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시대의 단군연구

        권상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2 No.-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단군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가? 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기존 단군연구에서는 대개 단군을 단일민족성의 기원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군상은 일제강점기에 조성되었을 뿐이며,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니다. 일제강점기에 단군상은 독립운동의 이론적, 종교적 기반이면서 한민족의 단결성을 강화시키는 동력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단군상이 일제강점기에는 시대적 의미를 지닐 수 있었지만, 다문화사회에서에 진입하는데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하지만 단군 자체를 부정할 필요는 없다. 단군은 민족성의 상징체이며, 민족성은 사회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하고 한국인과 한국사회의 존재하는 의미를 알게 해 준다. 그렇다면, 민족의 시원인 단군신화를 단일적인 민족, 또는 폐쇄적인 민족이 아니라 개방적이고 소통적인 민족성의 지평에서 새롭게 해석해 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단군문화가 외래문화와 상호작용 또는 융합의 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단군신화와 이와 관련 있는 관련된 풍류도, 낭가 등에서는 혈통주의적 민족성보다는 다양한 문화를 아우르는 다문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다문화사회에서는 토착문화의 고유성을 보존하면서도 외래문화를 수용하여 자신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상징체계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상징체계를 단군과 단군문화를 재해석하면서 창출해 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문화적 적응

        여중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4 No.-

        이 글은 1990년대부터 우리 사회에 나타나기 시작한 다문화가족과 국제결혼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그것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판으로 그간에 나온 논문들과 신문자료, 인터넷 검색자료 등을 분석하여 주제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① 혼혈 및 혼혈인, 국제결혼-단일민족론에 대한 담론과 혼혈 및 혼혈인에 대한 인식, 6・25전쟁과 국제결혼, ②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외국인근로자의 유입,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 ③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적응-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적응,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 적응, 건강한 다문화사회 건설을 위한 제언을 주 내용으로 담고 있다. 우리는 흔히 스스로 ‘단일민족’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단일민족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유전적 동질성을 획득했다는 의미이지 한국인의 기원이 하나라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한국인은 동아시아 내에서 남방과 북방의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이뤄져 형성된, 다양성을 지닌 민족이다. 여러 가지 자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지금까지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단일민족에 대한 그간의 생각을 수정할 때가 되었다는 것이다.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이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외국인이 국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를 넘어선 만큼 대한민국도 이제 본격적인 ‘다문화 시대’에 진입했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다문화가족은 도시지역 보다 농촌지역에서 더 많이 볼 수 있다. 농촌지역에서의 가족관계는 핵가족 직계가족에서의 가족관계를 넘어 친족관계까지로 확대되어 있어 도시에서의 그것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며느리가 이해해야 할 가족관계가 광범위하고 복잡하여 가족생활에의 몰입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논의되어온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으로는 ①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 부적응 문제, ②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부적응 문제, ③ 다문화가족에 대한 언론의 편견조장, ④ 가정폭력문제. ⑤ 다문화가족의 경제적 곤란, ⑥ 국제결혼 중개업자들의 도덕적 문제, ⑦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교육문제를 드는 경우가 많다. 첫째, 「혼혈 및 혼혈인, 국제결혼」에서는 단일민족에 관한 종전의 개념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혼혈 및 혼혈인에 대한 인식은 아직 변화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6・25전쟁은 국제결혼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어 지금의 다문화사회, 다문화가족 형성의 기틀을 제공한 것으로 보았다. 둘째,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에서는 1990년대 초반 외국인근로자의 유입 배경을 설명하고 2000년대 들어 형성되기 시작한 다문화가족의 형성과정과 그들의 가족관계에 대하여 간략히 검토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적응」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적응과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 적응에 대하여 고찰하였는데 다문화가족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이 한국사회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결론적으로,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향해가는 배경에는 6・25전쟁을 전후한 국제결혼, 1990년대 초반 외국인근로자의 유입, 2000년대 들어서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외국인과의 결혼 등이 자리잡고 있고 문화적 적응이라는 의미로 교육을 통해 이주자의 동화를 지향하는 것은 곧 다른 형태의 차별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article deal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which emerged in the Korean society from the 1990s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wit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apers, newspaper articles and Internet-based data, this article discusses the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Specifically, the main issue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①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international marriages-discussions on single-race and the awareness of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the Korean War and international marriages, ②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the influx of workers from overseas,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 ③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cultural 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cultural adjustment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proposals for the construction of healthy multicultural society. We, Koreans, generally refer to Korea as a single-race nation. Here, a single-race nation does not mean that the origin of Korean people but means that Koreans have acquired genetic homogenenity with time. Koreans were formed by the genes from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 and they are a race of people with ethnic diversity. Based on the various kinds of data,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it is time for us to modify our ideas of a single-race nation.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more than 1 million foreigners living in Korea. Experts assume that since the foreigners take up 2% of Korea’s population, Korea has set foot in the age of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 families are more easily found in the rural areas rather than in urban areas. In the rural areas, the family relation has extended from nuclear immediate family to kinship and this kind of aspect has a big difference with that of the urban areas. Accordingly, the family relations get widened and more complex which make foreign wives to put more effort in their family life. The drawback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Korean society which have been discusses are as follows: ① cultural mal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② the problems of social mal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③ promoting bias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by press ④ the problems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⑤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⑥ the moral problems of matchmakers of international marriages ⑦ the educational problem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in terms of racial mixture, multiracial people and international marriages,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previous concept of a single-race nation and that there is a lack of changes in the awareness of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In addition,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served as a basi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present. Second,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 this article explicates the background of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in the early 1990s and briefly discusses the forma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family relations. Third, in terms of the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tural families, this article inquires into the cultural 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raws out a conclusion that bilingual acquisition of the children will be helpful in enhancing the nation's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As a result, international marriages around the Korean War, the influx of foregin workers in the early 1990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s with the opening of the 21st century account for the Korean society’s change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n inclination to assimila...

