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 및 문화상품 개발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21세기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점에 한국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닌 디자인 문화상품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다.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은 한국적 미감을 지닌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고 생산, 유통, 서 비스 과정을 통해 실제 상품으로 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적 가치가 담긴 우수한 문화상품 발굴의 중요성 및 K-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문헌연구, 사례분석, K-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아이덴티티는 정체성, 독창성, 연상성, 역사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이 후 2022년-2020년의 대한민국 관광기념품공모전에 당선한 문화상품을 선정하여 사례 분 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실제 K-디자인 문화상품 4종을 개발하여 아이덴티티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K- 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정체성, 한국문화를 연상하는 연상성, 한국문화의 역사를 반 영한 역사성, 한국문화와 연계한 차별화된 독창성이다.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아이 덴티티를 연구하여야 하며 아이디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디자인 전략을 세운 후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상품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 기획을 도출하고 실제 상품으로 출시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 이미지를 통합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향후 실질적 상품화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아이덴티티 전략 확보를 목표로 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디자인 전략은 세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자원이며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가 치를 지닌 경쟁력있는 디자인 문화상품 발굴과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At a time when 21st-century K-culture is gaining global recognition, Korean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are spreading significant influence in promoting Korean culture. Th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are being developed by concretizing ideas imbued with Korean aesthetics,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s, culminating in the release of actual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outstanding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values and to activate cultural products with a clear K-design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K-design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dentit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was derived with four characteristics: identity, originality, association, and historical context. Subsequentl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ltural products that had won awards in the Republic of Korea's tourism souvenir competition Between 2022 and 2020. Based on the case analysis, four actual K-desig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ir identit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e identity strategy based on K-design include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evoking associations with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showcasing distinctive originality linked to Korean cultur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design elements that can help preserve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s necessary. After establishing a K-design strategy that reinterprets ideas in a contemporary context, it is important to apply it to actual products for commerc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oduct planning and releasing actual products. we inte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ompeti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s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value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1920-30년대 관광문화상품을 중심으로)

        박암종 ( Park Arm J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특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획일적이며 창의성이 부족한 관광문화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관광산업은 한 가지만 갖춰진다고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라 분야별로 짜임새 있게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가능하다. 관광을 활성화 시키는 주요한 관광인프라 요소는 교통, 숙박,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에 추가로 관광문화상품 같은 살거리가 빠질 수 없다. 이런 이유로 관광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지난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관광문화상품 속에 담긴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해 관광문화상품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연구방법은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 할 수 있는 객관적 분석틀 모형을 만들고 이에 대입하여 특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우리나라의 근대디자인 자료를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근현대디자인박물관의 소장품 중 1920-30년대에 생산된 관광문화상품 중에서 그룹을 지울수 있는 문화상품군(文化商品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쇄 및 후 가공의 마무리 수준이 매우 높다. 둘째, 한국적 전통소재와 지역적 특징을 잘 살려 타 지역과 차별화 하였다. 셋째, 신선한 아이디어를 돋보이는 자연친화적인 상품이 많다. 넷째, 장정이나 패키지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썼으며 사용설명문이 첨부돼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우리나라 관광문화상품디자인에 자극제가 되어 참신한 관광문화상품들이 생산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esign features shown on our modern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explore the ways to enhance the quality of our uniform and less creative contemporar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tourism industry can hardly be invigorated with a single solution; a well-organized promotion policy is required. The major essential infra elements for invigoration of tourism are transport, hotels, must-eat, must-see, must-enjoy, and tourism cultural commodities. All in all, in order to invigorate the tourism industry, it is deemed necessary to identify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reby, help develop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o this end, this study produced an objective analysis model conduciv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however, limited to the modern design works produced during 1920's ~ 1930' and collected by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Design Museum reputed for its largest design collections in Korea; among them, the tourism culture commodity group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was sampl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ished quality after printing is very high; Secondly, the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well highlighted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Thirdly, man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feature fresh ideas, being environmental-friendly; Fourthly, much efforts were made for marks or package designs, with the background and brochure attached.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stimulate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that fresh tourism culture commodities would be produced actively.

