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조시대 둔황석굴벽화에 묘사된 동서 융합적 종교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조현진(Cho, Hyun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4

        본 연구는 둔황석굴벽화에 표현된 종교복식을 통해 혼란기였지만 문화교류가 활발했던 북조시대를 중심으로 당시 복식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계기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북조시대 둔황석굴벽화에 표현된 종교복식을 매개체로 동서복식문화의 교류와 그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21세기 글로벌 복식문화교류현상을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대 유적인문탐사에서 본 연구자가 직접 촬영한 유물 사진과 관련 도판자료를 활용하여 4∼6세기 둔황석굴 벽화에 묘사된 종교복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의 특성을 고찰한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둔황의 종교복식에는 그리스의 드레이퍼리형 복식과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와 일월숭배 및 왕의 복식, 북방유목민족인 선비족의 두건과 헤어스타일, 인도의 전통 복식과 신들, 중국 토착 신앙과 결합하여 여러 가지 복합적인 영향을 주고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둔황석굴벽화에 묘사된 종교복식문화는 종교복식이라는 보편성을 가지고 여러 문명권의 복식요소가 교류하는 전파성과 함께 다양한 복식요소가 융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형태의 복식문화가 산출된 둔황 종교복식만의 개별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대 종교복식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 culture of the Northern dynasty, which was a period of chaos through the religious costumes expressed in Tunhuang cave paintings, but in which cultural exchanges were ac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global costume culture exchange in the 21st century by examining the ex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East-West costume culture using the religious costumes expressed in Tunhuang cave paintings of the Northern dynasty.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 culture, focusing on the religious costumes depicted in Tunhuang cave paintings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using the photos of the relics taken by the researcher in the humanities expedition of ancient ruins and the contents of the study. As follows. Tunhuang’s religious costumes include Greek drapery clothing, Persia’s Zoroastrianism, sun and moon worship, and royal clothing, the northern nomadic Xianbei’s hood and hairstyle, Indian traditional clothing and gods, and Chinese indigenous beliefs combined with various complexities. Accordingly, the religious costume culture depicted in Tunhuang cave paintings has the universality of religious costumes, and the Individuality of the Tunhuang religious costume, which has a new type of costume culture, was produced in the process of fusion of various costume elements along with the propagation of the exchange of costume elements from different civiliz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ancient religious costumes.

      • KCI등재

        『미암일기』와 출토복식에 나타난 조선시대 16세기 복식문화 연구

        이명숙 ( Rhee Myung Soog ),박순임 ( Park Soon 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조선시대 16세기 복식의 종류와 특징, 색상 및 복식문화 등을 살펴보고 문헌과 실물을 근거로 사료에 대한 확실성을 추구하여 향후 전통 복식문화의 기틀을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사대부가 복식의 공통점을 가진 『미암일기』와 출토복식에 나타난 사료와 실증자료를 통해 당 시대의 복식과 직물의 종류, 복식생활상을 살펴보았다. 연구내용은 조선시대 선비이며 고급 관리였던 유희춘(1513~1577)의 개인 일기인 『미암일기(眉巖日記) 』와 16세기 출토복식의 실증 보고서에 따른 자료 중 64건(여성묘주 35명, 남성묘주 29명), 조선왕조실록 중 『미암일기』의 배경인 선조실록의 문헌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미암일기』에는 복식에 대한 기록이 230회로 복식의 종류는 면복, 조복, 단령, 직령, 철릭, 답호 등 21종류가 분석되었다. 출토복식은 무덤에서 출토된 실증적 유물로 남녀 묘주 64명의 복식을 분석한 결과 총 1,145점, 19종류로 조사되었다. 선조실록에 나타나는 복식과 관련된 기록은 조복, 흑단령, 융복, 곤복에 면류관, 홍천익, 흑화자 등이었다. 사료에서 보이는 가죽옷은 16세기 출토복식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반면, 출토복식에서 보이는 액주름, 도포, 창의, 중치막 등이 미암일기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았다. 16세기 복식문화의 특징은 지인 간 침비의 파견을 통한 디자인과 바느질 방법의 공유, 대여, 증여, 선물, 자체제작, 물품 구입, 왕실의 하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혼인을 위한 복식 마련에는 직물구입, 염색, 복식제작 등에 2년이 넘는 준비 기간이 소요되었고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고급 직물을 사용했다. 출토복식은 단령, 철릭, 답호, 액주름, 장옷 등의 복식의 종류와 직물에 나타난 연화문, 연보상화문, 사양화 등의 문양을 통해 16세기의 복식, 직물, 문양의 유행과 복식문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 전통복식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16세기 조선 시대의 복식문화를 계승하여 전통미를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othing, colors, and costume culture of the 16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propose possible ways to develop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e method of research i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types of clothing and fabric, and costume culture through historical records and empirical data from the “Miam Diary,” a personal diary of Yu Hi Chun (1513-1577) who was a scholar and high-ranking official, and the data from 64 empirical reports of excavated relics from the 16th century along with the Annals of King Seonjo. In the “Miam Diary,” a total of 230 clothing-related records were identified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21 types. In the case of excavated costume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64 men and women's tombs, a total of 1,145 items were identified in 19 types. While the leather clothes were foun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Miam Diary" but not in the excavated costume, ‘Akjurem,’ ‘Dopo,’ ‘Chang-ui,’ and ‘Jungchimak’ were only found in the excavated costumes but not in the “Miam Diary.” Some of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16th century’s costume culture are the sharing of ‘Chimbi’s among acquaintances who can do designing and sawing, the lending and giving of the items, the customs of gift and self-production, the purchases of goods, and the grants from the royal family. In particular, it took more than two years to prepare wedding costumes. The excavated costume showed the 16th century's trend of costume, fabric, and pattern. This research has an original contribution to re-recognizing the value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of the 16th century for further development of traditional beauty.