      • KCI등재

        儒學, 連續性의 世界와 哲學

        정병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하나의 文化體系가 가지고 있는 性格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그 문화를 형성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어떤 문화적 특징을 찾는데 있을 것이다. 중국 문화가 가지고 있는 가장 뚜렷한 특징을 생각할 경우 가장 분명하게 떠오르는 것은 아마도 ‘連續性’이라는 개념일 것이다. 예를 들면 자연과 인간의 연속과 조화를 말하는 氣나 ‘天人合一’, 도덕과 정치의 연속성을 말하는 ‘修身齊家治國平天下’나 전통과 현재의 歷史的 連續性을 말하는 ‘溫故知新’ 등의 유가의 대표적인 개념들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연속성’이라는 개념은 단순한 觀念的 思索의 결과라기보다는 현대의 考古學的인 성과들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우선 ‘연속성’이란 개념의 기원 또는 원시적 형태를 개략적으로 考索하고 난 후 그것이 유가철학 전반에 어떻게 전개되고 발전하였는가 하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려고 한다. 본 논문은 유가철학이 가지고 있는 ‘連續性’이라는 독특한 문화적 성격을 통하여 유가철학이 가지고 있는 전체적 본질과 특징을 立體的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왜냐하면 유가의 철학체계가 가지고 있는 자연관ㆍ도덕적 견해ㆍ정치적ㆍ역사관이나 종교적인 관점들은 모두 인간과 자연 및 만물이 포함된 우주 전체가 有機的이고 相關的으로 연결되어 조금의 斷裂도 없이 구성되어 있는 하나의 連續體로 보고 있는 독특한 세계관에 근거하거나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연속성의 문화 특징은 生産道具ㆍ고대 도시 문화와 의식 형태 속의 각기 다른 영역 속에서도 모두 표현된다. 이런 고고학의 관점은 중국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天人合一의 관점에 고고학적 또는 인류학적인 근거와 해석의 관점을 제공한 것으로 대단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고대 중국의 shaman式의 문화적 胎盤은 고대 유가 사상에 매우 깊고도 풍부한 사상적 유산을 제공한다. 고대 유가는 이런 문화의 태반위에서 다양한 양분을 흡수하고 새롭게 발전시켜 새로운 의미체계를 만들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런 연속성의 문화 특징은 自然과 人文은 斷裂하지 않는 하나의 연속체이고, 自然的 連續性이 人文的 연속성으로 자연스럽게 전환한 것을 의미한다. 이런 유학의 몇 가지 중요한 연속성의 유형들과 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유가들은 우주의 整體的인 모습을 氣의 流行인 生命力으로 표현하고, 우주의 모든 만물은 연속적, 動態的, 상호 의존적인 상태에 있음을 말한다. 氣를 ‘生命力’으로 보고 陰陽이라는 氣의 相反相成이라는 운동과정을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자료인 氣는 순수한 정신도 아니고 또한 단일한 물질도 아닌, 단순한 물질이 아니고 정신성을 충만하게 가지고 있는 일종의 生命力이다. 이런 이유에서 氣의 학설은 순수 자연적인, 無價値的인 세계를 창조해 내지 못하는 것이다. 유학의 인문적 연속성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부분이 바로 도덕과 정치의 연속성이고 이것이 유가의 철학적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이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는 곳이 바로 유가철학의 理念에 해당하는 內聖外王이다. 전통 유가가 강조하는 內聖外王은 지나치게 도덕과 정치의 연속이라는 구조 속에서 도덕의 優越性을 강조하는 道德的 理想主義的 관점이라는 한계를 보여준다. 공자는 ...