      • KCI등재

        롯데월드타워의 건축 디자인 요소를 응용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

        김소라,김정지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0 No.-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igorate the industry of developing products with motifs based on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by exploring cases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hat utilized the design of Lotte World Tower; this building is currently the tallest building in South Korea and the fifth tallest building in the world, in addition to being one of Seoul’s most famous landmarks. As part of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history and content of the tower’s design and conducted an analysis by dividing the tower’s formative design elements into three types based on reference materials and various reports and press releases.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bjectives of cultural products that are sold at tourist destinations such as symbolic buildings or important landmarks. Third,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researches were selected by limiting them to cultural goods that used Lotte World Tower’s architectural design as a motif and cultural goods sold at the Seoul Sky Observatory, that occupies the 117th to the 123rd floors of the tower.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evelopment reports, product catalogues, field studies, and related news artic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of cultural products that use architectural design motifs: these products can be continuously used in real life by using content descriptions or symbols while excluding existing souvenir images as much as possible; additionally, this study showed that various striking visual expressions are a result of collaboration of product developers with designers and artists. The present study aimed to theoretically systemize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hat utilize the aesthetic beauty and architectural design of Lotte World Tower, and to present the potential of creating high-value cultural products. 본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고 세계에서 5번째 높은 건물이며 서울의 대표 랜드마크 중 하나인 롯데월드타워의건축 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결과를 탐구하여 건축물을 모티브로 한 상품개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첫째, 타워의 건축 디자인 연보와 내용을 살펴보고, 타워 건축물의 조형적 디자인 요소를 참고문헌과 각종 보고서 및보도자료 등을 바탕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둘째, 상징건물이나 명소 등의 관광지에서 개발하여 판매하고있는 문화상품의 개발 목적과 초고층 건물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 개발사례를 살펴보았다. 셋째, 타워 전망대인 ‘SEOUL SKY’에서 개발하여 판매하는 문화상품 중 롯데월드타워 건축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개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연구자의 상품개발 과정 자료와 대외에 공개된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타워의 건축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특징은 콘텐츠 설명이나 상징적 요소를 활용하면서 기존 기념품의 이미지를 최대한 배제하고, 실생활에서도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디자이너 및 작가와 협업으로 다양한 시각적 표현이두드러진다는 점이었다. 본 연구는 롯데월드타워와 건축디자인의 조형미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결과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함과 동시에 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일본 제품디자인을 통한 「문화상품 다움」 디자인 연구

        유홍택 ( Hong Taek Yo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4 No.-

        일본은 ‘네오 재패니스크(Neo Japanesque)’ 전략을 활용한 상품 및 공간 100선을 2006년 발표했다. ‘일본다움’을 강조하는 전략으로 패션 · 디자인 · 자동차 · 테마파크 · 문화상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제품이나 공간을 통한 일본문화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한 정책이다. 상품에서 문화적 이미지를 표면적으로 입히는 시대에서 벗어나, 일상 제품을 통한 고유문화나 민족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한 전략이다. 전근대적인 문화상품에 대한 인식과 유통구조, 낙후한 디자인, 마케팅 전략의 부재에서 벗어나 문화상품을 통한 우리 고유문화의 재발견을 통해, 가치를 높여 갈 문화상품 산업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지방정부가 전문 디자이너와 경영자, 지역의 학자 등 ‘문화연대’를 통해 지역의 가치와 도시의 브랜드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과 다양한 기회를 만들어 가야 한다. 상품이나 공간에 스토리텔링과 독특한 문화의 거리를 조성하고 상설 전시ㆍ판매와 프리마켓 운영과 지역 축제와 함께 연계 하는 모델이 있어야 한다. 제품이나 공간 등 생활 속에서 문화의 우수성을 느낄 수 있도록 문화상품 디자인과 축제나 박람회를 통한 다양한 문화 체험 및 홍보 효과가 극대화 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 고유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체험 할 수 있는 ‘문화상품다움’를 통해 자긍심과 홍보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모델이 있어야 한다. The 100 selection from goods and spaces utilized strategy of "Neo Japanesque", Japan announced in 2006. "Neo Japanesque" is strategy that emphasizes Japanese quality of various fields such as fashion, design, cars, theme parks, cultural products. It is a policy of promotion for excellence in Japanese Culture through goods and spaces. This strategy is that promote the nation`s unique culture and excellence of the ethnic throughout the era of perfunctory cultural images on goods. A cultural goods industrial policy, which adds value to go through rediscovery our own culture and stay away from past cognitions, distribution structure, outdated design and absent of marketing strategies. In particular, local government should supports and give chances for professional craft designers and managers, scholars as a local cultural solidarity. Need an associated model which is create unique cultural roads on spaces and combine storytelling with goods operate a permanent exhibition and open flea markets as well as regional festivals. "quality of cultural design" and festivals in ordinary life improve the effect for variety of cultural experiences and promotions. The model should be maximized through the ``quality of cultural products`` that naturally organized in our own culture.

