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청소년 대상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

        박선희,김정희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2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연구배경] 현 시대의 청소년은 미디어 포화 환경 속에서 생활하며,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주류 광고 및 음주 장면과 같이 음주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미디어 메시지에 빈번히 노출되고 있다. 다수의 선행 연 구는 청소년이 음주 미디어 메시지에 노출되는 경우, 음주 위험성이 높아짐을 제시하고 있다. 긍정적 음 주 메시지로 인한 부정적 영향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한 대안으로, 국외에서는 청소년의 음주 관련 미디 어 메시지를 분석·평가하는 비판적 사고 능력인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Alcohol media literacy)’를 제시한 후,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청소년기 음주 예방을 위한 전략으로 활용한 후 음주 예방 효 과를 활발히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선행 연구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국내 청소년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측정을 위한 도구 또한 부재한 실정이다.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도구를 개발한 후 도구 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측정 도구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개념 및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1차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와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 5인으로부터 개발된 문항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도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2차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셋째, 고등학생 10명을 대상으 로 인지 면담을 시행하여 2차 예비 문항 의미의 명확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및 강원도 지역에 소재한 9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748명을 대상 으로 2021년 7월부터 약 1달간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전체 표본을 무작위 로 2개의 표본으로 나누어, 300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문항분석(Item analysis)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 하여 우리나라 청소년 대상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도구를 개발하였다. 다음 단계에서, 나머지 448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도구의 적합성 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체 표본(N = 748) 또는 평생 음주경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신뢰도와 추가적인 타당도 검정을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개발된 도구의 내적 일관성 수준 확인을 통해 신뢰도를 검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로 측정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와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 한국형 일반적 미디어 리터러시, 문제음 주, 음주규범(부모/친구/선생님의 음주 허용도 및 대상자가 생각하는 음주하는 친구의 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추가적 타당도 검정을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및 영과잉 음이항 회귀분석(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63개의 1차 예비 문항에서 의미가 중복되는 문항의 제거와 전문가의 의견에 따른 일 부 문항의 삭제 또는 수정을 거쳐, 40개의 2차 예비 문항을 도출하였다. 40개 문항의 평균 I-CVI는 0.865 로 나타나, 내용타당도 기준의 충족을 확인하였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40개 문항에 대한 인지 면담을 시행한 결과, 학생이 40개 문항을 명확하게 이해함을 확인하였다. 다음 단계에서 문항분석을 통해 탐색 적 요인분석에 부적합한 일부 문항을 제거한 후, 21개 문항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요인 적재값이 0.40 미만이거나 공통성이 낮은 4개의 문항을 최종적으로 제거한 후, 1개 요인으로 구성된 17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개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도구의 적 합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7문항 모두 요인 적재값은 0.50 이상이었으나 모형 적합도의 일부 기준 미충족으로 인하여 수정지수에 기반한 모형 수정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재실시하였다. 재분석 결과, 1개 요인 17문항으로 구성된 도구의 모형적합도가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하 였다(CFI = 0.962, TLI = 0.955, RMSEA = 0.049, SRMR = 0.036).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로 측정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와 미디어 비판적 이해능력 및 한국판 일반적 미디어 리터러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각각 0.72, 0.70로 조사되어 본 도구의 수렴타당도가 만족스러움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으로, 본 도구와 문제음주 및 음주규범(부모/친구/선생님의 음주 허용도와 음주하는 친구의 수)와의 관계 를 분석하여 동시타당도를 검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평생 음주경험자를 대상으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와 문제음주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1점 증가하면 문제음주 위험성 (odds ratio = 0.61, p = .046), 대상자의 부모, 친구, 선생님의 음주 허용도(B = -0.16, p = .005), 대상자가 인식한 음주하는 친구의 수(incidence rate ratio = 0.86, p = .002)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나, 본 도구의 동시타당도가 만족스러움을 확인하였다. 최종 도구의 Cronbach’s alpha값은 0.917로 나타 나, 본 도구의 신뢰도가 만족스러움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준거 성취기준에 기초한 실과(기술·가정)의 기술영역 예시평가 도구의 개발