      • KCI등재

        中國思維現代化問題-從邏輯的觀點看

        구건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9 No.-

        中國思維現代化問題是中西文化相遇下的結果, 但現代化是否就是西方化, 甚至歐洲化?在現代多元思潮的背景下, 以歐洲化做為現代化指標又產生了什麼反省?在接受邏輯為現代化指標前提下, 對於西方邏輯的學習也從傳統邏輯進入了現代符號邏輯, 但西方邏輯的全盤殖入等於是現代化的完成的想法, 使得中國文化自身在現代化中扮演了消極, 甚至負面的角色。 文化相遇的多種範式說明了文化理解的具體規範, 是受到了文化相遇兩端預設關係的影響, 這也間接地決定了現代化一詞具有的意義。 但無論是那一種範式或意義, 西方文化對於中國文化思維的現代化都扮演了一個不可或缺的角色。 即使西方文化從原先現代化的典範轉變成了各不同文化朝向現代化的參考點。 並且隨著這個轉變, 現代化也從僅指朝向歐洲現代文化的趨同意義, 變成了與各個邁向現代化的不同文化相緊密相關的多元現代性意義。 在以典範轉變和多元現代性的分析脈絡下, “中國邏輯思維”研究就是中國思維現代化的具體展現。

      • KCI등재

        장교 후보생의 다문화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군대에 관한 태도

        김정수,박진옥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61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xperience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military among military officer’s cade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of military studies and ROTC cadets in the regions of Gyeongbuk province. A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military officer’s cadets’ multicultural awareness are middle level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ffected multicultural awareness. Second, the military officer’s cadets’ attitude towards multicultural soldiers were a positive but it is more negative than the active duty soldiers’. Third, it effected by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necessary of soldier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military. Therefore, it is essentially requir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ilitary officer’s cadets and develop the programs that w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awareness. 본 연구는 장교 후보생의 다문화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군대에 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경상북도 소재 대학에 재학중인 군사학과 학생과 학군사관후보생(ROTC)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교 후보생의 다문화 인식 정도는 중간 정도(3.43)로 나타났고, 다문화 경험이 있는 경우가 다문화 인식의 모든 영역인 ‘다문화현상 이해’, ‘다문화수용 인식’, ‘다민족 선호태도’에서 다문화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이해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교 후보생의 다문화가족 장병에 대한 태도는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현역장병과 병사보다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군대 정착을 위한 장병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다문화 교육 경험, 다문화 관련 행사 참여 경험, 외국인과의 교류 경험이 있는 장교 후보생이 경험이 없는 경우 보다 다문화 군대 정착을 위한 장병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문화 경험은 장교 후보생 자신의 다문화 인식뿐만 아니라 다문화 장병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다문화 군대 정착을 위한 장병 교육의 필요성 인식 형성에도 주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이 후보생 과정에서 풍부한 다문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다문화 학생과의 교류나 행사참여, 다문화 강사 초빙교육, 다문화 관련 봉사활동 등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현행 ROTC 장교양성교육과 군사학과 교육 과정에 다문화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이 전무한 현실을 볼 때 후보생 교육과정에 관련과목을 개설하거나 교양 및 선택 과목으로 수강과 앞에서 제시한 다양한 다문화 경험을 통해 장교 후보생들에게 다문화가족병사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이 다문화 군대로의 전환대비에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斗山이 指向했던 文化人類學의 始延: 文化領域說과 基層文化論

