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대사 효과

        이영준 ( Young Jun Rhie ) 대한비만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4 No.2

        1980년대에 인간 재조합 성장호르몬이 생산되면서 성장호르몬이대사 효과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성장호르몬은 당불내성을 초래하는 diabetogenic action을 보이고 있다. 성장호르몬 투여가 당뇨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증거는 없으나 성장호르몬 투여 시정기적인 당화혈색소, 혈당, 인슐린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성장호르몬은 항인슐린 작용과 지방분해작용을 하여 유리지방산과 글리세롤을 증가시키고 지방 형성을 억제시킨다. 특히 복부 지방을 분해시키고 말초로 지방을 재분배시킨다. 성장호르몬은 IGF-1을 매개로 아미노산 섭취를 증가시키고 mRNA의 전사 해독을 직접적으로 향상시켜 단백 합성을 증가시키고, 단백 분해를 억제시켜 positive nitrogen balance를이룬다. 성장호르몬은 원위 신원의 Na+K+ATPase 활동을 증 가시키고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축을 활성화 시키고 ANP 수용체 하향 조절을 통해서 수분 및 나트륨 저류 효과를 나타낸다. 성장호르몬 투여에 의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metabolic side-effect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long-acting 성장호르몬이나 성장호르몬 용량을 현저하게 증가시켰을 때의 metabolic side-effects는 보다 더 연구되어야 한다. 성장호르몬 치료가 소아에서 좋은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지속적이고 면밀한 감시가 필요하다. Ever since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s (GH) were produced in the 1980s, many studies on their metabolic effects have been performed. GH has been shown to have a diabetogenic action resulting in glucose intolerance. Even though there is no evidence that GH increases the risk of diabetes, HbA1c, glucose, insulin tests should be carried out during GH treatment. GH increases free fatty acids and glycerol, and inhibits fat formation. Moreover, GH degrades abdominal fat and redistributes it to peripheral areas. GH increases amino acid intake via IGF1, increases protein synthesis by directly enhancing the translation of the transcription mRNA, and inhibits protein degradation to form a positive nitrogen balance. GH produces sodium and water retention effects through the activation of Na+ K+ ATPase in distal nephron and renin-angiotensin- aldosterone axes and ANP receptor down-regulation. Metabolic side-effects with clinical significance due to GH treatment do not occur, however such side-effects of long-acting or high-dose GH treatment should be investigated. GH treatment can be used safely in children, yet it requires continuous and vigilant monitoring.

