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전문 학술지에 의한 위암 외과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정아,김대훈,오승종,조현진,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 대한위암학회 2009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9 No.4

        목적: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위암 외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간의 국내 외과 영역에서의 위암 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점을 논의하고 미흡한 연구 부분에 대한 연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창간 이후 대한위암학회지의 질적 양적인 향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석 대상은 2001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8년간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투고된 위암 연구에 관한 논문들로 하였다. 결과: 대한위암학회지와 대한외과학회지의 투고 논문의 경향을 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종설은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에 증가하였다. 후자는 8년간 총 6편만 발표되었고 전반적으로 종설에 대한 발표 편수가 적었다. 증례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매년 1∼3편 전후로 전반적으로 낮은 추세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독특하게도 보고서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만 2004∼2005년도에 활발하였다. 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초기에 많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초기에 잠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위암의 생물학적연구, 암표지자 연구, 유전자 연구는 두 학회지 모두 게재 비율이 낮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은 후향적 연구에서 전향적 연구로 이행되어 가고, 임상적 연구보다는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이행성 연구가 중시될 것이며, 단일 기관 또는 연구자 단독 연구보다는 다기관 또는 다학제간의 협력 연구가 더 높이 평가되고 지원되고 장려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대한부동산학회지 게재논문의 특성 연구

        이범관(Lee, Beom Gwan),김홍택(Kim, Hong Taek),이지은(Lee, Ji Eun) 대한부동산학회 201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회 창립 30주년을 맞이한 현 시점에서 사단법인 대한부동산학회의 과거와 현재를 재조명하고, 지난 30년간 대한부동산학회지에 투고된 총 295편에 대한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분석ㆍ평가해봄으로서, 대한부동산학회지의 위상제고를 위한 발전적 제언을 하는 것이었다. 연구범위로서 시간적으로는 학회지가 처음 발간된 1982년부터 2011년 10월 현재까지로, 내용적으로는 대한부동산학회지 게재논문의 특성을 살펴봄과 아울러 대한부동산학회지의 위상제고를 위한 발전적 제언을 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분석방법은 사례분석 및 기술적 (記述的) 분석방법을 동원하였다. 연구 결과, 대한부동산학회지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첫째, 학회회원의 저변 확대가 필요하고 둘째, 학회지 게재논문의 양적ㆍ질적 수준을 보다 극대화 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독립된 별도의 공간에 학회 전용사무실을 시급히 확보하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ast and present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that is celebrating the 30th anniversary,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tatus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by analyzing and evaluating 295 dissertation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for the last 30 years. As to the scope of the study, the time scope was limited from 1982 that the journal was first issued, to the present, October, 2011. The contents were limited to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ed dissertations, and mak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tatus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As to the study methods, literature and internet research was used. Also, case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have been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tatus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ember base. Seco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of the published dissertations must be maximized.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an office for Korea Real Estate Society in a separate space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1906년~1910년 재일본 유학생 잡지 연구―『대한흥학보』를 중심으로―