      • KCI등재

        ‘강릉문화재야행’의 강릉대도호부사 부임행차 복식에 관한 연구

        강영숙,김용문 한복문화학회 2023 韓服文化 Vol.26 No.2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Trip' is a local festival event that started in 2017, and the festival begins with the Gangneung Daedohobusa's parade costume. The previous studies on festival costumes examine the historical research of traditional costumes reproduced in festivals, the points of improvement in reproduction, and the function and role of festival costumes. However, there needs to be more research on the costumes of local leaders who show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manufacture the costumes of the prefecture and seven significant figures in 1403, when Shin Yu-Jeong (1353-1426), the head of the Gangneung Daedohobusa (江陵大都護府使), was appointed, to provide public awareness of the early Joseon period. It is to inform traditional clothing properly, contribute to the spread and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Hanbok, and develop it into costume cultural content in Gangneung. As for the research method to produce the clothes of Daedohobusa, the materials, and colors of the clothes and color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of adverbs, civil servants, military officers, scholars, and noblemen after completing the schematic drawing by referring to the excavated costume data and previous studies around the 15th century. This study developed and produced costumes for eight people, including one governor, two civil servants, two military officers, one scholar, and two noblemen. Daedohobusa's dress for the visit of a provincial governo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mong male costumes excavated around the 15th century, during Shin Yu-jeong's later years, was Danryeongpo (團領袍), Jikryeonpog (直領袍), Dapho (褡護), Bangryeongui (方領衣), It is produced by referring to Cheopri(帖裏) and Yoseonchulick (腰線天翼). In Gangneung, there is a Hanbok culture of bringing a robe to the wedding ceremony, and the tradition and custom of the residents of the whole village jointly holding a ceremony for older people on New Year's Day have been handed down. It is expected that the costume of Daedohobusa, which announces the beginning of the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Trip, will convey the costume cultur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public in the 21st century. In addition, it will establish itself as a festival costume in the Gangneung region as a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representing Korea's identity and values. ‘강릉문화재야행’은 2017년에 시작된 지역 축제행사이며, 강릉대도호부사 행차복식을 시작으로 축제가 시작된다. 축제 복식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축제 속에서 재현되는 전통복식의 고증과 재현 개선점, 축제 복식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있으나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방 수령의 행차 복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판강릉대도호부사(判江陵大都護府事) 신유정(1353∼1426)이 부임한 1403년 당시의 복식으로 부사와 주요 인사 7인의 복식을 개발 및 제작하여 대중들에게 조선전기의 전통복식을 바르게 알리고 전통한복의 확산 및 대중화에 기여하고 강릉의 복식 문화 콘텐츠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대도호부사 행자 복식을 제작하기 위하여 15세기 전후의 출토복식 자료와 선행연구는 참고하여 도식화를 완성한 후 부사, 문관, 무관, 대학자와 사대부 복식의 특징을 고려하여 옷감과 색상을 선정하였다. 연구내용은 대도호부사 행차 복식을 부사 1인, 문관 2인, 무관 2인 대학자 1인과 사대부 2인으로 총 8인의 복식을 개발 및 제작한다. 대도호부사 행차 복식은 조선전기 지방 수령의 행차 복식으로 신유정의 몰년인 15세기 전후의 남자 출토복식 중 단령(團領), 직령(直領), 답호(褡護), 방령(方領), 첩리(帖裏), 요선첩리(腰線帖裏) 등을 참고하여 제작한다. 강릉은 혼수에 도포를 지참하는 한복문화가 있으며, 설날에 어르신들에게 온 동네 사람들이 합동으로 세배를 하는 전통과 관습이 전해져 오고 있다. ‘강릉문화재야행’의 시작을 알리는 대도호부사 행차 복식이 조선전기의 복식문화를 21세기 대중에게 전하고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가치를 대표해 온 전통문화콘텐츠로 강릉지역 축제 복식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소하연(小河沿)문화유적 출토 인형방식(人形蚌飾)에 보이는 고조선 복식