      • KCI등재

        전통 문양을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 - 가방 디자인을 중심으로 -

        조영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6 No.-

        The Word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have become a trend, and as each country’s national economy is integrated into the world economy, developing products with cultural identity has become an important matter to create a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In the 21st century, expressed as an age of culture beyond the ecpnomy age, culture becomes an important medium for the nation’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o research on commercializing Korean culture has become a necessary task at this time when Korean culture is becoming more popular and active in the global market. In this study, bag design was developed and produced as a cultural product us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 To do this, first, this study researched at the exact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roducts and traditional patter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and the meaning of traditional pattern which used in this study. Second, it developed a new pattern using traditional pattern and transformed it into a new fabric by reprinting it on a Korean traditional garment material ‘judan’ with silk screen printing. Third, the bag design was developed and made as cultural products that fit the trend and add practicality using the redesigned fabric. Through this, the researcher hope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creating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by reinterpreting Korea’s traditional pattern and materials in modern times and developing bag desig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lifestyle of modern people. 세계화, 국제화, 글로벌화라는 단어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각국의 국가 경제가 세계경제로 통합되면서 문화적 정체 성을 가진 상품을 개발하는 것은 세계시장에서 국가 경쟁력을 만드는 중요한 사항이 되었다. 경제의 시대를 넘어 문화의 시대로 표현되는 21세기에서 문화는 국가의 국제 경쟁력을 갖추게 하는 하나의 중요한 매개체가 되기 때문에 한국문화가 세계시장에서 주목을 받으며 활동 반경을 넓혀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문화를 상품화하는 연구는 필요한 과제가 되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문양을 이용하여 문화상품으로 가방디자인을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화상품과 전통문양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특징, 한국의 전통문양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전통문양 의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전통문양을 이용한 새로운 패턴을 개발하고, 이를 실크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하여 한국 전통 의 복 소재인 주단에 리프린팅함으로써 새로운 패브릭으로 변형시켰다. 셋째, 리디자인한 패브릭을 이용하여 트렌드에 맞고, 실용성이 가미된 문화상품으로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자는 한국의 전통문양과 소재를 현 대적으로 재해석하고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가방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상품 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이미지의 재해석을 통한 콘솔디자인 개발 연구 - 생활용 가구 제품 개발을 중심으로

        최진식,김미자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Whil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products seems to increase, various product development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the situation is similar, and it is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changes in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ole design that reflects the traditional culture as a modern image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s. The scope of the study is focused on the functional aspects that give convenience of life and the consol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image that also serves as decorative elements.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the process of console furniture development, centering o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reinterpreted traditional Korean images. In this study, first, as an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image, I extracted curvilinear, which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applied smooth and simple curve image to the upper part of the console. Second, I applied the design to the motif of architectural structure. The Kongpo of Korean architecture(connecting the pillars and the roof), the image of the column,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images and reflected in the console design. Third, cloud pattern is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f console table as a detailed expression element in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this way, I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image and applied it to the console design as a basic element of the work, and produced three kinds of console furni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reinterpret Korean traditional images and to develop and propose modern products using them, and it is necessary to pursue more efforts for various products in the future. 한국 전통문화와 상품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다양한 상품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다. 전통공예 산업에 있어서도 사정은 이와 비슷하여 현실적으로 국내외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전통문화가 현대적 이미지로 반영된 콘솔디자인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생활 의 편리함을 주는 기능적 측면과 함께 장식적인 요소로서도 역할을 하는 콘솔디자인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핵심부 분은 디자인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사례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콘솔디자인의 기본적 구조는 기존의 콘솔의 범주에 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확보하도록 하였으며 시각적, 장식적 디자인은 한국 전통적인 이미지에 부합시 켜 디자인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로서 첫째, 한국의 전통미 가운데 하나인 곡선미를 추출하여 콘솔의 상단부분에 부드럽고 단순한 곡선이미지를 적용하였다. 둘째, 건축적인 구조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에 적 용하였다. 한국 건축의 공포(기둥과 지붕을 연결하는 부분)이미지, 기둥 모양, 그리고 창살의 구조를 활용하여 한국의 전통이 미지로 해석하고 콘솔디자인에 반영하였다. 셋째,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 구름문 문양을 세부 표현 요소로 하여 콘솔 테이블의 장식요소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에서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작품의 기본 요소로서 콘솔디자인에 적용하 여 3종류의 콘솔가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이미지를 재해석하고 이를 적용한 현대적인 상품을 개발하여 시작품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상품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회원기고 : 자수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김명준 ( Myung Joon Kim ),김현욱 ( Hyun Wook Kim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8 No.-