        이은선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대한흥학보』는 1909년 3월 20일에 창간, 1910년 5월 20일 제13호로 종간되었다. 대한흥학회는 각 회를 총합한 일본유학생계의 최대 단체였고, 『대한흥학보』는 대한흥학회의 최대기관이었다. 「대한흥학회취지서」에 따르면 각 지방 학생이 연합하지 못하고 각자 분립해 있다가 작년 봄에 연합의 론이 생겨, 대한학회를 만든 바 있다. 그러나 태극학회, 공수학회, 연학회는 여전히 분립하였고, 대한흥학회에 이르러서야 대한학회, 공수학회, 연학회가 하나가 되었다. 대한흥학회의 인적 구성 및 회원들의 활동은 대한유학생회․대한학회의 인적 구성과 함께 추적해야 한다. 재일본 유학생 단체의 인적 구성과 통합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대한흥학회의 성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어서 『대한흥학보』의 ‘휘보(彙報)’란․‘문원(文苑)’란․‘소설’란의 구성 및 편집 체재의 변경 과정을 검토하였다. 특히 ‘휘보’란은 유학생 단체의 기관지라는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었는데, 10호부터는 일본 경시청에서 금지하여 정지된다. ‘휘보’란을 중지하는 대신 ‘요록(要錄)’란과 ‘담총(談叢)’란을 만들어 이에 대응하고 있다. 13호의 「본회금석지감(本會今昔之感)」에서는 대한흥학회의 성립 당시를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재일본 유학생 단체의 성립과 활동을 역사화하는 시도가 나타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1910년 8월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될 때까지 일본 유학생의 대표적 단체로 활동하고 있었다는 후대의 평가를 스스로 정립하고 있었던 것이다. The Daehanheunghakbo published its 1st issue on March 20, 1909, and ceased publication after publishing its 13th issue on May 20, 1910. Daehanheunghakhoe was the largest organization in the community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and the Daehanheunghakbo was Daehanheunghakhoe’s largest institute. According to the “prospectus of Daehanheunghakhoe”, students in individual regions had not been united and had independent organizations, until a union was formed in the spring of and Daehanhakhoe was established. However, Taegeukhakhoe, Gongsuhakhoe, and Yeonhakhoe were still independent and Daehanhakhoe, Gongsuhakhoe, and Yeonhakhoe only became united when Daehanheunghakhoe was established. The personnel composition of Daehan heunghakhoe and the activities of the members should be traced, together with the personnel compositions of the Daehan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 and Daehanhakhoe, because the nature of Daehanheunghakhoe can be better understood by identifying the personnel compositions of the organizations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as well as the process of integration.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composition and editing system of the “bulletin” column, “literary world” column, and “novel” column of the Daehanheunghakbo will be reviewed. In particular, the “bulletin” column depicts the nature of the Daehanheunghakbo in terms of its being a magazine of an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is column was prohibited by the Japanese police from the 10th edition. In response to the prohibition of the “bulletin” column, the Daehanheunghakbo developed a “particulars(要錄)” column and a “collection of discourses(談叢)” column. The article “Sentiment caused by the contrast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of this organization(本會今昔之感)” in the 13th issue emphasizes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Daehan heunghakhoe’s establishment and indicates an attempt to historicize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rough this attempt, Daehanheunghakhoe set up its own evaluation by the later generation that it was, until it was dissolved forcibly by the Japanese Empire in August 1910.

      • KCI등재후보

        대한부동산학회의 발전방향 연구

        신우진(Shin, Woo-Jin),백승철(Baek, Seung-Cheol),김태원(Kim, Tae-Won) 대한부동산학회 2012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0 No.1

        본 연구는 사단법인 대한부동산학회 창립 30주년이 되는 시점에서 지난 30년간의 운영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한부동산학회가 나아가야 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대한부동산학회의 위상제고를 위한 발전적 제언을 하는 것으로 한정하고, 연구방법으로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한부동산학회는 지난 30년간 학회 회원의 지속적인 증가, 정관의 세분화, 꾸준한 학술대회 개최, 대한부동산학회지의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선정 등을 통해 학회의 위상이 크게 제고되었다. 그러나 운영상 문제점으로 학회 회원 관리 및 영입체계미비, 재정확보의 어려움, 형식적인 학술대회, 단행본 및 부동산다이제스트 발행 중단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첫째, 학회 회원관리의 체계화 둘째, 학회회원수 확대 셋째, 학회 예산구조의 개편 넷째, 학회의 교육사업 활성화 다섯째, 대한부동산학회 전용회관 건립 여섯째, 학회지의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화, 마지막으로 단행본 및 전문지를 발간하는 등 학술활동을 다변화해야 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of Korea Real Estate Society(KRES) for 30 years and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addresse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tatus of KRES. To do that, literatures review and internet search,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applied. During last 30 years, the status of KRES has been improved by the steady increase of members, the subdivision of the articles of association, and holding symposiums continuously. In addition, KRES journal became a candidate of registered journal of NRF.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everal problems such as an inadequate management of members, a lack of funds, a cursory ymposium, discontinued publication of real estate magazines. To solve above problems, several future directions of KRES are suggested. First, members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Second, the number of members should be increased. Third, the budget structure of KRES should be reorganized. Forth, the educational work of KRES should be vitalized. Fifth, a meeting hall which is only for KRES should be built in near future. Finally, academic works of KRES should be diversified.