        박선희 ( Sun Hee Par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0 No.-

        이 논문은 고조선문화와 직접 관련 있는 홍산문화(서기전 4500~서기전 3000년)를 이은 小河沿문화유적(서기전 3000년~서기전 2000년)에서 출토된 ‘인형방식’에 나타난 의복양식을 주목한다. 이 인형식은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으나 고조선시기 복식양식을 추정할 수 있는 결정적 유물자료로서 머리양식과 의복양식 이외에 장식기법 및 허리띠 양식 등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인형방식’의 복식에 주목하는 까닭은 소하연문화가 홍산문화 보다 늦은 동석병용시대에 속하는 문화로 뒤이어 초기 청동기시대에 속하며 고조선문화로 분류되는 하가점하층문화(서기전 2000~서기전1500년)에 곧바로 계승되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홍산문화의 유적과 유물들이 그 시기와 양식을 고려할 때 고조선문화의 전단계로 해석되며 복식유물에서 더욱 그러한 양상이 두드러지는 까닭이다. 홍산문화 사람들은 상투 머리를 하였는데 그 위를 옥으로 장식하거나 또는 옥으로 만든 머리덮개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머리양식은 신분을 상징하며 의식을 거행할 때 사용했던 머리 갖춤새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머리 갖춤새는 소하연문화 등의 발전시기를 거치며 고조선으로 이어져 한민족의 고유한 머리양식으로 자리잡으며 여기에 장식이 더해져 점차 화려해져 갔다. ‘인형방식’은 넓은 소매의 웃옷을 입고 있다. ‘인형방식’의 웃옷에는 둥근달개장식이 보이는데 이는 홍산문화로부터 비롯되어 일관되게 고조선 영역에 전반적으로 확산되었던 고유한 장식기법이다. 이러한 특징을 복식문화의 한 시대적인 조형적 양상으로 볼 수도 있지만 고조선 이후 열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이후 고구려의 불꽃문양을 표현한 금동관등에도 표현되는 것으로 보면 태양신을 섬기는 천신신앙의 문화적인 전통이 계승되어진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인형방식’의 허리부분에는 허리띠장식이 보인다. 이러한 허리띠장식은 이미 홍산문화유적 등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후 고조선과 부여, 고구려 등의 초기유적에서 보여지며 삼국으로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복식사와 고고학 연구자들은 한국 고대복식에 나타나는 허리띠장식은 본래 기마 유목민들의 풍속이었던 것이 중국으로 들어온 것이며, 우리나라에서 그러한 양식을 배운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소하연문화의 허리띠양식은 이러한 주장이 모순임을 잘 밝혀주고 있다. 이처럼 ‘인형방식’에 나타나는 머리양식ㆍ복식양식ㆍ착용기법ㆍ장식양식과 기법ㆍ문양 등은 한국 고대복식의 원형이 중국이나 북방호복계통에서 비롯되었다는 종래의 통설화 된 견해들이 모순임을 새롭게 밝혀주고 있다. The initial research on the history of dress was generally concentrated on adjustment and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leeves of the top garment and outer garment, where the Chinese style showed wide and long sleeves with right adjust, and the northern style showed narrow and short sleeves on the left adjust. Among the elements of the northern style, the left adjust and short sleeves was brought to Korea, and as a result the ancient dress of Korea was of the Chinese style, with its origins in the Scythians, and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the conventional view. Also, the pants of ancient Korea has been believed to be Goseup (Northern Chinese garment, 袴褶), and the skirt has been researched as ‘the dress that originated from that of China.’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dress style of the clam dolls excavated from Sohayeon historic ruins (B.C. 3,000∼B.C. 2,000) which followed Hongsan Culture (B.C. 4,500∼B.C. 3,000),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Gojoseon Culture. The doll made of clam shell has been partially damaged but is considered to be the critical relic material that will help the research figure out the dress style during Gojoseon period, and the relic still displays hair and dress styles, and also accessories and belt styles. The reason why the dress style of the doll is being concentrated on is because Sohayeon culture belongs to the Stone-Bronze Age which comes after Hongsan Culture, ultimately belonging to the early Bronze Age and directly leads to the Xiajiadian, lower stratum, which is categorized as Gojoseon culture. Also, the relics and the historic sites of Hongsan Culture, considering the time and the style, belongs to the previous stage of Gojoseon culture, and is especially noticeable in the dress relics. Hongsan Culture, which was formed before Gojoseon and belongs to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Stone Age and Bronze Age, succeeded the oldest Neolith Culture of Southeast Asia, Sohaseo Culture (B.C. 7,000∼ B.C. 6,500), and the jade relics and altar ruins that show global creativity received great attention. The dress-related relics including spinning and weaving tools, sewing tools, hairpin, jade cap, accessories, and sculptures were excavated. The various dress relics show great similarities with the dress relics excavat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with style association and also the association in succession. Moreover, the stone-pile ruins, which are interpreted to be altar ruins of Gojoseon era with the similar form as the altar ruins from Hongsan Culture, were discover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which indicates that the region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Manchuria all belonged to the ritual culture. Also, studies suggest that the people of Sohayeon culture and Xiajiadian, lower stratum, may all be of the same race in terms of constitution and anthropology. These contents reveal that people of Sohayeon Culture, the descendents of Hongsan Culture, are the dependents of the same race as people of Gojoseon of Xiajiadian, lower stratum. This discussion focuses on the doll excavated in Sohayeon Historic Site, and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dress relics of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to those of neighboring nations, to positively interpret and multilaterally figure out the origin of the dress of Gojoseon. The people of Hongsan Culture had topknot hair, and had jade decoration on the top or used a jade cap. Such hair style symbolized social status, and it is believed to be the style during rituals. Afterwards, the hair style and the tradition of wearing hats in Hongsan Culture went through a development period during Sohayeon Culture and settled as the unique dress style of the Korean race, and developed into a fancier style with additional decorations. The ‘clam doll’ is partially wearing an outer garment with wide sleeves. Even though the records come from later period, but the records state that the Korean race wore outer garments with narrower sleeves, which indicates that during the Sohayeon period, people wore shorter outer garments and tucked the outer garment in the pants or skirts. Belt decoration can be found in the waist level of the ‘clam doll.’ Such belt decoration already appeared in other ruins such as Hongsan Culture ruins, and leads to ruins from Gojoseon, Buyeo, and Goguryeo period, and eventually can be found in the Three Kingdoms. However, researchers in dress history and archeology view the belt decorations as the derivation from the Chinese style. Also, archeologists had spoken out that belt decorations originally spread into China from the traditions of horseback nomads, and the Korean race had adopted the style. The belt decoration of Sohayeon Culture proves this to be false. The thin iron decorations can be seen on the top garment of the doll. Such decoration originated from Hongsan Culture and was displayed consistently and eventually spread to Gojoseon region to form the generational appearance of dress culture. However, since the iron decoration was continuously used throughout many different time periods, and appear even in the golden crown and golden lanterns that expressed fiery shapes,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of the belief in the heavenly gods that served the sun god. The dress styles and decoration methods that appear in the ‘clam doll’ of Sohayeon culture clearly rebukes the general belief that the dress style of Gojoseon first originated in China or northern regions. As such, the researches on dress that relates to periods previous to Gojoseon is carried out based on specific relic materials, which gives credibility of evidence and logical method, leading to the belief that the original form of Gojoseon dress will be soon discovered without difficulties.

