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립무형유산원의 역할 증대방안 모색- 시·도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을중심으로-

        홍태한 국립무형유산원 2018 무형유산 Vol.-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increase the roles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Center. This author insists that after we examine the directivity of the documentation projectfor each of the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shouldplay initiative roles.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has looked into the result of the documentationproject for each of the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though several metropolitancities and provinces have attempted it, none has completed the documentation on all kindsof events entir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outcome of the project, thisresearcher sugges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rectivity of the documentation project for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each of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build up roles forthe members of divisions in charge, develop guidebooks desirably, and also secure a precisesystem for consultation with academic experts or such. However, as it is not easy to build upthe proper identity of the project in each of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t is neededto increase the roles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1) toform an organic group with civil servants in charge of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to increase organs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also National Intangible HeritageCenter, 3) to develop and distribute a variety of manuals, and 4) to provide all the organizationsthat establish archives with central role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fact that Jeonju where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is located is a city equipped with cultural redundancy, thisauthor suggests that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should be the core of researchinginto, safeguarding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heritages. 이 글은 국립무형유산원의 역할 증대 방안을 모색한 글이다. 각 시·도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을 중심으로 방향성을 검토한 후 국립무형유산원이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먼저 각 시·도무형문화재기록화 사업 성과를 살폈다. 여러 시·도에서 수행하였지만 온전하게 모든 종목을 기록화한 시·도는 아직 없다. 이러한 사업 성과를 검토한 결과 각 시·도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의 방향성 정립이 필요하다는 점, 주무부서 구성원들의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는 점, 제대로 된 가이드북이 필요하다는 점, 학술전문가의 자문등 구체적인 시스템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각 시·도에서 사업의 정체성을 제대로 확립하기가 쉽지 않아 국립무형유산원의 역할이 증대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하여 1) 시·도무형문화재 담당공무원과의 유기적인 조직 결성이 필요하다. 2) 문화재청 및 국립무형유산원의 조직 확대가 필요하다. 3) 다양한 매뉴얼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4)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모든 조직의 중심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국립무형유산원이 자리잡은 전주가 문화 중첩성을 가진 도시임에 주목하여 국립무형유산원이 무형유산 연구 및 보전, 전승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 신법(新法) 체제에 따른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의방향성 검토

        홍태한 국립무형유산원 2016 무형유산 Vol.-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vity of a national research project onintangible heritages (Comprehensive Survey of the Korean Intangible Heritage) according tothe new law system (Act on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has taken effect in 2016.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not all areas included in it but mainlyshamanistic rituals and Buddhist rituals. This author suggests how to improve it as follows:first, it is necessary to set its direc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national, and municipal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ore examination should be done to figure outwhich needs to receive more attention between regionality and nationality. Second, thenew law has extended the subjects that can b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cause “usual” intangible heritage elements can also b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heritage, we should consider how to deal with the “usualness.” Third, the subjects oftransmissions are diversified; hence, how to establish identity is important. Fourth, thearea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extended, so we should consider how to setup the center of transmit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ifth, intangible heritage existsin a complex way.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how to harmonize partiality with totality. Sixth,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research paying attention to the original andthe model, one of the recently arising issues. These six points suggested here are aboutthe directivity of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the new law system. Also, based on that, thisresearcher suggests the case of Seoul Gutdang and proposes the directivity of research onintangible heritage. Concerning Buddhism, this author suggests everyday life and seasonalcustoms in each year to examine the directivity in detail.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consider seriously who should be in charge of the national research project on intangibleheritage to be launched from next year: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or anotherexternal institution. We are highly expecting the initiation of the national research project onintangible heritage. We all hope that the will be conducted as desired. 이 글은 2016년 새로 발효된 신법 체제를 바탕으로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의 방향성을 검토한 글이다. 무속의례와 불교의례를 대상으로,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를 제시했다. 첫째, 국가 및 시·도무형문화재 현황을 바탕으로 한 조사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지역성과 전국성 중에서 어느 쪽에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인지 검토가 있어야 한다. 둘째 신법에 따라 무형문화재 지정 대상이 확대되었다. 따라서 일상적인 무형유산도 무형문화재 지정대상이 되어 일상성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를 궁리해야 한다. 셋째 전승주체가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정체성을 어떻게 확립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넷째 무형문화재 영역이 확대되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 전승의 중심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고려해야 한다. 무형유산은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부분성과 총체성을 어떻게 조화시켜야 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 다섯째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원형(原型)과 전형(典型)을 염두에 둔 조사 방향성을 고민해야 한다. 이러한 다섯 가지로 제시한 것은 모두 신법 체제를 염두에 둔 조사 방향성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의 굿당 사례를 제시하여 무형유산조사의 방향성을 제시했고, 불교의 경우는 일상생활과 일 년 세시풍속을 모두 제시하여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아울러 내년부터 시작되는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을 국립무형유산원이 맡을 것인가, 외부기관에 맡길 것인지에 대해서도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앞으로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에 거는 기대가 크다. 바람직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 음악 분야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의 구분에 대한 재고

