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약류 중독자를 바라보는 인식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 범죄자가 아닌 환자로의 인식 변화

        권혁민,이주현,최정아,최혜영,김영호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9 중독과 복지 Vol.3 No.2

        우리나라에서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처우는 현 형사사법시스템 상 치료가 필요한 중독자가 아닌 범죄자로 우선 인식하여 형사 처벌적 접근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마약류 중독자의 꾸준한 증가와 높은 재범률은 기존 시스템의 치료·재활 및 사회로의 복귀에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마약류 중독자를 범죄자가 아닌 환자로 인식하는 것이 치료 및 재활에 도움이 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마약류 중독자를 환자로서 인식하는 것이 범죄자로 인식하는 경우에 비해 삶에 대한 태도, 치료에의 경험, 향후 치료 계획 등의 항목에서 더 높은 수준의 회복 요소 및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에서 마약류 중독자를 범죄자가 아닌 환자로 보는 인식의 변화가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인지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라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현 사법시스템 및 사회적 인식의 개선 및 변화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향후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 모형 개발, 정책 수립 필요성에 대해 함께 제언하였다.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recognizes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as criminals rather than addicts whom need treatment, and only criminal approaches are taken. However, the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and the high recidivism rate show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treatment, rehabilitation and their return to society in existing systems. So, this study set the issue of 'Is it helpful to treat and rehabilitate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as patients rather than criminals?'. And recognizing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as patients has a higher level of recovery factors and resources in categories such as attitudes toward life, experience in treatment, future treatment plans, etc. This study recognizes tha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as patients rather than criminal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addicts. And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mprovement and change in the current judicial system and social awareness of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of to develop a model for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nd to establish policies for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in the future.

      • 약물중독과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약물 중독과 자살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박혜인,유은샘,임수현,임지현,전지윤,김영호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drug addiction and suicide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In this study, a systematic review of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drug addiction and suicide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ommon points of drug addiction and suicide were classified and correl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gender, depression, economic status, and dwelling status (support system) were suggested as variables that affect drug addiction and suicide. Through the implication of research, prevention and remedies for drug addiction and suicide , And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should be systematically prepared.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약물중독 문제와 자살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알아보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중독과 자살 문제에 대한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하였고, 연구를 통해 도출 된 결과로 약물중독과 자살간의 공통점을 분류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약물중독과 자살에 영항을 미치는 변수들로 성별, 우울, 경제상태, 동거상태(지지체계) 등이 제시되었으며, 연구의 함의를 통해 약물중독 및 자살 문제의 예방책과 구제책들이 지역적, 제도적 인프라 구축을 비롯하여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RISS 인기논문

        중학생에서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문선,이무식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c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vert narcissism had a high influence on withdrawal, tolerance, obsession and life inconvenience, maladjus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ithdrawal, tolerance, obsession and life inconvenience, maladjus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Third, convert narcissism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as well as indirectly affected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howe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convert narciss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Thu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cable to all youth. Future research need to be continued and compared to ensure that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when the population is surveyed nationwide. In addition, research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types of groups. Second, onl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is study.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except set variables.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parallel with qualit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various variables in depth and generally. Third, in future research there be an should attempt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 및 대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6년 일개 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연구의 특성에 맞게 집락무작위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5개 구별 1곳을 선정하여 각 학년별 각 40명씩 총 600명 을 선정하였으며, 최종 자료 분석에 이용된 설문은 총 489부였다.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인 배경변인으로 성, 학년, 가족관계를, 독립변인으로는 자기애 성향으로 하고 매개변인으로는 대인관계 지향성을 종속변인으로는 스마트폰 중독을 설 정하였다. 연구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내성, 강박·집착과 생활불편·부 적응 요인 높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인관계 지향성은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내성, 강박·집착과 생활불편·부적응 요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는 대 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 지향성을 통해 스마 트폰 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내현적 자기 애 및 대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었다.

