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어(論語)』 「태백(泰伯)」편 구성과 주제에 관한 연구

        송병열 ( Pyung Nyul Song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5

        논문은 『論語』 「泰伯」편의 구성과 주제에 관하여 밝힌 것이다. 지금까지 『論語』는 공자가 제자들, 또는 다른 인물들과 나눈 대화의 기록을 모아놓은 기록으로 인식해왔다. 그러나 각 편마다 일정한 주제와 그 주제를 향한 구성 방식이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큰 관심이 없었다. 이에 대해 관심을 가진 것은 김윤조의 ``논어 학이편 연구``와 송병렬의 ``『論語』의 서술방식과 수사에 관한 연구`` 등이다. 「泰伯」편의 구성은 모두 6개 단락군으로 나누어서 보았다. 단락군은 사토 이치로(佐等壹郞)가 창안한 방식으로 김윤조가 채택한 방식이다. 하나 이상의 장들을 묶어서 하나의 단락으로 보는 방식이다. 첫 번째 단락군은 「泰伯」편의 1장으로 내용은 천하의 公的인 일을 위해 왕위를 버린 泰伯의 지덕임을 밝혔다. 두 번째 단락군은 2장~7장으로, 내용은 평생을 쌓아도 하기 힘든 것이 지덕임을 밝혔다. 세 번째 단락군은 8~15장으로, 지덕을 기르고 완성시키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 단락군은 16~17장으로, 지덕을 완성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네 번째 단락군은 「泰伯」편 내에서 내용의 전환적인 구실을 하는 단락이다. 다섯 째 단락군은 18~21장이다. 이 단락군은 결말을 맺는 단락군으로 ``요·순·우·무왕`` 같은 성인들이 천하의 공적인 일을 위해서 천하를 양보하거나 또는 천하를 도탄에서 구해내는 공덕을 쌓아서 지덕을 이루었음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泰伯」편의 단락군들은 서로 산문적인 맥락을 가진 구성체임을 밝혀 내었다. 이를 통해서 「泰伯」편의 주제는 ``평생동안 수련을 해도 이루기 어려운 것이 지덕이며, 천하를 양보하거나 구해내는 공덕을 이룬 것이 진정한 至德(지극한 덕망)이다.``라는 것도 파악했다. 이상과 같은 『論語』의 「泰伯」편에 대한 연구 결과는 『論語』 「泰伯」편의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論語』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the structure and the subject of 「Taebaek」 chapter in 『Analects of Confucius』. Until now, 『Analects of Confucius』 has been recognized as a record of the conversation among Confucius, his pupils and others. However, there has not been that much concern about the fact that it has a certain subject, or a structure toward its subject for each chapter. The studies which started to consider this are ``A study on the process of compilation of The Analects`` by Kim Yun-jo, ``Study of the narrative manner and rhetoric of 『Analects of Confucius』`` by Song Pyungnyul, and so on. The first paragraph group, which is part 1 of chapter 「Taebaek」, puts forward that it was Taebaek`s perfect virtue that he gave up his King`s position for the public work for the whole country. The second paragraph group, which is from part 2 to part 7, puts forward what is very difficult thing. even if building it for whole life, is the perfect virtue. The third paragraph, from part 8 to part 15, indicated the procedure of developing and completing the perfect virtue. The fourth paragraph group plays a role as a turning point in terms of content within chapter 「Taebaek」. The fifth paragraph group is from part 18 to part 21. This paragraph group is the group that makes conclusion, and indicates that the Saints such as ``King Yo(堯), King Soon(舜,) King Woo(禹), and King Moo(武)`` accomplished the perfect virtue by building the virtuous deeds that concede the whole country, or save it from distress for public work for the country. Following this, the paragraph groups from chapter 「Taebaek」 were found out that they were the components that have each context in prose. Through this, the subject of chapter 「Taebaek」 was apprehended that the difficult thing to accomplish, even if man practices for his whole life, is the perfect virtue, and it is the true perfect virtue that man accomplishes the works that concede, or save the country. The above research result of the episode 「Taebaek」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will help to understand it, and furthermor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a new perspective.