        김혜정 국립무형유산원 2018 무형유산 Vol.-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designation status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nd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clarify the differences and problems, and toidentify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m. Among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25 items classified as musical fields and 200similar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ere compared. The genre was divided into classicalvocal music, classical instrument music, folk vocal music, and folk instrument music.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difficult to find items to be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cultural heritage. Highly localized items cannot be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heritage. Only items that do not have locality can be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heritage. The actual difference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inking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ystem. Therefore, the country and regions should work together on this issue. 이 논문은 음악 분야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의 지정 현황을 비교하여 차이점과 문제점을 정리하고, 양자를 구분하는 기준이 무엇인지를 살펴 제도적 대응 방안을 생각해 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가무형문화재 가운데 음악 분야로 분류되고 있는 25개 종목과 그와 유사 계열인 시·도무형문화재 200여 종목을 비교하여 장르별로 현황을 정리하였다. 장르는 정악기악과 정악성악, 민속기악과 민속성악으로 나누었다. 흔히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의 구분이 기량에 있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기량이란 절대적 불변의 가치를 부여하거나 비교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재 지정된 종목의 기량에 초점을 두지 않고, 국가와 시·도의 무형문화재 구분 기준에 대해서만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야 할 당위성을 지닌 종목은 찾기 어려웠다. 과거 국가적 의식의 궁중의식음악은 국가무형문화재로서 대표성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이는 국가기관인 국립국악원이 전승해야할 의무를 갖는 것이 합당하다고 본다. 또 민요나 농악과 같이 각각의 지역성이 강한 종목은 특정 지역에만대표성을 부여하여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수 없으며, 지역성이 없는 종목 역시 여러 지역에서 종목을 지정할 수 있지만 그 가운데 어떤 것을 따로 국가무형문화재로서 지정할 이유를 찾기 힘들다고 보았다. 한편 무형문화재의 실상은 종목 자체의 구분 문제보다 무형문화재의 지정 목적이나 지정 가치 판단에 대한 차이가 오히려 크게 드러나고 있다. 예를 들어 산하 문화단체나 공연단체의 신설과 같이 무형문화재 활용 목적을 중시하는 경우, 전통성과 한국적·지역적 정체성 등 문화적 가치, 공동체적 가치 등을 중심으로지정하는 국가무형문화재와 다른 분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 동일 종목의 지나친 세분화와 과도한 지정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무형문화재의 지정 가치와 제도가 지향해야 할 바가무엇인지에 대해 더 고민하고 이를 문화재청과 시·도 지자체가 공유하여 접점을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 국가 및 시·도 무형문화재 제도 운영의 성과와 과제-지정 제도 및 지정 현황을 중심으로-

