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로마서의 “평화” 개념

        임숙희(LIM, Sook-hee) 평화나눔연구소 2021 인간과 평화 Vol.2 No.2

        이 논문은 로마서를 통해서 바오로의 “평화”라는 주제를 연구한다. 바오로의 “평화”에 대해서 신약학계에서는 많은 연구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평화”는 바오로 신학의 중심 주제다. 평화라는 용어가 로마서에 많이 나오지는 않지만 로마서 구조의 중요한 부분에서 사용된다. 평화의 기원은 하느님과 예수 그리스도이다. 하느님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서 죄인들과 화해했다. 하느님의 행위를 통해 평화를 누리게 된 신자들은 공동체 외부와 내부에서 이 평화를 실천하도록 초대받는다. 바오로의 평화 개념은 로마서에서 바오로 신학의 중요한 주제인 은총, 의화, 화해, 하느님, 나라, 공동체 성장과 연결된다. 나아가 바오로의 평화 배경은 구약뿐 아니라 1세기 로마 제국의 팍스 로마나 시대의 정치적, 사회적 배경을 토대로 살펴볼 때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바오로는 처음부터 평화로운 사람이 아니었다. 다마스쿠스 길에서 회심 체험 후에 바오로는 선교 활동과 신학적인 성찰을 통해 그의 평화 이해를 더욱 심화하였다. This essay studies the topic of Paul’s “peace” through the Epistle to the Romans. There were not many researches in the New Testament on Paul"s “peace”. However, peace is a central theme of Paul’s theology. Although the term peace does not appear very often in Romans, it is used in an important part of the structure of Romans. The origin of peace is God and Jesus Christ. God reconciled with sinners through the death of Jesus Christ. Believers who have attained peace through God"s deeds are invited to practice this peace, both outside and inside of the community. Paul"s concept of peace in Romans is related with the important themes of his theology: grace, justification, reconciliation, the Kingdom of God, and the growths of communities. We can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Paul"s peace better when looking at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Pax Romana period of the Roman Empire in the 1st century as well as the Old Testament. Paul was not a peaceful person in the beginning of his life. After his conversion in the Damascus road, he has experienced more deeply the understanding of peace through his missionary activities and theological reflection.