      • 간이식 대기 중인 간경변 환자에서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의 빈도와 이와 연관된 인자에 관한 연구

        이지민,최문석,이상철,박승우,배문희,이준혁,고광철,백승운,이풍렬,김재준,이종철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3

        목적: 간폐증후군은 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저산소증이 유발되는 상태로서, 폐내 단락이 그 주된 기전으로 알려져있다. 간이식은 간폐증후군의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고, 이식 후에 폐내 단락의 정상화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간이식을 시행할 경우 가역성을 미리 예측할 수 없는 것이 문제이다. 국내에서는 이식 대기중인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폐내 단락의 유병률에 관한 연구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간이식 대기중인 간경변증 환자에서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의 유병률과 폐내 단락과 연관된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11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에서 간경변증이나 이에 동반된 간암으로 간이식 대기 중인 환자 57명 (남 : 여 = 38 : 19, 연령 18∼71 세, 중앙값 4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경변증의 원인은 B형 간염이 47명, C형 간염이 4명, 그 외 알코올과 윌슨병, 원발성 담도성 간경변증 등이 6명이었고, 전체 환자 중에 간암이 동반된 환자는 13명이었다. 이들에게 조영 증강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폐내 단락의 유무 및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Ⅱ등급 이상의 단락을 의미 있는 단락으로 보았다. 대상 환자를 의미 있는 단락을 가진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양 군 간의 간기능, 식도 정맥류 유무, 위 정맥류 유무, 복수, 간성 뇌증 유무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57명의 환자 중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을 가진 군 은 30명(52.6%)이었다.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은 Child- Pugh분류 C군에서 38명 중 24명(63.2%), A, B군에서 19명 중 6명(31.6%)으로 관찰되었다(p< 0.05).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이 있는 군과 없는 군 간의 성별, 나이, 간경변증 원인, 식도 정맥류 유무, 위 정맥류 유무, 복수, 간성 뇌증 유무 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폐내 단락은 간이식 대기중인 간경변증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소견이며, Child-Pugh 분류 C군은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의 위험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s/Aims: Hepatopulmonary syndrome is a condition of severe hypoxia with intrapulmonary shunt (IPS) in the setting of hepatic dysfunction. Liver transplantation has been suggested as a definite treatment for hepatopulmonary syndrome with reversal of IPS in some patients. Inconsistency of response and inability to predict reversibility, however, are significant problem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IPS in pretransplantation cirrhotic patients and to find any risk factors of IPS. Methods: Fifty-seven patients (M:F = 38:19, median age 49 years (range 18 - 71)) with liver cirrhosis awaiting liver transplantation were serially included. Their IPS status was evaluated using contrastenhanced echocardiography. Significant shunt was defined as a shunt of grade ≥2. Results: Significant IPS was detected in 30 (52.6%) among 57 patients. Significant shunt was found in 24 (63.2%) of 38 Child-Pugh class C patients and in 6 (31.6%) of 19 Child-Pugh class A or B patient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alence of significant shunt was seen according to age, sex, presence or abs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scites, hepatic encephalopathy, and gastroesophageal varix. Conclusion: Significant intrapulmonary shunt is a common finding in cirrhotic patients awaiting liver transplantation. Child-Pugh class C is the risk factor associated with high prevalence of significant shunt. (Korean J Hepatol 2002;8:271-276)