        이재필 국립무형유산원 2018 무형유산 Vol.- No.5

        Under a changing policy environment, with the ever increasing number of applications for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pplications, changes to the national and city/do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systems due to the enactment of the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ct」, and the voices of concern that point out the uselessness of the national and city/dodesignation systems, this paper looks to review and seek ways to improve the current national and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s. Sinc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ct」 in 1962, there have been 140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569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rom 17 city/dolocalities that have been designated. The designation of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greatly increased after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early 1990s. Of the seven field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ditional performance·art, and traditionalskill fields takes up the lion’s share, with 69% (97 items) at the national level, and 71% (406 items)at the city/do level. However, traditional skills remain one of the least transmitted items, sincethere are only a few transmitters compared to the its high proportion. A single national intangiblecultural heritage are being designated as multiple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tending itbeyond its region. With weakening regionalities and increasing symbolism, there are items beingtransmitted in regional units that hold regional characteristics, mainly for group items. At national and city/do levels, a system of transmitting is being established, with the centralcarrier branching out to transmit education assistants, then to recipients. The transmissionsystem is pyramid shaped, with the recipients at the lowest level being the most numerous, andthe pyramid becoming narrower as it goes up to the transmitter. The city/do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lso has the same shape. The relation between national and city/do levels are more organic than exclusive in that theitems and transmitters can move from one to another to create more opportunities to transmit.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re is active movement between city/do transmitters (carriers,transmission education assistants) of national transmitters (transmission education assistant,recipient) indicates that fostering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nsmitters will improve thetransmission of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re are some inadequacies in the system that require urgent attention. First,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standards that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uniquelyfit the localities must be established. With this, the government must also move away from theexisting cubicle-styl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methods, and seek a way to operate the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on a grander scale, that included designation standards andpass down systems that encompass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are now faced with changing aspec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ompletediscontinuation of transmissions, and ‘post-management’ after designation is key. Thegovernment’s response is to enac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and establish the NationalIntangible Heritage Center. In the future, it should focus on communicating and cooperating with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To this end, the localities’s organization and financialconditions must be improved, while the government must be willing to work on policies, includingrevising related regulations. 이 글은 빈번해지고 있는 시·도무형문화재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신청, 「무형문화재법」 제정에 따른 국가와 시·도의 지정 체계 변화, 국가와 시·도 지정 체계의 무용론 제기 등 정책의 상황 변화에 대하여 국가와 시·도 무형문화재 제도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지금까지 국가무형문화재 140건, 17개 지자체 시·도무형문화재 569건이 지정되었다. 시·도무형문화재는 1990년대 초 지방자치제의 시행에 따라 지정 건수가 대폭 확대되었다. 무형문화재 7개 범주 중에서 전통적 공연·예술, 전통기술 분야가 국가무형문화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69%(97건), 시·도무형문화재는 71%(406건)로 압도적으로 많다. 다만, 전통기술 분야는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매우 적은 전승자가 활동하고 있어 전승이 가장 취약한 분야에 머물고 있다. 하나의 국가 종목이여러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됨에 따라 지역을 넘는 확장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렇게 지역성이 약해지고 상징성만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단체종목 중심으로 지역적 특성을 간직한 채 지역단위에서 전승하고 있다. 국가와 시·도는 보유자를 중심으로 전수교육조교, 이수자로 이어지는 전승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기층의 이수자 수가 많고 보유자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피라미드형 전승 구조이며, 시·도무형문화재 역시 같은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가와 시·도는 배타적 영역이라기보다는 종목 및 전승자 간 이동을 통해 전승의 기회가 확대되는 유기적 관계에 가깝다. 특히 국가 전승자(전수교육조교, 이수자)의 시·도 전승자(보유자, 전수교육조교) 간 이동이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볼 때,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양성이 곧 시·도무형문화재 전승 활성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미비한 부분에 대한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 우선 대부분의 지자체가 사용하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기준 대신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지자체 고유의 무형문화재 지정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함께정부 역시 기존 칸막이형 보존관리 방식에 탈피하여, 시·도무형문화재를 포함하여 지정 기준 및 전승 체계등을 담은 거시적인 무형문화재 제도 운영 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지금 무형문화재의 변화와 전승 단절의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지정 이후의 ‘사후관리’에 주목해야 한다. 정부는 「무형문화재법」 제정과 국립무형유산원 설립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앞으로는지자체, 민간과의 협력과 소통에 주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조직 확충, 재정 여건 개선 등 지자체의 역량 강화는 물론 정부 차원의 관련 규정 개정 등 적극적인 정책 의지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빅데이터 기반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무형문화유산’ 분야 최신 이슈 도출