      • KCI등재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정미경(Mee-Kyung Ch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을 탐색함으로써 의생활 교육의 인문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후기구석기 이전의 문화와 복식,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기의 복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는 문헌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후기구석기 이전의 문화는 석기의 발달을 기준으로 올도완, 아슐리안, 무스테리안 문화로 발전하였다. 복식의 경우, 의복은 호모에렉투스의 허리덮개, 네안데르탈인의 망토, 엉성하게 상하의를 갖춘 정도였으며, 네안데르탈인이 인체와 모피의 안쪽에 채색장식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신구는 호모사피엔스가 타조알 구슬, 조개목걸이 등을 사회적 상징으로 착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리나시안 문화는 후기구석기의 첫 번째 시기로, 4만 3,000년~2만 4,000년 전에 주로 서유럽에서 시베리아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이 시기의 문화는 발달된 석기와 골기가 나타하며, 쇼베 동굴벽화, 최초의 비너스와 플룻, 사자인간과 같은 예술품이 등장하는 문화 혁신의 시기였다. 셋째, 오리나시안의 복식은 남녀 모두 가죽을 기본으로 채색, 프린지, 구슬장식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성은 풀오버셔츠와 바지, 여성은 기본형의 원피스 형태로 착용되었다. 장신구는 상아로 만든 펜던트, 구슬, 반지와 동물의 뼈나 조개껍질로 만든 목걸이 등이었다. 장신구는 미적 기능과 함께 집단의 소속, 지위와 부 등을 나타내는 사회적 상징으로서 표현적 기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오리나시안기는 단순한 의복에 장식을 더한 복식개념으로의 전환기로서, 복식이 소속과 지위, 부 등을 표현하는 사회적 상징물로 확고히 자리하는 시기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복식의 표현적 기능의 원류이자 사례로서 의생활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그라베티안, 막달레니앙기의 복식에 관한 연구가 후속되길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clothing education by exploring Aurinasian culture and its clothing practices. The content focuses on culture and clothing in the pre-Upper Paleolithic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Arinasian culture, and Arinasian clothing.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pre-Upper Paleolithic cultures evolved into Oldowan, Acheulean, and Mousterian cultures based on stone tool development. In the case of clothing, Homo erectus used a waist cover, while Neanderthals wore capes and loose top and bottom garments. The evidence suggests that Neanderthals began coloring the human body and interior with fur covering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Homo sapiens wore accessories such as ostrich egg beads and shell necklaces as social symbols. Second, the Aurinacian culture, dating between 43,000 and 24,000 years ago, marked the initial stage of the Upper Paleolithic and spanned mainly from Western Europe to Siberia. This period was marked by cultural innovation, featuring advanced stone and bone tools as well as exquisite artworks like the Chauvet Cave paintings, the first Venus and flute, and the Lion Man. Third, Arinasian clothing is presumed to be based on leather for both men and women, with coloring, fringe, and bead decoration. Men wore pullover shirts and pants, while women wore simple dresses. Jewelry items included pendants, beads, ivory rings, and necklaces made of animal teeth or shells. Accessories were found to have not only aesthetic value but also served as expressive symbols representing group membership, social status, and wealth.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urinacian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ransitioning toward a clothing concept that introduced decorations to simple clothes. Moreover, this era marked the establishment of clothing as a social symbol, reflecting not only belonging but also status and wealth.

