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의 확장과 변용 : 교정인문학의 방향과 전망

        조극훈 아시아교정포럼 2017 교정담론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인문학 사례를 통해서 인문학의 확장과 변용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문학은 “왜”라는 질문을 통해서 인간과 세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는 학문이다. 그런데 교정인문학은 인문학의 변용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인문학의 확장과 변용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문학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키케로의 인문학의 개념과 함께 카우프만, 쇼리스의 인문학의 정신과 변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사)아시아교정포럼의 활동 사항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정인문학의 방향과 전망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문학의 확장과 변용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문학과 삶의 현장이 접목되어야 한다. 지역인문학에 대한 요구가 커질 것이므로 이와 관련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과학기술의 성과를 인문학에 활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humanities through the case of corrective humanities. Humanities is a study of critical reflection on humanity and the world through the question of "why." However, since the correctional humanities are transformations of humanities, research on them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s of exte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humaniti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ncept of humanities is presented. In addition to the concept of Cicero humanities, Kaufmann and Shorris' concept and transformation of humanities are presented. Next, we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Asian Forum For Corrections. Finally, the direction and prospect of the correctional humanities a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for the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humanities to be effective, the humanities and the reality of life must be combined. As the demand for local humanities grows, we need to develop related contents. In addition, community therap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e achievem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be utilized in the humanities.

      • KCI등재후보

        교정단계 회복적 사법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김영식 아시아교정포럼 2013 교정담론 Vol.7 No.1

        ‘회복적 사법(Restorative Justice)’은 1974년 캐나다에서 시작되어 오늘날 서구는 물론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이르기 까지 널리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들어 각 형사사법 단계마다 시범적 수준에서 시행되기 시작했으며 그 중 검찰 단계 형사조정제도는 형사사법의 일환으로 점차 자리를 잡아가기에 이르렀다. 외국의 경우 교정단계에서 적용되고 있는 회복적사법의 유형으로는 피해 공감·배상·대화·갈등조정·지역사회 프로그램 등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법무부 업무방침으로‘회복적 교정’추진을 공식화 하고 수형자 작업장려금 범죄피해자 보호단체 기부 등 배상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몇몇 공감프로그램을 시범 시도하고 있다. 특히, 교화 라디오방송을 통해 수용자의 사과편지를 회복적 사법 조정인의 상담 형식으로 방송한 것은 우리나라만의 특이한 시도였다. 본 연구는 회복적 교정 사례에 대하여 외국의 경우 문헌자료를 고찰하였으며, 국내의 경우 교정시설 적용 시행 사례를 소개하였다. 국내 진행상황을 고려하여 앞으로 회복적 교정 전문 조정인 양성, 피해자 치유프로그램을 통한 공감프로그램 자원봉사자 확보가 필요하며, 가석방 확대와 석방 후 중간처우의 집을 통한 회복적 교정 프로그램 운영, 아동성폭력사범 출소자의 재범예방을 위한 한국형 후원과 책임의 모임 출범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피력하였다. 또한 법무부에 교정과 보호 단계를 아우르는‘회복적 교정·보호 운영위원회’구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문교정을 탐구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 : ‘철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전석환,이백철 아시아교정포럼 2015 교정담론 Vol.9 No.1

