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심로 주행을 위한 딥러닝 기반 객체 검출 및 거리 추정 알고리즘 적용

        서주영,박만복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3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that performs object detection and distance estimation for application to autonomous vehicles. Object detection is performed by a network that adjusts the split grid to the input image ratio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ly actively used deep learning model YOLOv4, and is trained to a custom dataset. The distance to the detected object is estimated using a bounding box and homograph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roposed method improved in overall detection performance and processing speed close to real-time. Compared to the existing YOLOv4, the total mAP of the proposed method increased by 4.03%. The accuracy of object recognition such as pedestrians, vehicles, construction sites, and PE drums, which frequently occur when driving to the city center, has been improved. The processing speed is approximately 55 FPS. The average of the distance estimation error was 5.25m in the X coordinate and 0.97m in the Y coordinate. 본 논문은 자율주행 차량 적용을 위한 객체 검출과 거리 추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객체 검출은 최근 활발하게 사용되는 딥러닝 모델 YOLOv4의 특성을 이용해서 입력 이미지 비율에 맞춰 분할 grid를 조정하고 자체 데이터셋으로 전이학습된 네트워크로 수행한다. 검출된 객체까지의 거리는 bounding box와 homography를 이용해 추정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방법에서 전반적인 검출 성능 향상과 실시간에 가까운 처리 속도를 보였다. 기존 YOLOv4 대비 전체 mAP는 4.03% 증가했다. 도심로 주행시 빈출하는 보행자, 차량 및 공사장 고깔(cone), PE드럼(drum) 등의 객체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처리 속도는 약 55 FPS이다. 거리 추정오차는 X 좌표 평균 약 5.25m, Y 좌표 평균 0.97m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전공맞춤형 학습 콘텐츠의 효과에 관한 사례 연구

        서주영,신승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최근 대학의 비전공자 소프트웨어(SW) 기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SW 비전공자에겐 학습의 어려움이 크다. 본 논문은 비전공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여 SW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SW 전공자 대상의 학습 콘텐츠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 비전공자들의 흥미를 반영한 전공맞춤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5년 이상 비전공자 SW기초교육을 운영 중인 A 대학의 사례 연구를 통해 동일한 교과과정에 대해 교육 대상의 전공에 맞춤된 학습 콘텐츠로 수업한 전, 후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학계열에선 국가의 사회, 문화 현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에 학습 흥미를 느끼고, 인문계열에겐 소설, 역사서, SNS 글의 텍스트 콘텐츠가 학습 동기를 상승시켜 어렵게 느끼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강의 만족도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전공맞춤형 콘텐츠가 비전공자 SW기초교육에 유용함을 보여준다. Recently, there is a strong interest in SW basic education for non-major students in universities, but SW non-majors are having a hard time learning. This paper proposes a class operation method that utilizes customized contents reflecting the interests of non-majors, rather than using existing learning contents for SW majors. The proposed method is to improve the education effects by increasing the learning motivation of SW non-majors. The paper shows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which has operated non-major SW basic education for more than five years. The case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of pre- and post- learning group that reformed major-friendly contents about the same curriculum. As a result, the students of social sciences are interested in learning contents using public data that can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country, and humanities students are interested in text contents such as novels, history books, and SNS articles. In addi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lectures, the class satisfaction was also greatly improved, and it showed that the major-friendly contents is useful for SW basic education of non-majors.

      • KCI등재

        장애성인의 문해 생활 실태 및 문해 능력에 관한 연구

        서주영,김자경,신혜정 한국학습장애학회 2014 학습장애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iteracy experience and literacy ability of adults with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adults with disabilities in the region of P-city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ir monthly volume of reading book is about one and majority of them hardly visit library or bookstore and rent or buy books. Second, majority of them hardly read newspapers and their daily volume of watching TV is more than two hours. Third, majority of them hardly search a dictionary for a word and if they search a dictionary for a word, they mostly use a internet dictionary. And if they don't search a dictionary, they leave the word as it is. Fourth, many of them have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they have difficulties on comprehending a foreign word. Fifth, literacy ability of adults with disabilities is lower than that of adults without disabilities in general. Literacy ability of men with disabilities is higher than that of women with disabilities and literacy ability of forties with disabilities is the highest. Literacy ability of adults with disabilities with a middle school diploma or below than middle school graduate is the lowest. Literacy ability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s highest in factual literacy, inferential literacy and overall literacy.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interven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n the area of literacy. 본 연구는 장애성인의 문해 생활 실태와 문해 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P시 장애관련 기관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77명에게 문해 생활 실태 설문지 및 기초 문해력 검사지를 배부하여, 73부가 회수되었고(회수율 94.8%) 불성실한 응답을 한 6부를 제외한 총 67부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성인의 문해 생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첫째, 장애성인의 월평균 독서량은 1권이 가장 많았다. 둘째, 도서관․서점을 이용하지 않는 장애성인이 과반수를 차지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과반수가 책을 대여하거나 구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문이나 인터넷은 전혀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일평균 TV 시청은 2시간 이상이 가장 많았다. 넷째, 신문이나 TV 시청 중 어려운 낱말이 나올 경우 사전을 찾아보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사전을 찾아보는 경우 인터넷사전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사전을 찾아보지 않는 경우에는 모르는 낱말의 의미를 모르는 대로 지나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보유하고 있는 사전으로는 국어사전이 가장 많았고, 신문이나 TV 시청 중 어려움을 느끼는 낱말은 외래어나 외국어가 가장 많았다. 한편, 장애성인의 문해 능력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장애성인의 문해 능력은 낮은 수준이었는데, 남성 집단이 여성 집단보다 비교적 높은 문해력 수준을 나타냈고, 연령별로는 40대 집단이 가장 높은 문해력 수준을 나타냈다. 학력별로는 중졸이하 집단이 가장 낮은 문해 수준을 보였으며, 장애유형별로는 사실적 문해력과 추론적 문해력, 문해력 총점은 지체장애 집단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장애 성인의 문해 능력 향상을 위한 추후 연구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