        진의남,임윤진,박수진,이광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평가준거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기술영역의 예시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의 평가준거 성취기준에 따라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에 관해 구체적인 안내하기 위한 예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평가준거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예시 평가도구를 개발 방향 및 평가도구 개발 지침에 따라 개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급별 개발한 문항은 초등 실과 4문항과 중학교 기술․가정 8문항으로 총 12문항이다. 둘째, 개발한 예시평가 도구의 유형은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용으로 모두 개발하였다. 지필평가는 선다형과 서술형을, 수행평가는 자기평가, 문제해결, 포트폴리오 형태로 개발하였다. 셋째, 지필평가의 제시 형태는 문항 개요, 평가 문항, 예시답안 및 해설, 채점 기준을 기본 형태로 하였으며, 수행평가의 경우에는 구체적인 문제 상황, 교수․학습 활동과 실제 평가 계획 및 각 활동 포트폴리오 양식을 제시하여 교사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물로서 제시되는 예시평가 도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실과(기술․가정)의 교사의 교수․학습 계획을 위한 참조자료로 활용되어야 하며, 개발을 위해 선정된 일부 단원외 의 다양한 평가도구들이 개발되어 확산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provide evaluation instrument examples for technology area of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achievement standard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arched for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evaluation item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is, we developed various items that meet the evaluation criteria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instrument samples developed were 12 items, 4 items for elementary school and 8 items for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Second, the types of the evaluation instrument samples developed were both paper-based evalu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The paper-based evaluation instruments were developed in the form of multiple choice and descriptive type.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developed in the form of self - assessment, problem solving, and portfolio type. Third, the evaluation instrument samples included the outline of the question, the evaluation item, the example answer and commentary, and the scoring criteria. In case of performance assesment, teachers can easily utilize by presenting specific problem situati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actual evaluation plan and each activity portfolio style. The evaluation instrument samples presen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uld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the teacher of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various evaluation instrument are required.

      • 느린 학습자 조기 진단을 위한 CRA 기반 수감각 검사도구 개발

        김자경,강혜진,서주영,장성욱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8 No.1

        느린 학습자는 경계선 지능의 아동으로서 지적장애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지적, 정서적, 적응기능에 있어서 경도 지적장애의 상위범주에 해당되며 전체 인구의 약 14%에 달한다. 이들은 추론능력, 논리력, 상위인지능력등의 결함을 보이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성취도가 떨어짐으로써 일반아동과의 격차가 커진다. 따라서 느린 학습자들의 학업의 문제를 조기에 파악하여 적절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조기에 학업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수감각인데, 발달 초기에 형성된 수감각은 이후의 수학 성취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따라서 느린 학습자의 수감각 특성을 구체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느린 학습자의 수감각을 조기에 진단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하다. CRA(Concrete-Representational-Abstract) 기법은 발달단계를 고려한 교수법으로, 이를 진단평가 과정 적용 한다면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계획 수립이 용이해 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달상의 지체를 보이는 느린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수감각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감각 요인별 특성을 고려하여 CRA 단계를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문항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CRA 기반 수감각 검사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CRA기반 수감각 검사도구의 문항을 개발한다. 둘째, CRA기반 수감각 검사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는 CRA기반 수감각 검사도구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방법을 설계하였다. 먼저 문항 개발을 위해서 수감각에 관해 연구한 선행문헌 및 누리과정 및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수인식, 수세기(순서대로 수세기, 일대일대응, 거꾸로세기), 뛰어세기, 수량변별, 수의미, 빠진 수넣기, 합성/분해, 셈하기, 규칙, 어림, 측정 등 11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별로 CRA의 단계를 분석하여 문항개발을 개발한 후,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다음으로 CRA 기반 수감각 검사도구의 타당화를 위해서 6~8세 237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수감각 및 수학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검사도구의 문항 적절성을 확인하고자 하위영역과 전체 점수 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수감각 검사의 하위영역과 수학성취도 검사 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해 먼저 문항개발 단계와 내용타당도 검증 단계를 통해 총 11요인 143문항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예비문항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하위영역 및 총점 간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나, 규칙에서는 다소 낮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예비척도의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나의 성분이 산출되었으며, 전체 설명변량은 61.35%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본 검사도구와 수학성취도 검사와의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모든 영영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나, 규칙과 측정은 다소 낮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측정과 어림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느린 학습자의 조기진단을 위한 CRA 기반 수감각 검사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타당한 도구라는 결론을 얻었다. 하지만 본 검사도구의 타당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과정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산출된 측정과 어림 요인의 측정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수정 및 재검증 과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Web기반 ERP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백엔드 개발도구의 유용성 연구