      • KCI등재

        운동이 초등학생의 성장관련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메타분석

        장보원,엄우섭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운동이 초등학생의 성장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운동프 로그램의 적용의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일반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대상 운동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996으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운동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복합운동(1.315), 유산소운동(0.904), 저항운동(0.244)의 순으로 운동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 생 대상으로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 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이 성장관련 호르몬 향상에 대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 대상의 운동프로그램은 주 4회 이상(1.498)의 빈도, 80분 초과(2.003)의 시간, 8주 이하(2.292)의 기간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운동기간이 짧을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왔으나, 운동 기간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였기 때문에 기간을 짧게 하는 것 보다는 꾸준히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을 생활화하여 장기간에 걸쳐 운동효과를 보는 것이 더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관 련된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아동의 오랜 기간의 운동이 정상적인 성장 패턴에는 영향을 미치는 않으며, 급격한 성장 이 일어나는 동안 균형 있고 영양이 풍부한 식이섭취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효과 크기가 감소하는 부분은 아동기의 성숙 등 가외변인을 무시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 한, 본 연구에서 관찰한 논문 수가 많지 않으며, 초등학생의 성장관련 호르몬을 제외한 많은 연구들에서는 운동기간 을 달리한 여러 요인들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는 점, 운동 기간 간의 상호 직접 통계처리는 이루어지지 않은 점 등을 통해 운동기간은 짧을수록 효과적이라는 의미임은 아니라는 것을 밝힌다. 셋째, 초등학생 대상의 운동프로그램 적용은 GH(1.240), BDNF(1.228), IGF-1(0.957)의 순서로 모든 성장관련 호르몬의 하위 변인에서 큰 효과 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은 초등학생의 성장발달에 큰 효과가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를 통해 본 연구는 운동이 초등학생의 성장관련 호르몬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초 등학생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ffect of exercise on growth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meta-analysis, thereby presenting the basis for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 and helping to generalize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xercis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0.996, showing a larg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exercise program, exercis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order of compound exercise (1.315), aerobic exercise (0.904), and resistance exercise (0.244).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exercise programs centered on complex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effective in improving growth factors. Second, the exercis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ost effective to be implemented with a frequency of 4 or more times a week (1.498), a time exceeding 80 minutes (2.003), and a period of 8 weeks or less (2.292). Howeve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horter the exercise period, the larger the effect size, but the overall effect size during the exercise period showed a medium or higher effect size. Seeing the effect will make more sense. In addi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long-term exercise of children does not affect normal growth patterns, and during rapid growth, a balanced and nutrient-rich diet should be consumed. In the part where the effect size decreases as the period increases, extraneous variables such as maturity in childhood cannot be ignored, and further research on this will be needed. And, the number of papers observed in this study was not large, and in many studies excluding growth-related hormon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rious factors with different exercise periods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rough the dots, it is revealed that the shorter the exercise period, the more effective it does not mean. Third, the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size in the lower variables of all growth factors in the order of GH (1.240), BDNF (1.228), and IGF-1 (0.957). Exercise can be seen as an effective method that has a great effec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exercise is very effective in the blood growth fact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the basis of research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exercise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저신장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치료가 두개안면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정성호,김진욱,박용훈,황충주,이희경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treatment (GHT) on craniofacial growth in children of short stature. Methods: Nineteen untreated children of short stature were referred from the Pediatric Departmen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s a subject group. All subjects had lateral cephalograms taken before, after 1 year and after 2 years of growth hormone treatment. As a reference group, we selected 19 normal children with paired sampling who matched the subjects' age and sex, from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s: Before GHT, anterior cranial base length and upper posterior facial height,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mandibular ramus length, and mandibular corpus length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reference group. In angular craniofacial measurements, saddle angle and mandibular plane angle were larger. SNA and SNB were smaller in the reference group. After two years of GHT, growth hormone accelerated growth in several craniofacial components. The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the anterior,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and the mandibular ramus length were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in mandibular plane angle and ANB value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group was decreased. Conclusions: GHT over 2 years leads to a craniofacial catch-up growth tendency, which is pronounced in interstitial cartilage and condylar cartilage. 저신장이란 같은 연령 및 성별 소아들의 표준 신장 평균치에서 -2.0 SD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신장 소아의 두개안면골격의 특성을 분석하고, 성장호르몬 치료가 신장을 성장시킴과 동시에 두개안면골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저신장으로 진단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성장 호르몬 치료 전 그리고 치료 후 1년, 2년 후 총 3회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촬영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정과에 소장된 한국인 평균 신장의 2 표준오차 내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2년마다 10년간 촬영한 자료를 이용하여 저신장 소아의 연령과 성별을 기준으로 짝진 표집(paired sampling)을 하였다. 성장 호르몬 치료 전 저신장 소아는 작고 후퇴된 하악골과 편평한 두개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 호르몬 치료 후 anterior,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upper posterior facial height,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mandibular ramus length, mandibular corpus length와 overall mandibular length 성장량이 정상군에서의 2년 성장량과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도 계측에서는 saddle angle, mandibular plane angle과 ANB변화량이 정상군에서의 2년 성장량과 비교했을 때 큰 변화를 보이며 정상군의 평균치를 따라잡는 경향을 보였다. 성장 호르몬 치료는 불균형적인 성장의 징후 없이 정상화를 향한 성장(따라잡기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특히 하악과두의 성장과 후안면고경의 성장을 촉진시켜 저신장 소아의 convex 한 profile을 완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성인형 당뇨병의 모델인 OLETF 쥐에서 성장 호르몬의 효과

        노정현(Jeong-Hyun Noh),김성운(Sung-Woon K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 No.1

