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 미래인적자원으로서 재외동포청소년 성장과 지원방안 연구Ⅱ

        김경준,김정숙,이유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재외동포청소년을 글로벌 코리안의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5년부터 대륙별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9년도에는 오세아니아 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재외동포수와 한국과의 관계의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호주와 뉴질랜드 동포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호주 및 뉴질랜드 재외동포청소년들의 주변 환경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기초하여 연구가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근거해서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의 틀에 따른 조사내용을 구성하여 초 · 중 · 고 학생을 대상으로 호주와 뉴질랜드 각 국가별로 200명씩 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조사의 경우에도 국가별 동포청소년의 특성과 생태체계적 환경과 관련한 내용을 조사하였는데, 호주 · 뉴질랜드 각 국가별로 청소년과 성인(전문가) 각각 10여명씩, 총 40여명을 대상으로 동포청소년 및 관련 성인(전문가)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및 면담조사 결과를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등의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정책과제(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적합도 조사와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하여 정책목표와 7개 정책영역별로 총 35개의 정책과제를 개발 ·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ays to support overseas Korean youths as important human resources of Global Korea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 continent basis since 2015, and Oceania was targeted in 2019. Considering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s and the importance of their relations with Korea, we conducted a study on young Koreans living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aforementioned Korean Youth,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Surveys and interviews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40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200 from each of the two countries). Survey detail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the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macrosystem, and chronosystem. Interview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adolescents by country and the ecological systemic environment. A total of 40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consisting of ten overseas Korean teenagers and adults (experts) in each country. W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interviews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macrosystem, among others, and deduced implications based on which we derived policy tasks. In addition, through expert suitability diagnostics and reviews, we developed and proposed policy objectives and a total of 35 policy tasks in seven areas.

      • KCI등재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한 청소년학 연구동향 분석

        김태한 ( Tae Han Kim ),전영욱 ( Yeong Uk Jeon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하여 청소년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청소년학 연구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20년까지 미래청소년학회지에 게재된 경험적 연구 340편을 생태학적 모형에 따라 다섯 영역(개인,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로 범주화한 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영역은 미시체계로 245편(72.1%)이었고 개인(49.7%), 외체계(5.0%), 거시체계(2.4%), 중간체계(1.2%)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층적 맥락 구조가 청소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관심이 미시체계와 개인으로 상당히 편중되었음을 보여준다. 둘째, 미시체계 영역으로 분류된 게재논문에 대한 추가 분석 결과, 미시 맥락 중 가정(52.7%) 및 학교(33.5%)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지역사회, 청소년시설 및 기관, 사이버공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실천적 제언과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youth studies using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as an analytic framework. To this end, 340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Future-Oriented Youth Society from 2004 to 2020 were selected. They were categorized into five domains based on the ecological model - person, microsystems, mesosystems, exosystems, and macrosystem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omain which were studied the most was microsystems (72.1%), followed by person (49.7%), exosystems (5.0%), macrosystems (2.4%), and mesosystems (1.2%). This result shows that a disproportionate attention has been paid to microsystems and person although the other domains als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development. Second, a family (52.7%) was the micro context that the most number of microsystems studies investigated - the second is a school (33.5%). However, research on the other micro contexts (a local community, a youth organization, and cyberspace) were relatively rare. Based on th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교정현장에서 다분야협력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에 관한 연구

        신연희 아시아교정포럼 2021 교정담론 Vol.15 No.1

        다분야협력은 한 분야의 전문가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목 적달성을 위해 여러 전문가들이 상호 협력하는 과정이다. 교정현 장에서의 다분야협력은 사회복지사와 교정공무원, 관련 전문가 들이 공통의 목적을 위해 함께 계획하고 수행하며, 문제해결에 관한 책임을 공유하고, 공식적 의사결정을 함께 하는 등 협력적 으로 일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분야협력은 교정현장과 사회복지 실천의 특성상 적용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교정영역에서 관련연구가 부재하였다. 이 연구는 수용자교화를 위한 실천에 다 분야협력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정현장에서 다분야협력의 적절성과 실천원 칙, 교정복지의 생태체계구조, 그리고 생태체계이론과 다분야협 력을 결합하여 사회복지사의 역할유형에 관해 논의하였다.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분야협력의 적절성은 사회복지학 및 교정복지학의 특 성, 교정복지 실천현장의 독특성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다분 야협력에서 사회복지사에게 요구되는 실천원칙은 가치와 이념에 서의 조화와 균형, 다른 전문직에 대한 존중이 필요할 것으로 보 았다. 둘째 교정복지 실천의 생태체계 구조에 대해서는 체계수준 별로 수용자를 둘러싼 환경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셋째 다분야협력에서 사회복지사는 미시체계의 지지ㆍ지원기능에 해당하는 임상가, 상담가, 사례관리자를 기본역할로 수행하면서, 동시에 중개자 및 네트워킹전문가, 중재자, 교육가의 역할에 비 중을 두고 실천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정현장의 다분야협력에 대한 사회복지계의 대응방안으로 교정현장에서의 전문사회복지사 제도화와 사회복지 전문단체 차원의 활동을 제 안하였다.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s the process of experts in different fields cooperating to achieve goals that an expert in a single field would have difficulties achievi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the correctional field refers to social workers, correctional officers, and experts in related fields working together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by planning and performing, sharing responsibilities for problem-solving, and making official decisions together. Whil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correctional settings and social welfare practices are high in their applicability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studies on this field did not exist. This study aimed to apply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the role of social workers for prisoner reformation. It discussed the appropriateness and application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correctional settings, the ecosystem of correctional social work, and social workers' roles under the combination of ecosystem theory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ppropriateness of applyi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was suppor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and the uniqueness of on-site correctional social welfare. This study found that social workers must work under the principles of harmony, balance, and respect for other experts i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Second, regarding the ecosystem of correctional social work, depending on the system's level, the paper suggested details based 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inmate. Third, i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social workers must perform fundamental supporting roles of the microsystem such as the clinical study conductor, counselor, and case manager, as well as take on the role of a broker and networking professional, mediator, and educator. Finally, the study propos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rrectional social workers and activities th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can conduct as a response to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correctional settings.

