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류 5.0 시대를 위한 한복문화 정책과 전략

        윤양노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3

        The status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has been growing and the color and design also have been diversifying due to the national policies, such as Han-style and Han Brand, the K-drama and K-pop in the 21st century.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Hanbok) has been already settling as tradional Korean costume culture, not remaining as just ‘traditional Korean costume’ that is a dress code for Korean’s identity. This study aimed at dividing the policy for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and the strategy for the policy of the generation from K-1.0 to K-4.0 into 3 periods, plan formation period, developing period and maturing period and reviewed them. With this, we tried to help establishing the policy and strategy for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in K-5.0 generation. Since the policy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started in 2012, the policy of it has got the significant result. Especially, according to the policy from 2014 to 2016, 50 projects were progressed and 58% of them were conducted in 2016. Until 2017, the conduct of the policy of traditional costume was actively progressed in the local levels of government rather than Seoul, it was the one-time events or culture event of experience for wearing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with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eas. For activating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the project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has to be grown together. In 2018, as seeing the projects relat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that was conducted in Seoul, there were many different features such as creating new jobs, industrial activities and enjoying culture. Most of all, for leading developmentally and stably traditional Korean costume, the government needs to make a law on the promotion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 training Hanbok Culture Leader and establishment of Hanbok larchiveum. The support policy of empowerment from Hanbok Advancement Center that can be a role as a platform for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and to settle the stage for conducting a successful policy. 한국 전통의상의 위상이 커지고 색채와 디자인도 다양해지고 있는 것은 21세기 한식과 한브랜드, K-드라마, K-pop 등 국가정책 때문이다. 한국 전통의상(한복)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위한 복장규정인 '전통 의상'에서 그치지 않고 한국 전통의상 문화로 정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의상 문화 정책과 세대 정책 전략을 K-1.0에서 K-4.0까지의 3개 기간으로 나누어 계획형성기간, 개발기간, 성숙기간으로 나누어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K-5.0세대에서 한국의 전통 의상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12년 한국 전통의상 정책이 시작된 이래 그 정책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정책에 따라 50개 사업이 진행됐으며 이 중 58%가 2016년에 이루어졌다. 2017년까지는 서울보다는 지방차원에서 전통의상 정책행사가 활발히 진행되어 지역 간 차이 없이 한복을 입는 체험행사나 문화행사가 이루어졌다. 한국의 전통 의상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국 전통의상 프로젝트가 함께 성장해야 한다. 2018년 서울에서 진행된 한국 전통의상 관련 사업에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 산업활동, 문화 향유 등 다양한 특징이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발전적이고 안정적으로 한국 전통의상을 선도하기 위해, 정부는 한국의 전통 의상 문화 진흥, 한복 문화 지도자 훈련, 한복 라비폼 설립에 관한 법률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복선진화센터의 역량강화 지원정책은 한국의 전통 의상 문화를 발전시키고 성공적인 정책을 펼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성인 기성복 패션한복 브랜드의 스타일 유형에 관한 연구