        연구배경 : 내분비계는 면역계와 밀접한 상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장호르몬은 초기 염증반응에 분비되는 interleukin-1beta (IL-1β)나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의 분비를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IL-1β와 TNF-a는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성인형 당뇨병 동물모델인 OLETF(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쥐에서 성장호르몬의 IL-1β 와 TNF-a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6주 된 OLETF 쥐를 무작위로 실험군(n=4)과 대조군(n=4)으로 나누어, 실험군 쥐에게 성장호르몬을 일주일에 6일간 복강내로 2IU/Kg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같은 방법으로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다. 각각 2마리씩 10주령과 26주령에 쥐를 희생하였고, 간조직과 신장조직에서 IL-1β와 TNF-a의 mRNA 발현 정도를 RT-PCR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IL-1β는 10주령의 OLETF 쥐의 간조직과 신장조직에서 성장호르몬 투여 전후 일률적으로 비슷한 정도의 발현을 보였으며 26주령에서도 성장호르몬 투여 전후 비슷한 발현을 보였다. TNF-a의 발현은 10주령에서는 불규칙적이었으며, 26주령에서는 간조직에서는 성장호르몬 투여와 상관없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신장조직에서는 성장호르몬 처치 후에 발현이 억제되었다. 결론 : 성장호르몬은 IL-1β의 유전자 발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성인형 당뇨병을 가진 쥐의 신장조직에서 TNF-a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신장조직에서 성장호르몬의 TNF-a 유전자의 발현감소효과가 당뇨병성 신증 발생을 억제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Neuroendocrine system has been thought to interact with immune system, and growith hormone (GH) has been suggested to modulate directly both interleukin-1beta(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 release. The OLETF(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rats are the animal models for human NIDDM with nephrotic complication. IL-1 and TNF-a have been believed to play an improtant role for pathogenesis of diabetic nephropath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wth hormone on the production of IL-1β and TNF-a in the hyperglycemic rats. Methods : OLETF rats were randomized into a placebo-treated control group(n=4) and a GH-treated grup(n=4). GH and placebo administration were started in 6 weeks old OLETF rats. They were injected GH or normal saline 6days per week intraperitoneally until sacrifice. GH treated group was given 2IU/kg of GH. I measured body weight weekly. The mRNAexpressions of IL-1β and TNF-a in liver and kidney tissues were investigated by RT- PCR method. Results : The expressions of IL-1β and TNF-a in GR-treated group were compared with in control group at 10 weeks and 26 weeks of age.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IL-1β expressions between GH-treatment rats and placebo-treated rats at 10 and 26 weeks of age. TNF-a expressions at 10 weeks were not consistent. At 26 weeks, TNF-a expressions were decreased with or without GH treatment in liver tissues. In kidney tissues, TNF-a expressions were decreased with GH treatment, but weren't in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e growth hormone has no effect on the production of IL-1β, but inhibits the production of TNF-a in kidney tissues of diabetic OLETF rats.

      • KCI등재

        성장호르몬결핍이 저신장 소아의 치아발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 분석

        손화경,강소희,이희경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6

        이 연구는 치아발육단계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성장호르몬 결핍이나 특발성 저신장 소아와 정상 소아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저신장 으로 진단받은 소아들을 성장호르몬 결핍인 대상자와 특발성 저신장 소아로 분류하였다. 구강 파노라마와 신체지수를 계측하여 치아발육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와 특발성 저신장 소아 간의 유의한 차이는 측절치에서만 나타났다.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와 정상 소아 간에는 모든 치아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의 발육이 유의하게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신장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나 특발성 저신장 소아 모두 신장뿐만 아니라 치아 발육 역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향후 저신장 소아의 교정치 료 프로토콜의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short statured children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idiopathic, and normal children in order to find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deficiency on tooth developmental stage. We classified children diagnosed with short stature at the Pediatrics i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s subjects due to idiopathic and growth hormone deficienc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stature and tooth development through the measuring of oral panorama and body index. Only the eruption of lateral incis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ort statured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idiopathic. Almost all tooth eruption was significantly delayed on short statured children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compared to average group. In conclusion, short stature children with either growth hormone deficiency or idiopathic were affected not only in their somatic stature but also dental maturity. We look forward to this study presenting basic data for orthodontic therapy.