        정훈,이강수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2

        최근 ERP 시스템이 Web 환경으로 변화하고 업무의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프로젝트의 실패위험이 증가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로우코드 플랫폼 개발도구가 활용되고 있으나 UI 중심이라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프론트개발 뿐만아니라 ERP 개발과정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개발소스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백엔드 비즈니스 서비스까지 쉽고 빠르게 개발이 가능한 백엔드 개발도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 ERP 제품 내에 포함된 개발도구는 초급개발자 및 중급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진입장벽이 높아서 많은 학습시간이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쿼 리 작성 시간 단축, 서비스 기반 단위테스트를 위한 테스트용 데이터 자동 바인딩, 소스 코드 품질 검사 등 ERP 개발도구에게 필요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백엔드 개발도구를 구현하여 적용한 결과 개발자별 스킬과 역할에 맞는 ERP 개발을 위한 개발도구의 활용성을 높여 맞춤형 개발도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ERP 내에 포함된 개발도구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The risk of project failure has increased recently as ERP systems have been transformed into Web environments and task complexity has increased. Although low-code platform development tools are being used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limitations exist as they are centered on UI. To overcome this, back-end development tools are required that can be developed quickly and easily, not only from the front development but also from a variety of development sources produced from the ERP development process, including back-end business servic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tools included within existing ERP products require a lot of learning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beginner and intermediate developers due to high entry barriers. To address these shortcomings, this paper seeks to study way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development tools within the ERP by providing customized development tool functions by enhancing the usability of ERP development tools suitable for each developer's skills and roles based on the requirements required by ERP development tools, such as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querying, automatic binding of data for testing for service-based units, and checking of source code quality.

      • KCI등재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의 퇴직의도 진단도구 개발

        윤지영 ( Yoon Jiyoung ),이영민 ( Lee Young-mi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3 HRD연구 Vol.25 No.4

        학교를 졸업하고 노동시장에서 일하다가 출산과 육아 등의 이유로 퇴직하게 되어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이 상당수이다. 이들 중 일부는 직업훈련에 참여하거나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통해 다시 노동시장으로 재진입하고 있다. 그런데,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여성들은 직장적응의 어려움, 일·가정 양립의 갈등, 과거 경력의 낮은 인정 등으로 퇴직하려는 의도를 갖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이후 재취업한 여성들의 퇴직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관련 선행연구들과 이론들을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진단도구 예비문항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후, 예비조사 및 데이터를 활용한 문항분석, 구인타당도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퇴직의도에 관한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진단도구에서 퇴직의도의 주요 요인들은 근무환경의 불만족, 일·가정 양립, 업무적 개인성취 등이었다. 이후 개발한 최종 진단도구를 바탕으로 진단도구를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분석을 실시하였다. 향후, 재취업 경력단절 여성의 퇴직의도를 낮추는 실행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고, 도구 자체의 내용 타당도와 일관성 있는 신뢰도를 높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Many women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due to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care responsibilities. Some of them have successfully re-entered the labor market after participating in vocational training and finding jobs. However, a significant number of these women express a desire to quit their jobs or have retirement intentions. The reasons behind their inclination to stop working are often related to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work, work-life conflicts, a mismatch between their past career and current job, and other factor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iagnostic instrument to measure retirement intentions among these women. We systematically developed and validated items to assess various aspects, including workplace environment, work-life balance, career orientation, and discrimination. Furthermore,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instrument and ensur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valuable insights for policymakers and stakeholders in developing strategies aimed at retaining career-interrupted women and supporting their continued participation in the workforce.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reduce the retirement intentions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gaps due to job discontinuity, an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nhance the content validity and consistent reliability of the tools themselves.