      • KCI등재

        근대계몽기 『대한학회월보』의 편집 전략과 서사적 특징 연구 - 일본 유학생 잡지의 통합과 서사 양식의 접합 -

        전은경 ( Jun Eun-kyung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9 No.-

        『대한학회월보』는 1908년 1월에 대한유학생회, 낙동친목회, 호남학회가 통합하여 설립된 대한학회의 기관지였다. 『대한학회월보』는 1908년 2월 25일 창간호부터 1908년 11월 25일 9호까지 발간되었다. 대한유학생회가 어느 정도 일본 유학생회의 단합을 이루기는 했으나 실제적인 단체의 통합은 대한학회부터 시작되었다. 또한 대한학회는 태극학회와 공수학회와도 통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대한흥학회라는 일본 유학생회 전체의 통합을 이루어냄으로써 대한학회의 기관지인 『대한학회월보』는 통합을 위한 과도기의 학회지 역할을 수행했다. 따라서 『대한학회월보』는 여러 유학생회를 통합하며 각 유학생회의 양식적 특징을 접합하면서도 다양한 서사를 실험할 수 있는 문예의 장으로서도 기능하고 있었다. 일본 유학생들이 많이 활용했던 역사 전기물, 몽유록계 서사물, 대화체 서사물을 활용하여 당대 서사물의 집산지로서의 역할을 해주었다. 또 그 가운데 통합 학회인 『대한흥학보』로 가는 과도기적 학회로서 각 학회의 특징을 통합하여 표현해내고, 이를 바탕으로 『대한흥학보』에서 <소설> 표제가 등장하기까지 그 중간과정 속에서 새로운 문학, 근대의 문학을 추동해 오는 역할을 감당해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학적 장치와 실험은 『대한흥학보』로 이어지면서 근대문학을 탄생시키는 계기로 작동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 Daehanhakhoiweolbo,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society in Japan,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literature accordingly. The Journal Daehanhakhoiweolbo was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Academy, which was established in January 1908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Korean Student Association, Nakdong Friendship Association, and Honam Society. The Journal Daehanhakhoiweolbo was published on February 25, 1908 through November 25, 1908. Although the Korean Student Association formed some unity of the Korean students society in Japan, the actual integration of the group began with the Daehanhakhoi Academy. The Journal Daehanhakhoiweolbo,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Academy, served as a transitional journal for integration. Therefore, the Journal Daehanhakhoiweolbo was also functioning as a place of literature where students can experiment with various narratives while integrating various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s and combining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each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 It served as a collection center for historical narratives of the time by using historical biographies, Monglyulok narratives, and dialogue narratives that were frequently used by Japanese students. Also, among them, as a transitional society leading to an integrated society, the Journal DaehanHeunghakbo, which integrates and exp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ciety, based on this, new literature in the middle process from the DaehanHeunghakbo to the appearance of the title of < novel >, it can be said that it has played a role in driving modern literature. It can be said that these literary devices and experiments acted as an opportunity to give birth to modern literature, leading to the Journal Daehan Heunghakbo.