      • KCI등재

        학교 생태체계 환경 변인이 중3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희경,김성훈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crosystem, time system, and mesosystem variables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ninth graders in middle school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Using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the study conducted multilevel analysis of the data of seventh graders in Year 1 (2010) and their data as ninth graders in Year 3 (2012) including 2,225 students from 78 schools. The first level included microsystem and time system variables, and the second level measured mesosystem variables. The microsystem variables wer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one's social and economic status (SES), the life satisfaction, and peer attachment of ninth graders. The time system variable was the school adjustment of seventh graders who experienced an environmental change to middle school. The mesosystem variables were the school type and the school's social and economic status (MS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chool adjustment sub-variable of seventh graders and the time system variabl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ninth graders. The learning activities of seventh graders, in particular, recorded the highest regression coefficient at .167.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ut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ositive school adjustment in the seventh grade, which is a transition period, and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adjustment of ninth graders. 본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바탕으로 미시체계, 시간체계, 중간체계의 변인들이 중3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아동·청소년종단패널(KCYPS)』인1차년(2010년)도 중1 학년과 중3 학년의 3차년(2012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78개의 학교에 2,225명이 내재된 구조로 다층분석(Multilevel analysis)을 실시였다. 1수준 변인은 미시체계와 시간체계로, 2수준 변인은 중간체계로 설정하였다. 미시체계는 성별, 개인의사회‧경제적 배경(SES), 중3 학년의 삶의 만족도와 또래애착으로 하였으며, 시간체계는중학교라는 전환기적 환경 변화를 경험한 중1 학년의 학교적응, 그리고 중간체계는 학교유형과 학교의 사회‧경제적 배경(MSES)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시간체계 변인인 중1 학년 때의 학교적응이 중3 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전반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중1 학년 때의 학습활동은 .167의 회귀계수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3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특히 전환기적 환경의변화를 경험하는 중학교 1학년 때의 긍정적 학교생활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영향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박희서(Hwie-Seo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8

        이 연구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영향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규명해 봄으로써 인터넷 중독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색해 본 연구이다. 즉, 인터넷 중독의 영향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개인체계, 가정환경체계, 학교환경체계, 인터넷 환경체계 등으로 나누어 영향요인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대처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인체계에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등이었으며, 가정환경체계에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수준, 부모의지지 등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규명되었다. 학교환경체계에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는 학업성적, 친구지지, 교사지지, 학교생활 적응 등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터넷 중독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on adolescent internet addition and suggest how to deal with it. This study is based on the ecosystem theory for human development. The factors affecting on adolescent internet addition are the followings: First, self-efficacy, self-esteem and self-control affect on internet addiction in individual system. Second, the affecting factors concerned with home environmental system are the communication level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 parents' attitude for bringing up, parents' control level for adolescent, parents support etc. Third, the affecting factors concerned with school environmental system academic score, friends' support, teacher's support, adolescent adaptation in school life etc. This study suggest how to deal with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연구에 관한 비판적 검토

        맹성준,김은경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9 중독과 복지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researches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that have been conducted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suggests what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For that purpose, we have recruited a total of twelve related researches for literature review. From the systematic perspective based on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we analyzed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person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Personal factors include academic str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family factors include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Social factors incl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systems theory, most of recent studies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have only analyzed environmental factors analysis at micro-system level. Given that the micro-system includes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parents, siblings, friends, neighbors and teachers, recent studies covered only a part of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 regarding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searches on influence factor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micro-system, intermediate system, external system and macro-system, and those on the impact of peer groups and qualitativ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관한 최근3년 이내의 연구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앞으로 필요한 연구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총12편의 연구물을 수집하여 ‘일반적 문헌분석(Literature Review)방법을 이용하였다.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이론(ecological systems theory)’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 관점에서 아동·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들의 게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이를 크게 개인내적인 요인(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 및 불안 등), 가족요인(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의 질 등), 그리고 가족 외 사회적 요인(대인관계, 친구관계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둘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면 최근의 연구들은 아동·청소년들의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대부분은 미시체계수준의 환경요인분석에만 머물고 있다. 미시체계도 부모님, 형제, 친구, 이웃, 선생님 등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일부 환경만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관련하여 미시체계를 포함한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등 생태학적 관점에서 다양한 영향요인 연구, 또래집단의 영향 연구,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생태학적 연구