      •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연구에 관한 비판적 검토

        맹성준,김은경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9 중독과 복지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researches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that have been conducted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suggests what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For that purpose, we have recruited a total of twelve related researches for literature review. From the systematic perspective based on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we analyzed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person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Personal factors include academic str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family factors include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Social factors incl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systems theory, most of recent studies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have only analyzed environmental factors analysis at micro-system level. Given that the micro-system includes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parents, siblings, friends, neighbors and teachers, recent studies covered only a part of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 regarding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searches on influence factor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micro-system, intermediate system, external system and macro-system, and those on the impact of peer groups and qualitativ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관한 최근3년 이내의 연구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앞으로 필요한 연구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총12편의 연구물을 수집하여 ‘일반적 문헌분석(Literature Review)방법을 이용하였다.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이론(ecological systems theory)’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 관점에서 아동·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들의 게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이를 크게 개인내적인 요인(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 및 불안 등), 가족요인(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의 질 등), 그리고 가족 외 사회적 요인(대인관계, 친구관계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둘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면 최근의 연구들은 아동·청소년들의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대부분은 미시체계수준의 환경요인분석에만 머물고 있다. 미시체계도 부모님, 형제, 친구, 이웃, 선생님 등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일부 환경만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관련하여 미시체계를 포함한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등 생태학적 관점에서 다양한 영향요인 연구, 또래집단의 영향 연구,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국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김예지,이수현,정혜진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ntegrated research data on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nd to comprehensively take a look ab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ers collected 31 existing research literature on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nd used it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Torraco’s (2005)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The researchers divided the factors into two sides. the positive factors were 14, and negative were 4 factors. Each factor is divided into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n positive factors, Individual factors were divided into self-status, spiritual well-being, self-determination level, job performance level, impact, and social function level. Among the social factors,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integrated art therapy, degree of mental health service use, participation in programs, atmosphere of programs, employment status,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activities. On positive factors, Individual factors were classified as self-styled and self-deprecated, and social factors were discrimination, prejudice and social stigma.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s proposed the need for social support systems, social function improvement, need for leisure activities, method of program operation, empowerment of workforce and self-determination, expansion of job opportunities, and the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community mental health systems.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통합적인 연구 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있으며, 기존에 개별적으로 연구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들을 통합적으로 살피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연구자들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31편의 기존 연구문헌을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orraco (2005)의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긍정요인 14개, 부정요인 4개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각 요인은 개인요인과 사회요인으로 나뉘었으며, 긍정요인에서 개인요인들은 자아상태, 영적안녕정도, 자기결정 수준, 직무수행능력 수준, 임파워먼트, 사회적 기능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긍정요인에서 사회요인들로는 여가활동서비스 이용, 사회적지지 정도, 통합예술치료, 정신건강서비스센터 이용 정도, 프로그램 참여, 프로그램의 분위기, 취업 여부, 직업재활 활동으로 구분되었다. 부정요인에서 개인요인들은 자아상태, 자기낙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사회요인들로는 차별, 편견, 사회적 낙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체계의 필요성, 사회적 기능 향상, 여가활동 필요성, 프로그램 운영 방법, 임파워먼트와 자기결정 능력 강화, 직업재활 및 취업 기회 확대, 지역사회 정신보건체계 구축과 인식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도박중독자의 자살사고에 관한 사례연구

        송혜림,이경진,한수정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도박중독자들이 어떤 이유로 자살을 생각하게 되는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도박중독자들의 공개된 온라인 수기를 통해 사례를 수집하였고, 엄격한 기준 하에 6명의 사례자를 선정하였다. 자료는 Cresswell(2013)이 제안한 질적 사례연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사례 내 분석’을 통해, 개인의 도박중독 경험에서 자살사고에 대한 맥락을 이해했다. 그리고 ‘사례 간 분석’을 통해 15개의 공통적으로 묶어지는 통합 주제를 추출했다. 분석결과 도박중독자들은 빚, 재산 탕진과 같은 재정적인 요인과 가족불화 및 직장 내 문제인 관계문제적 요인을 가짐을 확인했다. 이 두 가지 요인은 두려움, 죄책감 등의 심리적 요인을 촉발시켰고, 이렇듯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여 도박중독자들의 자살사고까지 이르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 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통합적 사례관리의 필요성, 법률상담서비스의 필요성 강조와 두려움과 같은 심리요인을 극복하도록 다양한 심리치료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했다. A Case Study on the Suicidal Thinking of Gambling Addicts