        문화상품이란 자국의 문화·역사적 요소 및 자원에 현재의 시대적 조건에 맞는 심미적 요소와 첨단 산업기술을 복합적으로 투입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동시에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문화가 총체적으로 응집된 상품을 뜻하며, 고부가가치 창조형 산업이면서 자국 문화의 고유성 및 특성을 세계의 보편문화와 조화롭게 결합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제작자의 전문성 및 창의력이 상품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작용하는 지식창조형 산업이다. 따라서 그 어느 산업보다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 및 고도의 문화 창조능력이 요구되는 21세기 유망 성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상품에 대해 국가정부 차원에서의 인식 수준은 높으나 민간 자본의 유입과 협력관 계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반 구축은 미흡하다. 또한 서구의 상품 아이템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상품 개발이 추진 되고 있으며, 수공예적인 유사예술상품 및 지역토산품, 관광기념품 중심으로 상품이 개발되는 등 유용성과 경제성 중심의 신상품 개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전통 자수는 우리의 사상과 미의식이 투영된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차별성 있는 문화로 산업화하지 못한다면 국제경쟁력 시대에 대응하지 못하고 상실될 수도 있다. 중국과 영국의 도자기, 일본의 칠기 등과 같이 우리의 전통 자수도 우리 시대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문화상품으로 생산하여 발전될 수 있도록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Cultural Goods is a complex creating economical added value combining country`s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 with aesthetic element and industrial technology. Cultural Goods is not only a high value creative industry, but also a knowledge-creative industry creating new value combining country`s own cultural identity and uniqueness to the world. Therefore it`s a twenty-first century`s promising growth requiring cutting edge software technology and high-degree cultural creative ability than any other industries. Korea has a high level in national governmental cognition to cultural goods, but establishing foundation to private capital`s inflow and fostering of conciliation is insufficient. Product developments are being also promoted in the stage of imitating western items, and new-product development in financial-centrical aspect is very short due to product development focusing on handicrafted similar works of art, regional local products, tourism souvenirs.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is our valuable cultural heritage projecting our though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Without being industrialized with differentiated culture, it could be lost without counteracting to international competitive period. We have to develop our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as Cultural Goods fit to our period like ceramics of China and England, wooden lacquerware of Japan, etc.So we have to study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can be produced and developed as globally excellent Cultural Goods.

      • KCI등재후보

        전통문화상품 성공디자인 연구

        이하영 ( Ha Young Le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3 No.-

        전통문화상품의 대중화와 글로벌화, 현대화를 위한 디자인경영이 필요하며 소비자 요구를 접목한 공예상품으로의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전통문화상품은 제품디자인을 통한 감성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고 국내외 고객에 감동을 줄 수 있는 혁신적 디자인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한국 고유문화의 이해를 통한 디자인은 전통문화상품에 대한 인식 제고와 시장 쉐어 확장으로 표출될 것이다. 공예문화상품은 관광기념품, 생활용품, 장식품 등으로 지속적 수요창출이 가능하며, 새로운 소재 및 상품의 개발로 성장이 유망하다. 그러나 현재 전통적인 수공업 위주로 제작되고 있으며, 자체홍보물 제작이나 공동전시회 등을 통한 국지적 홍보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생산과 유통의 전문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먼저 수요층이 정확히 파악된 시장성을 예측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와 트렌드에 부합되는 전통문화상품을 디자인하고 개발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는 고품질 상품개발로 안정성과 확산을 높이는 제품디자인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다. Design management is needed for the popularization, globalization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goods. We must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as cultural crafted products which are grafted consumer requirements. Traditional culture goods need to developed the innovative design that can maximize emotional marketing effects, create an impression to domestic and foreign customers. Desig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Korean native culture will be expressed to awareness-raising in the traditional culture goods, expansion of the share of market. Cultural crafted products can create a continuous demand by a tourism souvenir, household item and decoration. Also they are promi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products. But they are greatly required to specialize in production and circulation because they are produced by conventional manual industry and publicized locally, for example its` promotional materials and joint exhibitions. First, we must design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goods which are corresponded to consumer`s purchasing need and trend by assessing the needs and tastes of the new consumers. And then we must create added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goods through the product design development.