        서호준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6

        Previously, most studies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conducted by qualitative approach which has difficulties choosing objective and accurate policy alternatives. The aim of this work is to address the latest issues in the field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text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it has been observed that ‘UNESCO’ / ‘registration’ /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 ‘ssirum’ /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north-south’ / ‘joint’ / ‘kore’ / research as a highly ranked keywords (terms that appear most frequently), and ‘UNESCO’ / ‘ssirum’ / ‘registration’ /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north-south’ / ‘joint’ / ‘korea’ / ‘notice for centrality analysis’. Also, categorized these 52 keywords into four groups which are UNESCO registered, individu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lated policy projects and utilizing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suggest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state-designated heritages, to activate south-north joints projects, to strengthen the phase of the field policy institutions and increase the role,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본 연구는 무형문화유산 분야 연구의 대부분이 질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적 실성 있는 정책대안 도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ext Network Analysis)을 통해 무형문화유산 분야의 최신 이슈를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빈도분석에 있어서는 ‘유네스코’ / ‘등재’ / ‘국립무형유산원’ / ‘씨름’ / ‘인류무형문화유산’ / ‘문 화재청’ / ‘남북’ / ‘한국’ / ‘연구’ / ‘공동’ 등이 상위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의 경우 ‘유 네스코’ / ‘씨름’ / ‘등재’ / ‘인류무형문화유산’ / ‘남북’ / ‘국립무형유산원’ / ‘문화재청’ / ‘공동’ / ‘한국’ / ‘공 지사항’ 등이 상위 키워드로 나타났다. 또한, 52개 키워드들을 유네스코 등재 그룹(14개), 개별 무형문화유 산 그룹(19개), 무형유산 관련 정책사업(12개), 문화재 활용 그룹(7개) 등 4개 그룹으로 유형화하였다. 정책적 시사점으로 국가무형문화재의 지정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 점, 남북 공동 유네스코 등재사업을 보다 활성화시켜야 하는 점, 무형문화유산 분야 연구의 저변 및 대상 확대가 필요한 점, 무형문화유산 분 야 정책기관들의 위상강화 및 역할증대가 필요한 점, 무형문화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하는 점 등을 제 시하였다.