      • KCI등재

        알고리즘 적용이 용이한 시뮬레이터 개발 지원 도구에 관한 연구

        이영주(Yeong-Ju Lee),김아영(Ah-Young Kim),박세길(Se-Kil Park),오재용(Jae-Yong Oh),김정수(Jeong-Soo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4

        시뮬레이터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여러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장치들이 네트워크로 연동된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시뮬레이터 개발 및 유지보수 과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시뮬레이터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관련 전문가들이 협력하고 업무를 분담하여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업무의 상호 의존성이 이를 어렵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터 개발 업무를 알고리즘 구현과 이를 제외한 시스템 구현으로 나누어 두 업무의 상호 의존성을 낮추고 전문가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알고리즘 구현을 담당하는 도메인 전문가의 요구 사항을 분석함으로써 시뮬레이터 개발 지원 도구를 설계하고, 이를 활용한 시뮬레이터 개발 절차를 제안하였다. 또한 도메인 전문가의 알고리즘 개발 지원과 유연한 데이터 관리를 위해 데이터셋 개념을 도입하였고, 시뮬레이터 장비들이 유연하게 재구성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구조를 설계 하였다. 시뮬레이터 개발 지원 도구를 통해서 도메인 전문가는 알고리즘개발에 전념할 수 있고, 효율적인 협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개발 절차가 체계화 되고 더 명확해지기 때문에 개발 계획 및 관리가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 된다. Simulator is composed of several devices that have a variety of forms and functions. These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network intricately. For this reason, simulator development and maintenance process require a lot of time and money. In order to successfully develop the simulator, it is ideal that related professionals share the work and work together in parallel. However, development is carried out inefficiently, because task interdependence makes it difficult to work in parallel.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s of the simulator were classified into algorithm development and system development, and it was discussed how to lower the interdependence of these two tasks and support professionals. In particular, based on the requirements analysis of the domain expert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algorithm, we designed the support tool for simulator development and proposed development process using this tool. We also introduced the concept of a DataSet in order to support algorithm development of domain experts and manage data flexibly. And we designed network architecture to enable flexible reconfiguration of simulator equipment. By using the tools to support the simulator development, domain experts are able to concentrate on algorithm development and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collabora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lan and management are expected to be easy because the development process is systematic and clearer.

