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그릿(Grit) 특성에 대한 고찰: 높은 그릿집단의 다차원적 유형 연구

        김정은,이수란,양수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Korean grit as opposed to Western conceptualizations. We conducted cluster analysis to identify subgroups based on three related but distinct constructs-passion(harmonious vs. obsessive) and meaning in life. Basic needs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were further assessed to explore potential group-specific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ttributes. Highly gritty individuals(n=139; M=22.51 yrs) were selected by using the median. According to our results, gritty individuals were subdivided into 3 groups: the initiative who possesses highly adaptive harmonious passion and meaning in life(35.8%), the obsessive who are high in maladaptive obsessive passion(26.1%), and the passive who are the lowest in all(38.1%). The initiative grit scored the highest in all three attributes while the two other subgroups showed culturally unique patterns. Our results suggest that culture specific factors may mold differently the unfolding and psychological outcomes of grit in Ko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높은 그릿집단이 조화 및 강박열정과 의미추구경향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구별되는지를 확인하고, 각 유형들이 심리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기본 심리 욕구와 삶의 만족 그리고 자아탄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297명이 응답한 그릿 점수의 중앙값을 초과한 연구 대상자들을 높은 그릿집단으로 선별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군집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높은 그릿집단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적응적인 조화열정과 의미추구경향이 높은 적극적 그릿(35.8%), 부적응적인 강박열정이 높은 강박적 그릿(26.1%), 조화 및 강박열정과 의미추구경향이 모두 낮은 소극적 그릿(38.1%). 적극적 그릿은 기본 심리 욕구와 삶의 만족도, 그리고 자아탄력성에서 가장 높은 반면에, 강박적 그릿은 적극적 그릿보다 모두 낮았다. 소극적 그릿 또한 유능성, 관계성, 삶의 만족도에서 적극적 그릿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적 토양에서 발달하는 그릿의 특성과 높은 그릿집단이 가지는 이질성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아버지 그릿이 여고생 자녀 그릿에 미치는 영향: 자녀 성장 마인드셋을 통한 아버지 놀이참여의 조절된 매개 효과 검증

        이혜원 ( Hyewon Lee ),최진수 ( Jinsoo Choi ),이수란 ( Suran Lee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기목표 달성 및 성취를 예측하는 핵심 변인인 청소년의 그릿의 발달에 아버지의 그릿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그릿과 자녀의 어린 시절 양육 행동인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여고생 자녀의 그릿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서울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고생과 그들의 아버지 185쌍(총 370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버지 그릿과 자녀 그릿은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이때, 자녀의 성장 마인드셋이 아버지 그릿과 자녀의 그릿의 정적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의 어린 시절 아버지 놀이참여가 아버지 그릿과 자녀의 성장 마인드셋 및 자녀 성장 마인드셋을 매개로 한 아버지 그릿과 자녀 그릿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자녀의 어린 시절 아버지 놀이참여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아버지 그릿이 자녀의 성장 마인드셋을 매개로 자녀 그릿에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자녀 그릿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기제를 밝힘으로써 그릿 발달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how a father’s grit affects the development of his adolescent daughter’s resilience, a key variable in predicting long-term goals and achievements. Specifically, the effects of paternal grit and play interaction on the grit of adolescent daughters through a child’s growth mindset were verified. Method: Accordingly, data from 185 pair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fathers (370 in total)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s grit and the resilience of a daughter, while the daughter's growth-mindset was fully mediated between the grit of the father and the daughter. Results also showed that a father's involvement in playtime with his daughter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his grit, his daughter’s growth-mindset, and the daughter’s grit. When a father’s involvement in play is low, it was found that the father’s gr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aughter’s grit through the child's growth mindset. Conclusions: This study has shed light on understanding the resilienc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 KCI등재