      • 불교사상에서의 평화론

        김원명(KIM, WonMyoung) 평화나눔연구소 2021 인간과 평화 Vol.2 No.2

        논자는 현대적인 평화학 연구자들의 평화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이 ‘폭력의 부재’라든가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사회구조적인 외부적 조건이 조성된 상태’만을 언급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불교적 의미의 평화론은 현대적인 평화론 연구에서 간과하고 있는 보다 더 근본적인 내면의 평화를 전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본문에서는 두 부분으로 글이 나뉜다. 첫째, 인도에서의 고전적인 불교의 평화론을 다루었다. 인도에서의 초기불전에 나타나는 불교 전통에서는 기본적으로 ‘불살생(不殺生)’과 ‘비폭력(非暴力)’이 원칙이다. 승려는 불살생 계율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전륜성왕(轉輪聖王)도 누구나 옳다고 할 수 있는 법인 정법(正法)으로 다스리면서 비폭력과 자비의 정치를 실천해 주변국이 굴복하도록 해야 한다. 다만, 경전 일부에서 불가피한 경우 선한 의도의 방어적 폭력과 방어전쟁을 인정한다. 즉, 재가 신도들에 한해 정법수호를 위한 방어전쟁을 허용하고, 승려는 정법수호를 위해 무기를 든 재가 신도들과 친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경우 모두 ‘고요한 마음’을 유지해야 한다. 둘째, 동북아시아 대승불교권의 평화론을 다루었다. 대승불교권에서의 평화론에는 근본적으로 불교의 보살도 정신에 기반한 불교 본래 정신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에서의 고전적인 평화론이 그대로 적용됐다기보다는 나라마다 처한 환경에 따라 다소 탄력적으로 적용됐다. 그리고 일부 사이비 불교도들이 불교를 전쟁에 이용한 경우도 있었다. 이들 나라에서는 공통적으로 국가에 예속된 불교라는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고, 그래서 호국불교 전통이 있었다. 그래서 전면적인 전쟁반대나 불살생보다는 정법수호의 방어전쟁 허용에 대한 폭넓은 해석으로 전쟁에 참여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고려시대 원의 침략에 대해 승군이 참여한다든가, 조선시대 일본의 침략에 대해 승병으로 참여했다. 일본에서는 침략전쟁에 장군으로 참가한 불교도도 있었고, 승려도 승리의 기원을 위해 참여했다. 불교의 평화론은 인간 의식의 본래성에 대한 깊은 탐구를 통해 일체중생 및 만물의 평등을 자각하고, 그로 말미암아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보살행이라는 사회적 실천을 통해 사회적 평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두가 깨달은 세상이 아니기 때문에 불살생과 전쟁반대만으로는 온전한 평화를 이룰 수 없었다. 그래서 붓다는 재가자들의 정법수호를 위한 방어전쟁을 일부 허용했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든 ‘고요한 마음’을 잃지 않아야 한다. I believe that modern pacifist researchers" basic ideas about peace are limited to mentioning only the "absence of violence" or "state conditioned by social structure" in which people can live like human beings. Peace theory in the Buddhist sense seems to presuppose inner peace fundamentally that is overlooked in modern peace studies. The main text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ly, I deal with the classical Buddhist theory of peace in India.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in India, "non-killing(不殺生)", and "non-violence(非暴力)" are the basic principles. A monk must adhere to the precepts of "non-killing". Even Charkravartin(轉輪聖王) should rule by just law(正法) which is the universal principle. However, in some Buddhist scriptures, defensive violence and defensive war can be admitted when it is avoidable. In other words, only the believers are allowed to wage a defensive war for the protection of the just law, and then, the monks can be the friends armed for defensive war. In both cases, they need to keep a "silent mind". Secondly, I deal with the peace theory of Mahayana Buddhism in Northeast Asia. The theory of peace in the Mahayana Buddhism retains the original Buddhist spirits based on the Bodhisattva Way(菩薩道). However, the classical peace theory in India was not applied as it is, but rather flexibly applied for the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Also, some pseudo-Buddhists used Buddhism in war. These countries had the inherent limitation that Buddhism is subject to the state, so there was a tradition of patriotic Buddhism. Therefore, rather than all-out opposition to war or non-killing, there were many tendencies to participate in the defensive war for the just law by broad interpreting permission. In Korea, monks participated for defensing the invasion of Won (元) during the Korean dynasty(高麗) or the invasion of Japan during Joseon dynasty(朝鮮). In Japan, there were Buddhists who participated in the aggressive war as general, and even monks participated in prayer for victory. The Buddhist theory of peace is to realize the equality of all beings through a deep exploration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ereby realize social peace through the social practice of great mercy and compassion(大慈大悲) of the Bodhisattva. However, in reality, since everyone has not realized, complete peace could not have achieved only by non-killing and opposing war. So, the Buddha allowed Buddhist believers to participate in some defensive wars for protecting the just law. In any cas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ot to lose ‘silent mind’.

      • 김수환 추기경의 삶과 말씀을 통해 본 평화의 길

        신정환(SHIN JeongHwan) 평화나눔연구소 2020 인간과 평화 Vol.1 No.-

        이 글은 김수환 추기경의 글과 여러 문헌을 통해 당신이 추구했던 평화의 길이 무엇이었는지 모색한다. 김수환 추기경은 사회 정의를 중시하지만 그것이 평화의 필요충분조건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참된 평화가 주어지지 않는 이유가 이웃을 미워하고 사랑할 줄 모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김수환 추기경에게는 정의가 반드시 사랑과 조화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김 추기경은 형제애를 통해 한반도가 세계평화의 원천으로 반전되리라는 기대를 버리지 않는다. 인간 존엄성을 기반으로 한 형제애는 평화의 핵심임을 증거 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김 추기경은 남북 통일 논의에 앞서 남남 화해의 길을 먼저 실천할 것을 제안한다. 사람들이 타도하고 혐오해야 할 타자가 아니라 같은 밥상의 형제자매임을 깨닫는 것이다. 질긴 증오와 불신의 장벽을 걷어내는 ‘김수환 평화의 바람’이 절실한 시대다. Through Cardinal Stephen Kim Sou-hwan"s writings and various church documents, this article explores what the path of peace he pursued was. Cardinal Stephen Kim Sou-hwan values social justice but does not think it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peace. He says the reason true peace is not given is because we hate each other and don"t know how to love our neighbors. For Cardinal Stephen Kim Sou-hwan, justice must be in harmony with love. Likewise, Cardinal Kim does not give up hope that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turned around as a source of world peace through fraternity. This is because fraternity based on human dignity is the way to prove that it is the core of peace. Cardinal Kim proposes to practice holding the neighbor"s hand one more time before discussing unification because reconciliation in South Korea is a prerequisite for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He says that our neighbors are not "others" to overthrow and hate, but brothers and sisters at the same table. In an age of distrust and hatred, Kim Sou-hwan"s "Wind of Peace" is desperately needed.