        권다남,김대현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0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2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활용하여 단위학교에서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태학적 요인들을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미시체계에는 학생, 교사, 학부모, 교장, 학교 요인이 포함되었으며, 중간체계에는 사회적 자본, 협력, 파트너십 요인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외 체계에는 지역사회, 지자체 및 교육청 요인이 포함되었고, 거시 체계에는 국가(정부), 국가 교육과정, 사회적 문화 요인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시간체계는 정책 형성과정과 갈등 해결과정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들이 기존의 역할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그리고 각 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지식이나 태도도 중요하지만 구성원들 간의 긴밀한 관계와 상호작용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단위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며, 모든 차원의 요인에 대해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요인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생태체계 요인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재가급여기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심재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1

        We attempted to provide a way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ecological system factors of long-term care worker who provide elderly care services at home benefit institutions. In this study,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all ecological factors except for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al factors by sett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long-term care worker and job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were social support, followed by family support, job conditions, trust in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nursing care workers who recognize positive support from the surrounding social network and family surrounding nursing care workers and positively recognize job conditions are generally positive. 재가급여기관에서 노인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생태체계요인이 직무만족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직무만족의 수준을 파악하여 직무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요양보호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생태체계 요인과 직무만족간의 인과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론 중에서 우리나라 재가급여기관의 요양보호사의 실정에 적합한 직무만족 6개 결정요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생태체계별 각 요인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직무만족은 사회문화환경 요인을 제외한 모든 생태체계요인들과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만족과 상관이 가장 높은 요인은 사회적지지이며, 이어서 가족지지, 직무여건, 노인복지정책신뢰,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순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보호사를 둘러싼 주변의 사회적 네트워크 및 가족으로부터 긍정적 지지를 받는다고 인식하면서 직무여건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요양보호사들은 대체로 직무만족이 긍정적인 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기반한 인디언과 유대인 양육법 기초연구

        김일부 한국부모교육학회 2009 부모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유대인 양육법의 특징과 인디언 양육법의 특징을 살펴보고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기반하여 각 변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전인적인 아동발달을 위한 양육법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적 연구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시체계와 중간체계에서의 비교기준은 ‘가정’이며 유대인의 가정은 아버지 중심, 인디언의 가정은 어머니 중심이었다. 외체계에서의 비교기준은 ‘교육제도’이며 유대인의 교육제도는 5세에서 16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무상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아동은 부모와의 합의하에 일반학교와 종교학교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학교는 자율적 교육방침에 따라 운영되었다. 인디언의 교육제도는 미국의 교육제도를 따르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초급(기술 대학), 대학(College) 그리고 대학원(Professional School)로 구분된다. 고등학교 과정까지는 무상의무교육이며 장학금과 지원제도가 발달되어 있어 ‘교육의 천국’이라 불리었지만 그들의 사회에 적용되지 못했다. 거시체계에서의 비교기준은 “종교”였으며 유대인의 종교는 유대교, 이슬람교, 기독교, 드루즈파의 네 개로 구분, 이 중 유대교가 가장 많으며 인디언의 종교는 자연과 동물 등을 신성히 여기는 토테미즘과 유사한 방식을 보였다. 시간체계에서의 비교기준은 “역사적 사건”이며 유대인은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 인디언은 유럽인의 대륙침략이 가장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 KCI등재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활용한 휠체어 사용 아동의 이동성 촉진 및 제약요인 탐색

        임영신,이상희,김매이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3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9 No.59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mobility of children using wheelchairs and to present a comprehensive perspective for improving mobility. We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mobilit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identified constraining and facilitating factors based on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Analysis revealed nine constraining factors and ten facilitating factors in micro-, exo-, and macro-system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mobility is related not only to individual physical functions but also to desire and motivation for movement, parental support, use of assistive mobility devices, accessibilit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disabilities awareness, and various support systems and policies. These factors appear across system levels and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each other.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mobility of children using wheelchairs and offers various polic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본 연구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아동의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동성 향상을 위한 종합적인 관점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으며,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바탕으로 체계별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제약요인과 촉진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시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안에서 총 9개의 제약요인과 10개의 촉진요인이 도출되었다. 휠체어 사용 아동의 이동성은 개인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이동에 대한 욕구와 동기, 보호자의 인식과 지지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동기기의 사용 여부와 외부 환경의 접근성,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그리고 다양한 지원제도와 정책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여러 환경체계에 걸쳐 나타나고 서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휠체어 사용 아동들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서비스, 아동용 이동보조기기 디자인 및 기술 개발, 유니버설 디자인 환경의 구축 및 개선, 통합적 환경에서의 장애아동의 교육 및 참여 기회 보장 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