      •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설화 항목선정·조사·보호의 문제

        김혜정 국립무형유산원 2016 무형유산 Vol.-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mprehensive Survey of the KoreanIntangible Heritage project, presently carried out by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enhance its efficiency. The project is intended to investigate intangible heritages in various areas, for example,music, dance, crafts, architecture, oral transmission, knowledge about folk medicine,traditional plays, or festivals, which a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cordingto Article 14 of the Act on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enforced from March 28th, 2016).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project regarding tales among the items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ing “linguistic expressions, oraltransmission, word of mouth tradition, and expressions, and so on.” Particularly, thisauthor intensively discusses the problems of selecting items in the area of folktales, whatto be prepared and considered for field research, and the problems of protecting and usingfolktales as intangible heritage. In this project, regarding folktales belonging to “linguistic expressions, oral transmission,word of mouth tradition, and expressions, and so on,” 65 items are designated on a tentativelist. Among the 65 items, however, some lack validity in the aspects of “representability,”one of the criteria for designating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enhance thevalidity of these items, this author refers to previously published collections or dictionariesof folktales and suggests that it is needed to substitute folktales with or add a list of thefolktales that are more popular and representable. Also, the tentative list of folktales it suggests does not include stories about personal lifeor historical experience belonging to oral discourse. But these items are meaningful inthat they are the products of mankind literature about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exhibit the aspects of folktale transmission changing from fictional to realistic oraldiscourse. Therefore, these data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list of research in the project. To this end, a lot of things need to be prepared or considered before field research, forexample, being aware of the items to be investigated, liaising for an informer, havingprinciples and methods to transcribe data, or writing a report with the informer. Examiningsuch issues, this researcher suggests referable data for this project collected from advancedresearch or reports to help minimize any possible problems in field research. Lastly, this author examines methods suggested in advanced research about protecting andusing folktales and expressing consents positively. About folktales, to narrate them activelyin this age is an effective way to preserve and protect folktales; therefore, to use folktalesactively, this author suggests the organization of national folktale competitions (festivals),carrying out undergraduate mentoring projects, and making plans for elementary afterschoolclass aggressively. 본 연구는 2016년 현재 문화재청 산하 국립무형유산원이 추진하고 있는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한 방편으로 진행되었다.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에서는 무형문화재법 시행령(2016.3.28. 시행) 제14조에 명시된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대상인 음악, 춤, 공예, 건축, 구비전승, 민간의약지식, 전통놀이, 축제 등 다양한 분야의 무형유산을 전면적으로 조사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대상인 ‘언어 표현, 구비 전승, 그 밖의 구전 전통 및 표현 등’에 해당하는항목 중 설화를 중심으로, 현재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의 문제점을 점검하였다. 특히 설화 분야 항목선정의 문제점, 현장조사시의 사전준비 사항과 유의점, 무형유산으로서의 설화를 보호하고 활용하는 문제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해 보았다. 현재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에서 ‘언어 표현, 구비 전승, 그 밖의 구전 전통 및 표현 등’에 해당하는 설화에 대한 잠정적인 조사목록으로 65개 항목을 지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65개의 항목은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기준 중에 하나인 ‘대표성’의 관점에서 타당성이 부족한 항목도 존재한다. 이러한 항목의 타당성을제고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출판된 설화자료집, 설화사전 등을 참고하여 보다 더 대중적이고 대표성이 있는설화를 목록으로 대체,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에서 제시된 설화잠정목록에는 구술담에 속하는 개인생애담이나 역사체험담 항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이 항목들은 근현대 역사에 대한 인류의 문학적 대응물이라는 점, 허구적 차원의 설화가 사실적 차원의 구술담으로 변화되어 가는 설화의 전승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 역시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의 조사항목으로 포함시켜야 될 것이다.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현장조사에 앞서 준비하거나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매우 많다. 조사하고자 하는 항목에 대한 숙지, 제보자 섭외, 자료의 전사 원칙과 방법, 제보자 기록지 작성의 문제등등이 그것이다. 이와 관련한 문제들을 살펴보고, 기존의 연구와 보고서 등에서 이 사업에 참고할 만한 자료를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현장조사의 문제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설화의 보호와 활용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방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동의를 표했다. 그러면서 설화의 경우는 현재의 삶에서 활발히 구연하는 것이 곧 설화를 보존하고 보호하는길이라는 점에서 설화의 적극적 활용 방안으로, 전국적 규모의 이야기 경연대회(축제), 대학생 멘토링사업,초등학교 방과후수업 기획 등을 제안해 보았다