      • KCI등재

        성장호르몬의 골모세포 및 신생골형성에 대한 효과

        송해룡,강영진,장기철,연성찬,구자민,김현희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3

        목적: 성장호르몬이 신생골형성 및 골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실험쥐 37마리에서 경골의 결손을 만든 다음 외고정기구를 장착시키고 성장호르몬을 8주간 근육주사한 군 25마리, 증류수액을 주사한 대조군 12마리를 이용하여 신생골형성을 곤찰하였고 신생골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쥐의 골육종에서 추출된 골아세포에 생성유뮤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성장호르몬을 투여한 군에서 골결손부위의 신생골의 골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고정기구를 장착한 경골의 근위부보다는 원위부에서 성장호르몬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골밀도가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장호르몬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할시 배양 5일에 골모세포수의 감소가 지연되었으며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 및 osteocalcin mRNA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결론: 성장호르몬의 투여는 골모세포의 증식 및 신생골형성 촉진 효소의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골절로 인한 골결손부위의 골유합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골절 후 체중부하의 지연으로 발생하는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effect of growth hormone on osteoblast and new bone formation. Materials and Methods: Bone defect of the tibia with preserved periosteum was made and fixed with external fixator. Intramuscular injection of growth hormone for 8 weeks in experimental group and saline in control group was performed. New bone formation at the bone defect in radiograph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b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were evaluated at 8 weeks after surgery. Rat osteosarcom cells were cultured in both group to evaluate cell viability of osteoblast,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mRNA expression of osteoclcin by RT-PCR. Result: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cellus formation and higher BMD at the bone detect site and the distal tibia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roliferation of osteoblast,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mRNA of osteoclcin at 5 days after cult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in control group. Conclusion: Growth hormone has positive effect on osteoblast and cellus formation in vivo and vitro studies.

      • 태권도 수련이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호르몬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김정환(JungWhan Kim)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4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6 No.-

        본 연구는 태권도 운동이 청소년들의 발육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태권도 수련 중 채혈을 통해 성장호르몬과 IGF-I 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0~13세의 인천지역 초등학교 남아 중 태권도 수련을 3년 이상 한 숙련자집단 5명과 1년 미만의 비숙련자 집단 5명 총 10명이었다. 태권도 운동프로그램의 운동 강도는 50~60% HRmax이며 운동시간은 45분이었다. 채혈은 운동전, 운동직후, 회복기 60분 3단계로 하였다. 측정 변인을 태권도 숙련정도 및 운동전, 후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하였다. 연구결과 태권도 운동이 성장호르몬의 많은 분비와 혈중 지질의 감소를 가져왔으며 특히 태권도 수련을 3년 이상 한 숙련자집단이 비숙련자 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태권도 운동이 성장과 관련된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태권도의 수련은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발달에 필요한 성장호르몬 분비와 지질의 감소로 성장의 촉진과 지나친 콜레스테롤의 섭취와 운동부 족으로 오는 비만과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여 성장기 어린이의 바른 신체의 구성과 발달을 가져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the Growth hormone and blood lipi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two groups : one is expert group(5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other is beginner group(5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training basic motion of Taekwondo for 45 minutes. GH, IGF-I & blood lipid were measured before training and after trai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The expert group had more secretion of IGF-I than the beginner group. but GH had not. GH secretion after training is 14times than before training. In the aspect of changes of blood lipid, TC & LDL-C decreased after training and HDL-C & TG increased after training.

      • 성장호르몬 투여에 따른 미성숙 수컷 흰쥐의 사춘기개시 및 생식내분비계 변화 연구

        나원흠,하철민,한창용,계명찬,박미정 한국발생생물학회 2011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30 No.-

        성장호르몬 치료는 성장호르몬 결핍증, 터너증후군, 만성 신부전증, 프라더 월리 증후군 등으로 인해 성장장애가 온 아동인 경우 수행되지만 성장호르몬의 과다 투여로 인한 부작용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성장호르몬의 노출이 사춘기 시기의 성성숙 및 생식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PND21부터 PND28까지 1주일간 각각 10마리의 수컷 SD rat에 Growth hormone (rhGH) 1, 2 IU/kg/day를 피하주사하였다. 대조군 (10마리)으로는 식염수 0.1ml을 투여하였으며, 체중 변화를 매일 0.1g 단위로 측정하며 기록하였다. 사춘기 도래시기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음경꺼풀분리 (preputial separation) 일자를 기록하였으며, 사춘기 (PND28) 시기의 주요 생식기관의 중량변화 및 조직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시상하부에서 사춘기 조절에 관여하는 kiss1 및 GnRH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고, 혈중 testosterone 농도 및 정소에서 스테로이드호르몬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정소조직 내 Leydig cell의 면적 및 세포수를 이미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모든 GH 처리군에서 유의적인 체중 증가가 나타났으며, 2IU 처리군에서 음경꺼풀이 대조군에 비해 조기에 분리되었다. GH 2IU/kg 처리군에서 정소와 부정소, 정낭샘 및 음경꺼풀샘의 중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시상하부에서 kiss1 및 GnRH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testosterone의 농도가 2IU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정소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 유전자인 17β-HSD, SF-1발현이 증가하였다. GH 처리군에서 Leydig cell의 면적과 세포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성장호르몬에 노출될 경우 개체의 성장 및 기관 발달이 촉진되지만, 과다 노출될 경우 steroid의 합성과 분비조절 기능의 변형이 예상되며, 사춘기 조기 도래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12주간의 훈련프로그램이 생리주기에 따른 난소 및 성장 관련 호르몬, Cortisol에 미치는 영향