      • KCI등재

        작문 교육에서의 "paragraph"의 번역과 적용에 관한 연구

        이정찬 ( Jung Chan Lee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6

        본 연구는 작문 용어 중 하나인 paragraph을 중심으로 그것에 해당하는 여러 번역어들의 유래와 의미, 그리고 paragraph의 적용에 따른 오해와 문제점 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aragraph는 현재 대문, 문단, 단락으로 번역되고 있는데 그중 ‘대문’은 순우리말이라는 것과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되었다는 점에서, ‘문단’은 문자-문구-문장-문단-문(글)에서와 같이 용어의 일관성 측면에서, ‘단락’은 paragraph의 중요한 특징인 의미의 연결성과 완결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각각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paragraph를 적용함에 있어 ‘형식 단락’(혹은 문단)과 ‘내용 단락’(혹은 단락)으로 구분하는 것은 단락의 개념에 혼동을 유발할 수 있기에 형식 단락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끝으로 단락의 조직에 있어 서구의 논리적 방식인 두괄식, 미괄식 등의 구분은 단락 개념이 부재했던 동양의 고전이나, 그러한 역사적 맥락속에서 집필된 글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에 무리한 적용을 경계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rigin and meaning of paragraph`s terms used in a translation, and analyze the problems and misunderstanding that it is applied. Paragraph, now, is translated into ‘Daemun(대문)’, ‘Mundan(문단)’ and ‘Danrak(단락)’. The frist has features that it is Korean and the oldest than the others. The second has a coherence of terms; 문자(spelling) - 문구(phrase) - 문장(sentence) - 문단 (paragraph) - 문(text or discourse). The last has features that it could reveal the cohesion and unity of meaning in paragraph.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ies of critical consideration that it should be made a confusion of it`s definition to separate formal-paragraph from real-paragraph.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caution of immoderate applying that the western method of logic(deduction and induction et,.) because there is no it`s concept in our tradition so if these are applied in our Cannon it will be aroused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of them.

      • SCOPUSKCI등재

        포스터 발표 : 폐내 단락이 간이식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현영,최문석,이준혁,고광철,백승운,유병철,이종철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간폐증후군은 만성 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폐내 가스 교환의 장애로 저산소증이 유발되는 상태이다. 간이식이 간폐증후군의 유일한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부 보고에 의하면 간폐증후군이 간이식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고 한다. 이에 연자 등은 간폐증후군이 간이식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1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만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한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영 증강 심초음파에서 2 등급 이상의 의미 있는 폐내단락이 있는 36예(46.2%)와 폐내 단락이 없는 42예(53.8%)로 나누었고, 양 군간의 기관삽입 기간, 중환자실 재원기간, 폐합병증, 총입원 기간과 3개월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1) 폐내 단락과 간이식 후 기관삽입 기간(폐내 단락이 있는 군에서 3.2±4.9일, 폐내 단락이 없는 군에서 5.5±18.6일)과의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폐내단락과 간이식 후 중환자실 재원 기간(폐내 단락이 있는 군에서 12.0±8.8일, 폐내 단락이 없는 군에서 15.7±23.2일)과의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폐내 단락과 간이식 후 총입원 기간(폐내 단락이 있는 군에서 40.0±25.0일, 폐내 단락이 없는 군에서 39.8±24.9일)과의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4) 폐내 단락과 간이식 후 폐합병증 발생률은 폐내 단락이 있는 군에서 3.8%, 폐내 단락이 없는 군에서 5.1%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4) 폐내 단락의 유무와 간이식 후 3개월 단기 생존율은 폐내 단락이 있는 군에서 85.7%, 폐내 단락이 없는 군에서 86.7%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로 폐내 단락의 유무가 간이식의 위험인자로 작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락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전미화 ( Quan Meihua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단락을 구성할 때 나타난 문제점을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어 단락 쓰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단락의 개념 및 구성 요소와 단락을 구성함에 있어 지켜야 할 원리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 단락 쓰기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학습자들이 단락 쓰기에서 보여준 문제들을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단락 쓰기지도 절차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은 단락을 구성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었다. 첫째, 단락 및 단락 구성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다. 둘째, 주제문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뒷받침 문장을 적절하게 배열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단락 쓰기 지도 절차를 “단락 이해하기”, “단락 내 주제문 정하기”, “뒷받침 문장 생성하기”, “뒷받침 문장 전개하기”로 구성하고, 각 단계에서 진행할 수 있는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쓰기 과정 중의 일부분으로서 논의되어 왔던 단락 쓰기를 중요하게 여기고, 단락 쓰기에 초점을 두어 단계별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oblems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face while constructing paragraphs and to suggest a plan for Korean paragraph writing instruc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the study looks into the concept of a paragraph and its components, and crucial principles of paragraph construction. Then, the study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Korean paragraph writing, summarises difficulties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writing paragraphs, and based on this suggests procedure and content for paragraph writing instruction.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examination show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experience the following problems in paragraph writing. Firstly,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paragraph as a concept and its components. Secondly, learners find it difficult to clearly present topic sentence and properly arrange supporting sentenc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tudy constructs Korean paragraph writing instruction procedure in following stages: "understanding paragraph", "determining the topic sentence of a paragraph", "creating supporting sentences", "developing supporting sentences", and briefly presents contents of instruction which can be used for each stag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views paragraph writing as an important part of writing process and provides step-by-step instruction plan focused on paragraph writing.