      • KCI등재

        대한공업교육학회지에 수록된 학술논문 외 기사의 내용 분석을 통한 대한공업교육학회 활동의 역사 고찰

        김충환(Chung Hwan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한공업교육학회지에 수록된 자료 중 학술논문을 제외한 기사의 내용을 분석하여 대한공업교육학회 활동의 역사를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대한공업교육학회 설립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역할을 살펴보았다. 1970년대 초, 당시 공업육성정책에 따른 공업진흥을 위해서는 기술 인력의 확보 및 효율적인 기술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1974년에 공업교육의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자료, 교육시설 등에 대한 연구와, 현장과 교육기관과의 긴밀한 네트워크 도모의 목적으로 학회가 설립되었다. 둘째, 대한공업교육학회의 주요 활동의 범위는 정관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공업교육에 관한 조사 및 연구, 교육자료 및 교육방법, 연구발표회 및 강연회 등 개최, 회지 및 도서의 발간, 견학 및 시찰 등의 활동이 수행되어 왔다. 셋째, 대한공업교육학회의 활동의 연도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설립초기부터 1986년까지의 약 10년 기간 동안에는 수탁연구 수행, 학습자료 및 현장자료 공유, 학술대회 개최, 전문가세미나, 학술지 발간, 소식지 발간, 논설 및 강좌 기고, 국내외 공업교육훈련기관 소개 등 정관에서 규정한 다양한 활동이 비교적 활발하였으나 이후 1990년까지는 잠시 주춤하였다. 1991년부터 1996년까지 다양한 활동들이 다시 활발해졌으나 이후부터는 학술지 발간과 학술대회 개최 활동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2004년부터 현재까지는 이들 이외의 활동은 없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한공업교육학회가 공업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역할로서, 대한공업교육학회의 설립 목적 상기 및 이에 바탕을 둔 목표와 임무의 재정립, 학회의 정기적인 뉴스레터 발행, 공업교육과 관련된 중요한 정책적 이슈에 대한 회원들의 관심 제고, 학회의 전반적인 활동의 기록과 자료들의 아카이빙 등을 제언하였다. In this paper, the history of activity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was studied from the three points of view based on the contents analysis of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excluding academic papers. First, KIIE was established on 1974, to satisfy the requirement for securing and educating the skilled works for industrial development, with the purpose of researches on curriculum, teaching method, materials, facilities for industrial education as well as enhancement of close network between educational institutes and industrial fields. Second, the articles of association include survey and research on industrial education,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holding conferences and seminars, publication of academic journals and books, tour field trip, and so on. Third, the trend of activity of KIIE showed that many activities were very active from the year of establishment to 1986, but these were stagnated from 1987 to 1990. The activities became active again from 1991 to 1996, however there showed little activity except publishment of journal and holding of conference until now since 1997. Based on the results, reestablishment of purpose of role of KIIE, publishment of newsletter, enhancement of interests on important issues, and archiving the materials of activities of KIIE were proposed as the roles of KIIE to develop and invigorate industrial education.

      • KCI등재

        대한국제법학회의 독도학술연구조사에 의한 한국의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

        김명기(Myung-Ki Kim) 대한국제법학회 2018 國際法學會論叢 Vol.63 No.1

        1979년 대한국제법학회는 “독도학술연구조사단”을 구성하여 한국해양대학의 “한바다호”편으로 독도에 상륙하여 독도학술연구조사활동을 실행한바 있다. 대한국제법학회는 대한민국의 국가기관이 아니고, 민법상 사단법인에 불과하다. 따라서, 대한국제법학회가 독도에 상륙하여 행한 학술연구조사활동은 대한민국의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의 효력이 인정되지 아니한다고 보기 쉽다. 그러나, 사적인 개인이나 단체의 행위가 국가기관의 사전적인 허가 혹은 협조로 행하여 진 경우는 그 사적 단체의 행위는 국가기관의 행위로 인정되어 위 독도학술연구조사 활동은 당시 치안본부의 사전허가와 한국해양대학의 사전협조로 독도에 상륙하여 학문적 연구와 조사활동을 실행한 것은 대한민국의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로 인정된다. 그리고, 김대령의 행위도 대한민국의 국가기관의 행위로 인정된다. 대한국제법학회와김대령의 독도에서의 학문적인 조사와 연구활동이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를 보관해야 할 것이 오늘의 과제이다. On March 26, 1979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organized a Group of the Academic Study and Research over Dokdo constituted 28 persons and the society landed on Dokdo studied and researched over Dokdo, However the society was not a organ of the ROK as a state but a private person. Therefore the study activities of the Society did not constitute the effective control over Dokdo by the ROK. However the Society attained the authorized Permission landing on Dokdo by the headquarters of National Policy one of the organ of the ROK as a state in advance. And attained the cooperation of the National Maritime Academy to use the training ship named “Hanbadaho”. The Permission and the cooperation of national organ of the ROK in advance the studies and researches of the Society on the Dokdo were recognizes the effective control over Dokdo by the ROK. For the purpose of maintenance of Korean territorial title of Dokdo,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and the Society to preserve the evidences that the society and colonel Kim’s academic activities to study and research on Dokdo were constitutes the effective control over Dokdo. it’s obvious fact that Korean territorial severity over Dokdo under control of Korean government the fact was confirmed by the colonel Kim’s landing on Dokdo for academic study and researches over Dokdo.