        인문교정의 원초적인 발상은 ‘교정학의 인문학적 접근’이라는 주제로부터 출발한다. 무엇보다 먼저 그러한 주 제의 큰 특징은 통섭적 혹은 융복합적 형태를 지니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인문교정의 등장은 지금까지의 한국 교정학이 ‘교도소의 관리학’ 혹은 ‘행형법의 주석학’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는 일단의 교정학 전공자들의 자성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교정학 자체의 올바른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긴박한 요청이 바로 ‘교정학의 인문학적 접근’이라는 모습으로 드러났던 것이다. 그러한 구체적 모습은 외연적으로 볼 때 일군의 교정 전공자들과 인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주도된 2007년 <아시아교정포럼>이라는 학회의 발족 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계기를 우리는 교정학과 인문학이 ‘인문교정’이라는 이름으로 명실공히 통섭적 혹은 융복합적 학문의 구체적 모델을 구현했다고 자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인문교정의 운동’으로 규정할 수 있다. 더불어 현시점에서는 그러한 운동의 그 내적 기초를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것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 특히 인문교정 ‘탐구의 방법론’에 대한 구축 시도는 이러한 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전제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첫째는 무엇보다 먼저 인문과학 중 특히 철학과 교정학 조우의 필연성을 해명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특히 인 문교정 안에서 ‘철학적 관점’이라는 개념적 이해를 통해 ‘어떻게 철학이 인문교정의 탐구 안에서 위치하고 있 는 가’에 대한 정당화의 작업을 시도한다. 둘째는 교정학에 대한 ‘인문학에 있어서 하나의 분과과학으로서 철학’에 의거한 접근은 어떤 탐구의 방법으로 드러나게 되는 가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것을 ‘메타적 이론의 관점’으로 수용하면서 그러한 탐구의 방 법을 제시하고 그 타당성의 근거를 밝힌다. 셋째는 인문교정의 탐구 방법을 직접 탐구 영역에 적용시키면서, 철학적 관점을 통해 본 인문교정 탐구의 실 제를 제시한다. 그러한 시도는 무엇보다 먼저 지금까지 성립된 학문이론을 전제하고, 기존 교정학이 다루었던 탐구를 비평하는 형식으로 수행된다. The basic conception of humanistic corrections starts with the theme called “A Humanistic Approach to Corrections”. The great feature of this theme is the convergence and consilience of its conception. The introduction of the humanistic corrections came from the introspections of corrections specialists said that Korean humanistic corrections is still at the level of penology or the manual of penal law. In other words, an urgent need for accurate identity of academic discipline in corrections has led to an humanistic approach to corrections. The progress details can be confirmed with the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society named Asian Forum for Corrections by both corrections and humanities specialists in 2007. Through this event,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orrections and humanities specialists implemented a specific model of the consilient and convergent discipline, it is called humanistic corrections. A series of processes can be defined as a movement for humanistic corrections. At this present time,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basic theory on this movement. Especially, it is important in this stage to attempt to establish an inquiry methodology for humanistic corrections. Under this premise, this study was developed as described below. First, the inevitability of an encounter between corrections and philosophy particularly among the humanitie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a process to rationalize how philosophy is under the inquiry of humanistic corrections was conducted through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humanistic corrections.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by an inquiry method, an approach to corrections based on philosophy as a science of the humanities comes out. Thus, this study suggested an inquiry method by accepting it as a metapoetic perspective on theory, and consequently, the grounds of its validity were identified. Third, the inquiry practice of humanistic corrections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was suggested by applying the inquiry method for humanistic corrections to the direct research field. In this regard, the criticism on the inquiries in the existing corrections were conducted under the premised of the established theory of the science.