      • KCI등재

        《설문해자 · 서》 역주(譯註) (하)

        李炳官(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48

        본 논문은 《설문해자 · 서》를 역주하는 세 번째 논문이다. 《설문해자 · 서》는 대체로 15단락으로 나뉘는데, 이번 역주는 제8단락에서 마지막 단락인 제15단락까지를 주해하고자 한다. 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제8단락에서는 허신 이전에 있었던 자전의 편찬 과정을 설명하였다. 제9단락에서는 신망(新莽) 시대의 서체를 소개하였다. 제10단락에서는 벽중서(壁中書)와 고문의 발견과 그 정통성을 서술하였다. 제11단락에서는 예서에 의한 잘못된 분석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제12단락에서는 《창힐편(倉頡篇)》구절 해석의 오류를 지적하였다. 제13단락에서는 문자 연구에 대한 저자의 윤리관을 밝혔다. 제14단락에서는 문자에 대한 저자의 인식을 밝혔다. 제15단락에서는 《설문해자》의 범례를 설명하였다. The thesis is the third one to the translating and annotating 《ShuowenJiezi · Xu》. 《ShuowenJiezi · Xu》is usually divided into 15 paragraphs, it comments the eighth paragraph to the fifteenth paragraph following the second one. Introduce the contents briefly as below. Paragraph 8 describes the process of compiling dictionaries before Xu-Shen. Paragraph 9 introduces the typefaces of the Xinmang age. Paragraph 10 describes the discovery and orthodoxy of the Wall books and Old letters. Paragraph 11 illustrates the misanalysis by Lishu with example. Paragraph 12 points out the error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angjiepian》. Paragraph 13 sets out the author’s view of ethics in letter research. Paragraph 14 describes the author’s perception of letters. Paragraph 15 describes the introductory notes of 《ShuowenJiezi》.

      • 미숙한 필자의 단락 두 번째 문장 양상 연구 - 대학 신입생의 글을 대상으로 -

        이재성(Jae seong Lee)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논총 Vol.27 No.-

        A paragraph is a group of sentences which are coherently related to each other. A second sentence in a paragraph has two important functions. Firstly, the comment of the first sentence becomes the topic of the second sentence and thereby the first sentence backs up the first sentence. Secondly, the comment of the second sentence serve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how the paragraph will develop. It is often found, however, that the topic of the second sentence in a paragraph by an immature writer tends not to be related to the comment of the first one. In many cases, the topic of the first sentence and the comment of the second sentence often have different scopes. In others, a logical jump in meaning between the two sentences. It is also found that the comment of the second sentence tends to b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one, obstructing the natural development of the paragraph. Therefore, understan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topics and the comments of the first two sentences in a paragraph is crucial to effective paragraph writing for college freshmen. 단락은 여러 개의 문장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단락에서 두 번째 문장의 기능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 기능은 첫 번째 문장의 견해를 두 번째 문장의 화제로 삼아 첫 번째 문장을 부연설명하는 것이다. 두 번째 기능은 단락 내용이 발전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두 번째 문장의 견해를 통해 단락의 전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미숙한 필자는 단락에서 첫 번째 문장의 견해와 두 번째 문장의 화제가 일치하지 않았다. 그 원인은 첫 번째 문장의 견해와 두 번째 문장의 화제 사이의 범위가 다르거나, 이 둘 사이에 의미적 비약 때문이었다. 그리고 두 번째 문장의 견해가 첫 번째 문장의 견해와 유사했다. 이는 단락이 발전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해한다. 대학 신업생 글쓰기 교육에서 단락쓰기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단락의 첫 번째 문장과 두 번째 문장의 화제 및 견해 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KCI등재