      • 국내 전문 학술지에 의한 위암 외과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정아,김대훈,오승종,조현진,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Oh, Cheong-Ah,Kim, Dae-Hoon,Oh, Seung-Jong,Cho, Hyun-Jin,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Bae, Jae-Moon,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위암 외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간의 국내 외과 영역에서의 위암 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점을 논의하고 미흡한 연구 부분에 대한 연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창간 이후 대한위암학회지의 질적 양적인 향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석 대상은 2001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8년간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투고된 위암 연구에 관한 논문들로 하였다. 결과: 대한위암학회지와 대한외과학회지의 투고 논문의 경향을 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종설은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에 증가하였다. 후자는 8년간 총 6편만 발표되었고 전반적으로 종설에 대한 발표 편수가 적었다. 증례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매년 1~3편 전후로 전반적으로 낮은 추세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독특하게도 보고서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만 2004~2005년도에 활발하였다. 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초기에 많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초기에 잠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위암의 생물학적 연구, 암표지자 연구, 유전자 연구는 두 학회지 모두 게재 비율이 낮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은 후향적 연구에서 전향적 연구로 이행되어 가고, 임상적 연구보다는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이행성 연구가 중시될 것이며, 단일 기관 또는 연구자 단독 연구보다는 다기관 또는 다학제간의 협력 연구가 더 높이 평가되고 지원되고 장려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literature report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in order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on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between 2001 and 2008 were compared and summari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retrospective study, prospective study, case report, biomolecular study, genetic study, tumor marker study, review article, and report. Results: For recent 8 years, while the number of review articles in JKSS had initially increased, gradually fallen down and recently increased again, only a few (only 6 publications) in JKGCA have been published. The number of case reports in JKS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fallen down. On the other hand, a few of case reports (1~3 publications) has been annually published in JKSS. Uniquely, reports were published only in JKGCA with the noticeable increase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o 2005. For retrospective studies, in JKGCA the number started off very high and decreased, and finally increased again (U-shaped), whereas it had a bell-shaped trend in JKSS. The number of prospective studies in JKGCA had a bell-shaped trend, but the one in JKSS continued to decrease. Few papers of molecular biologic study, tumor marker study and genetic study had been published in both journal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transition from retrospective studies to prospective studies as well as a comprehensive multi-disciplinary team management of a clinical research would represent a desirable strategy in gastric cancer research.