      • 정치리더십과 평화

        양승함(YANG, Seung Ham) 평화나눔연구소 2022 인간과 평화 Vol.3 No.1

        본 논문은 정치리더십과 평화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로서 전쟁과 평화의 관점에서 정치리더십의 역할에 관한 연구다. 기존의 평화연구는 구조주의 시각에서 진행되어 정치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사실상 없으며 개별 리더십과 평화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자전적 서술적이어서 일반화가 결여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구조주의와 개별주의를 절충하는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구조(제도)-정치리더십-평화의 연결축을 연구 대상으로 했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정치제도이며 매개변수는 정치리더십이고 종속변수는 평화 또는 전쟁이다. 정치리더십은 정치체제의 제도적 제약을 일반적으로 받지만 리더십의 역량과 의지에 따라서 제도를 변화시키기도 하면서 그 성향에 따라 전쟁과 평화에 영향을 준다, 정치리더십의 성향이 평화 지향적인가 아니면 전쟁지향적인가에 따라서 전쟁과 평화의 결과가 결정된다는 것이 주요 가설이다. 이 가설은 기존의 민주평화론의 주요 가설인 민주주의가 비민주주의보다 본질적으로 더 평화적이라는 주장을 비판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치제도를 권력 분배와 정책결정과정의 특성에 따라 전체주의, 권위주의, 민주주의로 분류하고 정치리더십도 이에 상응하는 범주로 분류한다. 전체주의 리더십은 팽창주의 요소 때문에 호전적이며 제도의 본질적 성향을 반영한다. 권위주의는 강제권력을 남용하나 자제하는 경향이 있고 국내 안정화에 집중하기 때문에 호전성이 낮은 편이다. 그러나 개혁적 정치리더십이 등장하면 민주주의보다 더 평화 지향적일 수 있다. 민주주의는 근본적으로 평화 지향적이나 정치리더십의 의지와 성향에 따라 호전적으로 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민주적 규범과 제도가 정치리더십의 책임성을 묻기 때문에 민주국가의 리더십은 합리적 다수 투표자의 평화적 의지를 반영할 수밖에 없다는 민주평화론의 주장을 반박한다. 호전적 리더십이 등장하면 민주적 정책결정과정을 왜곡하고 민주적 통제기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는 논리적 경험적 증거를 제시한다. 특히 민주주의 보호를 위한 선제공격은 민주주의의 호전성을 보여주며 도덕적으로도 평화와는 거리가 멀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orrelation of political leadership and peace from a viewpoint of war and peace. The existing peace studies which approach mostly from structural perspectives rarely deal with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some studies dealing with individual leader’s contribution to peace are primarily biographical and descriptive. This study compromises the two contending approaches of structuralism and individualism, in order to overcome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The study juxtaposes three variables of structure(institution), political leadership, and peace or war. The nexus of the three variables consists of political system as independent variable, political leadership as intermediate, and peace or war as dependent. Political leadership that is usually constrained by the institution of political system is occasionally able to alter the influence of institution as it wishes. Thus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s that depending on the leadership’s disposition, peaceful or bellicose, conflict resolution would result in either peace or war. This hypothesis criticizes one of the main arguments of the democratic peace theory that democracies are intrinsically more peaceful than non-democracies. For the argument, the study classifies political systems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power distribu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e.g. totalitarianism, authoritarianism, and democracy. Political leadership is also classified into accordingly. The totalitarian leadership is the most warlike among the three types, due to the expansionistic inclination. The authoritarian leadership is less belligerent than the former for its inward oriented and self-limiting power pursuit. In the case of reform leadership, however, it may be as peaceful as democratic one. The democratic leadership that normally follows democratic norm and institution often manipulates public opin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to enhance its own interest. In that case, the democratic leaders are as war-prone as autocratic leaders. It is particularly so when democracies launch preemptive attacks on autocracies, rationalizing them as just war.