      • KCI등재

        Denmark is a Prison : 셰익스피어 연극에서 범죄와 형벌, 그리고 교정

        신겸수 아시아교정포럼 2007 교정담론 Vol.1 No.-

        미셸 푸코는 1956년 암스테르담에 건설된 라스푸이 감옥을 징벌적 감옥의 첫 모델로 보고 있다. 범죄자를 교정한다는 본격적 감옥은 18세기 후반에 되어서야 확립되었다고 푸코는 말한다. 이러한 푸코의 이론에 의하면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1916년에 죽었기 때문에 근대적인 감옥을 둘러보거나 죄수들을 볼 기회는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셰익스피어의 연극에서 범죄, 범인, 형벌, 감옥, 죄수 심지어 교정과 관련된 많은 장면들을 발견한다. 물론 이러한 용어들이 엘리자베스 시대의 처벌과 직결된 것은 아니다. 햄릿은 그의 친구 로젠크란츠와 길던스턴에게 이 세상에는 크고 작은 감옥이 수없이 많이 있고, “덴마크는 그중에서도 최악의 감옥”이라고 말한다. 셰익스피어는 고금의 영국 및 외국으로부터 온갖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빌어다가 극작을 하였다. 그리스 로마 및 많은 유럽 국가에서 이야기를 차용하여 인간성과 문화의 다양한 양상을 창조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희곡에서 범죄나 교정학과 관련된 다양한 흥미로운 소재를 발견하는 것도 놀라운 일이 아니다.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와 교정학사이의 학제간 연결을 위한 간략한 시도이다. 셰익스피어의 연구와 교정학 연구의 교량을 구축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셰익스피어 희곡에서 범죄, 처벌, 감옥, 죄수, 교정 등과 같은 교정학적 주제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양한 형태의 예를 들어 사형, 교수형, 감옥형, 또는 채찍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신체적 처벌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셰익스피어가 범죄 및 형벌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주는 극적 효과를 충분히 알고 있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의 희곡에서 햄릿, 로미오, 밸런타인, 코리오레이너스 등과 같이 추방된 인물들은 반드시 되돌아온다. 적어도 우리는 3편의 그의 희곡에서 범죄학이나 교정학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가 들어있음을 입증할 수가 있다. 『이척보척』, 『십이야』, 『리어왕』이 이러한 희곡인데, 이들 속에는 감옥이나 교정학과 관련 고찰해 볼만한 흥미로운 이슈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셰익스피어의 죄수들이 교정의 효과를 내는지는 단정지어 말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이척보척』의 뚜쟁이 폼피는 “교정과 교훈을 함께 가해야할” 사람이다. 그러나 극중에서 그의 유일한 관심사는 옛날 고객의 힘을 빌어 보석금을 내고 감옥에서 풀려나는 것이다. 『십이야』에서 말볼리오는 교정의 대상으로 투옥되는 가장 훌륭한 모델이다. 그렇지만 그를 어리석은 사랑과 무지에서 일깨워 주려는 토비경이나 광대 페스테, 마리아 등의 노력은 완전히 실패로 돌아간다. 그가 같은 집안사람들에게 완전히 속아 바보가 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말볼리오의 정신 상태는 훨씬 더 나빠져 있다. 연극의 끝에서 그가 내뱉는 말은 “당신네들 모두에게 내가 복수할꺼야!”라는 저주로서 아마추어적 교정의 실패를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셰익스피어의 감옥은 물리적 측면이라기 보다는 심리적 측면에서 더 가치를 지닌다. 셰익스피어 희곡에서 교정은 보다 엄밀히 말하면 사회적 교정으로서 무대 위의 극중인물이 아니라 연극을 보는 관객 속에서 실현되는 교정이다. 무대 위의 범법자들이 고통받고 파멸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셰익스피어의 관객들은 소위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연민과 공포”를 느끼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셰익스피어의 무대는 17세기 영국의 교정 포럼이라고 불리울만 하다. Michel Foucault thought of the Rasphuis constructed in Amsterdam in 1596 as the first model of modern punitive imprisonment. Foucault said the "proper" prison with the modern concept of housing criminals for correction was not established until the late 18th century. According to Foucault's theory, William Shakespeare could have never had a chance to look around "modern" prisons or view prisoners since the playwright died in 1616. Nevertheless, we remember a lot of scenes in his plays related to crimes, criminals, punishments, prison, prisoners and even "correction," even if this word just meant "punishment" in the Elizabethan age. Hamlet tells his school friends,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there are many confines, wards, and dungeons," and Denmark was the worst one. Shakespeare borrowed all sorts of interesting stories home and abroad, and ancient and modern. Adopting and adapting stories from Greece, Rome, and many European countries, Shakespeare created varied aspects of human character and culture. Therefore it is no wonder for us to recognize various interesting topics in criminology or correctional studies. This paper is a brief attempt for an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Shakespeare and Correction. In order to make a bridge of Shakespearean studies and correctional studie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several topics of correction in Shakespeare's plays, such as crime, punishment, prison, prisoner, and correction. Looking over varied types of physical penalties, such as death, hanging, imprisonment, and pillory or whipping, we can confirm Shakespeare was fully aware of the dramatic effect of crime/punishment stories. For instance, in his plays banished characters such as Hamlet, Romeo, Valentine, and Coriolanus never fail to return. We can prove at least three of his plays contain useful information about criminology and correction. They are Measure for Measure, The Twelfth Night, and King Lear. These plays provide lots of interesting issues to be considered for prison and correctional studies. We can not ascertain positive effects of correction in Shakespeare's prisoners. For example, Pompey, a bawd in Measure for Measure, is a man whom "correction and instruction must both work". However, his single interest is in getting ransom to be free by the favor of his former customers. Malvolio in The Twelfth Night could be the best model to be imprisoned for correction. Yet, the efforts of Sir Toby, Feste, and Maria to awaken him out of his foolish love and ignorance prove to be a complete failure. The mental state of Malvolio becomes even worse when he finds himself to be gulled by the rogues in the same house. His cursing outcry at the end of the play, "I will be revenged on the whole pack of you," is a symbolic sign of failure in correctional amateurism. Shakespeare's prisons are more valued for their psychological functions than their physical ones. In Shakespeare's plays, correction, to be exact, social correction, is formed not through the characters on the stage but among the audience in the theatre. Looking at the criminals, suffered and destroyed on the stage, Shakespeare's audience feel what is called, "pity and fear". In this respect, Shakespeare's stage can be called a correctional forum in the 17th century England.