      • KCI등재

        직무만족의 측정도구에 대한 개요와 활용방안

        이영면(Young-Myon Lee)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7 인사조직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그 동안 경영학, 특히 인사조직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어 온 직무 만족에 대한 측정도구를 정려한 논문이다. 직무만족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변수로 중요하게 안정되고 오랫동안 활용되어 왔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활용되고 있는 측정도구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 수행된 직무만족도에 대한 실증연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충분한 검토 없이 활용하고 있어서 이를 바탕으로 한 실증연구결과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우선, 외국에서 주로 영어를 바탕으로 개발된 측정도구에 대해 충분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번역과정을 생략함에 따라 그 결과를 인정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원래의 측정요인이나 측정문항수를 임의로 변경함에 따라 새롭게 필요한 신뢰성이나 타당성을 확인하는 작업도 생략된 연구가 많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측정도구에 대응해 국내의 조직구성원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려는 노력도 미흡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외국에서 개발되어 널리 활용되어온 직무만족에 대한 측정도구를 정려하여 제시하고 측청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중심으로 활용에 필요한 사전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국내에서 측정도구를 활용하기 위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외국 측정도구의 번역, 측정요인과 측정문항수, 그리고 국내에서 측정도구를 개발해가는 과정에서 검토해야 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Researches on job satisfaction in Korea have invariably used measures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without giving serious consideration as to issu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used in a foreign context. Such practice can lead to wrong interpretations of empirical research results on job satisfa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This paper first 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job satisfaction measures in Korea. Out of 296 researches, 31 researches measured overall job satisfaction although many of them did not provide the sources of those measures quoted. Researches done in other countries on job satisfaction in 2003 and 2004 were also surveyed, using EbscoHost. Forty-five papers out of 257 using job satisfaction measures referred the sources and questionnaires of job satisfaction. Thirty-one papers used overall measures on job satisfaction. A recent trend in using measures for overall job satisfaction in those empirical analyses was explained and summarized. The next step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and present the commonly used job satisfaction measures. Some measures presented here in the appendix include only a couple of example questions because of copyrights. This, however, is an effort to improve the process of measuring job satisfaction by presenting well-known and frequently used measures on job satisfaction.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presented here include those developed by Hoppock (1935); Brayfield & Rothe (1951) [Job Satisfaction Index, JSI]; Bullock (1952); Weiss et al.(1967)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Taylor & Bowers (1972); Hackman & Oldham (1975); Quinn & Staines (1979); Cammann et al.(1979) [Michigan Organizational Assessment Questionnaire, MOAQ]; Vroom (1960) [Attitude towards the Job]; Warr, Cook, and Wall (1979); and Ironson et al.(1989) (Job in General, JIG). Most of facet-only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not presented here due to the limitation on space. Those measures are the next research topic for the author. Discussions on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each measure are collected from books and papers and presented. Some are provided by the measure developers and some by users. All of the measures presented here have shown at least the acceptabl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explains why these measures have been used for decades. However, a caution is called for when these measures are going to be used in Korean context. Although strictly facet-only job satisfaction measures had to be omitted here, facet-based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presented. These measures are composed of several different facets to measure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Five facet-specific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y include measures developed by Weiss et al.(1967)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Smith, Kendall, & Hulin (1969) [Job Description Index, IDI]; Hackman & Oldham (1975) [Job Diagnostic Survey, IDS]; Spector (1985) [Job Satisfaction Survey, JSS]; Smith (1976) [Index of Organizational Reactions, lOR] and the Index for Organizational Health and Personnel Management (IOHPM). Comparing facet-based measures of the kind I present with facet-only measures would be good research topic, since the researches using facet-based measures are increasingly in demand. We may use existing measures in research in the Korean context. We may, however, try developing new measures on our own. When existing measures are used, the translation should be done accurately and rigorously, while issues such a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riginal measures need to be given sufficient consideration. Copyright is also an important matter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new measures on our own, surveys and survey processes should be devised in such a way that respondents can feel