      • KCI등재

        몽골 울란바토르 도시 랜드마크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간체첵 ( Ganzurkh Gantsetseg ),윤수인 ( Yoon Su In ),박혜신 ( Park Hae Shi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최근 몽골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으며 문화상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 도시의 정체성을 담은 랜드마크를 활용한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에서 랜드마크와 문화상품의 정의하고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첫째, 몽골 문화상품 중심으로 한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둘째, 몽골 문화상품의 종류는 주로 문방 소품, 장식품, 패션액세서리들이 주를 이루었고, 부엌 소품, 생활 소품 같은 경우에는 사례가 미비하였다. 그러나 한국 문화상품은 부엌 및 생활소품을 포함한 사례와 종류가 다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작품 제작은 설문조사를 통해 울란바토르 랜드마크 2개를 도출하여 트렌드 및 컬러를 반영하였고, 선행연구에서 국내에 가장 많은 문화상품사례 종류인 문방 소품과 생활 소품을 선택하여 2세트의 디자인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상징성이나, 인지도 등에 적합한 몽골 울란바토르의 랜드마크를 수집 할 수 있었고, 이국적 정서를 그리워하는 국내인들을 위한 디자인 시안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어질 후속 연구에서는 디자인 시안으로 제시된 것들이 실제 시제품으로 제작되어 소비자조사를 통한 발전 발향이 논의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몽골을 소재로 디자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선행연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number of tourists to Mongolia is increasing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cultural products are also increasing.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develop Mongolian cultural products by using landmarks those represent the identity of Ulaanbaatar, the capital city of Mongolia. First of all, after defining landmarks and cultural products i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alyzing previous studies, first,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made on Mongolian cultural products. Second, the main cultural products of Mongolia were only stationery items, decorations, and fashion accessories however kitchen and lifestyle items were limited. Whereas Korean cultural products have various typ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kitchen and lifestyle products. Furthermore, two sets of design have developed on two landmarks of Ulaanbaatar which were selected through a survey, reflected trends and colors, and products are stationery and lifestyle items which are most common types of cultural products in Korea identified by the previous studies. Through this study, it was able to collect landmarks of Ulaanbaatar, Mongolia and learn about symbolism and significance of each landmark and could derive various designs for those who are missing spirit of Mongolia. During follow up study, we hope that draft designs will be produced in prototypes in a market and developed through consumer surveys, helpful for researchers who are studying design about Mongolia.

      •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현대 문화 상품의 지역성 특징에 관한 연구

        포내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1 No.-

        문화 소비의 고도화와 사용자의 요구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대적 배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제품 디자인의 원칙 적용은기초적 진행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사용자와 문화 체험에서 문화 상품 수요의 특성상 지역별 시각에서 문화 상품의 분석설계와 판매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는 환경이 요청된다. 본문의 연구에 실증적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의 지역적 특징과 문화 상품 설계의 방식, 척도 및 융합의 미에 연구를 전개한다. 지역 문화 상품 설계는 대상 사용자의경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디자인 원칙과 과학적 통계 방법을 사용한다. 이 연구는 대상 사용자의 문화 경험 요구를수집해야 한다는 설계 포지셔닝(Positing) 원칙을 확정했다. '사용자 중심'을 전제로 대상 사용자의 문화 경험 요구에 따라디자인의 다양한 단계에서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문화 상품을 디자인하는 전략을 결정한다. 대상 사용자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지역 문화와 문화 상품을 디자인으로 소통해야 한다. 문화 상품 디자인은 이미지를통합 및 변형하고 문화 상품의 문화적 차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사용자의 소비 행동을 제고하는 것이 현대 문화 상품의 가치와 의의이다. 본고의 연구 성과는 현대 문화 상품의 디자인과 지역 문화의 전승과 발전에 새로운 사고방식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