      • KCI등재후보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전수교육에 대한 고찰-복식 관련 전통기술을 중심으로-

        이민주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6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items which has been listed as 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field of clothing. The study thoroughly reviewed the titl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ried to suggested how the transmission training should be headed. In the circumstances that there are barely any studie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field of clothing, I hope this study can provide the beginning to discuss the future valu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erson who hold the traditional artistic craft which is lis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n be categorized as 2 group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ing making the gat, there are 17 listed items o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stead, there are 35 listed items in the 18 field of the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ue to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Secondly, the study found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named in 3 ways. The titles were granted on the people who hold the tradition artistic craft as a Chimseonjang or a Nubijang, or on the craft skill itself as Hansan Mosi Jjagi or Gokseong Dolsillai, or on the process that makes the traditional artcraft as Gannil and Guanmo-gongye. With regar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cultural heritage the title could be named follow either the person or the skill itself. However, there are some titles that need sensibility of time. For example, If the the title ‘Lai’ of the Dolsillai would change into ‘Jjagi’, which is universally used as the title of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would be helpful to grow the understanding of heritages. Thirdly, It seems that the local goverments support is not enough for the people who hold and try to succes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regard to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re are honor heritage retainer, retainer and training assistant and they are all on the list managed by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s hard to find people who hold the skills besides official retainers and honor retainers. This study suggest that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r Korean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register skill holders’ name to inspire their self-confidence who protect and develop traditional artcraft skills. At last,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are 15 training centers nationally. The centers usually operate the training course in 2ways –transmission education and hands-on education and most of their courses were focused on hands-on training aimed at general public. Devol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n retainer’s private training seems impossible to conserve and transmit traditional heritages. As such, this study recommend administration establish the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 with systematic training course.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복식 관련 무형문화재 지정종목에 대해 조사하고, 각각의 명칭이 올바른지 살펴본 후 전승관계를 통해 전수교육의 나아갈 바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지금까지 복식 관련 무형문 화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앞으로 무형문화재의 미래가치를 새겨볼 수 있는 논 의의 단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복식 관련 무형문화재의 종목, 명칭, 전승현황 및 전수교육에 대해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식 관련 공예기술을 보유한 무형문화재는 크게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로 구분한다. 먼저 국가무형문화재는 갓일을 비롯해 17종목에 17건이 지정되었으며, 시·도무형문화재는 18종목에 36건이 지정되었다. 이는 각 시·도별 특성을 반영하여 보유자를 지정한 결과이다. 둘째, 무형문화재의 명칭은 침선장, 누비장 등과 같이 기술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여하는 방법, 한산모시 짜기, 곡성의 돌실나이 등과 같이 기술 자체에 부여하는 방법, 갓일이나 관모공예와 같이 공예품 자체를 만 드는 과정에 부여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특징을 살려 장인에게도 기술에도 명칭을 부여할 수 있 으나 현재성이 결여된 명칭에 대해서는 재고가 필요하다. 즉 ‘나이’는 피륙을 짜는 일이므로 시·도무형문화 재에서 사용하고 있는 ‘짜기’로 통일함으로써 종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셋째, 무형문화재의 전승현황을 보면, 국가무형문화재는 명예보유자, 보유자, 전수교육조교, 이수자의 전 승체계를 이루고 있고, 문화재청에 전승자로 등록되어 있으며, 이들에게는 국가 차원의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시·도무형문화재는 보유자나 명예보유자 외에 공식적으로 등록된 전수자를 찾을 수 없다. 이 는 시·도무형문화재 전수자의 관리주체가 지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도무형문화재 전수자 역시 전통 기술을 배우고 전수한다는 자긍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므로, 각 시·도 지자체 홈페이지나 전수교육기관에 그들의 이름을 등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현재 전국에 분포된 복식 관련 전수교육관은 2019년 현재 15곳이다. 이곳에서는 전수교육과 체험교 육의 두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대체로 체험교육에 머물러 있다. 특히 무형문화재를 문화제 속 축제로만 활용한다든지, 무형문화재 보유자 개인의 전수교육에 의존하는 것만으로는 더 이상 무형문화재 보전 및 전승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문 전수교육관을 설립하여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축하 고, 공교육을 통한 전수자를 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전통복식 요소가 현대 패션디자인과 문화 전파에 미친 영향