        윤소정 한복문화학회 2023 韓服文化 Vol.26 No.2

        This study aim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fashion-hanbok market, which has been evolving and expanding in new areas since the 2010s, and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growth of Hanbok brands. Over the past decade,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news articles about hanbok brands collected from the Naver, a search engine developed in Korea. Based on the style and price range of the brand products, 112 dominant brands were selected, and a positioning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ed in four significant brand groups in the fashion-hanbok market,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The first group, "high-end designers," provides creative ideas to the fashion-hanbok market. The second group, "casual women's hanbok," is led by star designers and attracts social attention. The third group, "casual men's clothing," is newly formed and expected to create a new market with various designs such as "hip hop," "easy wear," and "formal wear." Finally, the "basic hanbok brands" group is expanding the fashion-hanbok consumer base and market size. The fashion- hanbok trend has gained strength through collaborations with popular culture and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Newtro" trend. Many fashion-hanbok brands are using genderless product strategie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narrow target marke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ffline-based distribution strategies, online and offline select shops dealing with various hanbok brands have been attempted, along with short-term events such as pop-up stores and flea markets. Crowdfunding has also provided valuable sales opportunities for new brands. Changes in communication message strategies have been observed, with messages focusing on "Newtro," "Hip Trend," and "Eco-friendly, Naturalism" appealing to young consumers. 본 연구는 2010년대 이후로 새로운 영역을 형성하고 분화하고 있는 패션한복 시장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한복 브랜드의 성장 방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 최근 10년 간 포털사이트에서 검색되는 한복 브랜드 관련 뉴스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주요 유통 채널에서 가시성 높은 브랜드 112개를 선정하고, 해당 브랜드 상품의 스타일과 가격대를 기준으로 포지셔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패션한복 시장에서 유의미한 브랜드 집단 4개가 도출되었고, 뉴스 내용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그 특성을 해석하였다. 첫째, ‘하이엔드 디자이너’ 영역의 브랜드들이 패션한복 시장에 창의적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고, 둘째, ‘캐주얼 여성 한복’ 조닝에서 스타 디자이너들이 사회적 관심을 끌며 트렌드를 견인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뒤늦게 형성되고 있는 ‘캐주얼 남성복’ 조닝에서 ‘힙합’, ‘이지웨어’, ‘포멀웨어’ 등 다양한 디자인이 시도되고 있어 새로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마지막으로, ‘베이직 한복 브랜드’들이 패션한복 소비층을 넓히고 시장 규모를 확대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니아 층에서 시작된 패션한복 트렌드는 대중문화와 협업하며 큰 힘을 얻었고, ‘뉴트로’ 트렌드의 긍정적 영향도 받고 있다. 현재 많은 패션한복 브랜드가 좁은 타겟의 마켓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젠더리스 제품 전략을 취하고 있다. 타겟층이 좁아 오프라인 기반 유통 전략은 고비용으로 효율이 낮고,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한복 브랜드를 취급하는 온·오프라인 상의 편집샵이 시도되거나, 단기 행사인 팝업스토어 및 플리마켓 방식이 활용되어 왔다. 여기에 최근에는 크라우드펀딩이 새로운 브랜드에게 유용한 판매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전략의 변화도 관찰되어, 2000년 이전의 생활한복은 ‘전통의 소중함’을 중점적으로 소구한 반면, 2000년 이후로는 ‘뉴트로’, ‘힙한 트렌드’, ‘친환경, 자연주의’ 메시지로 젊은 층에 소구하고, 이것이 소비자 확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한복 디자인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미숙,정경희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t opin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Hanbok and fashion experts as an exploratory survey to build an online platform for mass customization Hanbok Design. For this stud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12 Hanbok and clothing specialists to find out the mass customization of Hanbok design and online platforms and the requirements for a competitive platfor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experts recognized that the Hanbok ha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ized, while Hanbok education, mixed terminology, recognition as special clothing, and negative prejudice were still problems. Moreover, experts on how to develop Hanbok culture and industry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wearable environment that the Hanbok can be worn on a daily basis, develop practical design, and diversify sales strategies. Also, experts generally think that the Hanbok industry needs an attempt to develop an online platform for strategic mass casemade Hanbok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consumers' customized design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design practical product designs, while considering a reasonable target age group for 20-30s, a reasonable price, easy and efficient interface, and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ere should be an active and concrete solution to the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ss customization Hanbok design online platform to be conducted in the follow-up study. The mass customization Hanbok Design online platform through this process can be utilized as a methodological guideline for user-oriented design implementation and fashion interface construction through theoretical planning and practical verification of holistic perspective. It will then be possible to build a Hanbok brand in response to the market environment of the creation and market 4.0,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Hanbok culture and industry. 본 연구의 목적은 대량 맞춤 한복 디자인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로서 한복 및 패션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번 연구를 위하여 한복 디자인 및 온라인 플랫폼의 대량 맞춤화, 경쟁력 있는 플랫폼의 요건 등을 파악하기 위해 한복 및 의류 전문가 12명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들은 한복이 점점 대중화되었다고 인식했고, 한복 교육, 혼합 용어, 특수 의복으로 인식, 부정적인 편견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더욱이 한복 문화와 산업 발전 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은 한복을 일상적으로 입을 수 있는 웨어러블 환경 조성, 실용적인 디자인 개발, 판매 전략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한복 업계가 소비자의 맞춤형 디자인의 필요에 따라 전략적인 대량 한복 디자인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개발하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2030세대의 합리적인 목표 연령대, 합리적인 가격대, 쉽고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소비자와의 다방향 커뮤니케이션 등을 고려하면서 실용적인 제품 디자인을 신중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그 문제에 대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해결책이 있어야 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후속연구에서 실시될 대량 맞춤 한복 디자인 온라인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를 통한 대량 맞춤 한복 디자인 온라인 플랫폼은 이론적 기획과 전체적인 관점의 실용적 검증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구현과 패션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방법론적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어 창조와 시장 4.0의 시장 환경에 대응한 한복 브랜드 구축이 가능해지고, 한복 문화와 산업의 발전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복 속치마 디자인 개발 연구