        전경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This paper aims solely at the late Professor Kim Taek-kyu(Doosan, his pen name)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anthropology. Kim is the founder of the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at Youngnam University. The question for this paper started with his conversation with the author one year before he died at 1999. His master degree was bestowed by his thesis on "Shamanistic Literature"(1957) begun with the word of "anthropology". After finishing his master he moved to Tokyo University for one year as a research fellow. His renowned ethnography known as Hahoe ethnography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by Tokyo University. Kim's research references are almost always relied upon Japanese literatures. Finally he invented a concept of "basic culture area" as a research hypothesis for his lifelong project of the cyclical rituals(rites of intensification) of the Korean agriculture. The basic culture area comes from on the one hand "basic culture" inherited from German folklore through Japanese literature and on the another hand "culture area" from American culture historians like Clark Wissler through again Japanese scholars. One more interesting aspect of his starting point to meet with anthropology seems possibly to be related with Mr. Lee Seok-rak who was a key member of Kore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right after liberation of 1945. 본고는 문화인류학자 두산 김택규 교수의 학문적 역정과 그가 이룬 학문의 이론적 정향의 계보에 대한 학사적 검토의 결과이다. 1957년 “무교문학”이란 제목의 석사학위 논문에서부터 인류학에 관한 논의를 주로 하고 있는 김택규의 문화인류학 역정은 그후 일본의 레퍼런스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인류학적 업적을 축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하회민속지는 한국학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그 민속지의 방법론이 동경대학의 일본지역성연구의 방법론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평생 업적으로 만들어낸 한국의 농경세시의례는 기층문화영역론이란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 이론의 원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독일민속학으로부터 일본에 습득된 “기층문화”라는 개념과 미국 문화사학파에서 비롯되어 일본으로 수입된 문화영역설이 습합된 것이 두산이 만든 기층문화영역론이란 것이라는 점을 고증하였다. 두산의 인류학 역정이 시작하는 시점에 조선인류학회의 주역이었던 이석락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밝힌 것도 본고의 작업이 얻은 소득이다.

