discussion concerning with the smart city provides a foundation for securing a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operating system for cities in practice, and it is possible to discuss safety-related issues such as the effective prevention of crimes which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roughout the discussion on smart city. Furthermor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he adoption of smart city is the smart building, it is inevitable to discuss the issues on smart city concerning with the smart city policy. We also enacted laws to promote smart city policies, such as the Act on the Creation of Smart Cities and the Promotion of Industry. Although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 Act itself, which secures the relevant policies on the premise of the concept of smart city, it is possible to assess that the government is following its position like other existing policies in that they are emerging as major actors in the relevant policies. In other words, it cannot be sai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secured effective ways to utilize private technologies, given that the law stipulate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primary actors to monopolize the related projects and issues related to smart city. In this regard, it is reasonable to refer to the British experience of sticking to a more diverse position for the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smart city and building. This is because the UK is repeatedly considering the active use of private technology whilst the government presents only comprehensive direction in the introduction of smart city or smart building. In areas wher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new technologies are important, the existing position in the concerned law that limits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entities needs to be overcome even though it is necessary to admit that the government should have the leadership.

      • KCI등재

        시민중심 스마트시티 혁신을 위한 지방정부 전략: 부천시와 바르셀로나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민(Kim, Sangmin) 한국도시행정학회 2021 도시 행정 학보 Vol.34 No.3

        최근 4차산업혁명 논의와 함께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와 접근방식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초기에는 주로 도시 기반시설이나 물리적 인프라 측면을 강조하는 측면이 강했다면, 최근에는 스마트시티의 핵심 주체라 할 수 있는 시민의 역할과 참여가 강조되는 경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기술 혁신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중심이 되는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시민주도형 스마트시티 구축, 스마트시민의 참여를 촉진하는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제도적 장치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된다. 그러나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 동향을 분석하는 선행연구에 따르면, 시민참여를 통한 문제의 공동해결이라는 혁신적 측면을 강조하고는 있지만, 실제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 실태는 여전히 중앙정부 중심의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두어왔다는 한계점이 제기된다. 또한 스마트시티 정책이 주로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시범사업으로 이루어지면서, 개별 지자체 차원에서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이 혼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물리적·인프라 위주의 스마트한 공간 구축 측면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스마트시티가 지향하는 ‘시민의 실질적 삶의 질 증진’을 위해 지방정부가 설정해야 할 정책의 방향성이나 그 세부 전략은 무엇일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와 쟁점을 검토하고, 스마트시티의 구성요소를 크게 기술·데이터·인프라, 혁신성, 제도기반의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그간 다소 논의가 부족했던 혁신성과 제도기반의 측면을 정교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연구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민참여 기반 지역사회 문제해결에 초점을 둔 경기도 부천시와 스페인 바르셀로나 사례를 분석하고,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시민중심 스마트시티로의 전환을 위한 지방정부 차원의 정책 방향성 및 세부전략을 제시하였다. As the concept of smart city been given extensive attentions, the definitions and approaches to smart cities have been diversified by different countries or regions. While the earlier conceptions more focused on the aspects of urban infrastructure and physical space, recent approaches have an increasing tendency to emphasize the role of local citizens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during the process of smart city.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smart city is shifting to a more citizen-focused one, addressing the importance of civic participation and governance that facilitates collaborative efforts.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that analyzed the smart city policy implementation in Korea, howeve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smart city policy is still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with the emphasis on the physic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Focusing on this limitation, this study argues that such a hardware based approach does not qurantee the realization of smart city, whose fundamental aim is not to just apply new technologies to infrastructure development, but to solve diverse local problems for enhancing the living quality of citizen.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purposes to seek local government strategies to realize citizen-oriented smart city. Based on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this study develops a research framework that is composed of the three dimensions of smart city: 1) technology, data and infrastructure, 2) innovative capacity 3) institutional setting. Then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ypical smart city cases in Korea(City of Buchon) and in Spain(Barcelona). Building on the main findings from the case study, this study provides policy directions and detailed strategies that can be considered for the smart city innovation polici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 스마트시티는 미래의 도시로 충분한가?

        허정화(Huh Jeongwha) 평화나눔연구소 2022 인간과 평화 Vol.3 No.1

        도시가 인류의 주된 삶의 공간이 되어버린 지금 새로운 미래도시에 대한 열망은 지금 스마트시티로 집중되고 있다. 국가마다 도시마다 각자의 상황에 맞는 스마트시티를 그려내고 있지만 이 새로운 미래도시를 통해 도시가 가진 다양한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같은 꿈을 꾸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시티는 현대 도시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만이 아니라 많은 국가들의 도시개발의 목표가 되고 있다. ICT와 첨단기술의 협업을 통해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초기 스마트시티의 성공은 여러 사례로 증명되고 있으며, 노후한 도시의 재생이나 신도시개발 개발 분야 모두에서 스마트시티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지대하다. 그러나 스마트시티의 개발 과정에서 투자 집중에 따른 또 다른 양극화와 사생활과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공공과 기술기업과 개발사업자, 금융사들 간의 이해관계 조정 문제, 시민 소외 문제 등이 나타나고 있다. 개발 논리와 금융 논리에서 벗어나 도시가 가진 본연의 가치인 자유시민의 터전이라는 점을 놓치지 않기 위해 스마트시티가 추구해야 하는 새로운 가치는 무엇인지 미래의 도시로서 스마트시티가 가야 할 방향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Now that cities have become the main living space of mankind, the desire for a new future city is now being focused on ‘smart city’. Each country and each city is drawing a smart city that suits their situation, but they have the same dream that various problems of the city will be solved through this new future city. Furthermore, smart cities are not only a technological means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cities, but are also becoming the goal of urban development in many countries. The success of the early smart city projects, which aims to solve urban proble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ICT and advanced technology, has been proven by several examples. So, there are high expectations for the potentials of smart cit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well as new city development. However, in the middle of smart city development process, some critical issues are emerging, such as another digital divide due to investment concentration,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flicts of interests amongst public institute, technology companies, developers, and financial companies, and alienation of citizens during the project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logics of development and finance, and not to miss the fact that the city is the home of free citizens, the intrinsic value of the city, what new values should be pursued by the smart city? It is time for discussion of smart city as future city for all.