      • KCI등재

        주역철학(周易哲學)의 관점에서 본 인문교정(人文矯正)

        신성수 아시아교정포럼 2016 교정담론 Vol.10 No.2

        이 논문은 동아시아의 대표적 고전인 『주역』에 담긴 철학적 사유를 통하여 ‘교정학’의 인문학적 의미를 조명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대 학문 분류로 보면, 동양고전인 『주역』은 인문학 가운데 동양철학의 한 분야로서 유교철학의 고전 내지 경전이라는 지점에 있다. 그러나 『주역』에 내포된 학문적 사유의 범주는 우주적 차원에 비견할 수 있는 천문・지리・인사의 모든 영역을 망라하고 있다. 이는 형식적인 학문 분류와 실질적인 학문적 범주를 구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정학’은 사회과학 가운데 법학의 한 분야로 광의의 형법학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교정학’은 “수형자의 교정교화와 건전한 사회복귀”를 이념으로 하는 독자적인 인식범주를 가지고 있다. ‘교정학’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철학을 비롯한 인문학적 토대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교정교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인문 사회과학적 프로그램과 ‘건전한 사회복귀’를 위한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이고 융합적인 학문체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첨단 문명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 『주역』과 같은 고전을 통해 사유한다는 것은 고대적 사유로의 회귀(回歸)가 아니라,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사고에서 종합적이고 근원적인 사유로의 전환(轉換)을 의미한다.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듯이, 인간과 사회를 다루는 학문 역시 변화하는 현실을 직시하면서 미래지향적인 목적과 이념을 설정하여 창조적으로 변화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주역』에는 고대사회의 ‘죄와 벌’이 투영되어 있지만, 엄격한 형벌집행 보다는 특히 인간과 사회의 조화를 이루어 최적의 선(善)에 이르기 위한 교정교화(矯正敎化)의 이념이 강하게 내재되어 있다. 이렇게 『주역』에 내재된 교정교화의 이념은 ‘교정학’의 근본목적에 그대로 부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정학의 인문학적 접근은 사회의 통합과 화합을 도모하고 인간성의 회복을 모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수형인들로 하여금 인간다움을 회복하고 사회에 복귀하는데 필요한 실질적 방안을 찾고자 하는 노력과 더불어, 인간과 학문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통하여 ‘인간을 위한 인문교정학’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seeing highlights the humanistic sense of 'Corrections' through philosophical reasons contained in a typical classic I Ching (or Book of Changes) of East Asia. In its modern academic classification, oriental classic I Ching (or Book of Changes) is the point of Confucian classics to works of philosophy as a branch of Eastern philosophy of the humanities. However, the scope of academic reasons implicit in I Ching can encompass all areas of astronomy, geography, human being can be compared to a cosmic dimension. 'Corrections' has been recognized as belonging to the criminal laws in a field of law among the social sciences. However, corrections has a unique academic categories. Corrections should be based on a humanistic foundat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And 'corrections' is a comprehensive scholarship system covering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should be done in order to achieve specific objectives. As the world is changing constantly, the study dealing with the human and social well to set forward-looking goals and ideas must go to change creatively. Humanistic approach to 'Corrections' will be that the main objective to promote the integration and unity of society and seek the restoration of humani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umanistic corrections through the oriental classic I Ching. The idea of a harmonious society and enlighten the human being is embedded deeply in the I Ching. Thi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orrections.