      • 무형유산 보호대상으로서민간의료분야의 현재와 향후수집, 기록 연구의 방향

        원보영 국립무형유산원 2016 무형유산 Vol.- No.1

        Private medical culture embodies a lengthy history of maintaining health and combating disease. While it is “folk medicine” in an actual sense, the basis of private medical culture is characterized by its direct and indirect melange of unique heuristic knowledge of the private sector, which has been accumulated through the history of the subject area, and new knowledge, including contemporary medicinal knowledge by period. This has been a living culture that has not been highly regarded in terms of its social, academic, or cultural-policy aspects. Recently, it has drawn attention as a political issue under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the protection of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There has been research and investigation into the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by government authorities related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taken steps to legislate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is in the process of planning the Comprehensive Survey of the Korean Intangible Heritage. Although it has been publicly announced as an intangible heritage under the revised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nd the newly enacted Act on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terminologies differ between “Korean medicinal knowledge” and “private medicinal knowledge,” respectively. The actual enforcement of the Act on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so seems to be lacking, given the multi-layered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medical culture. Surveys by other governmental authorities into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medicinal resources focus on its practicability, structure, and applicability, and thus are mainly limited to folk remedies that are therapeutic measures. The future survey o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shall be an overall collection and record work encompassing intellectual, behavioral, and expressive systems, and material culture, while working closely with other governmental authorities under the wider theme of private medical culture based on locality and cultural variability. The future survey should not be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he Act on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ut be based on a pure willingness to collect intangible heritage; it should provide the opportunity to archive all of the medical culture of Koreans, such as Korean medicine, western medicine, paramedicine, and so on. 민간의 의료문화는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에 맞서 싸워왔던 장구한 역사가 녹아있다. 실제 내용은 민속적이라 하더라도 그 바탕은 해당 지역의 역사 속에서 쌓아 온 고유한 민간의 경험지식과 시기별 당대의 의학, 의료기술의 발달 등 당대의 의약지식 등 새로운 지식이 직·간접적으로 결합한 혼종적(混種的)인 성격을 가진문화이다. 이처럼 학술적으로는 주제 자체의 융합적 성격, 사회적으로는 국민건강과 직결되는 의료 문제라는 실제적성격 때문에 그간 사회적, 문화정책적, 학술적으로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생활문화였다. 그러나 최근 유네스코 체제의 정치적인 현안으로서 무형문화유산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유전자원, 전통지식의 측면에서민간의 의료문화가 새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유전자원 관련 부처의 전통지식 분류와 전국적인 조사가 진행중이고 문화재청에서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법제적인 조치를 마련하고 더불어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를 기획 중이다. 「문화재보호법」의 개정과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무형문화재법)의 제정으로 민간의약에 관한 지식이 무형유산으로 공시화(公示化)되었으나 각각 “한의약지식”, “민간의약지식”으로 용어를 달리하여 혼란을 주고 있으며, 민간의료문화의 다층적이고 변동적인 성격상 무형문화재법의 실제 법적용 가능성은 미약해 보인다. 전통지식 보호를 목적으로 민간의 약용자원에 관한 전통지식 연구를 진행 중인 농촌진흥청, 한국한의학연구원, 국립수목원, 국립생물자원관 등은 지식의 실용성, 체계성, 활용가능성에 초점을두고 있기 때문에 해당 조사결과는 주로 치료법인 민간요법에 한정된 전통적인 의료생활문화의 지엽적인연구이다. 향후 국립무형유산원의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는 타 부처의 조사와 같은 민간요법 조사를 반복하는 소모적인 작업을 지양하고 의료에 관한 문화를 대주제로 하여 지역성과 문화의 변동성을 담아내는 연구가 되어야한다. 또한 민간의 의료는 무형의 문화를 기반으로 하여 유형의 실제로 확인되는 문화이므로 사고체계, 행위체계, 표현체계와 더불어 물질문화까지 총체적인 수집, 기록 작업이 되어야 한다. 무형유산에 관한 법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조사가 아니라 순수한 무형유산 수집의지가 필요하며 향후 조사를 통해 한의학, 서양의학, 유사의료 등 한국인의 의료문화 전반에 대한 조사와 더불어 아카이브화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 KCI등재후보