        ( Zhao Mingrui ),( Ko Jeong Ho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2 No.-

        민족 전통문화의 디자인적 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디자이너에게 있어 중요한 과제이다. 디자인을 통해 저마다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민족 문화를 나타내는 것은 민족정신을 보여주는 효과적인 실천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적극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본문은 사례 분석을 통해, 문헌법을 연구 방법으로 하였다. 본 논문은 의상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전통 복식의 예술적 특징과 시대에 따라 반영되는 시대적 특성을 분석 정리한 것, 현대 민족복식을 형상화하여 중국 전통복식의 요소를 파악하여 패션디자인에 적용한다. 이러한 디자인 이념이 현대 패션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통 복식문화의 깊은 문화적 가치와 현대화복(華服) 디자인의 특징 논의함과 동시에 민족 문화를 담고 있는 패션디자인이 국제무대에 진출함으로써 갖는 민족 문화 전파 촉진의 의미와 영향에 대해 연구한다. For designers how to extract elements that can be used for design from traditional national culture is a crucial topic. Every national culture has its profound foundation. Displaying culture from design is a way to demonstrate national spirit in actuality. At least, it can come true i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With costumes as the carrier, this paper explores how to extract Chinese traditional costume elements and apply them to fashion design and how the displayed design concepts affect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t the same time, it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promoting the spread of national culture by taking fashion design as the carrier and pushing national culture to the international stage. Due to the cultural differences in different periods, regions and nationalities, this paper focuses on how to create contemporary Chinese national costumes how to draw nutrients from traditional costumes and apply them to contemporary Huafu(華服) design and how design itself affects the development of costumes and cultural communication. Designers should spread and develop the cultural concepts in our traditional national costumes while meeting people’s aesthetic demand for costumes. By collecting and sorting out the relevant materials of ancient costumes, this paper analyzes and summarizes the artistic features of traditional costu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reflected in different times and designs modern costumes by combining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traditional techniques. By shaping modern national costumes, it aims to demonstrate the deep cultural value of traditional costum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modern Huafu(華服) design.