      • KCI등재

        한식 조리도구 디자인개발의 필요와 전망

        김승민 ( Kim Seung Min ),조에스더 ( Jo Esther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한식과 한식문화의 세계화가 한류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예로부터, 한식은 조리 시간과 순서, 조리방법 등 조리과정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음식이었다. 한식 조리과정에 쓰이는 조리 도구는 한식문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활용되어 왔다. 현대에 이르러 도시화와 핵가족화로 인한 주방환경과 식습관 등 식문화와 관련된 라이프 스타일 변화는 한식조리도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양상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한식조리도구와 관련된 다양한 환경의 변화. 두 번째, 환경 변화에 따른 전통 조리도구의 변천. 세 번째,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에 어울리는 한식조리도구 디자인의 새로운 필요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선 세 가지 변화를 고찰하고 현대의 변화된 환경에 대응하는 한식 조리도구의 디자인 개발 전망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한식도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사례조사를 통해 한식도구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였다. 첫 번째, 한식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통해 한식 조리도구의 시대적 변천과 분류를 정리한다. 두 번째, 전통 조리도구와 현대식 조리도구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한식조리도구와 관련된 환경변화를 조사·분석하여, 한식 조리도구의 디자인 개발 현황을 파악하였다. 세 번째로, 한식 조리도구의 변천을 조사하고, 새로운 식문화와 조리도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여 한식조리도구 디자인의 미래 전망을 도출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전통 조리도구의 현대화 개발 필요성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적 측면을 적용한 새로운 조리도구 개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더 나아가, 현대 한식에 유용한 새로운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조리도구의 조형연구의 방법과 사례도 지속적으로 탐구하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의 식생활에서 주요한 도구인 한식 조리도구에 대한 연구로서 한식 조리도구는 한국적 식문화의 기능과 조형 그리고 생활이 조화롭게 디자인되어야만 생명력을 얻을 수 있다. 그동안 한식도구에 대한 현대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아 왔기 때문에 본 연구는 그 본격적인 연구의 시발점으로써 산업디자이너들에게 한식 관련 주제에 대한 환기와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nd Korean food culture is becoming important in Korean Wave. From time immemorial, Korean food was a food that considered the cooking process such as cooking time, order, and cooking method very important. Cooking tools used in the Korean cooking process have been us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Korean food culture. In modern times, changes in lifestyle related to food culture such as kitchen environment and eating habits due to urbanization and nuclear family affects Korean cooking tools. It can be summarized in three main directions. First,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related to Korean cooking tools. Second, the transition of traditional cooking tool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 Third, new need for a Korean style cooking tool to suit a new life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ree previous change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of Korean cooking tools to cope with modern environment.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Korean food tool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and previous case studies. First, summarize the changes and classifications of Korean cooking tools through literature studies. Second, we investigated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raditional and modern cooking tool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environmental changes, And understand the design development status. Third,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Korean cooking tools, sought new possibilities of new food culture, and found future prospect of design for cooking utensils. In addition, development plan of new cooking tool was considered by applying the necessity of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ooking tools and technological aspec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shaping of cooking tools to apply new functions useful for modern Korean cuisine. This study is about the Korean cooking tools which is main tool in our dietary life. and can be vitality obtained by must be designing in harmony of the function, forms, and lifestyles of Korean food culture. Since modern research on Korean food tools has not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the past, this study is the starting point. This research will arouse industrial designers' attention to Korean food related topics and give rationale for the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손경옥,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Junior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Inventory. The study was performed in four phase: 1) Domains of the construct establishment; 2) Instrument items development; 3)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4) Norm development. The construct model was revised with the Delphi technique. The final model consisted of four domains, i.e., the educational support, the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the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First, Three sub-domains were identified in the educational support domain: 1) curriculum, 2) teaching, and 3) professor. Second, The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1) career program and career counselling and 2) employment program and employment information. Third, The administrative suppor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1) academic administration and 2) staff and administrative assistant of the department. Forth, the physical environmen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 1) the education facilities and 2) the college campus environment.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ere established via the field test.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480 junior college students. After conducting the item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factor analysis, a set of 45 items were selected for the main test. A total of 23,520 juni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test of the instrument. For verifying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the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Cronbach’s alpha value for the educational support domain, the career & employment support domain, the administrative support domain, the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domain and the entire instrument was above 0.9 and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established. The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the evidence that college 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consisted 9 factor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4 domain and 9 sub-domain structure of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college 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which was initially developed in the phase 2.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구성요인 설정, 문항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규준 개발의 네 단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인화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모형을 토대로 개발된 도구를 가지고, 전문대학생 46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본조사용 측정도구를 확정하였으며, 전문대학생 21,533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와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α계수가 0.9이상으로 나타나 도구가 안정적이고 일관성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는 교육 지원, 진로 및 취업 지원, 행정 지원, 물리적 환경 지원의 네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교육과정, 수업, 교수, 진로 프로그램 및 진로 상담, 취업 프로그램 및 취업 정보, 학사행정, 직원 및 조교, 교육 시설 및 기자재, 캠퍼스 환경의 9가지 하위영역이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수준을 적절히 측정해 낼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국단위의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수준을 파악하고, 대학 현장에서 필요한 대학 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경영전략이 무엇인지 판단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컴포넌트 기반 개발을 위한 CASE 도구의 기능적 요구사항 및 개발관리 도구

        김영희(Kim Young Hee),정기원(Chong Ki Won) 한국전자거래학회 2004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9 No.3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 사용되는 CASE 도구는 기본적으로 모델링 기능, 프로젝트 관리 기능, 그리고 구현 및 테스트 지원 기능 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시에 사용되는 CASE 도구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기 존재하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도구들로부터 도구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분석/설계, 프로젝트 관리, 구현 및 테스트, 기타 기능 지원 등으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개발관리 기능을 추가하여 컴포넌트 기반 개발을 위한 CASE 도구를 제안한다. CASE tools supporting component based development should include functions for modeling, project management, and supporting other phases activities of the development process. Functional requirements of CASE tools supporting component based development are proposed in this paper. Required functions a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existing CBD CASE tool, and are categorized into modeling, project management, and supporting other phases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