        지역공동체 유산으로서 국가무형문화재-경산자인단오제를 중심으로-

        이은정 국립무형유산원 2020 무형유산 Vol.- No.9

        This study is interested in how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functioning as local festivals are structured by the state’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policy. By reviewing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exclusion of cultural factors that may occur during policy enforcement, this study will attend to how the impact of the policy is embodied at the site for passing down intangible heritage. The problem the author wants to raise is that the categories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concentrated on extremely intangible techniques and entertainment, so a policy environment suitable for events that have sufficient value for community heritage is not easily created. Here, the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identifying and examining the gap between the policy and the inheritance site through the case of the Gyeongsanjain Dano Festival, for which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olicy has existed for 50 years. The policy implications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points, as follows:First, after being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1971, the Gyeongsanjain Dano Festival, which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history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policies, i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that has a complex and comprehensive nature that cannot be classified into a single category, such as a traditional festival, a folk belief, a traditional performance, or a work of art. Nevertheless, based on the polic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t was defined as a play and a ritual before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aw and as a traditional festival afterward. This example can lead to productive discussions because it reveal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ingle category system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Second, cultural factors selected and exclud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can be identified.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aw,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centered on performanc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emphasis on protecting cultural transmitters of specific techniques and entertainment. As cultural factors excluded from this proces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five shrines and rituals of Hanjanggun distributed across the old Jain village. Although there was a ritual to honor the same divinity as Hanjanggun, results show that there some aspects were enshrined i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others were not.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rituals for Hanjanggun are divided into rituals for performances, such as the “Four Handang Announcement System,” and rituals that are actually handed down, has great implications from a policy point of view. 이 연구는 지역공동체 축제로서 기능하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재가 무형문화재 정책에 의해 구조화되는 방식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정책의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화적 요소의 선택과 배제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정책의 영향이 무형유산의 전승 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되고 있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자가 제기하고 싶은 문제의식은, 국가무형문화재가 포섭하고 있는 범주가 지극히 무형적인 기·예능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 지역공동체 유산의 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종목의 경우에 적합한 정책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정책이 50년 동안 관통한 경산자인단오제 사례를 통해서 정책과 전승 현장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확인하고 검토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두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71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무형문화재 정책의 역사가 관통한 경산자인단오제는 전통축제, 민간신앙, 전통적 공연·예술 등과 같이 단일한 범주에 포섭될 수 없는 복합적이고 총제적인 성격을 지닌 지역공동체 유산으로서 무형문화재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무형문화재 정책에 근거해서 무형문화재법 이전에는 놀이와 의식, 이후에는 전통축제로서 규정되어 왔다. 이것은 현행 국가무형문화재의 단일 범주 체계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드러내 주는 지점이라 판단되기 때문에 생산적 논의로 이끌 수 있는 사례라 생각한다. 둘째, 무형문화재화 과정에서 선택되고 배제된 문화적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문화재보호법」 아래에서 특정 기·예능 전승자 보호에 역점을 둔 결과, 연행 중심의 무형문화재가 선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배제된 문화적 요소로서 이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옛 자인 고을에 분포하고 있는 5개소의 한장군 사당과 제의이다. 한장군이라는 동일한 신격을 모시는 제의이지만, 국가무형문화재 안에 포섭된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한장군 제의가 ‘4개 한당 알리기제’와 같은 연출용 제의와 실제 전승되는 제의로 이원화되어 봉행되고 있다는 점 또한 정책적 관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와 다국적유산의 과제

        김동현 국립무형유산원 2017 무형유산 Vol.- No.3

        유네스코는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을 체결하여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보호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협약을 바탕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하나의 문화유산에 대하여 하나의 국가가 등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동일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여럿 존재하는 경우 국가 간 합의를 통하여공동의 유산으로 등재 신청하도록 지침을 마련해놓고 있다. 이를 ‘공동등재’라고 한다. 이 글에서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에 대해 이론적 배경과 제도의 운영·의의를 살펴보고, 발전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등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무형유산의 공유성(共有性)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무형유산은 공동체, 집단, 개인이 문화유산의 일부로 인지하는 관습, 표상, 표현, 지식, 기술은 물론 그와 관련된 도구와 사물,가공물 그리고 문화공간을 의미하는데, 대대로 전승되어 온 무형유산은 문화의 경계에 따라 구분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 간 경계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문화전파나 사람들의 이동에 의해 퍼져가기 때문에 여러 국가에 걸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동일 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여러 국가가 존재하게되는 것이다. 둘째,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 제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 제도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체결 이후 운영지침의 초안에서 부터규정을 두고 있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의 상황에 맞게 수정이 이루어져 왔다. 협약당사국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유산의 등록을 위해서는 등재를 희망하는 국가들 간 등재신청서 작성을위한 비공식적 절차와 등재신청서 제출 이후 정부간위원회까지의 신청서 평가 과정인 공식적 절차로나누어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공동등재는 유산 보호에 대한 책임을 균등하고, 신청서 작성에서부터 문화를매개로한 국가간 대화를 실현하여 유산의 창조적인 전승과 새로운 문화 융합 및 발전단계로 나아가는 발판이 된다. 셋째, 다국적유산의 등재경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국적유산의 등재를 연도별·목록별·지역별, 그리고공동체 유형별로 나누어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공동등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현재 공동등재 제도는 대표목록의 편중 현상이 심한데, 국가 간 협력을 통하여 보호모범사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해결해나가야 하며, 그 기반에는 무형유산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인적·물적 자원의 이동과 정보 교류라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 In 2003, UNESCO concluded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Heritage to safeguard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ICH). Based on this Convention, ‘the Intangible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s operated. Although one heritage can be listed as a one country's inprinciple, if there are many countries with the same elements, that ICH can be listed as a multinationalheritage. This is called Multi-national nomination. In this article, we tried to discuss the pros and consof multi-national registr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theoretical background and single listing, anddiscuss the development plan.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shared nature of intangible heritage,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a joint registration. ICH refers to the customs, representations, expressions, knowledge, and skills, aswell as tools, objects, artifacts, and cultural spaces that communities, groups and individuals perceive. It is divided according to the boundary of cultural heritage. Therefore, it does not necessarilycorrespond to the boundary between countries. In addition, it is likely to be distributed in variouscountries because it spreads by cultural propagation and movement of people. That is why there aremany countries with the same heritage. Secondly, we examined the system of multinational nomi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based on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ince the conclusionof the Convention on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drafting of theOperational Directives has been in place since the conclus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ime goes by, the regulations have been amended accordingto the situ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order to list heritage jointlyowned by the States parties to the Convention, we divided the informal process for preparing anentry application for the countries that wish to be listed and the formal procedure for evaluatingthe application to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after submitting the entry application. As aresult, the joint listing is a stepping ston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preservation of the heritageand realize the dialogue between the countries through the culture from the application form to thecreative tradition of heritage and the new cultural fusion and development stage.