      • KCI등재

        옹기 ‘전’의 문화지도 제작 - 3차원 레이저 스캐너 작업 -

        박성용,구자봉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In order to work on ethnocartography, we need to examine geography, cartography, graphic semiolog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thematic ethnocartography focusing on rimes of earthenware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boundary of Kyungbuk province earthenware in terms of its shape can be divided into three: Northern, Southern, and Western style. However, after mid 1960’s, these boundaries have been hazy or disappeared due to the mixture of social, economical, ecological, and technological factors. Second, ecosystem and manufactures’ technical knowledge on the plasticity process of earthenware are correlated with the shape of earthenware rim. The thickness and height of rim are related to the technical knowledge that prevents piled up earthenwares collapsing down while they are plasticiz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rovince, the height of rim is tall enough to be able to be covered with a net that keeps bugs like flies from foods inside earthenware. Vice versa, the height of earthenware rim in the northern region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southern area. The analyzed boundaries in the ethnocartography of earthenware rim will be revealed more clearly if the results of 3D laser scanning come out. Besides the analysis on these factors, we need to make a complementary approach by classifying decoration of earthenware, its patterns, shapes of rim, distribution process, degree of mixing, and transmission of core tradition into shared transmission elements, crippled transmission elements, and unique properties. We also need to consider the accidentally emerged or mixed shapes of earthenware in accordance with varied and mixed earthenware manufacturing techniques. This i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arthenware which the property formation process of earthenware and its classification can be static. Recently, the number of newly constructed or blurred cultural boundaries are increasing due to the cultural change of communities. Because of these changes in community culture, the works of ethnocartography on the boundaries of material culture like earthenware need more sophisticated effort than other works. 문화지도를 작성하기위해서는 지리학, 지도학, 그래픽 기호학(graphic semiology)등에 대해 검토, 응용할 필요가 있다. 옹기형태를 중심으로 한 주제별 문화지도(thematic ethnocartography) 작성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북옹기의 형태별 문화경계는 크게 3개로, 북부, 남부, 서부지역간의 경계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1960년대 중후반으로 오면서 사회적, 경제적, 생태환경적, 경제․기술적 요인의 복합으로 명확했던 경계가 점차 사라지거나 모호해졌다. 둘째, 옹기 ‘전’의 형태는 생태환경, 제작자의 옹기 소성과정에 대한 기술지식 등이 관련된다. 전의 두께와 높이는 다른 옹기를 위에 두고서 소성할 때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한 기술지식과 관련된다. 남쪽일수록 파리 등의 벌레로부터 음식을 보전하기 위해 전에다 망을 씌우기 편하도록 하기 위해 전의 높이를 높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대체로 북부지역 옹기의 전은 대체로 남부의 그것보다 비교적 낮은 특징을 띤다. 전의 문화지도에 대한 분석과 경계는 앞으로 3차원 스캐너 작업 결과에 따라 더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요소에 대한 분석과 소묘 이외에 옹기의 장식, 문양, 전의 형태, 유통과정, 혼합정도, 핵심전통의 전승, 차용ㆍ공유된 계보 등을 공유된 전승요소, 파행된 전승요소, 독특한 특성 등을 구분하여 상보적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옹기제작기술이 다양하게 복합되면서 그 형태가 혼종되거나 우연한 기회에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는 점 등에 대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옹기의 제 특징의 형성과정과 계통분류가 형식적이고도 정태적 측면에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이다. 오늘날 지역사회의 문화변동으로 인해 문화경계가 새롭게 구축되거나 모호해져가는 양상, 탈경계화하는 양상 등이 증대하고 있다. 옹기도 탈지역화 되어가는 양상이 늘어나고 있다. 지역문화의 변화로 인해 옹기와 같은 물질문화의 경계에 대한 지도학적 작업은 기존의 작업보다 한층 더 복잡하고도 정세한 작업을 요하고 있다.

      • KCI등재

        문화유산학에 대한 시론적 접근 - 한국과 중국의 유적건조물을 중심으로 -

        김동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5 No.-

        본고에서는 문화유산학에서의 ‘문화유산’과 그 하위 개념으로 설정한 ‘유형문화재’ 및 ‘무형문화재’의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문화유산에는 유적건조물・유물・기록유산 등이 있고, 무형문화재・자연유산・국가등록문화재도 이 분류 안에 속한다. 유적건조물에는 유형의 문화유산이 포함되고, 유물의 형태는 배제된다. 실질적으로 유적, 유구는 주거지나, 무덤, 가마 등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국내에서는 유적건조물을 국가 혹은 시・도 단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선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중국 역시 정부기관에서 이동이 불가능한 유형문화재를전국・성・시・현급 중점 문화재 보호단위로 선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문화유산은 지정과 비지정으로 구분할 수 있고, 그중 정부 혹은 지차제가지정한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대중에게 정보가 제공된다. 문화유산학의 학문적인 범주를 문화유산에 대한 조사・교육・보존・복원・활용 등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고, 고고・역사・인류・민속・문명・예술・관광학 등 여러 학문의 융복합적인 학문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이외에 의류・건축학 등의 학문이 문화유산학에 융복합되기도 하고, 역으로 문화유산학이 이 학문들에 속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문화유산학의 개념에는 정부와 지자체가 지정혹은 등록한 문화유산이 포함되고, 지정 혹은 등록되지 않은 문화유산도 연구대상에 포함된다. 본고에서는 유적건조물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였고, 그 결과 현대사회의 대중들은 지정된 문화유산에 집중하며, 비지정된 문화유산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비지정된 지표 아래의 유적건조물은 관심도가 가장 낮다. 만약, 현대사회가 현대에 남겨진 문화유산을 보존 및 보호하지 않게 된다면 현대사회는 이전 사회의 문화유산만을 잃게 되는 것이 아니라, 현대사회의 문화와 문화유산도 잃어가게 될 것이다. 필자는 그 해결책이 문화유산학의 활성화라고 판단한다. 문화유산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대사회 이전의 문화유산을 보존 및 보호하고, 현대사회가 남길 문화유산을 다음 세대에게 온전하게 물려주기 위함이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 ‘삼성현’을 중심으로 -

