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지역 혁신교육지구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질적 탐색

        김필성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3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산 혁신교육지구사업 운영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관련 민·관·학 전문가들을 구성하고 이들의 소통과 숙의를 촉진하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산 지역 혁신교육지구사업의 현황 이해가 어려웠고, 일부 주체들만이 참여하였으며, 사람에게 의존하는 운영방식에 따른 불안정성이 나타났고 예산의 경직성으로 취지에 맞는 사업 운영의 어려움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부산 지역 혁신교육지구사업에 대한 전문적 연구와 지구별 현황 분석에 기초한 맞춤형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그리고 여러 주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지원 및 주민자치를 강화하는 민간 주도의 사업 운영 방안이 요구되었다.

      • KCI등재후보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강미라(Mi-Ra Kang),원효헌(Hyo-Heon Won)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4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마을교육공동체의 속성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마을교육공동체의 활성화 및 형성, 운영에 초점을 맞춘 12개의 연구물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을교육공동체의 속성으로는 주체성, 공동체성, 리더십공유, 실천성, 지역성, 전문성, 공공성, 지속성, 지원적 환경이 도출되었다. 마을교육공동체의 핵심 속성은 지속성으로 이는 아이-부모-교사, 마을, 공동체의 미래지향적 성장으로 드러났다. 또한 공동체성과 주체성, 실천성이 모든 연구물에 언급되며 주요 속성으로 나타났으며, 마을교육공동체의 속성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 지원적환경에 대한 언급은 비교적 적었으나 현재의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속성 및 지속성장을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Purpos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and derive their characteristics. Method:: To this end,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ies focusing on the activation, formation, and operation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ttribute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ere identified as identity, community, shared leadership, practicality, locality, expertise, publicness, sustainability, and a supportive environment. The core attribut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sustainability, which is revealed to be the future-oriented growth of children, parents, teachers, villages, and commun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and measures for sustainable growth.

      • KCI등재후보

        교수와 학생의 문화지능 개발을 통한 대학 네트워킹과 협력 - 남부연방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카르포프스카야 나탈리아(Natalia V Karpovskaya),코르만 예카테리나(Ekaterina A Korman),이지은(Ji Eun Lee)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19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1 No.2

        연구목적: 이 논문에서 학생 및 교수와 관련하여 러시아 남부연방대학에 적용된 문화지능(CQ)개발 방법에대해 다루고 있다. 연구방법: 제시한 CQ 개발 방법에는 여러 혁신적 교육기술(예를 들면, Galaxia Espiral), 디지털 교육〮학술 자료가 포함된다. 교수와 학생의 CQ를 개발하는 데 가장 성공적인 방법으로 인터렉티브학술 강연, 국제 학생 온라인 포럼, 번역 워크숍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논의 및 결론: CQ 개발은 공동의관심사, 공유된 가치, 강력한 상호보완성을 기반으로 한 대학 네트워크 확장, 새로운 국제협력 가능성에 기여한다. Purpose: The article is dedicated to the description of some methods of cultural intelligence (CQ) development applied in Southern Federal University in Russia both regarding students and teachers. Method: The proposed methods of CQ include a number of innovative educational technologies (p.ej. Galaxia Espiral), digital educational and scientific resources. Among the most successful ways to develop teachers and students CQ we consider the organization of interactive academic lectures, international student on-line forums, translation workshops, etc. Results & Conclusion: CQ development contributes to University networking development and new international cooperation perspectives based on common interests, shared values and strong complementarities.

      • KCI등재후보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민정욱(Jung-Wook Min),정현주(Hyun-Ju Jeung)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4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습 경험 설계(LXD)가 공학교육에 적합한 대안적 수업 설계 방식이라 가정하고 그 수업 사례를 선정하여 설계 과정 및 운영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대학 교육 특히 공학 전공 수업에서 학습 경험 설계 사례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단일 사례 연구를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공학 교육의 특성을 드러내는 전자기학 과목을 사례로 Thurber의 LXD 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례 수업의 교수자는 문헌에 나타난 양질의 학습 경험 디자인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 LXD를 위한 학습개입을 개발하였고, 그것이 과목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에 긍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공학 전공 수업은 물론 일반 수업에서 LXD 수업 설계의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ssumed that learning experience design could be a relevant alternative for engineering education, and so it aimed that a selected case of one was explored in its design process and implication effects. Method: A single case study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 since the case of learning experience design in higher education, in particular in an engineering class has been a few. The electromagnetics clas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education, was selected and analysed based on the Thurber’s learning experience design mode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lecturer for the adopted case developed learning interruption inclined to the qualifie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experience design in the literature and thi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learners’ motivation on the subject. Conclusion: A number of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system and support to expand LXD in general classes as well as engineering classes were given.