      • KCI등재
      • 교정의 측면에서 본 관계회복 : 회복적 교정

        박선영 아시아교정포럼 2017 아시아교정포럼 학술대회 Vol.2017 No.04

        본 연구는 수형자의 관계성 회복을 수형자의 교정교화와 사회복귀의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하였으며, 특히 범죄행위로 인해 발생한 피해자-가해자 관계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회복적 사법이 교정시설에 적용된 회복적 교정을 검토하였다. 회복적 사법이 교정에 도 입되게 된 배경과 국/내외 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들, 회복적 교정의 장점과 효 과성, 회복적 교정이 해결해야할 문제점들을 검토하였다. 회복적 교정 프로그램들을 통 해 피해자는 물론 수형자를 둘러싼 여러 관계성을 회복함으로써, 회복적 교정은 교정교 화와 성공적 사회복귀라는 새로운 교정 패러다임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전략 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미 부분적으로 시도되었던 회복적 교정이 향후 우리나라 교정에서 확대·시행되기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피해자 인식 및 공감 프로그램’의 시행, 민관의 협력체계 구축, 전문적 프로그램의 개발, 회복적 교정에 대한 인식강화, 책임감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연계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정 기본계획 수립과 이행을 위한 해외사례 검토

        박선영 아시아교정포럼 2020 교정담론 Vol.14 No.3

        개정된 「형의 집행 및 수용자 처우에 관한 법률」은 5년마다 교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 는 기본계획 수립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관련하여 과밀수용, 분류심사, 교정공무원 역량강화와 처우개선, 출소준비, 인권보호 조치 등과 관련한 해외 사례를 살펴보았다. 기본계획의 이행과 향후 계획수립에 고려할 만한 시사점으로는 외출제한 재택구금 의 시범사업 실시, 단일화 된 정밀한 분류심사 활용, 실습포함 6 개월 신입교도관 훈련, 중간처우의 집 및 중간처우 유닛을 통한 단계적 석방과 철저한 출소준비, 인권보호를 위한 독립된 기관에 의한 교도소 정기조사와 결과 및 개선사항 공표, 교도소 내 소수 집단에 대한 지원강화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검토한 교정 선진국들은 국민과 정치권의 교정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토대로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우리 나라 교정 기본계획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민과 정치권 의 교정에 대한 인식개선과 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mended act of "Enforcement Decree of the Administration and Treatment of Correctional Institution Inmates Act" requires that Korea Correctional Service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Correction Strategic Plan" every 5 years. The current study reviews other countries’ good practices of prison overcrowding issues, offender classification system, correctional officer's capacity enhancement and welfare, prisoner reentry support system and protection measures on prisoner's right, which need to be addressed in Korean "Correction Strategic Plan". After the overseas case reviews, this study presents 6 policy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first Correctional Strategic Plan and developing future Correction Strategic Plan. First, pilot house arrest under the electronic monitoring for the non violent and elder inmates should be introduced to relieve prison overcrowding. Second, standardized and unified risk and need assessment system needs to be implemented. Thirds, newly recruited correctional officer training should be expanded to six months and include internship period. Fourth, using halfway house or halfway unit within prisons, prisoner reentry should be throughly prepared. Fifth, in order to protect prisoner's right, using standardized facility assessment toolkit, independent prison inspection organization needs to regularly investigate prison and publish its report and prison's progress report. Lastly, special support programs and manuals for minority groups such as elders, handicapped, and LGBT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However,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other countries' good practices reviewed in the research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public and politics' support and interest in corrections and prisoner reentry, which are needed to successfully implement newly introduced "5 year Correction Strategic Plan".