      • RISS 인기논문

        도박중독 경험 연구 : 도박과 중독의 의미 탐구

        강준혁,이동준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도박중독의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쾌감과 금단 현상이 어떻게 도박 자의 내면에서 일어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도박중독 경험 이 있는 총 3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했으며, 1:1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 된 자료는 Giorgi(1970; 1985)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했으며, 분석 과정에 서 10개의 하위주제와 4개의 주제를 추출할 수 있었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연구참여자들의 도박중독 경험은 ‘우월감 생성’, ‘환상적인 놀이’, ‘충동질하는 환경’, ‘벗어날 수 없는 늪’과 관련이 있었다. 참여자들의 체험에 관한 주제들을 일 관적 진술로 통합한 결과 참여자들의 도박중독 경험을 ‘충동질하는 환경의 영향으로 우월감을 주는 환상적인 놀이를 즐기다 벗어날 수 없는 늪에 빠짐’으로 통합할 수 있 었다. 연구자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환경 고려, 내면 탐색 지원, 다양한 사회적 기회 제공 과 같은 실천 및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how pleasure and withdrawal symptoms occur within the gambler's inner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of gambling addiction.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total of three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gambling addiction were selec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1:1 in-depth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phenomenological method proposed by Giorgi (1970 ; 1985), and 10 subtopics and 4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ambling addiction experience among study participants was linked to ' creating a sense of superiority ', ' a fantastic play ', ' an impulsive environment ' and ' unescapable swamp. ' With regards to consistent statements from the participants, gambling addiction was defined as 'falling into unescapable swamp when enjoying a fantasy play which provides addicts with a sense of superiority an impulsive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action and policy options such as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ternal search support, and the provision of various social opportunities.

      • 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몽골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어드겅체첵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9 중독과 복지 Vol.3 No.1

        본 연구는 한국인 남편을 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은 크게 다섯 가지이다. 첫째, 부부갈등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부부갈등 개인적 영역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부부갈등 부부관계 영역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넷째, 부부갈등 공동생활 영역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부부갈등 제삼자 영역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남편을 둔 몽골이주여성 106명이며, 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자료 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사회적응이 낮으며, 이 두 변수간의 부적 상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부부갈등 개인적 영역이 높을수록 사회적응이 낮으며, 이 두 변수간의 부적 상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부부갈등 부부관계 영역이 높을수록 사회적응이 낮으며, 이 두 변수간의 부적 상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넷째, 부부갈등 공동생활 영역이 높을수록 사회적응이 낮으며, 이 두 변수간의 부적 상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다섯째, 부부갈등 제삼자 영역이 높을수록 사회적응이 낮으며, 이 두 변수간의 부적 상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of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Korean husbands in Korean society. The focus of this study is fivefold. First,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social adjustment were analyzed. Second, the effects of the marital conflict personal domain on social adjustment were analyzed. Third,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relationship on social adjustment were analyzed. Fourth, the impact of the marital conflict on the social adjustment was analyzed. Fifth,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third parties on social adjustment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 women from Mongolia who have Korean husbands residing in Seoul and provinc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The results of various data analysis includ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marital conflict, the lower the social adjustment,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higher the individual domain, the lower the social adaptation,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higher the marital conflict marital relationship, the lower the social adjustment,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higher the social life of marital conflict, the lower the social adaptation. The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higher the marital conflict third party area, the lower the social adaptation,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 여중생의 폭식행동에 대한 자기개입 인지행동 치료 사례 연구