        서동훈,김효정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Discovering and developing regional cultures became a basis for the competence in national competitiveness to be a pioneer in the wake of the globalization in the 21st Century, which is an era of culture. Gyeongsan is a highly historical region where the Great Teacher Wonhyo(Wonhyo Daesa), Seolchong, the Priest Ilyeon(Ilyeon Sunim) were born. They are called 'The Three Wise Men(Samsung-hyun)' and their common denominator was a respect for scholarship and emphasis on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strategy for storytelling to develop 'Samsung-hyun' as cultural contents. Developing 'Samsung-hyun' cultural contents can be defined as a series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business in which other cultural assets are utilized as a whole with the spirit of 'Samsung-hyun' in its center. The most crucial factor of such business for develop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is to acquire a storytelling which enables an integrative identity formation. Storytelling is a basis for constructing cultural contents and a central medium of OSMU. Wonhyo is evaluated as a figure who made Buddhism accessible to the public and provided an ideology for the Unified Silla based on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His son, Seolchong, designed 'Idu letters' which are a means to write letters with borrowed symbols when there was no Hangul(Korean letters) available so that writings became easier. Ilyeon collected folk stories widely known to the public and wrote a uniquely Korean history book, Samguk-yusa. Ilyeon recorded the story of Wonhyo and Seolchong in Samguk-yusa and made it popular, hence three figures being intricate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Moreover they were all excellent storytellers in that Wonhyo assimilated into the mass to invent and disseminate stories, Seolchong devised a medium for people to record, and Ilyeon wrote down the story of the two. 문화의 시대인 21세기를 맞아 지역문화의 개발은 세계화에 대응하여 시대를 이끌어갈 수 있는 국가 경쟁력의 기반이 되었다. 경산은 원효대사, 설총, 일연스님이 태어난 유서 깊은 고장이다. 이들은 세 명의 성현이라는 뜻에서 삼성현(三聖賢)이라 불린다. 이들의 공통점은 학문을 숭상하고 교육을 중시한 점이다. 본고는 ‘삼성현’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삼성현’ 문화콘텐츠 개발은 삼성현의 정신을 핵심으로 기타 문화자산을 총체적으로 이용하는 일련의 전통문화콘텐츠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문화콘텐츠 개발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통합적인 정체성을 구현할만한 스토리텔링의 확보이다. 스토리텔링은 문화콘텐츠 구현의 근간이며 OSMU의 중심 매개이기 때문이다. 일연은 원효와 설총에 대한 이야기를 『삼국유사』에 기록하여 세상에 널리 알림으로써 동향인 세 사람은 각별한 인연으로 묶여있다. 대중 속으로 들어가 이야기를 만들고, 퍼트린 원효, 대중들에게 기록할 수 있는 매체를 발전시킨 설총, 그리고 이들의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긴 일연 이들은 모두 탁월한 이야기꾼들이라 할 수 있다. 삼성현 문화콘텐츠 OSMU를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스토리텔링 공모전’ 등을 통해 삼성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한편, 우수한 작품을 발굴하여 제작 지원을 하는 것이다. 둘째, 교육콘텐츠의 개발이다. 삼성현이 학문을 숭상하고 교육을 중시했다는 공통점에 착안할 때 교육콘텐츠는 활성화는 매우 바람직한 방법이라 하겠다. 셋째, 체험콘텐츠의 활성화이다. 이러한 삼성현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전통문화의 가치를 재인식함으로써 지역의 새로운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단군 인식의 확장과 단군자손의식