        학업상담에서의 그릿의 의미와 증진 방안 탐색

        황매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Grit in the academic counseling an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academic counseling. For this, the background of g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milar concepts were examined. Grit consists of two factors, consistency of interest, which maintains interest in the task that he or she intends to achieve, and perseverance of effort, which strives consistent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Self-control, self-regulation, and task persistence are related to Grit as non-intellectual factors that predict success. Based on the discussions which suggests the growth of Grit, various discussions including the Grit enhancement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ere reviewed in order to find out th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grit. As a result, in the cognitive aspect, teaching directl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Grit, understanding Grit through the grit experience of their owns and others, adopting the growth mideset, and setting long-term and short-term goals; in behavioral aspects, facilitating brain development, helping to gradually increase deliberate practices, preventing media overuse; in the emotional aspect, overcoming the negative emotions such as stress and frustration in the process of exercising Grit, and promoting interest discovery through the flow experienc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nd further investigations were proposed. 이 연구는 그릿이 학업상담에 갖는 의의를 알아보고, 학업상담을 통해 그릿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그릿 개념이 제안된 배경과 유사한 개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릿은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관심을 바꾸지 않고 유지해 나가는 흥미유지(consistency of interest)와 긴 시간에 걸쳐 꾸준히 노력을 기울이는 노력지속(perseverance of effort)의 2개 구인으로 구성되고, 노력지속은 그간 성공을 예언하는 비인지적 요인으로 제시된 자기통제, 자기조절, 과제지속과 밀접히 관련되는 반면, 흥미유지는 그릿이 포함하는 고유한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그릿이 개입을 통해 변화가능하다는 근거를 확보하고, 그릿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 개입전략 도출을 위해 그릿 증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논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 그릿의 특성에 대해 직접 가르치는 것, 자신 및 타인의 그릿 경험을 통해 그릿을 이해하는 것, 능력은 변화할 수 있다는 변화신념을 채택하는 것, 실패에 대해 성찰하는 것, 단기 및 장기 목표를 설정하는 것; 행동적 측면에서 의도된 연습을 점진적으로 늘려갈 수 있도록 도와 뇌발달과 그릿 발휘를 촉진하는 것, 매체 과다사용을 개선하는 것; 정서적 측면에서 그릿 발휘 과정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와 좌절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극복하는 것, 어떤 활동에 대한 몰입 경험을 통해 흥미발견과 흥미지속을 촉진하는 것 등이 그릿 증진을 위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점을 기술하고, 이에 따른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그릿이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분석 : 부모의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보은 한국초등교육학회 2022 초등교육연구 Vol.3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lasting impact of parents' grit(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and parenting style(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and coercion) on children's grit(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This study was used the 4th-grade cohort(4th & 6th graders)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as analysis data. The study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he Growth Model to examine the change in children's grit development. Second, it analyz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arents' grit, parenting style, and children's grit. It was found that parents' grit and parenting style had a lasting impact on children's grit.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consistency of interest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grit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coercion of parenting style. It was found that perseverance of effort continuously promotes children's grit through autonomy suppor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early study that empirically confirmed the lasting impact of parents' grit and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gr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grit development studies. 이 연구는 부모의 그릿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그릿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부모의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이 부모의 양육태도인 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강요를 통해 자녀의 흥미유지와 노 력지속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자료로 한국아 동ᆞ청소년패널조사 2018 초등학교 4학년 코호트(4학년, 6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부모의 그릿,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의 그릿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 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그릿과 양육태도는 아동의 그릿을 증진시키는 데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흥미유지는 자녀의 그릿 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양육태도 강요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흥미유지와 달리 노력지속은 자율성지지를 통해서 자녀의 그릿을 지속적으로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종단 분석을 통해 부모의 그릿과 양육태도가 아동의 그릿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이후 그릿 발달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차이