        김지연,김혜란,구영미,홍나영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4

        Undergarment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as outer garments because undergarments are worn in direct contact with skin and create shapes and silhouettes. Women’s undergarments create the reversed curved pot shape of the traditional formal dress. After the 1920s, however, undergarment has been simplified. Thus an underskirt had a vest, which is called Jokki-heori, attached to a waistline of a skirt. The current underskirt is worn beneath the traditional Hanbok to add volume to a skirt and is constructed with a wide, stiff layer. This underskirt cannot create a natural silhouette and cannot make the shape of traditional Hanbok. In addition, it is uncomfortable and hard to maintain because of the properties of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 level of comfort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Hanbok silhouette, and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maintaining the traditional beauty of Hanbok in a world of rapid change. Therefore, two underskirts for a traditional Hanbok and two underskirts for a contemporary Hanbok were designed. The concept of Baekbi, which is used to build the shape of Daesyum-chima(underskirt), incorporated a horsehair petticoat to improve functionality, comfort, care, and maintenance.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traditional Korean Hanbok as well as the traditional Korean underskirt.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ing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underskirts for Hanbok. 속옷은 예로부터 몸에 직접 닿게 입는 옷이자, 겉옷의 형태를 결정하였기 때문에 겉옷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여성의 전통 속옷은 모두 갖춰 입으면 상체는 좁고, 하체는 항아리를 엎은 듯 풍성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이 완성된다. 그러나 시대가 흐를수록 속옷도 변화하여 1920년대 이후 조끼허리가 달린 통치마 형태의 속치마로 간소화 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속치마는 전통 한복에 주로 착용되면서 폭이 넓은 빳빳한 소재를 여러 단 넣어 한복 치마에 볼륨을 주는 역할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속치마는 실루엣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속치마 하나만 착용하는 것으로 전통 한복의 형태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다. 그리고 너무 뻣뻣하거나 꺾이는 소재와 부자재의 사용으로 착용 및 관리가 불편하고, 무겁고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에도 좋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속치마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전통 한복의 실루엣을 유지하면서도 편안하게 착용 가능한 기능성을 갖춘 한복 속치마를 개발하여 현대의 빠른 변화 속에서도 한복의 전통미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전통한복에 착용할 수 있는 속치마 디자인 2점, 생활한복에 착용할 수 있는 속치마 2점을 디자인하였다. 대슘치마의 형태를 유지하게 해주는 백비에서 착안하여 서양의 드레스에 볼륨을 주는 것으로 사용되는 호스헤어(Horsehair) 소재를 속치마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호스헤어를 사용한 속치마 디자인은 기존 한복 속치마의 문제점을 개선, 보완하여 전통 실루엣을 살리기에도 적합하고 착용과 보관, 휴대가 편하도록 고안되었다. 현재 전통한복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현시대에 맞게 기능성과 심미성을 모두 갖춘 한복 속옷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앞으로의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조선시대 깃 없는 전통배자를 응용한 생활한복 배자 디자인

        이인선,김정아 한복문화학회 2023 韓服文化 Vol.26 No.3

        1900년대 말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서 전통한복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형하려는 시도가 지속되어 왔다. 이후 서양복이 일상화되면서 사람들이 한복을 입는 일이 많이 줄어들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생활한복’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는데, 처음 생활한복 브랜드가 만들어지던 시기에는 젊은 층의 관심은 거의 받지 못했다. 2000년대 이후 전통한복의 구조를 과감하게 변형하고 다양한 소재와 문양을 활용하는 생활한복 디자인이 한복 시장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과 SNS를 통한 새로운 유통채널이 생기면서 생활한복 브랜드의 신진 디자이너들의 활동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전통한복의 요소를 패션 트렌드와 결합하는 시도는 한류열풍과 더불어 전 세계의 관심을 받으며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한복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복식의 하나인 배자를 활용하여 생활한복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의 깃이 없는 형태의 배자를 활용하여 6개의 생활한복으로 디자인하였다. 깃이 없는 배자는 받침옷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연출할 수 있다. 생활한복 배자의 주요 소재는 전통소재인 모시와 노방을 사용하였고, 린넨과 견직물을 부분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전통소재의 일부는 천연염색으로 색상을 연출하였으며 함께 사용한 소재의 색상은 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상으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생활한복 배자 디자인과 이를 다른 옷과 함게 스타일링하는 활용법을 제안하였다. 소재의 특성상 겨울에 착용이 어렵고, 부분적으로 매치한 천연염색 소재는 색상이 아름답지만 희소성있는 원단이라는 점에서 넓은 면적에 사용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의 품목을 확장하고, 다양한 활용법을 제시할 계획이다.