      • KCI등재

        한⋅중⋅일 무대복식 문화의 경계와 삼투에 관한 연구 -가면극⋅경극⋅가부키에 체현된 문화의지와 미의식을 중심으로-

        양유미,이미숙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the status of the Mask-play costume differentiated on the world stage by looking 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isplayed in the stage costum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plays through the ‘culture will’,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source of each nation’s identity and a root of aesthetic sens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aesthetics.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such as prior research and related books,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aesthetic qualities related to Jeob-hwa will, Dong-hwa will, Eung-chug will etc., which are classified as ‘culture will’ of different countries and after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setting up an aesthetic categor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re derived, based on this, we examin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al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lays. The concept of ‘culture will’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research was reconstructed from the research of art philosopher Choi Kwang-jin and prepared as an analysis frame The absence of feature data that cannot be satisfied in the stage-costume-book related to traditional plays in the three countries was supplemented through DVD and YouTube data.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erived from the ‘culture will’ of Korea, China, and Japan was presented by the Yulryeo-Mi of Life, Haehak-Mi of Shin Myung, Sosaec-Mi of Gwangmyeong, Sobak-Mi of Mugigyo while China is characterized by Saui-Mi of Chusang, Soongo-Mi of WiYong, Sangjing-Mi of Eum yang, Yeobaeg-Mi of Hyeon-Yu and Japan is characterized by Dansun-Mi of Jeolje, Eungchuk-Mi of Punglyu, Seubsaek-Mi of Seojeong. Based on this, as a way to redefine the status of Korean mask play costumes differentiated on the world stage, it is necessary to recreate the unique aesthetic sensibilities of Korean people such as the Yul Ryeo-Mi of Saengmyeong, Hae Hak-Mi of Sinmyeong, Sosaec-Mi of Gwangmyeong, Sobak-Mi of Mugigyo. The above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academic basis for the Korean stage costume history by respecting the unparalleled unique values of traditional plays of the three countries and also organizing the artistic value of the Korean mask plays through the differences in aesthetic consciousness derived from the ‘culture will’ of Korea, China and Japan.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미학의 관점에서 각 민족 정체성의 가장 근원이며 미의식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문화의지’를 통해 한⋅중⋅일 전통극의 무대복식에체현된 미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세계무대에서 차별화된 우리 가면극 복식의 위상을 재정립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 서적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해 국가별 ‘문화의지’로 대별되는 접화의지, 동화의지, 응축의지 등과 관련성이 있는 미적특질을 살펴보고 미적범주를 설정하여 미적특성을 도출한 후, 이를 토대로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미의식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문화의지’의 개념은 예술철학자 최광진의 연구를 재구성하여 분석틀로마련하였다. 한편 무대복식도감에서 충족할 수 없는형상자료의 부재는 DVD, 유트브 자료 등을 통해 보완하였다. 한⋅중⋅일 국가별 문화의지에서 도출된 미의식은 한국 가면극은 생명의 율려미, 신명의 해학미, 광명의 소색미, 무기교의 소박미 등으로 나타났으며중국은 추상적 사의미, 위용의 숭고미, 음양의 상징미, 현유의 여백미 등이며, 일본은 절제된 단순미, 풍류적응축미, 서정적 습색미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세계무대에서 차별화된 우리 가면극 복식의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인합일의 미학에서 도출된 생명의 율려미, 신명의 해학미, 광명의 소색미, 무기교의 소박미 등의 우리민족의 고유한 미의식을 토대로 가면극 복식의 고유한 심미성을 살리려는 재창조 작업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상의 연구는 한⋅중⋅일 국가별 ‘문화의지’로부터파생된 미의식의 차이를 통해 삼국의 전통극의 서로비교할 수 없는 고유한 가치를 존중하고 아울러 우리가면극 복식의 예술학적 가치를 체계화함으로써 한국무대복식사의 학술적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글로컬문화콘텐츠로서 중국 복식의 審美의식 연구

        양정원(Yang, Jung Won),이미숙(Lee, Mi Su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컬 문화콘텐츠 개발의 일환으로 동아시아의 문화콘텐츠 소비시장의 블루칩으로 주목받는 중국문화코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로서 전통복식에 투영된 유가의 ‘어울림[和]’ 미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들의 전통 복식에 내재되어 있는 심미적 코드를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 서적에 의한 자료 분석을 통해 어울림 미학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예악(禮樂), 문질빈빈(文質彬彬), 전수위미(全粹爲美), 음양오행(陰陽五行), 기운생동(氣韻生動) 등의 심미표준을 살펴보고 여기서 추출한 미적가치를 중국 전통복식에 적용해서 분석하였다. 복식도감(服飾圖鑑)으로 충족될 수 없는 이미지 자료의 부재는 목용, 토용, 벽화, 초상화, 풍속화 등을 통해 보완하였다. ‘어울림’ 미의식을 구성하는 심미표준에서 도출된 미적가치는 화해적 생동미, 예의적 위엄미, 절제된 간결미, 상징적 장식미, 형신의 풍신미 등으로 대별된다. 이를 토대로 중국 전통 복식에 내재된 ‘어울림’ 미의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전통복식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심의류에서 표출되는 자율적인 동적 아름다움에서 화해적 생동미가 표출되며, 예의적 위의 미는 신분적 등급을 나타내기 위해 착용된 관복과 아울러 일상복에서까지 나타나며, 절제된 간결미는 간결한 꾸밈의 미로서 우아한 품격이 느껴지는 송나라 때의 여성복식에서 두드러지게 표출된다. 상징적 장식미는 지배층 복색의 화려한 배색에서 표출되며, 형신의 풍신미는 옷과 사람간의 기의 원활한 소통으로 신체라인이 불분명하게 표현되는 반적체(半适体)형 복식에서 표출된다. 이상의 연구는 한류의 확산에 힘입어 향후 중국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패션기업들의 패션디자인 전략 수립에 문화콘텐츠의 정보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e code of China that has come to the forefront as a blue chip in the cultural consuming market of East Asia as part of developing glocal cultural contents and to understand code of aesthetic of the implicit in Chinese traditional costume by examining an aesthetic sense of "harmony(和)" of Confucian reflected in Chinese traditional costume as a representative Chinese culture. The method of the research was to examine esthetic standards of Rite-Music(禮樂), Mun-Jil-Bin-Bin(文質彬彬), Perfectly Pure Beauty(全粹爲美), Yin-Yang and Five-elements(陰陽五行), and Chi-Yun-Sheng-Tung(氣韻生動), which a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aesthetics of harmony, through a precedent study and the data analysis of related publications, and extracted the aesthetic properties to apply to Chinese traditional costume. The absence of image materials that cannot be fulfilled with an illustrated guide to costumes was complemented through wooden dolls, clay dolls, mural paintings, portraits and Chinese genre paintings. The aesthetic values derived from esthetic standards that consist of the aesthetic sense of "harmony" are classified broadly into Hwahaejeog saengdong-mi, Yeuijeog wiui-mi, Jeoljedoen gangyeolmi, Sangjingjeog jangsig-mi and Hyeongsinui pungsinmi and soul and so forth.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aesthetic sense of "harmony" inherent in the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are as follows. Hwahaejeog saengdong-mi is expressed in autonomous dynamic beauty in a kind of Sim Eui(深衣) containing the identity of Chinese traditional costume, Yeuijeog wiui-mi is shown in everyday wear as well as official uniforms worn to indicate a level of social standing, and the Jeoljedoen gangyeol-mi is markedly represented in the women"s clothing in China’s Song Dynasty. Sangjingjeog jangsig-mi is expressed in the ornate combination of colors of the ruling class" clothing and Hyeongsinui pungsin-mi is expressed in the semi-fitted style clothing which expresses a body line inarticulately by th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thing and a person.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research will be helpfully utilized as the inform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establishing the fashion design strategy of Korean apparel companies which aim to get to the Chinese market in the future thanks to the spread of Korean Wave.