        강신영(Sin-Young Kang),문혁준(Hyuk-Jun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그릿의 구성 요인인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의 정도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의 어린이집에서 담임으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638명을 대상으로 그릿과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고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릿에 대한 보육교사의 군집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4개의 군집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보육교사 그릿 군집 유형별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의 수준은 중간보다 높았고, 심리적 소진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릿과 교사효능감은 정적상관, 그릿과 심리적 소진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은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릿 군집유형의 특성을 반영하여 ‘그릿 하위집단’, ‘노력지속 집단’, ‘흥미유지 집단’, ‘그릿 상위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 소진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차원적인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 보육교사의 그릿 특성을 반영한 그릿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grit for child care teacher based on the two com-ponents of grit,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by identified grit typ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638 child care teaches in Nationwid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luster types were derived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method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one-way ANOVA. Results The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at child care teacher's grit could be classified in to four types ‘low grit’, ‘perseverance of effort’, ‘consistency of interest’, and ‘high gri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wo components of grit. With th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according to cluster types based on the grit. Conclusions Therefore, this research multi-dimensionally approached grit focused on these days, and, based on this, the child care teacher's grit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that an social and policy approach that can enhance child care teacher's grit is needed for better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 KCI등재

        스포츠 그릿의 개념 탐색을 위한 척도의 요인 구조 비교

        이옥진,문한진,김미예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4 No.4

        As the first step i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ports grit and developing a scale to measure it, this study explores the clear meaning of the existing grit concept and compares the grit scale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scales. 184 male soccer players belonging to a total of 15 college soccer teams participated in the U-League in 2022 were responded the athlete grit scale(Jun & Lee, 2022), grit original scale(Duckworth et al., 2007), and Korean grit scale (Lee et al., 2021). For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factor analysis and ANOVA, the factor structure for each scale was extracted, and the grit level according to the player's performance was compared. As a result, the athlete's grit scale was extracted with a 3-factor model and the grit original scale was extracted with a 2-factor model, showing the same factor structure as the original author's factor structure. However, the Korean grit scale was interpreted as two factors instead of three factors developed by the original author. In future study, grit concepts and scales in grit studies conducted over the past 10 years should be reviewed more in-depth, and based on this, the concept of sports grit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the field of sports should be established and measurement tools should be developed. 이 연구는 스포츠 그릿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측정하는 척도를 제작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그릿 개념에 대한 명료한 의미를 탐색하고, 여러 그릿 척도를 서로 비교하여 요인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2022년 U리그에 참가한 총 15개 대학 축구팀 선수 184명을 대상으로 운동선수 그릿 척도(전현수, 이기봉, 2022), 그릿 원척도 (Duckworth, Peterson, Matthews, & Kelly, 2007), 그리고 한국형 그릿 척도(이수란, 안태영, 박서단, 양수진, 2021)에 대한 응답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과 분산분석을 통해 각 척도별 요인구조를 추출하였고 선수 경기력에 따른 그릿 수준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선수 그릿 척도는 3요인 모형, 그릿 원척도는 2요인 모형으로 추출되어 원저자 요인구조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한국형 그릿 척도는 원저자가 제작한 3요인이 아닌 2요인으로 해석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수행된 그릿 연구에서의 그릿 개념과 척도를 보다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스포츠라는 영역 특수성이 반영된 스포츠 그릿의 개념 정립과 측정 도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어머니의 그릿과 자녀의 그릿 간의 종단적 관계

        김지영,정은정,정수경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는 어머니 그릿에 따른 자녀 그릿의 장기적인 변화를 살펴보는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데이터로 2018년 기준 중학교 1학년과 부모 총 2,590명 총 4개년 자료를활용하여 최종 분석 대상자는 주요 변수 총 4개년 자료 중 2개년 이상 자료가 있는 자녀 및 어머니2,275쌍이다. 분석자료는 SPSS 28.0과 M-plus 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 무조건적모형과 조건적 모형의 2단계에 걸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와 자녀의 그릿은 시간의 지남에 따라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머니 그릿 초기값이 높을수록 아동 그릿 초기값이 높았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녀 그릿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어머니 그릿의 변화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머니 그릿이 완만하게 감소할수록 자녀 그릿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어머니의 그릿과 자녀의 그릿의 관계를 종단적 분석을 통해 어머니 그릿이 자녀 그릿에 미치는장기적인 영향을 확인하고 자녀 그릿 발달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to examine the long-term changes in children's grit according to maternal grit. The analysis data utilized the 2018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consisting of a total of 2,590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over a period of 4 years. The final analysis included 2,275 pairs of children and mothers who had data for at least 2 years among the 4 years of major variabl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8.0 and M-plus 8.0 programs, and latent growth modeling was analyzed in two stages: unconditional and conditional model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both maternal and child grit decreased over time. In other words, higher initial maternal grit led to higher initial child grit, but child grit sharply decreased over time. Furthermore, the rate of change in maternal grit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rate of change in child grit, with a gradual decrease in maternal grit corresponding to a gradual decrease in child grit over tim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long-term impact of maternal grit on child grit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study of child grit development.