        김동하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섭식장애문제가 심각한 오늘날 한국사회의 현실을 고려하여 미국 에서 최근 그 실효성을 인정받은 폭식행동에 대한 자기개입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한국적 상황에 적용함으로써 앞으로 한국에서 폭식증상을 보이는 청소년이 가정에서 본 인이나 부모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자기개입 인지행동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중생의 폭식행위를 줄이 고 체중을 감량시키기 위한 자기개입 인지행동접근의 효과성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는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총 10회의 기초선 단계와 20회의 개입단계 동안에 연구참여자가 스스로 기록하는 식사일지를 통해 주관적으로 폭식을 경험했다고 보고한 것의 횟수를 측정하여 SINGWIN 단일체계설계 통계 프로그램으로 개입의 효과성 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은 시각적 분석, 통계적 분석,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 며, 그 결과 본 연구의 참여자에게 적용한 자기개입 인지행동프로그램은 폭식행동을 감 소시키고 비만도와 우울감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 반으로 향후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자기개입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제언을 하 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guided self-hel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Korean adolescents with binge ea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a single system design method that can monitor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uided self-hel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o reduce binge eating and lose weight of a middle school girl. Specifically, a total of 10 baseline levels and 20 intervention levels were conducted. The number of binge eating was measured by self - report eating diary of participants. The analysis of the single system design utilized the SINGWIN program. As a result, guided self-hel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binge eating behavior, weight and the level of depression in a middle school gir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guided self-hel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uitable for Korean situation in the future.

      •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이상현,장병호,변재민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9 중독과 복지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함에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Torraco의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하여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96편의 기존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총 99편의 논문 및 기타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독립요인 14개 매개요인 3개로 구분 할 수 있었다. 각 요인은 긍정독립요인과 부정독립요인, 긍정 매개요인과 부정 매개요인으로 나뉘었으며 긍정독립요인을 건강, 가족지지, 문화예술활동, 사회적지지, 사회참여, 자아존중감, 종교적 욕구, 여가생활, 노인 복지제도 로 구분하였으며 부정독립요인을 경제수준, 가족갈등, 우울감, 노화, 만성질환으로 구분하였다. 긍정 매개요인으로 라이프스타일과 문화예술활동, 사회참여와 낮은 우울감 으로 구분하였고 마지막으로 부정 매개요인을 노화와 신체건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복합적 요인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어떠한 실천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긍정 요인 중 여가생활은 참여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나누어졌으며 노인에게 여가생활은 삶의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다. 또한 부정 요인 중 경제수준은 자산이 줄어들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매개요인중 보편적 노화와 신체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보편적 노화로 인하여 신체건강 수준이 낮아지고 즉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가족의 지지, 여가생활지원, 종교 욕구 충족, 경제적 지원, 노화 및 만성질환관리 등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orraco's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are classified as 14 independent factors and 3 mediating factors by studying 99 thesis papers and other data. Each factor was divided into positive independent factor and negative independent factor, positive intermediary cause and negative intermediary cause. positive independent factors were divided into health, family suppor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ocial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self-respect, religious needs, leisure life, and welfare system for the elderly. negative independent factors were divided into economic level, family conflict, depression, aging, and chronic diseases. positive intermediary cause were divided into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ocial participation and low depression and negative intermediary causes were classified as aging and physical health. Based on these studies, the complex factors were analyzed and what practical intervention should be made to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study found that among the positive factors, leisure life was significantly satisfied with life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also believe that leisure time affects the lives of the elderly. and Among the negative factors, the economic level appears to decrease as assets decrease. finally The impact of universal aging and physic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intermediate factors could be confirmed by the universal aging, which reduces the level of physical health and satisfaction with life. Based on these studies, we suggested that we need to look at the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an integrated way.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he proposed the need for support of family members, support for leisure activities, fulfill religious needs, economic support, aging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