        敍述方式으로 본 論語 <八佾>篇의 구성과 주제에 관한 연구

        송병렬(Song, Pyung-Nyul)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6 No.-

        이 논문은 논어 <팔일>편의 구성과 주제를 밝힌 것이다. 朱子는 <八佾>편의 주제를 ‘예악’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팔일>편을 분석하고 정한 것이 아니라, 인상비평으로 정한 것이다. 본고는 <팔일>편의 구성을 모두 8개 단락(군)으로 보았다. 단락 분석 방법은 사토 이치로(佐藤一郞)가 창안했으며 김윤조가 채택해서 쓴 방식이다. 단락 분석은 하나 이상의 장을 동일 내용, 주제로 묶어서 하나의 단락으로 보는 방식이다. 첫 번째 단락은 1~3장으로 내용은 ‘비례악은 불인함에서 발생한 것이다.’는 것을 밝혔다. 두 번째 단락은 4~6장으로 내용은 ‘예악은 사치함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는 것을 밝혔다. 세 번째 단락은 7~8장으로 내용은 ‘예 악은 사양하고 자신을 남보다 뒤에 두는 것이다.’는 것을 밝혔다. 네 번째 단락은 9~14장으로 내용은 ‘공자는 예의 본질을 추구한다.’는 것을 밝혔다. 다섯 번째 단락은 ‘공자는 예의 본질은 중도를 지켜야 한다고 정의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여섯 번째 단락은 ‘세월이 지나면서 非禮가 禮인 것처럼 잘 못 인식되게 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일곱 번째 단락은 ‘예의 본질이 잘 못된 방향으로 흘러버린 것은 有司들이 예의 본질을 잃었기 때문이다.’는 것을 밝혔다. 여덟 번째 단락은 ‘설혹 높은 자리에 있다 하더라도 不仁하게 되 어 올바른 예악의 본질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끝으로 <팔일>편의 편명은 ‘팔일’이 비례악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편제를 위해서 <팔일>편 첫 장으로 삼았음을 밝혔다. 또한 제목을 ‘비례악’으로 하지 않고 ‘팔일’로 정한 것은 공자의 문인제자들이 공자에게서 이어받은 ‘술이부작’의 태도 때문인 것도 밝혔다. 이상과 같은 논어 <八佾>편에 대한 연구 결과는 <八佾>편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논어 를 새롭게 이해하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make the structure and the subject of the chapter <Palil(八佾)> in Analects of Confucius clear. Zhu zi(朱子) titled the subject of the chapter <Palil> as ‘Ye-ak(禮樂)’. However, this judgement was not decided after he had analysed the chapter<Palil>, but chosen by using impressionistic criticism. This paper considered the structure of the chapter <Palil> as a group of 8 paragraphs. This way of analysis on paragraph group was created by Sato Ichiro, and selected and used by Yoonjo Kim. It is a way that considering one more chapter as a paragraph, by binding them with a content, or a subject. The first group, from chpater 1 to chapter 3, says ‘non-Ye-ak is originated from not being patient’. The second group, from chapter 4 to chapter 6, says ‘Ye-ak is not pursueing a luxury’. The third group, from chpater 7 to chapter 8, says ‘Ye-ak is to refuse and to put yourself behind others’. The fourth group, from chapter 9 to chapter 14, says ‘Confucius pursues the nature of propriety’. The fifth group says ‘Confucius justified that the nature of propriety should keep the middle'road’. The sixth group says ‘As time goes by, non-propriety was wrongly acknowledged as if it is propriety’. The seventh group says ‘The reason why the nature of propriety went wrong is because office rulers lost it’. The eighth group says ‘Although you are in a high position, you should not lose the nature of the right Ye-ak, not being patient’. Lastly, from the title of the chapter <Palil>, it became the first chpater of it, because the name 'Palil' has a meaning of non-Yeak. And also, the reason why they chose the title not as ‘non-Ye-ak’ but <Palil> is because of the attitude that ‘I did not create it, but wrote it’, which the literati pupils of Confucius followed from Confucius. This result of the study on the chapter <Palil> in Analects of Confucius will help to understand it, furthermore, it will be able to suggest a new direction to understand Analects of Confucius