      • 무형문화재법 변화에 따른무용 무형유산의 조사 방안

        강인숙 국립무형유산원 2016 무형유산 Vol.-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signation situation of the dance subjecti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aw, and suggests a proper investigation method ofthe dance subject as intangible heritage. Since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asestablished in 1962, the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faced a lot of issuesin the field the dance subject for 54 years. Even though the law ensured the protection andtransmission of dance and saved it from a distinction crisis, issues of monopolization andpower relations has been pointed out. Therefore, the new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aw(Act on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eds to consider thenegative aspects fo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he main change in the new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aw is change in the fundamentalprinciples. The preservation of original form in dance is very difficult because dance ispassed down from person to person and is easy to change and be reinvented during thetransmission process. The principle of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does not take into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Therefore, the conception of maintaining the type ofdance to improve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ppropriate for establishing thenational identity and developing traditional culture. Currently, 37 elements have been designated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s with 7on the national list and 30 on the city/province lists. Diverse views on the dance subject asintangible heritage are needed.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passing down dance shouldbe considered, and it is needed to extend the scope of dance from the limited performingarts to other areas. Also, the multilateral support and funding policy is suggested topromote the dance subject. 이 논문은 무형문화재의 근본적인 변화 속에서 문화재보호법에서의 무용종목 지정현황과 조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무형유산으로서 무용종목의 바람직한 조사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된 이후 약 54년 동안, 이 무형문화재법은 무용종목에서 괄목할만한 성과와 더불어 개선해야할 점을 남겼다. 즉, 거시적 측면에서 소멸위기의 무용을 보존·전승하였으나, 무형문화재의 박제화·독점화·권력화 등의 개선할 점도 드러내고 있다. 새롭게 제정된 무형문화재법에서는 이런 것들이 수정·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새롭게 지정된 무형문화재법의 가장 큰 변화는 기본원칙의 변화이다. 즉, 원형유지에서 전형유지로의 변화이다. 사실 무용종목에서 원형유지란 근본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무용은 유형문화재와 달리 구전심수방식으로 전승과정에서 변모·소멸·재창조의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원형유지는 이런 무용의 특성을 간과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민족정체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며, 이를 통해 무형문화재의 가치를 구현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전형유지의 개념은 무용종목에 적합한 개념일 수 있다. 현재 무형문화재 무용종목은 모두 37건으로 국가무형문화재 7건과 시·도무형문화재 30건이 지정되었다. 그러나 무형유산이라는 큰 틀 속에서 무형문화재 무용종목은 최근 제정·시행된 무형문화재법을 바탕으로 확장된 다각적인 사고를 필요로 한다. 즉, 무용종목은 전승구조체계에 있어 계단식 상승구조를 지양하고, 공연예술에 한정된 무용 범위의 확장하며, 무용종목 진흥을 위한 전승지원금의 다각적인 지원 방향 등에 대한 정책적 대책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