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도시행정학 교육과정 분석

        김태영(Kim, Tae You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4

        본 연구는 도시행정학 학문분야의 정체성을 탐색하기 위해 한국 대학교육에서 도시행정 전공과 관련한 학부 및 대학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학부과정에 도시행정학과 또는 전공을 설치한 대학교는 6개에 그친 반면, 인문사회계열로 도시행정 유사전공을 설치한 학교는 10개, 공학계열로 설치한 대학교는 32개에 달하였다. 대학원 과정에 도시행정 또는 유사 전공을 설치한 대학교 가운데, 일반대학원에 석?박사 과정을 모두 설치한 대학은 6개, 석사과정만 설치한 대학은 4개에 그친 반면, 특수대학원에 설치한 도시행정 전공은 11개 학교였다. 학부 및 대학원에 설치된 도시행정 및 유사전공의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한 후 한국 도시행정학 학문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ademic curricula of urban administration departments in Korean universities, thereby to examine the state of identity of urban administration.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state of identity of urban administration looks not that positive in terms of the number of departments offering urban administration majors, the titles of degree granted, and emphasis of subfield. The study concludes with some suggestions to build up the identity for urban administration filed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도시행정학보」연구경향 분석

        이태화(Lee, Taehwa) 한국도시행정학회 2022 도시 행정 학보 Vol.35 No.1

        이 논문은 2004년부터 2021년 9월까지 「도시행정학보」에 게재된 문헌의 연구경향을 이해하기 위해,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의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시행정학보」의 연구경향은 전 시기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와 시기별로 살펴보았을 때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전 시기를 대상으로 살펴보았을 때는 연구의 중점이 친환경적 도시개발과 국유지 관리로 드러났으나, 현재 시점에 가까워질수록 기업친화적 도시와 스마트시티에 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여성 및 노인 친화도시와 같이 「도시행정학보」의 이전 연구경향 분석에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새로운 주제에 대한 연구자들의 탐색이 증가하였다. 셋째, 도시행정관련 실천적 성격이 강한 다양한 주제들이 연구경향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학술지의 연구경향 분석의 결과, 인접학문과의 연계성 및 도시행정 관련 이론에 대한 논의나 도시행정의 역사적 분석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시행정학보」가 도시행정학이라는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하는데 여전히 남겨진 과제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search trend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from 2004 to September 2021 through applying the methods of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research finds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research trend shows different results when looking at all periods and when looking at each period. The main research trend of the journal for the entire period of this study was about eco-friendly urban development and state land management. However, it changes to business-friendly cities and smart cities as the time approaches to the current period. Second, researchers have increasingly studied new topics such as women- and elderly-friendly cities, that were not revealed in the previous research trend analysis of this journal. Lastly, various topics with strong pract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urban administration appear in the research trend of the journal. Howeve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f the journal fails to include discussions on theories related to urban administration or connection with adjacent studies.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still challenges to establish academic identity as the study of urban administr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도시의 포용성 진단과 유형별 특성 분석

        박인권(Park, In Kwon),이민주(Lee, Minju),홍철(Hong, Zhe),임인선(Lim, In Seo) 한국도시행정학회 2017 도시 행정 학보 Vol.30 No.3