        권영우 ( Young Woo Kwon ),김진해 ( Jin Hae Kim ),김진형 ( Jin Hyung Kim ),권광선 ( Kwang Sun Kwon ),김한철 ( Han Cheol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첫째, 12주간 훈련프로그램 처치가 여성의 체지방률과 생리주기, 난소호르몬, 성장관련호르몬, cortisol 분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둘째 12주간의 훈련프로그램이 생리주기 (월경기, 분비기)에 따라 이러한 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성인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훈련군 11명(age 22.5±1.5 yrs), 대조군 11명(age 22.7±1.2 yrs)으로 나누어 운동을 실시하였다. 훈련프로그램은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유산소운동(달리기), 웨이트 트레이닝을 포함한 운동을 개인에 따라 45-55분간 주 5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처치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처치 전후로 생리주기, 체구성 성분, 난소호르몬(estrogen, progesterone)과 성장관련호르몬(growth hormone, testosterone), cortisol을 검사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반복측정에 의한 3원 변량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주간의 훈련은 체중과 체지방률을 감소시키고(각각 p<.05, p<.01) 성장호르몬은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Cortisol의 경우 월경기의 변화는 없었으나 분비기에서 훈련 후 유의하게 감소되어(p<.05)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훈련은 여성의 생리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성장호르몬을 증가시켰으며 생리주기에 따른 cortisol의 변화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training program to menstrual cycle (mense and luteal phase) on VO2max, percent body fat, circulating concentration of ovarian hormone (estrogen, progesterone), cortisol and growth related hormone (growth hormone; GH, testosterone). Twenty-two female participated in this investigation and were divided control (n=11) and training groups (n=11). Venous blood samples were obtained during luteal (21day after mense), and early follicular phase (during mense) before and after training. Training consisted of treadmill running (15-25minutes) and resistance training which include leg curl, leg press, full down, curl up, sit up with 10 repetition maximum (3set) respectively. 12 weeks training programs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and body fat(%). but VO2max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aining. After 12 weeks training program GH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mense and luteal phase but cortis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luteal phase. Estrogen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luteal phase in contrast of mense in all group but exercise training did not induce any significant change. Serum cortisol concen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luteal phase in contrast of mense after 12 weeks training but GH, testosterone concentration did not induce any significant change with menstrual cycle. In conclusion, 12 weeks training program enhanced growth related hormone and cortisol response and this training induced change differed between mense and luteal phase.

      • KCI등재

        가족형태에 따른 아동의 성장호르몬, 코티졸 수준 및 운동효과

        이영지,이청무,이난희,황명자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양부모 및 한부모 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성장호르몬과 코티졸의 분비 수준을 비교하고 운동이 이들 호르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8명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가족형태에 따라 양부모 집단(18명)과 한부모 집단(20명)으로 분류하였다. 운동은 줄넘기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으로 회당 60분씩 주 3회, 총 12주 동안 두 집단 모두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가족형태에 따른 성장 및 스트레스 관련호르몬의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양부모 집단의 혈중 코티졸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이 각 집단 내에서 호르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대응 t-검증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집단 간 변화량에 대한 독립 t-검증 결과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가정에서 양육되는 아동이 한부모 가정 아동보다 오히려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아동의 성장호르몬과 코티졸 수준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기에 본 연구에서 실시한 운동의 강도가 다소 낮았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