      • KCI등재

        일본 유학생 잡지 『대한학회월보』의 <몽유록계 서사>의 특징과 서사 장치의 실험

        전은경 국제한인문학회 2022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3

        이 글은 근대계몽기 일본 유학생 잡지였던 『대한학회월보』에 실린 몽유록계 서사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몽유록계 서사가 어떤 변주와 실험을 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전까지 선행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못한 『대한학회월보』만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학회지의 성격이 몽유록계 서사물에 미친 영향력과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몽유록계 서사물은 국내외 학회지에서 모두 보이는 양식이기는 하지만, 특히 일본 유학생 학회지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등장했다. 당대 지식인들이 다양한 고전 양식 중 <몽유록계 서사물>을 선택했다는 것은 시대적 상황과 출판 매체의 적합성을 고려했을 때 알맞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가운데 『대한학회월보』는 일본 유학생회의 통합을 목적으로 성립한 대한학회의 학회지로서, 통합 학회답게 다른 일본 유학생 학회지의 특성도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대한학회가 비록 태극학회나 공수학회까지 포함하여 통합을 이룬 것은 아니지만, 태극학회와 공수학회의 임원진이나 회원들이 대한학회의 임원진을 역임하고, 회원으로 다수 입회한 이상, 대한학회는 이미 일본 유학생회의 통합적 구심의 역할을 하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일본의 입장에서도 대한학회가 일본 유학생회의 통합 학회의 기능을 담당한다고 보였을 것이다. 따라서 『대한학회월보』는 통합 학회의 역할과 더불어 집단적 목소리를 내는 소통구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대한학회월보』의 2기 편집진은 직접적인 정치 내용을 피하고, 간접적이고 비유적인 글, 소설적인 글로 기재해달라는 요구를 하게 된다. 이미 그 이전부터 압박과 검열을 받아오고 있는 상황에서, 몽유록계 서사물은 간접적, 비유적, 소설적인 장치로 비판과 의도를 우회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었다. 이렇게 『대한학회월보』의 몽유록계 서사물은 통합 학회지로서의 특징을 담지한 채로, 새로운 문예의 실험과 활용을 통해 근대 초기 문학을 형성해나가는 발판이 되어주었다.

      • KCI등재

        대한척추외과학회에서 구연된 논문에 대한 추적 관찰

        김주오,최병완,김주한,송경진,이광복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1

        Study Design: A review of all presentations at the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KSSS) congress from 2001 to 2005. Objectives: To determine the presentation to publication rate in peer-reviewed journals of abstracts presented at the KSSS congress and evaluate the consistency between the presented abstract and published full-text counterpar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rate of publication for presentation at international meetings has been determined but there has been no study for the KSSS. Material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all podium presentations of the past KSSS Spring and Fall meetings from 2001 to 2005. A computer search for each abstract was performed. The final published journal, time to publication and publication rate were evaluated according to subspecialty. The published full-text article w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abstract and evaluated for consistency with respect to the author, material and method, and result. Results: A total of 288 free-papers were identified, of which 167 of them were published as full-text articles. The mean time to publication was 12.15 months. The publication rates according to the subspecialty were basic 67%, lumbar 68%, cervical 64%, deformity 50%, trauma 53%, minimal 14% and others 5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resentation to publication rate of the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odium presentations was lower than other international meetings but the articles showed a high consistency rate. Key Word: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congress, Presentation, Publication 연구계획: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대한척추외과학회에서 구연된 논문을 검토하였다. 목적: 대한 척추 외과 학회에서 구연된 논문의 게재 여부 및 그 내용의 변경 정도를 분석하고 외국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주요 국제학회의 경우 구연된 논문의 출간 여부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국내 척추학회에서는 그 시도가 없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춘계부터 2005년 추계학회까지 총 10번의 연례 학회에서 구연된 28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출간 여부는 온라인상으로 확인하였으며 최종 게재된 학술지와 출간 소요 기간, 분야 별 게재율을 분석하였고, 게재된 논문에 대하여 학회에서 발표된 초록을 기준으로 게재 논문 상 저자의 변경여부, 대상 및 결론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88편 중 167편(58%)이 게재 확인되었으며 게재까지의 평균 기간은 12.15개월이었다. 각 분야 별로 기초, 요추, 경추, 변형, 외상, 미세 침습,기타의 게재율은 각각 67%, 68%, 64%, 50%, 53%, 14%, 51%이었다. 최종 게재 시 초록의 내용을 일부 변경한 경우는 저자가 35편, 대상이 32편, 결론이 28편이었으며 모두 일치하는 경우는 국내논문 92편, 국외논문 17편이었다. 결론: 대한 척추외과 학회의 구연 논문은 동일 기간의 외국 학회에 비해 최종 게재율은 낮았으나 내용의 일치율은 높았다. 색인 단어: 대한척추외과학회, 구연, 게재약칭 제목: 대한척추외과학회 구연 논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