      • KCI등재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는 주요 분야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스마트 시티 선정

        박경종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스마트 시티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결과로 인식되고 있다. 스마트 시티를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시티의 주요 분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 시티의 주요 분야를 6개(Smart Economy, Smart People, Smart Governance, Smart Mobility, Smart Environment, Smart Living)로 가정하고,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고 있는 6개의 주요 분야를 속성(attributes)으로 간주한다. 이 속성들이 가지는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퍼지니스 개념이 포함된 Grey numbers로 계산하여 최적의 스마트 시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법은 Grey theory이며, 이 기법은 속성이 가지는 정성적 특성들을 정량화된 값으로 산출하여 정량적 특성 및 정성적 특성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4곳의 스마트 시티를 선정이 가능한 대안(alternatives)으로 삼고,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는 6개의 주요 분야에 대해 스마트 시티의 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해 최적의 스마트 시티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The importance of smart city continues to grow and is recognized as a key resul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build and manage smart c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ain areas of smart city. This study assumes 6 main areas (Smart Economy, Smart People, Smart Governance, Smart Mobility, Smart Environment, Smart Living) of smart city and considers 6 main areas constituting smart city as attributes. This paper proposes an optimal smart city by computing the uncertainty and ambiguity of these attributes with Grey numbers including the concept of fuzziness. The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is the Grey theory. This technique calculates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ttributes as quantified values, so that it can reflec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considers the four smart cities as alternatives that can be selected and suggests the results by determining the optimal smart city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xperts of smart city for the six major areas that make up the smart city.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지방정부의 지역 스마트시티계획 분석

        서형준 한국정책과학학회 202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7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local smart city plan that describes background and goal of each local smart city policy in the situation whe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has been increased in the smart city policy. It analyzed text contents of SWOT analysis, and strategy in local smart city plan with using text mining and topic model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he main keywords of SWOT analysis were commonly related to economy in each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The main keywords of strategy were related to smart city service. Additionally, it analyzed the keywords in strategy through topic modeling LDA. As a result, it classifies smart city strategy into seven topics; Topic-1(activation of local tourism industry), Topic-2(sustainable city), Topic-3 (new industries growth), Topic-4(safe city), Topic-5(development of life-friendly city service), Topic-6(development of the old urban area), Topic-7(data driven city). It drew mismatching between environmental analysis and strategy, support for smart city policy considering local economical condition, and information security as local smart city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스마트시티 정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대하는 상황에서, 각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의 추진 배경 및 전략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지역 스마트시티계획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25개 지역의 스마트시티계획 내의 SWOT 환경분석, 목표, 전략 등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고, 전략은 토픽모델링 LDA를 수행하였다. SWOT 환경분석의 강점, 약점, 기회, 위기 등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된 키워드는 주로 경제와 관련되었다. 목표의 주요 키워드는 스마트시티 인프라를 활용한 도시이슈 해결에 해당하였다. 전략의 주요 키워드도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련 키워드에 해당하였다. 전략의 키워드에 대한 토픽모델링 LDA를 수행한 결과 주제-1(지역관광 활성화), 주제-2(지속가능한 도시), 주제-3(신산업 성장), 주제-4(안전도시), 주제-5(생활밀착 도시서비스 개발), 주제-6(구도심 개발), 주제-7(데이터 기반 도시)등 7개의 주제로 구분하였다. 지역 스마트시티계획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결과에 따른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분석내용을 토대로 지역 스마트시티계획 수립의 배경과 스마트시티 전략의 괴리, 지역의 경제적 여건에 따른 스마트시티 정책 지원, 데이터 관련 정보보안 전략 등을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의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최봉문(Bong-Moo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홈 등 스마트 공간들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공상과학이나 영화에서나 존재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바야흐로 지금은 “스마트” 용어의 시대이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스마트라는 용어가 무분별하게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개념적 혼선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향후 스마트시티가 나아가야할 방향 등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스마트 용어가 도시 및 공간에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대하여 살펴보고 스마트시티의 발전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스마트’ 용어의 적용사례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란 용어는 ‘지능화, 첨단적’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스마트시티의 정의는 다양한 견해로 보이는 걸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스마트(smart) + 도시(city)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들고자 하는 의미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다. Smart scope, such as smart equipments, smart homes, and smart phones, has been appeared lately being developed. Such technology developments have been close and practical to our daily lives, not regulated in a science fiction and a movie .It is just the peak of a smart term period. However, with the result from imprudent application of the term smart in the various fields in a short term, the concept of the term Smart City has been nebulou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sign the obvious concept of Smart City and figure out the political improvement how it will make the direction in the future. That is to study the Smart City which applies the term smart in its city and space,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directions. After studying the application of the term smart, we determine this word has intelligent and high-tech concepts and is used variously in the diverse fields. But we conclude that the term Smart City in these fields is defined differently. From these perspectives, the term is not a simple creature consists of smart and city. It is to be designed as the meanings of making the cities sm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