      • KCI등재후보

        중국의 교육공동체 연구 동향 분석

        XU XI,박창언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2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4 No.2

        연구목적: 본문은 중국의 교육공동체 연구에 포함된 키워드를 도출하여 언어 빈도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하여 중국의 교육공동체 연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한국 교육공동체 미래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중국의 교육공동체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국지망에서 2006년부터 2022년까지의 관련 주제 학술지 논문 652편을 선정하여 키워드 빈도분석을 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으로 중심성과 하위영역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출현 빈도수 9회 이상을 보이는 키워드가 40개 나오고, 그중에 '교육공동체', '균형 발전', '교사', '지역사회', '협력', '대학교', '패러다임', '하교', '학생' 등 키워드의 빈도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전체 키워드 네트워크의 밀도는 0.371이고, ‘공동체’, ‘교육공동체’, '균형발전’, ‘패러다임’ '협력' 등 키워드는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CONCOR 분석의 결과는 총 8개의 하위영역이 나왔다. 논의 및 결론: 교육공동체의 주체이며 연구대상인 '교사'와 '학교'가 높은 빈도가 나타났고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여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에는 '일대일로' 교육공동체, '도농교육공동체' 등 중국의 상황과 맥락에 맞는 교육공동체 개념이 형성되었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P 대학의 ‘소셜 앙트러프러너십역량개발’ 과목을 중심으로

        박수홍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2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수업을 통하여 지역 처연층의 소셜 앙트러프러너십 증진 정도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먼저,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학습활동 프로세스의 초안을 마련하고 이후 개발된 수업 모델을 현장에 적용하여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업의 강점과 개선점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활동 프로세스는 공감적 문제발견, 창의적 문제해결, 최종 해결안 선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업은 지역 청년층에게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비전과 목적의 제공, 학습의 편의성, 자기주도적 학습력 강화 등의 장점을 제공하였다. 반면, 수업 전반에 대한 초기 이해의 어려움, 시간의 한계 등과 관련한 제한점을 안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지역 청년층이 소셜 앙트러프러너십을 갖추기 위하여 사회적 문제를 기반으로 한 수업을 개발, 적용하려면 전체적인 수업 절차는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을 차용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이주영(Ju-Young Lee),박수홍(Su-Hong Park),이정미(Jeong-Mi Lee)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4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커리어앵커를 기반으로 한 창직교육을 통해 대학생의 진로 개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모형을 설계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및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모형의 핵심가치 및 핵심활동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핵심가치는 첫째, ‘미래 직업세계의 변화 예측’, 둘째, ‘커리어앵커를 통한 ‘나’ 이해’, 셋째, ‘새로운 직업 창직’, 넷째, ‘미래직업이 요구하는 역량 개발’, 다섯째, ‘대학생의 진로개발능력 강화’이며,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1차 모형에서 FGI를 통해 핵심가치와 핵심활동 프로세스를 수정하고, 수정된 모형에 대해 구성원 검토와 CVI를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모형을 통해 대학생들은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맞는 자신만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하며 창직 과정의 경험을 통해 진로 선택의 대안으로서 창직을 통한 창업이나 취업 등 2차· 3차 고용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program model that can improv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bilities through job creation education based on career anchor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and based on this, the core values ​​and core processes of the model were derived. Results: The derived core values ​​are, first, 'predicting changes in the future world of work', second, 'understanding 'me' through career anchors', third, 'creation of new jobs', and fourth, 'developing capabilities required by future jobs', fifth, ‘Strengtheni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apabilities’. In the first model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ome core values ​​and core activity processes were modified through FGI, and the validity of the revised model was confirmed through member review and CVI. Conclusion: Through this model, we expect college students to create their own jobs that suit them based on their self-understanding.

      • KCI등재후보

        상담전공 석사과정 경험에 대한 단일사례연구: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적용

        방기연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2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4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생의 상담전공 석사과정 경험을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과학자-실무자 모델을 교육철학으로 명시한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연구참여자 한 명을 면접하였다. 면접 자료는 이론지향적 단일사례연구방법(Duk & Hak, 2008)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의 경험에서 다음의 다섯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대학원에 입학하였다. 대학원에서 수강한 과목들은 과학자-실무자 역량 획득에 균형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구참여자는 연구 활동을 통해 연구 보고서 작성 능력과 동료들의 협동 작업 역량을 획득하였다. 상담 실습을 통해 연구참여자는 전문 실무자가 되고자 하는 포부를 가지게 되었고, 실무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졸업 후 연구참여자는 Wee 클래스에 상담 실무자로 취업하였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적용 가능성, 과학자-실무자 정체성, 상담전공 석사과정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현하,김현지,박재국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3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5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그릿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3차년도 원자료를 사용했으며, 중학교 1학년이 응답한 2384부로 매개효과 회귀분석 방법과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존중감과 그릿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졌지만,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지녔으며, 그릿과 학업무기력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지녔다. 둘째, 그릿은 학업무기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였으며,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은 자아존중감을 부정적으로 설명하고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나아가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학업무기력, 그릿을 모두 고려하고 실천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의 창업 교육 방향성에 대한 제언: ‘부산일보’에 나타난 창업 교육 관련 보도를 근거로

        정봉상,박수홍,김유리,강주현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3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5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역의 창업 교육 현실이 어떠한지 알아보며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22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부산일보’의 창업 교육 관련 기사 286건에 나타난 지역 사회의 창업 교육 특징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지역 언론 보도를 통해 나타난 지역의 창업 교육 특징은 창업 교육의 효과성과 참여자 인터뷰의 부재, 창업 교육의 주된 특성, 성공 사례 위주와 교수자 중심 교육(학습자 중심 교육의 부재), ‘외화내빈’ 형태의 창업 교육, ‘취·창업’키워드의 관용적 사용, 창업의 성공은 안정적인 프랜차이즈 공식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업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우선 장기적 목표를 갖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교육, 창업자들이 필요한 지속적 지원 제공,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지원 체계 구축 등이 연결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앙트러프러너십 프로세스에 근거한 교육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