        이 연구는 한국의 도시들의 상대적 포용성 정도를 진단하고, 이러한 진단을 바탕으로 도시들을 유형화하여 유형별로 포용성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시 포용성 지표체계(UIIS)에 따라 2015년 기준 전국의 94개 시·군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포용성 유형별로 포용성의 4대 차원과 11대 구성요소, 포용성 종합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한국의 도시들을 세 가지 포용성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1유형은 대도시가 주를 이루는 유형으로서, 사회적 약자의 역량 형성 및 권한 부여와 관련된 여건이 좋고 공식적 계약을 바탕으로 한 상호의존성이 양호하다. 반면 사회적 약자들의 안정적 거주공간이 부족하고 사회적 호혜 정도도 약하다. 제2유형은 중소도시가 주를 이루는 유형으로서 공공임대주택 재고, 소득-주택가격 비율 등 저렴한 주거 관련 여건이 좋아 공간적 개방 차원이 우수하고, 나머지 차원의 지표들에 대해서는 중간 정도의 점수를 보인다. 제3유형은 농촌지역이 주를 이루는 유형으로서, 강점과 약점의 측면에서 제1유형과는 대체로 반대의 경향을 보인다. 이 유형의 도시들은 상호의존 및 공간적 개방 차원의 점수가 높아서, 사회적 약자의 공간통합, 사회적 호혜, 공교육 여건 역시 강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약자들의 기본적 역량 형성을 위한 기반이 미흡하고 양질의 일자리 계약을 통한 공식적 상호의존 관계의 형성이 부족하다. 이러한 유형화와 특성 분석 결과는 각 유형별 도시들이 포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특히 어떤 분야에 초점을 두고 정책을 수립해야 하는지를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Korean citie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ir relative inclusivity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clusivity along the typology. To accomplish this, data were collected for 94 cities and counties nationwide as of 2015 according to the Urban Inclusivity Indicators System (UIIS), and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m into types. In addition, we calculated the comprehensive index score as well as the four dimension scores and the 11 component scores for inclusivity of each type to characterize it.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cit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 terms of inclusivity. Type I consists mainly of mega cities, which has good conditions related to capacity building and empowerment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has good interdependence based on formal fair contracts for division of labo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ack of stable residential space for the disadvantaged people and the degree of social reciprocity is weak. Type II is a type mainly for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his type has a good spatial openness in that it has a good inventory of affordable housing such as public rental housing, and a low ratio of housing price to income, while it has medium scores for the indicators along the other dimensions. Type III is a type mainly for rural areas and shows a tendency to be generally opposite to Type I in term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Cities of this type have high scores on the dimensions of interdependence and spatial openness, and thus social integration, social reciprocity, and public education conditions are also strong points. On the other hand, the foundation for the basic capacity of the socially vulnerable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lack of formal interdependence through quality job contracts. The results of this typology and characterization suggest policy areas that each type of cities specifically needs to focus on to promote inclusivit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김혜천(Kim, Hyecheo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3

        본 논문은 최근 학계와 정책 당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에 대한 학술적 논의와 연구결과가 과연 한국적 도시재생 환경에 적실한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쇠퇴지역에 대한 종합적 처방으로서의 사회·경제·문화적 도시재생이라는 서구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성공 사례가 한국적 도시재생 환경에 대한 진단과 추진과정의 성찰 없이 기계적으로 도입됨으로써 정책형성과 제도화의 실천적 과정에 상당한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논문은 도시재생 환경의 한국적 상황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간 진행되어 온 도시재생 정책과 제도형성 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적 도시재생정책의 실천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과 정책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도시재생의 연구동향과 개념적 범위에 대하여 논의하고, 현실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거나 계획되고 있는 사업 현장의 한국적 토양과 시장구조를 검토하였다. 또 도시재생에 대한 정부 차원에서의 접근방법과 제도형성 과정을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한국적 시장구조와 현장 상황에 적실한 도시재생의 접근방법과 조건, 정책적 사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begins with having a critical mind of propriety in the Korean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of which concept and meanings were recently introduced from advanced countrie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ional framework and policy institution process in urban regeneration programme approprite for korean socio-economic circumstance, and to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s on urban regeneration. For this purpose, recent research trend and the state of the art in this field were reviewed. The market structure, laws and ordinances system, and the structure of interesting groups which characterize our regeneration circumstance were also analysed. And some arguements were made over the conceptual scope and actual meanings of the urban regeneration which approprite for korean socio-economic circumstance.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ctive investigation and self-examination on the past regeneration policy should be made before new regeneration policy formation. Second, It should be prerequisite the principal of sustainability in regeneration process. Third, different approach and methodology should be done according to project type of urban regeneration. Lastly, resident community should be restoration or newly formation for community regen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생태도시 추진의 전략적 과제와 추진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정순오 한국도시행정학회 2014 도시 행정 학보 Vol.27 No.1