      • KCI등재

        찾아가는 한복문화 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병화(Lee Byoung-Hwa),이주원(Lee Choo-Won) 한복문화학회 2016 韓服文化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ultural life of future generation from ceremonial hanbok culture, throug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campaign named “The vanishing culture of hanbok” This program was developed, forming a sort of play, by extracting core contents of the ceremonial clothes in previous research and making stories, which consist of many steps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based on clothes such as birth-dress, first birthday dress, custom dress, wedding dress, 60th birthday dress, funeral dress, ritual dress and added childhood clothes because childhood is the period of most frequently wearing hanbok present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elementary school 3~4th grade students and this life-ceremonial program was carried out integrally and abbreviately in the whole frame due to a time limit only one school period. Each participant carried on a game mission in a group and the group experienced the rule of courtesy in relation to the ceremony. After this experience, reaction test report of all participants and teaching plan were suggested. The expected effect of this program is to alleviate refusal of wearing hanbok by this childhood experience and improve the dignity of ceremony through succeeding hanbok culture by encouraging each person to wear hanbok at home ceremony and transmit the life-ceremonies as a life culture through the generations by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디자이너 이리자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한복디자인의 변화에 대한 연구

        황의숙(Hwang Eui-Sook) 한복문화학회 2009 韓服文化 Vol.12 No.2

        In this study, influences, achievements, and art works of a traditional Hanbok designer, Lee Rheeza, who established the modern traditional Hanbok style,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her designs in accordance with periodic changes. Her major achievements on the traditional Hanbok design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s: (1)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Lee Rhee za type Hanbok patterns by creating silhouettes like western dresses, (2) development of displaying techniques by using Hanbok mannequins, (3) first holding of Hanbok fashion shows, and (4) leading of the modern Hanbok fashion. According to the periodical Hanbok design analysis, in 1970's, Lee Rheeza type Hanbok patterns were initially developed, and modern Hanbok fashions were popularized by the overall change in Hanbok style, while the A-line silhouette combined with ornaments was adapted to Hanbok in order to express women's beauty in 1980's. After 1990's, traditional women's beauty with slow and soft flowing was more emphasized by the simplification of the skirt style. Modern Hanbok has been well established by the design change based on efforts of a Hanbok designer, Lee Rheeza, and its position can be achieved as our traditional folkdress by offering standard patterns adapted to the modern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신라와 중앙아시아 황금문화 유사성 -잉카 황금문화로의 그 유사성 확장에 대한 시론적 연구-

        권현주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1

        In this study I mainly focus on similarities of ancient gold culture among Shinla, Central Asia and Inca. I first raise a question as to how golden relics such as Gold-filigreed Sword and gold crowns which were widely attributed to the West including Rome and Central Asia could have been found in Shinla located in the end of the Far East. In answering this question, I advocate the hypothesis that those relics were as a result of migration of particular groups. This is based on the claim that the northern gold culture had been introduced to Shinla by Xiongnu over a few different periods of time in the history and further gorgeously reincarnated in Shinla by collaboration of the moved Xiongnu with elaborated skills and the Shinla people with creativity. I then extend discussion on the observation that the gold culture of Inca in South America also has interesting similarities with that of Shinla-Central Asia together with other relics. Considering that humans had moved from Asia to America over various periods of time since BC 10,000 or earlier, I make a preliminary claim that the similarities in question support the above hypothesis; that is, the Inca gold culture resulted from migration of particular groups. However, also noting some variances in gold cultures between the two continents, perhaps due to different climatic and geographical conditions, I leave them for future study.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주로 신라, 중앙아시아, 잉카 사이의 고대 금 문화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나는 우선 로마와 중앙아시아 등 서구에 널리 귀속되었던 금제검, 금제관 등 황금유적이 극동 말기 신라에서 어떻게 발견될 수 있었는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 질문에 답을 하면서, 나는 그 유물들이 특정 집단의 이동의 결과라는 가설을 지지한다. 이는 역사상 몇 가지 다른 기간에 걸쳐 시온누에 의해 신라에게 북방 금 문화가 소개되었고, 정교한 기술을 가진 움직이는 시온누와 창의력을 가진 신라족의 협동으로 신라에서 더욱 화려하게 환생했다는 주장에 근거한다. 그리고 나서 나는 남아메리카의 잉카의 금 문화도 다른 유물들과 함께 신라-중앙아시아의 금 문화와 흥미로운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는 관측에 대해 논의를 확장한다. BC 1만 년 이전부터 여러 기간에 걸쳐 인간이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이주해 온 것을 고려하면, 나는 문제의 유사성이 위의 가설을 뒷받침한다는 예비 주장을 한다; 즉 잉카 금 문화는 특정 집단의 이주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또한 기후와 지리적 조건이 다른 탓인지, 나는 두 대륙 사이의 금 문화의 일부 분산에 주목하여, 그것들을 향후 연구를 위해 남겨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