        김성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61 No.-

        Since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Tangun nationalism has faced distortions of modern history and served as the focal point of our continued societal malaise, in particular concerning Tangun and Gija, both symbolizing Korea's society and culture in the so-called ‘Tan-Gi(檀箕)’ or parallel systems of thought regarding each figure. As the role of Gija was omitted and that of Tangun emphasized, the latter was forced to shoulder both of these systems of the concepts of Korean history and civilization. Since the Goryeo period, the two historical and cultural figures Tangun and Gija have been fused into a system of thought centering on Tangun only, as Gija's role being abruptly buried. This has coincided with the appearance of extreme nationalism and has resulted in a revolution of our sense of history and culture.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Korea faced imperialistic invasions. During the subsequent Japanese occupation, Tangun, already considered to be the founder of Korean history, was reinstated as the founder of the Korean people by bloodline in order to restore the Korean people's sense of sovereignty during this period. With the Korean people described in such terms as Tangun's blood progeny, Tangun's heirs, and other designations, the consciousness of being Tangun's descendants expanded its influence over Korean history and culture to include the concept of the sacred tribe, which came to apply to both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people. A series of activities involving Tangun nationalism played an active role in this. Even so, the “Dongjo-donggeun(同祖同根, the Japanese theory of Koreans and Japanese sharing common roots)” made this very difficult, and there were even attempts to reshuffle Tangun to fit within the Japanese version of the mythos of national origin. The schemes of the governor general to bury Tangun nationalism were likewise formidable. Still, during this time there was a campaign centered on Tangun to foster a sens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as well as a sense of unity. This played a part in throwing off the vestiges of feudal society while giving rise to other results. Today, we are still mired at the level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hen the "progeny of Tangun" did not assert their mono ethnicity. Now that we are in the twenty-first century, rather than using Tangun nationalism for its original purpose, we need to develop of unified system of thought within a comprehensive framework, because while the value of the Korean nation and people are important, we should not bury universal truths within that sense of worth. 단군민족주의는 19세기 말 20세기 초부터 왜곡된 근현대사의 경험을 지속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정체성 문제에서 구심점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東國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단군과 기자, 즉 ‘檀箕’라는 병렬적 인식론에서 기자가 탈락하고 단군이 강조됨으로서 역사와 문명으로 함축할 수 있는 양축을 혼자 감당해야만 했다. 적어도 고려시대 이후 우리 역사문화의 양대 축이던 단군과 기자가 단군을 중심으로 통합됨으로서 기자로 상징되던 다른 축은 급격하게 매몰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고, 극한의 국수주의적인 경향도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 역사관과 문화관의 일대 변혁이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제국주의의 침략에 맞서, 특히 이후 일제강점기에 국권 회복을 위해 우리 역사의 시조인 단군은 혈연을 매개로 한 민족의 시조로 재설정되었다. 단군혈손・단군후예 등으로도 표현된 단군자손의식은 신성민족으로 요동과 한반도의 강역과 종족을 포괄하는 역사와 문화를 범위로 하였다. 단군민족주의로 함축할 수 있는 일련의 움직임들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런 가운데에도 동조동근론 등 일제의 동화정책으로 말미암아 단군을 일본의 건국신화 속에 재편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단군민족주의를 매몰시키려는 조선총독부의 분열책동 역시 만만치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단군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문화관은 우리의 독립과 전조선인의 대동단결을 위한 사회문화적인 캠페인을 이끌었고, 탈봉건사회의 견인 역할을 하였다. 아울러 그에 못지않은 부작용을 초래한 것도 사실이다. 우리는 아직까지 선언적으로 단군자손이 단일민족임을 고집하지 않았던 20세기 초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단군민족주의가 21세기에 순기능을 하려면 보다 거시적인 틀에서 통합의 이론을 개발해야 한다. 민족과 국가의 가치가 중요하지만, 그 가치 속에 보편성을 매몰시켜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