        본 논문은 생태도시 개념의 주장을 우리나라 행정체제와 거버넌스 환경에서의 위치와 실행구조를 발견하려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도시들은 환경친화적인 도시로 표방하기 위해 이 개념을 차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제로는 생태하천 복원사업과 같이 지엽적인 전시 수단에 머무르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환경백서 등에서 생태도시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채택하지 않고 있으며, 다만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중장기생태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나, 추진구조가 거버넌스 형태는 아니다. 또 그런 생태도시계획 마저 환경행정조직의 연례적인 사업들을 종합해 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서구의 도시들은 생태도시를 위기에 직면한 지구환경을 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하고 모든 도시 구성원들이 힘을 합치는 수용시스템을 구축하려는 태도를 갖고 있다. 물론 일부 선진도시들도 그 지도력의 상당부분을 도시자치정부에 의존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추진구조는 매우 평등하고 협동적인 것으로 시민, 기업, 공공기관이 망라된다. 본 논문은 한국과 서구 도시사이에 생태도시 개념에 대한 수용태도와 실행방법에 큰 괴리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한국의 도시들이 서구와 같은 궁극적인 목표를 지향하기 보다는 일부 도시개발사업을 포장하는 용도로 이 개념을 차용하고 있을 뿐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물론 생태도시 추구에 있어 세계적으로 기본형이 존재할 수는 없지만, 한국의 도시들은 서구와 같이 실질적인 거버넌스 구조를 형성해 단 하나의 문제부터라도 다원적인 평가와 협력체제를 구축해야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The paper aims to find the position and action scheme of the propaganda of the ‘ecocity’ concept in our urban administration system and governance background. Most Korean cities tend to borrow the concept to carry the banner of environment-friendly city but the realities stay at collateral exhibit means such as eco-friendly river improvement. Korea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does not officially adopt the term ‘ecocity’ in their relevant white paper although a few local governments establish a kind of medium-long term ecocity oriented plan, not based on governance structure. They just make it as an comprehensive document edition of their annual administra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concept. On the other hand, western cities understand and accept it as the means of saving endangered earth environment to unite the whole city efforts. Some leading cities also depend on the leadership of their municipalities but the propulsion body is composed of all the relevant bodies-citizen, business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br/> The paper finds wide discrepancy of receptive attitude and practice method between Korea and the western world. Korean cities do not aim at the ultimate goal of western ecocities but remain at the level of borrowing the concept at the propulsion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As western cities pursue their own prototypes, Korean cities also must try to build real governance structure and cooperate multifariously among them, at least from one core issue such as eco-friendly urban transportion system building. Nevertheless, asserting their ecocity position, Korean cities insist on blind investment to clean mass transit without organic solidarity among drivers and passengers.

      • 마을 만들기 지원제도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여관현(Yeo, Kwan-hyu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한국도시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3 No.2

        본 연구는 마을 만들기를 우리나라보다 성숙한 단계로 진행하는 일본의 마을 만들기 조례를 검토하여, 국내의 마을 만들기 지원조례가 앞으로 어떻게 운영되어야 할 것인지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한국과 일본의 마을 만들기 조례 현황, 조례에서 정의된 마을 만들기의 개념 및 목적, 조례의 구성, 마을 만들기 조례의 사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본의 마을 만들기 조례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다양한 분야에서 전재되고 있었다. 또한 광역자치단체의 마을 만들기 조례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다양한 분야에서 전재되고 있었다. 또한 광역자치단체의 마을 만들기 조례와 기초자치단체의 마을 만들기 조례가 구성이나 내용면에서 차별적으로 운영되었다. 반면, 국내의 마을 만들기에서는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가 조례의 구성이나 내용측면에서 차별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마을 만들기의 목적이나 정의 등이 서로 비슷하여 지역이나 도시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마을 만들기 지원조례의 운영방안은 4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지역별 마을 만들기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한국의 마을 만들기 지원조례는 지역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개성 있는 마을 만들기를 운영하는 것은 현재의 마을 만들기 지원제도 체제로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제도적 차별화가 요구된다. 국내의 마을 만들기 지원제도는 자치단체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마을 만들기 지원제도가 정착되고 운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마을 만들기 지원제도를 확립하여야 한다. 넷째, 한국의 마을 만들기는 도시계획이라는 제도적 맥락과 연계된 마을 만들기 지원조례를 확립함으로써, 도시계획의 맥락과도 어울리고 위계가 정립된 마을 만들기 지원제도로 정착 및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