      • 교회와 평화 : 역사적 고찰과 조직신학적 성찰

        이규성(Lee, Kyou-sung) 평화나눔연구소 2021 인간과 평화 Vol.2 No.2

        본 논문은 평화에 관하여 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평화와 관련한 성경의 증언을 분석하였다. 성경의 메시지를 기반으로 그리스도교가 평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이해를 했으며 무엇을 실천하였는지가 역사적 단계에 따라서 고찰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수 그리스도는 평화를 이해하는 데에 핵심키워드이며 평화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평화는 근본적으로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것이며, 인간은 하느님으로부터 선물 받은 평화를 이웃 인간들에게 전달하고 증거 해야 하는 의무를 갖는다. 따라서 평화는 단지 군사적 관점에서 전쟁을 억제하는 차원에서 고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느님의 사랑이 그 본질인 신적 평화의 관점에서 고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세계 평화는 하느님으로부터 선사받는 것이고 인간은 선사받은 평화를 인간의 세계에 적용할 의무를 갖는다. 평화가 세계의 공공 안녕의 관점에서 고찰되고 실행되어야 한다면, 이는 하느님이 완성하시는 평화의 나라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사랑이 바탕이 된 평화는 지속적인 관계 맺음으로 나타나지만, 평화가 깨진 위기 상황은 언제나 이러한 관계 맺음이 파괴될 위기에 처해 있게 된다. 따라서 평화는 군비통제, 군비축소만이 아니라 사회적ㆍ경제적ㆍ심리적 차원의 연구와 그 적용이 중요하며, 나아가서 지속적인 평화 운동 및 평화 교육, 그리고 긴장 완화를 위한 지속적인 상호 교류가 다양한 차원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peace theologically. To this end, I first analyzed the messages of the Bible regarding peace. Based on the messages of the Bible, what kind of understanding Christianity had in relation to peace and what it practiced was examined according to historical stage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Jesus Christ is the central keyword in understanding peace and can be said to be the source of peace. Peace comes fundamentally from God, and human being has a duty to communicate and testify to his neighbors the peace that God has given him. Therefore, peace needs to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divine peace, in which God"s love is the essence, rather than being considered only in terms of deterring war from a military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world peace is a gift from God, and human being has an obligation to apply that gift to the human world. If peace is to be considered and implemented in terms of the public well-being of the world, it must be done at the level of the kingdom of peace completed by God. Peace based on love of God appears as a lasting relationship, but in a crisis situation where peace is broken, there is always a risk that this relationship will be destroyed. Therefore, for peace, research and application in soci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as well as arms control and disarmament, are important, and furthermore, continuous peace movement, peace education, and continuous mutual exchange for tension relief must be implemented in various dimensions.

      • 이슬람에서 평화와 투쟁의 역사적 담론과 실천

        이희수(Lee, Hee su) 평화나눔연구소 2022 인간과 평화 Vol.3 No.1

        꾸란 첫 구절은 이렇게 시작된다. “BISMILLA HIRRAHMA NIRRAHIM(가장 자비롭고 자애로우신 알라의 이름으로)”. 자비와 자애를 반복하는 이 구절은 꾸란 114장의 모든 서두에서 언급되면서 이슬람 사상의 단단한 기초를 이룬다. 꾸란에서 알라(하느님)의 이름은 99가지로 표현되는데, 가장 중요한 이름 중의 하나가 “As-salam”, 즉 “평화”이다. 이슬람 사상의 요체는 평화와 평등이며 신앞에 절대적 평등을 통해 화합과 평화로운 질서를 구축하고, 신에 대한 완전한 복종과 귀의를 통해 지상의 평화와 내면의 평온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슬람은 언제부터인가 한국과 서구사회 일부에서 평화의 가르침과는 거리가 먼 종교로 인식되어왔다. 이 글은 이슬람의 기본 경전인 꾸란에 근거해서 평화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것이 역사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쳤으며, 특히 성전으로 알려진 지하드 개념을 중심으로 “평화와 정의로운 전쟁” 해석이 어떻게 확대, 재생산, 오용되어왔는지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고찰해 본다. 나아가 오늘날 이슬람이 테러나 폭력성과 깊은 관련을 갖는 종교라는 선입견이 확산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서구와 이슬람 세계간의 갈등을 통해 그 과정을 추적해보고 향후 이슬람 세계가 원래의 종교적 평화성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과 내부 논의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Islam is often described as a religion that emphasizes the use of violence in its political achievement. After the 9.11 terror attacks, in particular, this commonly distorted picture on Islam has widely emerged by a number of literature and western-oriented media. There is no denying the fact that religiously inspired violence has captured the headlines when it comes to Islam. This negative insignia on Islamic violence seems to be expanded and reproduced by simply taking a number of malicious verses of Quran and Hadith(the teachings and traditions of Prophet Muhammad). This article seeks the relevance of the concept of peace in Islam mainly based on the verses of Quran, describing that a human is basically both keen to cooperate and prone to conflict, and favoring to managing the conflict through peaceful settlement. Primary sources in Islamic law, both the Quran and Hadith, have encouraged the attitude of peace. Even the term of ‘Islam’ itself has its root to the verb ‘salima’ and the noun ‘saalam’ means salvation and peace. The basic tenets of Islam include the teachings to have good behavior toward followers of other faiths (Quran 10:99), to settle disputes (Quran 49: 9), to know each other (Quran 49:13), and to cooperate in goodness, not enmity. The concept of peace in Islam consists of as-silmu, as-shulhu, and al-amaanu. It is obliged for believers to fully throw themselves in goodness (as-silmu). Creating peace to prevent and resolve conflict is understood as-shulhu. As-shulhu can be pursued through conciliation, peacemaking, making a change or a reform that leads to the positive outcome, and the integrity to goodness and truth. Peace which is obtained by guaranteeing or maintaining security is known as al-amaanu. The implementation of al-amaanu is not only measured from the absence of violence, but also the presence of trustworthiness. The genuine sense of peace in Islam is the integrated state combining the concepts of as-silmu, as-shulhu, and alamaanu. Nonviolence is the right path to pursue regardless of religious affiliation. In Islam too, contrary to stereotypes, one of the basic aims is to bring about peace in which peoples are not afraid or able to tackle the strong.