      • KCI등재

        문화콘텐츠 속 전통복식 활용의 문제점과 고증의 필요성 -지자체와 지역 축제의 캐릭터 복식을 중심으로-

        조희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5 No.-

        This study is intended to critically review the problems which were present in the utilization and historical research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worn by characters in local government festivals and regional private counterparts. It also addresses the problems in the combination and expression of the clothing and then analyzes them practically to find possibilities of complementing and solving the problems. The survey of characters which wear Korean traditional clothing in local government events and regional private counterparts has found that sixty-four out of one hundred and seventy nine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nation have their characters wear Korean traditional clothing. The statistics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how that there are one thousand regional festive events across the nation. Twenty five of those events have their characters wear Korean traditional clothing. There are thirteen cases in which local government events and their regional private counterparts have the same characters. The biggest problem with Korean traditional clothing worn in local government events and regional private counterparts is that there is no historical research on the traditional clothing worn by the characters of the regional festivals, and that the clothing is not worn in a proper way. There are various errors such as anachronisms between characters and their traditional clothing, errors in detailed patterns of traditional clothing, and mistakes in describing how to wear traditional clothing and in its practical use. It should be perceived that Korean traditional clothing must require historical research in that the traditional clothing represents culture, its origin is clearly evident and distinct, and it is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making characters’ traditional images conspicuous. There are several points that are most needed in making and utilizing characters which wear traditional clothing. Planning to develop characters should be systemized and go through historical research. Then, application models should be secured to minimize mistakes in the stage of utilizing characters. Formats to expand the range of using characters should be prepared. It is advisable that published materials be used to prove the historicity of characters and do historical research on the clothing they wear. These suggestions mentioned above are sure to be practical and valid guides to making and utilizing characters wearing Korean traditional clothing for local government festive events and regional private counterparts.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복식을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된 캐릭터를 보유한 전국 지자체와 지역 축제를 선별하여 복식(服飾) 고증(考證)과 활용, 조합과 표현 방식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러한 문제를 현실적으로 보완・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전국 지자체와 지역 축제 캐릭터의 복식 착용 현황을 파악한 결과, 전국 179개 지자체 중 64개 지자체에서 전통복식을 착용한 캐릭터가 확인되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1천 여 개의 지역 축제 중 25개 축제가 전통복식 착용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중 지자체와 축제 캐릭터가 일치하는 사례는 총 13건이었다. 지자체와 지역 축제 캐릭터의 전통복식에서 드러나는 가장 큰 문제는 고증의 부재(不在)와 표현의 부정확성에 있다. 이는 크게 캐릭터와 복식의 시대성 불일치, 전통복식 세부 형태 표현 오류, 착용 방식 묘사 및 사용상의 오류로 압축된다. 전통복식은 문화적 소산으로서 그 연원이 분명하고 뚜렷한 것이며 캐릭터의 전통적 이미지를 한층 공고히 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라는 점에서 고증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전통복식을 착용한 캐릭터를 제작・활용하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캐릭터 개발 기획의 체계화와 전문적인 고증, 캐릭터 사용 단계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응용 모델 확보, 캐릭터 사용 범위 확대를 위한 포맷을 마련하는 것이며, 캐릭터의 역사성과 복식에 관한 합리적 고증을 위한 공개자료 활용 방법도 고려해볼 만하다. 이와 같은 대안들은 지자체와 지역 축제에서 전통복식을 착용한 캐릭터를 제작・활용하고자 할 때 현실적이고 유효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