      • KCI등재

        교정공무원의 퇴직 후 진로전환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장선숙,안윤정 아시아교정포럼 2019 교정담론 Vol.13 No.3

        Today, a variety of changes are followed in the professional world as increased life expectancy. However, most public officers are passive in preparing for retirement as they are guaranteed job security under the law while in office and pension for public officer after retirement. Most public officers have difficulty adjusting to and coping with the rapid changes of this age due to the special nature of working for public organizations. Some people live a satisfying second act of life, doing new work, thanks to their own strengths, accumulated work experience and continued self-development in the incumbent. We interviewed 21 people who worked as correctional officer for more than 28 years and succeeded in career transition after retirement, and categorized and analyzed data on the work experience, retirement preparation process, meaning of work, etc. in the way of Strauss and Cobbi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correctional officers do new work after retirement was self-realization rather than economic compensation. Second, the work experience of a retired correctional officers turned out to be much help to the new job, especially ‘deep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people through the experience of various people’ helped all subjects. Third, in the career transi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it indicated a higher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mpetence and social capital than position while in office. Fourth, the most important and prerequisite for career transition after retirement is to establish career goals through self-discovery and self-understanding processes. These were the starting points for career transition. Fifth, when concrete preparations were made for career transition, the career transition process was smooth, the time required for the transition was short,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This study will be specific educational material for retirement arrangements. It will also serve as the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retirement support programs that conform to the characteristics of correctional officers. 오늘날 수명증가에 따라 직업세계에 다양한 변화들이 뒤따르고 있지만 대부분 공무원들은 재직 중 법률에 의한 직업안정과 퇴직 후 공무원연금 보장되어 퇴직준비에 수동적이다. 대부분 공무원들은 장기간 공공기관의 특수성의 영향으로 빠른 시대변화의 흐름에 적응하거나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운데도 일부는 현직에서부터 자신의 강점과 축적된 일경험, 그리고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새로운 일을 하며 만족스러운 인생2막을 살아가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28년 이상 교정공무원으로 재직 후 퇴직하고 또 새로운 일로 진로전환한 2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하여 교정공무원 재직 중 일경험, 퇴직준비과정, 일의 의미 등에 대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Strauss와 Cobin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교정공무원이 퇴직후 새로운 일을 하는 이유는 경제적인 보상보다도 자기실현의 의미가 컸고, 둘째, 실제 퇴직 후 진로전환 한 경험자들을 통해 본 교정공무원의 일경험은 새 일에 많은 도움이 되었고. 참여자들 모두에게서 도움 되는 전직 일경험은 ‘다양한 사람들을 경험하여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이었다. 셋째, 교정공무원의 진로전환에서는 재직 시 직급 보다는 개인역량과 사회적자본이 높은 관계를 나타내었고, 넷째, 퇴직 후 진로전환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선행되어야 할 부분은 자기탐색과 자기이해과정으로 진로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진로전환의 출발점이었다. 다섯째, 진로전환을 위해 구체적인 준비를 한 경우는 진로전환과정이 순조롭고, 전환을 위한 소요 시간도 짧았고 만족감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퇴직준비에 구체적인 교육자료가 되고, 교정직 공무원 특성에 맞는 퇴직지원프로그램 도입에 기초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