      • KCI등재

        漢文書札의 格式 考察

        박대현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1 No.-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formality of Korean-Chinese letters. It is clear that the formality is composed of five paragraphs such as Seodu(書頭)・Humun(候問)・Jasseo(自叙)・Sulsa(述事)・Gyeolmi(結尾), its details are composed of 20 items in sending letter, 24 items in replying letter. This five-paragraph classification results from the addition of two paragraphs in to the three paragraphs of introduction・main subject・conclusion, which are the basic form of sentence pattern. The five paragraphs are as follows; Seodu(書頭) as an introduction, Sulsa(述事) as a main subject, Gyeolmi(結尾) as a conclusion, and Humun(候問) asking how the addressee is, Jaseo(自叙) notifying how the addresser is. The five-paragraph classification of this study makes the paragraph, how one is, distinguishable, and enables us to grasp the formality directly, and further leads to the understanding of contents, while the three-paragraph classification bring about the ambiguity of the paragraph, how one is, by which the understanding of contents is not easy. And the detailed items of this study is revised ones with 20 items in sending letter, and 24 items in replying letter, with an reference to Samassiseoui(『司馬氏書儀』) compiled in Sung Dynasty, Geogapiryongsaryujeonjip(『居家必用事類全集』) compiled in Yuan Dynasty, and Hanhwoncharok(『寒暄箚錄』), Gan- singnyupyeon(『簡式類編』) compiled in Chosun Dynasty. The attachment of 20 items in sending letter, and 24 items in replying letter to the five-paragraph composition leads to the completion of major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and naturally enables us to seize out manifestly the formality of the letter. The key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Korean-Chinese letters in the formality and the usage in the letter. Studies on the usag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is study provides a tool to enables to access to the letter, a treasure of research materials. Further task in relation to this study is supposed to have a research work on the usage of Korean-Chinese letter. 본고는 한문 서찰의 격식을 고찰한 것이다. 고찰한 결과 서찰의 격식은 큰 틀에 있어 書頭・候問・自叙・述事・結尾의 5단락으로 이루어지고, 세목에 있어 往書 20항목, 답서 24항목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5단락으로 대별하는 것은 文型의 기본인 서론・본론・결론의 3단락에다 서찰의 특성으로 인하여 2단락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5단락은 서론격인 書頭, 본론격인 述事, 결론격인 結尾에다가, 상대의 안부를 묻는 候問 단락과 자신의 근황을 알리는 自叙 단락이다. 만약 서론・본론・결론의 3단락으로만 대별하면 서찰의 특성인 상대방과 자신에 대한 안부 단락이 잘 구분되지 않는 반면, 본고처럼 5단락으로 대별하면 상대방과 자신에 대한 안부 단락이 명확해질뿐더러, 격식의 파악이 바로 내용의 파악으로 이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세목은 중국 宋代에 편찬된 『司馬氏書儀』와 元代에 편찬된 『居家必用事類全集』과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簡式類編』・『寒暄箚錄』을 참고하여 왕서 20항목과 답서 24항목이라는 수정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렇게 5단락의 큰 틀에 往書 20개 항목과 答書 24개 항목을 배속시키면, 강령과 조목이 모두 갖추어져서 서찰의 격식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서찰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열쇠는 서찰의 격식과 용어에 들어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삼아 서찰 용어의 연구가 이루어지면, 자료의 寶庫인 서찰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도구가 마련될 것이다. 용어에 대한 연구는 다음의 과제로 남긴다.