      • KCI등재

        청소년의 그릿 및 행복감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개인, 부모, 친구, 교사요인 영향 검증

        정혜원,박소영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그릿 및 행복감 수준에 어떤 잠재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잠재프로파일에 개인, 부모, 친구, 교사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1차년도(초등학교 4학년 2,607명과 중학교 1학년 2,590명) 자료에 3단계 접근법(Asparouhov & Muthén, 2014)을 적용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고, 도출된 프로파일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 4학년의 그릿 및 행복감 잠재프로파일은 4가지 유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집단의 그릿 및 행복감 수준에 따라 ‘낮은 그릿 및 행복감 집단’, ‘중간 그릿 및 행복감 집단’, ‘중간 그릿 및 높은 행복감 집단’ 및 ‘높은 그릿 및 행복감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중학교 1학년의 그릿 및 행복감 잠재프로파일은 3가지 유형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각 집단을 ‘낮은 그릿 및 행복감 집단’, ‘중간 그릿 및 행복감 집단’ 및 ‘높은 그릿 및 행복감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학생의 학업열의, 성적 만족도, 부모 양육태도, 친구관계, 교사관계의 일부 하위요인이 도출된 잠재프로파일 유형 예측에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청소년의 그릿과 행복감 향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의그릿(Grit) 군집 유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분석

        백근영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impa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ifelong education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we classified the cluster type of grit based on the subscales of the Korean Grit Scale, namely effort-sustainability, passion-pleasure, and passion-meaning, and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cluster types.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achievement varied depending on the cluster type and level of job stress. Cluster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and interven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on a sample of 238 lifelong education college students by measuring grit, GPA from the previous semester, and job stress levels. Results showed four clusters: “low grit group”, “passion (pleasure) group”, “normal grit group”, and “high grit group”.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cluster type, with the high grit group demonstrating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lower job stress compared to the low grit group. Additionally, in situations of high job stress, the passion (pleasure) group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ow-level grit group. Moreover, in situations where job stress was moderate or high, the average level grit group demonstrat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ow-level grit group.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ed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형 그릿척도의 하위요인인 노력-지속성, 열정-즐거움, 열정-의미의 수준에 따라 그릿의 군집 유형을 분류하고, 군집 유형 간에 학업성취도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군집 유형과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238명의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릿, 직전학기 GPA,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여 군집분석, 다변량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낮은 그릿 집단”, “열정(즐거움) 집단,” “보통 그릿 집단,” “높은 그릿 집단”의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둘째, 군집의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수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그릿 집단이 낮은 그릿 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고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는 열정(즐거움) 집단이 낮은 수준 그릿 집단보다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보통이거나 높은 상황에서는 보통 수준 그릿 집단이 낮은 수준 그릿 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했다.

      • KCI등재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그릿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오진주,송교원,이창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ADDIE 모형의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맞추어 학습자 분석, 요구 분석, 과제 분석을 실시한 뒤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그릿 향상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내용, 수업지도안, 활동지를 개발한 뒤 전문가 타당도 검토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그릿 향상 프로그램은 10차시로 그릿 이해, 그릿 개발, 그릿 행동, 그릿 장벽 극복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그릿 향상 프로그램을 마이스터고 1, 2학년 학생 15명에게 5주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 15명에게는 별다른 처치를 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한국 청소년에게 적용하기 적합하다고 알려진 Duckworth가 개발한 그릿-S 척도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그릿 향상 프로그램은 그릿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릿 구성 요인인 노력지속, 흥미유지 중 노력지속 요인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