      • 포스트 정전체제와 평화교육의 방향

        차승주(Cha, SeungJoo) 평화나눔연구소 2021 인간과 평화 Vol.2 No.2

        지금 평화교육에 요구되는 과제와 역할은 무엇보다 포스트(Post) 정전체제를 준비하고, 그 이후 한반도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반도 구성원 개개인의 평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다. 이때 평화교육에 요청되는 가장 중요한 과제는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이 ‘한국전쟁’을 올바르게 기억할 수 있도록 제대로 가르치는 것이다. 다음으로 중요한 평화교육의 역할과 과제는 우리 안의 분단과 전쟁을 성찰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사회 구성원들을 진실을 넘어 화해로 이끄는 것이다. 평화교육을 통해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화해의 역량을 길러주고, 많은 사람들이 화해와 평화의 새로운 기억과 이야기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평화교육에 요청되는 보다 근본적인 과제는 장기적이고 내실 있는 교육으로 인간다움과 인류애가 충만한 인간인 ‘Homo humánĭtas’를 우리 사회 안에 더 많이 양성하는 것이다. 대화와 연대에 바탕을 둔 평화교육을 통해 ‘호모 우마니따스’로 자라난 한사람 한사람의 연대로 한반도에 평화를 이루어내고, 그 평화를 더 멀리, 더 많은 이들과 나눌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task and role required for peace education now is, above all, to prepare for the post-armistice system and to nurture the peace capabilities of individual members of the Korean Peninsula so that they can prepare for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at. The most important task required for peace education at this time is to properly teach the members of our society to correctly remember the ‘Korean War’. The next important role and task of peace education is to lead society members beyond the truth to reconciliation so that they can reflect on and overcome division and war within us. Through peace education, members of our society should develop the capacity for reconciliation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many people to create new memories and stories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e more fundamental task required for peace education is to nurture more ‘Homo humánĭtas’ in our society, who are full á ĭ of humanity and love for humanity through long-term and substantial education. Through peace education based on dialogue and solidarity, we will be able to achiev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solidarity of each person who has grown up as ‘Homo humánĭtas’ and to share that peace with more people farther away.

      • 국제연합(UN)과 국제평화

        최진우(Choi, Jinwoo) 평화나눔연구소 2020 인간과 평화 Vol.1 No.-

        국제연합(UN)은 국제평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기구다. 국제기구를 통한 평화의 유지 및 확산 방안은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사고와 맞닿아 있다. 유엔의 설립 목적은 원래 ‘소극적 평화’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전쟁의 방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극적 평화’ 기능이 추가되고 강화되고 있다. 유엔은 이제 국가 간 분쟁뿐 아니라 국내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인도주의적 위기상황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유엔에 대한 평가는 관점과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국가중심적 무정부상태인 베스트팔렌적 국제체제 하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평화 기능을 발전시켜 가며 평화를 유지 및 확산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Established following the reasoning of the liberalist thinking of international peace, the United Nations is purported to maintain, promote, and create peace among nations. Since its birth in 1945, the UN has performed and developed various peace functions. The original mission was largely to prevent war, namely, to preserve negative peace. Gradually, however, the UN’s peace functions expanded to the realm of positive peace so that not only the resolution of conflicts between states but intervention in the humanitarian crisis within a state also became important part of the UN activities. While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performance of the UN, it is doubtless that the UN has made enormous contribution to international peace through creative adaptation to chang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