      • KCI등재

        한국 서사민요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시집살이 서사의 분석과 의미

        서영숙(Suh, Young Sook)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0

        This study categorized the types by character, relationships, and core events targeting Korean narrative folk songs about women’s married lives,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Korean narrative folk songs (435 out of 1,008 narrative folk songs, 43.2% of narrative folk songs extracted from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of Korean Oral Literature). In addition, each version was analysed by type into 1,430 narrative paragraphs, and a total of 109 theme words were extracted from these paragraphs to construct basic data into a digital archive of narrative folk songs.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narrative folk songs about women’s married lives were examined by analys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me words appearing in sequential combinations of narrative paragraphs. The structural features found within the narrative folk songs about women’s married lives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sequential combinations of narrative paragraphs were as follows: 1. Almost all narrative folk songs about women’s married lives started with the idea of “hardship.” 2. Most narrative folk songs about women’s married lives presented a simple progression. 3. Most endings of these narrative folk songs about women’s married lives did not reach a “solution,” leading to “frustr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regarding the lives and consciousness of lower social class wome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me words contained in each of the narrative paragraphs: 1. Although theme words were rarely found in the “expectation” section of narrative folk songs about women’s married lives, results revealed the hopes and desires that women had regarding marriage and in-law relationships. 2. The section related to the theme words “hardship” occupied the greatest proportion of the narratives, reappearing several times in a characteristic form. 3. In the section related to “trying a solution,” there were many theme words associated with negative behaviors such as “becoming a monk” or “protesting” rather than engaging in positive behaviors such as “hospitality” and “aid.” This indicates that even “trying a solution” was attempted as a method difficult to achieve. 4. The section related to “frustration” in narrative folk songs appeared more often after the “hardship” section in all narrative paragraphs. In this regard, the theme word “death·funeral” was found most frequently. 5. Finally, the “solution” section of these narrative folk songs contained a paradoxical solution difficult to achieve in real life, such as the “failure of women’s married lives” or “the couple’s unification in the underworld.” This is based on a strong sense of negativity about the reality of the lower social class women, which assumes that amicable union and love between married couples can never The narrative paragraph system found within narrative folk songs about women’s married lives needs to be expanded not only to the entire narrative folk songs but also to the overall Korean oral narrative literature. Additionally, research on the digital archiving of Korean oral literature is necessary. Collaboration with the IT industry is also required to develop a digital archive based on the actual search system, capable of managing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Internet. This initiative is difficult to accomplish through the effort of a single researcher, and continuous cooperation and support with institutions related to oral literature and folk song archives are needed to further expand the research in this field. 이 글에서는 한국 서사민요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시집살이’ 서사민요 435편을 대상으로 인물 관계와 핵심 사건에 의해 유형을 분류한 뒤, 각 유형에 속한 각편들에서 총 1,430개의 서사단락과 109개의 주제어를 추출해 서사민요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서사단락의 순차적 결합 양상과 주제어 분포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집살이 서사민요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우선, 서사단락의 순차적 결합 양상 분석을 바탕으로 시집살이 서사민요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시집살이 서사민요는 거의 대부분 고난으로 시작하고, 해결의 시도와 좌절이 한번 정도 교체되거나 해결의 시도 없이 좌절만 거듭해 단순하게 진행되며, 결말이 해결에 이르지 못하고 좌절에 그치는, 고난시작형, 단순진행형, 좌절결말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혔다. 이는 시집살이 서사민요가 유흥이나 여유가 아니라 노동과 긴장 속에서 불린 노래로서, 고난과 좌절로 점철되는 여성의 비극적 삶 자체를 사실적으로 그려내는 문학임을 드러내 준다. 다음, 각 서사단락에 나타나는 주제어의 분포 양상을 분석한 결과, 시집살이 서사민요는 다음과 같은 향유의식과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첫째, ‘기대’ 단락의 주제어는 드물기는 하지만, ‘혼인’, ‘옷 만듦’, ‘음식 장만’ 등을 통해 시집 생활에 대한 소망을 보여준다. 둘째, ‘고난’ 단락의 주제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시집식구 구박’이 전형적 형태로 거듭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셋째, ‘해결의 시도’ 단락에는 ‘대접’, ‘원조’와 같은 긍정적 행동보다는 ‘출가’, ‘항의’와 같은 부정적 행동이 많이 나타난다. 넷째, ‘좌절’ 단락은 ‘고난’ 단락 다음으로 많이 나타나며, 그중에서도 ‘죽음’ 관련 주제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다섯째, ‘해결’ 단락에서는 ‘시집 패망’이나 ‘저승 결합’과 같이 현실에서 이루어지기 어려운 역설적 해결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처럼 시집살이 서사민요는 향유층의 현실에 대한 강한 부정 의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그 현실을 넘어서 시집살이의 고난을 극복하고자 했던 여성 창자들의 소망이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